KR20080112529A -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529A
KR20080112529A KR1020070061042A KR20070061042A KR20080112529A KR 20080112529 A KR20080112529 A KR 20080112529A KR 1020070061042 A KR1020070061042 A KR 1020070061042A KR 20070061042 A KR20070061042 A KR 20070061042A KR 20080112529 A KR20080112529 A KR 20080112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ring
headlamp
head lamp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김현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세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세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2529A/ko
Publication of KR2008011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6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maintenance, e.g. changing the light bulb
    • B60Q1/0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maintenance, e.g. changing the light bulb via a removable c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방 시야를 비추기 위해 마련된 헤드램프와 이 헤드램프의 벌브 교환을 위한 형성된 홀과 이 홀을 막기 위해 헤드램프의 후미부에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와 이 더스트 커버에 끼워지어 씰링 역할을 하는 오링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결합부 원주면을 따라 사출 형성된 결합 홈과, 이 결합 홈에 끼워지어 씰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오링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결합 돌기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이다.
헤드램프, 벌브, 더스트 커버, 오링, 씰링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Structure for improving of dust cover in head lamp automobile}
도 1은 일반적인 헤드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와 오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헤드램프 20: 하우징
30: 벌브 40: 벌브 고정부
50: 더스트 커버 51: 결합 홈
60: 오링 61: 결합 돌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램프의 벌브 교환을 위한 형성된 홀을 막기 위해 헤드램프의 후미부에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dust cover)와 이 더스트 커버에 끼워지어 씰링 역할 을 하는 오링(O-Ring)을 일체로 사출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오링의 이탈에 따른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새시에는 시동 장치, 점화 장치, 등화 장치 등과 같은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 중에서 상기 등화 장치는 자동차의 전방을 조명하기 위한 헤드램프와, 상기한 자동차의 진행 방향 등을 알리기 위한 방향 지시등과, 실내조명용의 룸 램프와, 차량의 후진을 알리기 위한 후진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헤드램프는 본닛과 범퍼 사이의 공간 양측에 위치한 전조등을 지칭하며, 대향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를 현혹되지 않게 상향등 및 하향등으로 상하 절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차량의 야간주행시 노면 및 기타 장애물의 위치를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전방을 비추게 되며, 그 체결 구조는 도 1에서 보듯이, 헤드램프(10)를 장착하는 헤드램프 하우징(20)과, 헤드램프(10) 내부에 설치되는 벌브(30)와, 이 벌브(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벌브 고정부(40)와, 헤드램프 하우징(20) 후미부에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50)와 이 더스트 커버(50)에 끼워지어 헤드램프(10) 내부의 기밀을 책임지는 오링(60)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더스트 커버(50)는 헤드램프(10)의 후미부에서 장착되어 자동차의 엔진 룸 내에서 각종 먼지 등이 상기 헤드램프(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하며, 헤드램프(10)의 벌브(30)를 교환하고자 할 때, 상기 더스트 커버(50)를 헤드램프(10)로부터 분리시키고, 벌브(30)를 헤드램프(10)의 내부에서 빼내어 새로운 벌브(30)로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어셈블리는 더스트 커버와 기밀용 오링으로 구성되어 각 부품 사출 후 별도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어 각각의 사출에 공정으로 인해 가공비 및 재료비가 상승함은 물론, 작업자가 벌브 교환을 위해 더스트 커버를 분리할 시 오링의 이탈에 따른 분실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헤드램프의 벌브 교환을 위한 형성된 홀을 막기 위해 마련되는 더스트 커버와 이 더스트 커버에 끼워지어 헤드램프 내부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을 일체로 사출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오링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는, 자동차의 전방 시야를 비추기 위해 마련된 헤드램프와 이 헤드램프의 벌브 교환을 위한 형성된 홀과 이 홀을 막기 위해 헤드램프의 후미부에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와 이 더스트 커버에 끼워지어 씰링 역할을 하는 오링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결합부 원주면을 따라 사출 형성된 결합 홈과, 이 결합 홈에 끼워지어 씰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오링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결합 돌기가 일체로 사출 성형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병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동차의 전방 시야를 비추기 위해 마련된 헤드램프와 이 헤드램프의 벌브 교환을 위한 형성된 홀과 이 홀을 막기 위해 헤드램프의 후미부에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50)와 이 더스트 커버(50)에 끼워지어 씰링 역할을 하는 오링(60)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50)의 결합부 원주면을 따라 사출 형성된 결합 홈(51)과, 이 결합 홈(51)에 끼워지어 씰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오링(60)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결합 돌기(61)가 일체로 사출 성형 된다.
또한, 상기 더스트 커버(50)와 오링(6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탈/장착시 그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상기 1차적으로 사출 성형하는 더스트 커버(50)에 형성된 결합 홈(51)과, 2차적으로 사출 성형하는 오링(60)의 결합 돌기(61)는 이중사출된다.
