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811B1 - 클러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클러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811B1
KR101882811B1 KR1020160084841A KR20160084841A KR101882811B1 KR 101882811 B1 KR101882811 B1 KR 101882811B1 KR 1020160084841 A KR1020160084841 A KR 1020160084841A KR 20160084841 A KR20160084841 A KR 20160084841A KR 101882811 B1 KR101882811 B1 KR 101882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clutch
driving
clutch assembly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007A (ko
Inventor
박우주
Original Assignee
박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주 filed Critical 박우주
Priority to KR1020160084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811B1/ko
Priority to PCT/KR2016/007426 priority patent/WO2018008783A2/ko
Publication of KR2018000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4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adapted for selective electrical or manual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04Friction clutches with means for actuating or keeping engaged by a force derived at least partially from one of the shafts to be conn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8Gear
    • F16D2500/1087Planetary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Blind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독립된 구동원의 구동력을 하나의 구동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동 메커니즘을 갖는 클러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톱니(110)가 형성된 메인샤프트(100)와 축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캐리어(211)와, 상기 톱니(110)와 치결합되어 상기 캐리어(211)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유성기어(212)를 갖는 기어부(210)와; 상기 유성기어(212)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제1스톱퍼(221)를 갖고 상기 메인샤프트(100)와 축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구동몸체부(220)와; 상기 메인샤프트(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몸체부(220)와 회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캐리어(211)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제2스톱퍼(232)를 갖는 클러치부재(230)와; 상기 클러치부재(230)를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하게 되는 고정부재(2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러치 조립체{CLUTCH ASSEMBLY}
본 발명은 복수의 독립된 구동원의 구동력을 하나의 구동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동 메커니즘을 갖는 클러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blind)는 건물의 창문에 설치되어 차광이나 실내의 조명 조절 또는 실내의 사생활 침해 방지 등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 또는 커튼은 수동으로 조작이 이루어지는 당김줄이 마련되어 당김줄의 조작 방향에 따라서 펼치거나 접는 수동 조작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 블라인드 또는 커튼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9458호(공개일자: 2011.09.08)는 전동식 블라인드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블라인드의 승하강 조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동식 블라인드 장치는 전동 모터만으로 블라인드의 조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정전 시에 블라인드의 조작이 불가하며, 또한 일반 수동식 블라인드에 쉽게 장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1467호(공개일자: 2004.06.18)는 일반 수동식 블라인드의 당김줄을 전동 모터에 연결하여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당김줄이 작동하여 블라인드의 승하강 조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전동모터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수동 당김줄이 함께 움직이게 되어 자칫 주위 사물들과 엉키거나 수동 당김줄을 잡게 되면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수동식 조작과 전동식 조작 시에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수동식/전동식 겸용의 블라인드 장치를 연구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복수의 독립된 구동원의 구동력을 하나의 구동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동 메커니즘을 갖는 클러치 조립체를 발명하여 이를 출원하고자 하는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9458호(공개일자: 2011.09.08)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1467호(공개일자: 2004.06.1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복수의 독립된 구동원의 구동력을 하나의 구동축에 선택적으로 전달이 가능하여 독립된 구동원 사이에서 불필요한 부하의 전달을 방지하여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동 메커니즘을 갖는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메인샤프트와 축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캐리어와, 상기 톱니와 치결합되어 상기 캐리어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유성기어를 갖는 기어부와; 상기 유성기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제1스톱퍼를 갖고 상기 메인샤프트와 축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구동몸체부와; 상기 메인샤프트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몸체부와 회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캐리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제2스톱퍼를 갖는 클러치부재와; 상기 클러치부재를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하게 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어부는, 상기 캐리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을 갖고 상기 유성기어가 자유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몸체부는, 상기 메인샤프트가 관통하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플랜지는, 상기 기어부와 마주하는 조립면에 상기 유성기어와 계합 가능한 제1스톱퍼가 일정 원호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플랜지는, 상기 클러치부재와 마주하는 조립면에 동일 반경 상에 서로 일정 원호각을 갖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부재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게 되는 한 쌍의 