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170Y1 -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170Y1
KR0122170Y1 KR2019960008610U KR19960008610U KR0122170Y1 KR 0122170 Y1 KR0122170 Y1 KR 0122170Y1 KR 2019960008610 U KR2019960008610 U KR 2019960008610U KR 19960008610 U KR19960008610 U KR 19960008610U KR 0122170 Y1 KR0122170 Y1 KR 0122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housing
turn signal
signal lamp
bol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7715U (ko
Inventor
송순오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08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170Y1/ko
Publication of KR970057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77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23Details of the fastening means
    • B60Q1/2626Screw-nut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차체에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설치시,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를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이면에 집어넣어야 하는데 상기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이면에는 배터리나 에어크리너 등의 부품이 많이 설치되어 있어,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을 설치하거나 교체 또는 벌브를 교환하기 위한 작업이 난해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헤드 램프 하우징(200)의 걸림부(220)와 함께 고정되는 볼트(140)가 삽입되도록 체결부(160)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헤드 램프 하우징(200)의 고정부(240)에 삽설될 수 있도록 홀더(180)를 형성하므로서 엔진룸내에 설치된 여러 가지 부품들과는 상관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을 설치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을 교환 또는 수리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 구조
제1도는 종래의 구성을 보인 요부 평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체결전 상태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140:볼트
160:체결부 180:홀더
200:헤드 램프 하우징 220:걸림부
240:고정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turn signal lamp housing) 취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차체에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취부작업을 함에 있어서 엔진룸내에 설치할 수 있는 배터리나 에어크리너 등에 간섭을 받지않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벌브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경우, 작업이 용이하고 정비성이 향상되므로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주행을 안전하게 하려면 조명 이외에도 신호를 하거나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들의 조명장치는 각기 자기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기준과 규격에 대하여 안전기준에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에는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 대하여 주행중 자기 의사를 밝히는 것으로, 전조등, 턴 스그널 램프(방향지시등), 제동등, 후진등 외에 후미등, 차폭등, 번호등, 비상점멸 신호등등이 있으며 이들은 안전 기준에 의하여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고 작동과 성능도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상기 조명 장치 중 전조등은 야간 주행을 위한 조명등이며, 일반적으로 전방 100m이상 앞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나라에 따라 성능 기준이 다르며 상기 전조등의 빛을 하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의무화되어 있다.
이러한 전조등의 배광 특성은 수평 방향으로 넓게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는 좁게 배광되며 상향등은 먼 곳까지 조명하고 동시에 도로위와 주변도 조명하여야 한다. 그리고 하향등은 자기 진행 방향의 필요한 만큼 밝게 비치고 엇갈리는 상대방 차가 눈부시지 않도록 하는 조명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후미등(tail lamp)은 주행하거나 정지하는 것을 뒷차에 알리는 표시등이며, 그 구조를 보면, 후미등은 미등으로만 사용하는 단독식과 제동등과 겸용으로 사용하는 겸용식이 있으며 겸용식의 전구는 하나의 전구속에 2개의 필라멘트가 있으며 후미등의 밝기는 5-8W정도이고 제동등의 밝기는 25W정도이다. 또한 전구는 적색으로 안전기준에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미등은 차량 후미에 설치되며 후진기어를 변속 했을 때 점등되는 후진등, 제동할 때 점등되는 제동등(Stop Lamp)방향지시등 등이 있으며 이것들이 일체가 되어 디자인된 것을 컴비네이션 램프(Combination Lamp)라고 부르고 있다. 그 외에도 주차중 점등되는 파킹 램프, 번호판을 밝히는 램프도 있다.