여기서 이중사출이란, 2종의 다른 수지 또는 다른 2가지 색의 수지를 사용하여 2개의 사출장치와 가동판에 회전기구를 설치한 구조의 사출기 또는 코아나 슬라이드 구조를 이용하여 이중사출 가능하게 설계된 금형으로 최초에 성형한 1차 성형품과 덧대어 사출성형하는 것이다.
이렇게, 한번에 두 가지를 사출하기 때문에 기존의 일반사출이 2차례에 걸쳐 2개의 부품으로 성형하여 용작 제품화하던 것을 한 번의 성형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사출 방법이다.
즉,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50)와 오링(60)을 성형함에 있어, 더스트 커버(50)를 1차로 결합 홈(51)을 형성하여 사출 성형한 후, 씰링 역할을 하는 오링(60)을 2차로 상기 결합 홈(5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오링(60)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 돌기(61)를 사출 성형하여 더스트 커버(50)와 오링(60)을 일체화하는 것이다.
상기 더스트 커버(50)의 원주면을 따라 2개 이상의 형성된 결합 홈(51)과 이 더스트 커버(50)의 결합 홈(5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오링(60)에 형성된 결합 돌기(61)에 의해 각 부품의 사출 후, 각 부품 간의 결속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품 간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더스트 커버(50)의 결합 홈(51)과, 오링(60)의 결합 돌기(61)는 2개 이상 형성되어 부품 간의 결속력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와 같이 2중 사출에 따라 성형하는 발명은 본 발명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조립된 상태에서 두 부품 간 기밀을 필요로 하는 어떠한 부품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에 따르면,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와 헤드램프 내부의 기밀을 위해 더스트 커버와 일체로 사출되는 오링에 의해 가공비 및 조립 공수 절감에 따른 재료비 감소 효과는 물론, 씰링역할을 하는 오링이 더스트 커버에 일체로 성형되어 벌브 교환을 위해 더스트 커버 분리시 오링의 이탈에 따른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전방 시야를 비추기 위해 마련된 헤드램프와 이 헤드램프의 벌브 교환을 위해 형성된 홀과 이 홀을 막기 위해 헤드램프의 후미부에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와 이 더스트 커버에 끼워지어 씰링 역할을 하는 오링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50)의 결합부 내주면을 따라 사출 형성된 결합 홈(51)과, 이 결합 홈(51)에 끼워지어 씰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오링(60)의 내측 내주면을 따라 결합 돌기(61)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50)와 오링(60)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적으로 사출 성형하는 더스트 커버(50)에 형성된 결합 홈(51)과, 2차적으로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 오링(60)의 결합 돌기(61)는 이중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50)의 결합 홈(51)과, 오링(60)의 결합 돌기(61)는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KR1020070061042A 2007-06-21 2007-06-21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KR20080112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042A KR20080112529A (ko) 2007-06-21 2007-06-21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042A KR20080112529A (ko) 2007-06-21 2007-06-21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529A true KR20080112529A (ko) 2008-12-26

Family

ID=4037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042A KR20080112529A (ko) 2007-06-21 2007-06-21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252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052B1 (ko) * 2012-05-31 2014-04-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KR20160105071A (ko) * 2015-02-27 2016-09-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장치
KR20170043812A (ko) 2015-10-14 2017-04-2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882907B1 (ko) * 2017-02-28 2018-07-30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
CN110513650A (zh) * 2018-05-22 2019-11-29 斯坦雷电气株式会社 车辆用灯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052B1 (ko) * 2012-05-31 2014-04-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KR20160105071A (ko) * 2015-02-27 2016-09-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장치
KR20170043812A (ko) 2015-10-14 2017-04-2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882907B1 (ko) * 2017-02-28 2018-07-30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
CN110513650A (zh) * 2018-05-22 2019-11-29 斯坦雷电气株式会社 车辆用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2529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EP3650745B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having light guides
KR101381052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KR101622734B1 (ko) 자동차 헤드 램프용 실리콘 비구면 렌즈의 설치 구조
KR102330382B1 (ko) 차량의 램프 장치
KR100410884B1 (ko) 자동차용 실드 및 베젤 일체형 헤드램프 구조
JP2005119430A (ja) 作業車両のランプ
CN208779360U (zh) 一种日间行车灯
US20240151378A1 (en) Vehicle lights with split lens
CN215259368U (zh) 一种卡车顶灯
KR0125726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백 커버 구조
KR200145982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구조
KR0122170Y1 (ko)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구조
KR200273626Y1 (ko) 자동차 외부후사경 장착용 보조점등구
KR200167534Y1 (ko) 자동차 백 도어 보조제동등
KR200483958Y1 (ko)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KR101743446B1 (ko) 일체형 램프장치
KR20240008744A (ko) 차량용 액티브 스포일러 방식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KR0122533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하우징 설치구조
KR0135516Y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KR20210076848A (ko) 차량들을 위한 조명 및/또는 신호 디바이스
KR20120010492A (ko) 차량용 램프
KR20160104383A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결합구조
KR20070028952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9980041593U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