상기의 조명장치들 중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취부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을 인서트 볼트(14)와 일체로 상출하여 성형한후, 상기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을 차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어넣기 사이드 프론트 판넬(3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32)에 상기 인서트 볼트(14)를 삽입하고 사이드 프론트 판넬(30)의 이면에서 너트(16)를 인서트 볼트(14)에 체결하여 취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취부과정에서 사이드 프론트 판넬(30)의 삽입공(32)에 삽입된 인서트 볼트(14)에 너트(16)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를 사이드 프론트 판넬(30)의 이면에 집어 넣어야 하는데 상기 사이드 프론트 판넬(30)의 이면에는 배터리나 에어크리너 등의 부품이 많이 설치되어 있어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을 설치하거나 교체 또는 벌브(bulb)(12)를 교환하기 위한 작업을 함에 있어서 작업성이 난해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일측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헤드 램프 하우징의 고정부에 삽설될 수 있는 홀더를 형성하므로서 차체에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을 설치시, 엔진룸내에 설치된 부품과는 상관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을 교환하거나 수리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을 차체에 설치함에 있어서,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일측에는 헤드 램프 하우징의 후크 형상의 걸림부와 함께 고정되는 볼트가 삽입되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헤드 램프 하우징의 고정부에 삽설될 수 있도록 홀더를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을 차체에 설치할 때, 부품들이 많은 엔진룸에서 힘들게 작업 할 필요없이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에 볼트를 반정도 체결한 상태로 미리 설치되어 있는 헤드 램프 하우징의 옆쪽에 삽입하게 되면,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체결부에 반쯤체결되고 남는 볼트의 중간부위에 상기 헤드 램프 하우징의 후크형상의 걸림부가 걸리게 되고,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홀더는 헤드 램프 하우징의 고정부에 삽설시킨 후 상기 볼트를 완전히 체결하므로서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의 취부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2도는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이 설치되기 전 상태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이고, 제3도는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로써,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을 차체에 설치함에 있어서,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헤드 램프 하우징(200)의 후크형상의 걸림부(220)와 함께 고정되는 볼트(140)가 삽입되도록 체결부(160)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헤드 램프 하우징(200)의 고정부(240)에 삽설될 수 있도록 홀더(180)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20)은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의 벌브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차체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헤드 램프 하우징(200)의 옆에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을 설치하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60)에 볼트(140)를 반정도 체결한 상태로 차체에 삽입하게 되면 볼트(140)가 체결되고 남은 부분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헤드 램프 하우징(200)의 후크형 걸림부(220)에 걸리게 되고,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의 타측에 형성된 홀더(180)는 상기 헤드 램프 하우징(200)의 고정부(240)에 삽설시킨 후, 상기 볼트(140)를 걸림부(220)와 함께 체결부(160)에 완전히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체에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을 취부함에 있어서 엔진룸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부품과는 상관없이 헤드 램프 하우징(200)의 옆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취부시킬 수 있으며, 볼트(140)의 체결작업을 엔진룸내에서 하지않고 상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체결하므로 체결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히 할 수 있으므로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의 교환이나 수리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발와 같이 본 고안은 차체에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을 설치시, 엔진룸내에 설치된 여러 가지 부품들과는 상관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을 교환 또는 수리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을 차체에 설치함에 있어서,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헤드 램프 하우징(200)의 후크형 걸림부(220)와 함께 고정되는 볼트(140)가 삽입되도록 체결부(160)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헤드 램프 하우징(200)의 고정부(240)에 삽설될 수 있도록 홀더(180)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 구조.
KR2019960008610U 1996-04-19 1996-04-19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구조 KR0122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610U KR0122170Y1 (ko) 1996-04-19 1996-04-19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610U KR0122170Y1 (ko) 1996-04-19 1996-04-19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715U KR970057715U (ko) 1997-11-10
KR0122170Y1 true KR0122170Y1 (ko) 1998-08-01

Family

ID=1945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610U KR0122170Y1 (ko) 1996-04-19 1996-04-19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1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715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170Y1 (ko)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 하우징 취부구조
KR0122533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하우징 설치구조
CN219140591U (zh) 一种新型带信号功能的led辅助尾灯
KR100221266B1 (ko) 자동차의포그램프의취부방법
CN219339324U (zh) 一种多功能的新型灯
KR100506917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CN211509341U (zh) 一种灯具控制电路及具有该电路的车用背景灯
KR200189199Y1 (ko) 자동차의 리어컴비네이션램프의 설치구조
KR200201683Y1 (ko) 차량 안개등의 하우징과 랜즈 설치구조
KR910006758Y1 (ko) 철도차량의 전조등 및 후미등 조립구조
KR970005202Y1 (ko) 차동차의 후미등커버(tail cover) 취부구조
KR100410884B1 (ko) 자동차용 실드 및 베젤 일체형 헤드램프 구조
KR19980044524U (ko) 자동차용 전조등 취부구조
KR20040038294A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KR20230090685A (ko) 자동차 트렁크 내장형 led 삼각대
KR0112755Y1 (ko) 빛 반사판이 장착된 자동차용 도아
CN116061799A (zh) 一种多功能的新型灯
KR19980052632U (ko) 헤드 램프 장착 구조
KR19980059669A (ko) 자동차용 룸 램프
KR19980018769U (ko) 가시거리가 조절되는 자동차의 안개등
KR19980034034U (ko) 자동차용 룸 램프
KR980007452U (ko) 자동차용 램프 자동점멸장치
KR19980036915A (ko) 차폭등 일체형 전조등
KR19980042699U (ko)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장착구조
KR19980053304U (ko) 자동차의 전조등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