걸림턱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러치부재는, 상기 구동몸체부와 대면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는 조립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스톱퍼가 일정 원호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고정플랜지가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랜지에 삽입되어 상기 클러치부재를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는, 메인샤프트와 공전 또는 자전 운동이 이루어지는 유성기어를 갖고 메인샤프트와 축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기어부와, 유성기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제1스톱퍼를 갖고 메인샤프트와 축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구동몸체부와, 메인샤프트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구동몸체부와 회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캐리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제2스톱퍼를 갖는 클러치부재와, 클러치부재를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하게 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메인샤프트와 구동몸체부 사이의 회전 구동력 전달이 비가역(irreversible)적으로 이루어져 구동몸체부의 회전 구동력은 메인샤프트로 전달 가능한 반면에 메인샤프트의 회전 구동력은 구동몸체부로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는, 독립된 구동원과 대응되는 복수의 클러치 조립체를 구동축에 구비함으로써, 각 클러치 조립체 마다 별도의 동력전환을 위한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복수의 독립된 구동원의 구동력을 하나의 구동축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선택적으로 전달이 가능한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는 수동/전동 겸용의 블라인드 또는 전동커튼, 또는 하나의 구동요소에 동일한 복수의 예비적인 보조 구동요소가 마련되어 신뢰성 확보가 요구되는 인공위성의 보조동력 전환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동력 전달계통의 설계를 단순화하고 설비의 사이즈를 작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의 기어부의 평면도,
도 3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에 있어서 구동몸체부의 평면도 몇 배면도,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에 있어서 클러치부재의 평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에 있어서 구동몸체부와 클러치부재의 조립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에 있어서 구동몸체부와 클러치부재의 조립 상태의 평면 구성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클러치 조립체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클러치 조립체가 적용된 블라인드 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축방향' 또는 '반경 방향'은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에는 메인샤프트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복수의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별도로 구분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하나의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는, 메인샤프트(100)와 순차적으로 축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한 기어부(210), 구동몸체부(220) 및 클러치부재(230)를 포함하며, 클러치부재(230)는 고정부재(240)에 의해 회전 방향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메인샤프트(100)는 외주면에 기어부(210)와 치결합되는 톱니(110)가 형성되어 기어부(210)와 함께 회전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샤프트(100)는 블라인드의 승강와이어를 직접 감거나 풀어 주는 메인샤프트일 수 있다.
기어부(210)는 메인샤프트(100)와 함께 회전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메인샤프트(100)에 삽입되는 고리 형상의 캐리어(211)와, 캐리어(211)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성기어(212)를 포함한다.
구동몸체부(220)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서 내주면에 가이드플랜지(221)가 돌출 형성되며, 기어부(210)와 마주하는 가이드플랜지(221)의 조립면에는 유성기어(212)와 계합되어 유성기어(212)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제1스톱퍼(22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동몸체부(220)는 구동원과 연결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며, 도 1에서 구동몸체부(220)는 외주면을 따라서 당김줄(10)이 권취될 수 있도록 다수의 휠리브(223)가 돌출 형성되며, 당김줄(10)의 수동 조작에 의해 구동몸체부(22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구동몸체부(220)는 전동 모터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외주면에는 휠리브가 아닌 치형이 형성되어 전동 모터와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몸체부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클러치부재(230)는 기어부(210)가 조립되는 구동몸체부(220)의 반대편에 조립이 이루어지며, 가이드플랜지(221) 두께 만큼 단차를 갖고 돌출되어 가이드플랜지(221)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단차부(231)와, 단차부(231)에서 일정 원호각을 갖고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스톱퍼(232)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일측 반경 방향으로 돌기레버(233)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부재(240)는 클러치부재(230)를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플랜지(241)가 형성된 고정플레이트(242)와, 고정플랜지(241)에 삽입되어 클러치부재(230)를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43)을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어부(210)는 메인샤프트(10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고리 형상의 캐리어(211)와, 캐리어(211)에서 서로 마주하여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211a)와, 각 가이드돌기(211a)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유성기어(2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211a)는 일정한 원호각(θ1)을 갖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유성기어(212)는 가이드돌기(211a)의 대략 중앙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조립이 이루어져 메인샤프트(100)의 톱니(110)와 치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어부(210)는 메인샤프트(100)에 대해 캐리어(211)가 회전하여 유성기어(212)는 메인샤프트(100)의 외주면을 따라서 공전(R1)이 가능하며, 또한 캐리어(211)에 대해 자전(R2)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어부(210)는 두 개의 유성기어(212)로 구성됨을 예시하고 있으나, 유성기어의 숫자는 증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a)를 참고하면, 구동몸체부(220)는 메인샤프트가 관통하게 되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서 내주면에 가이드플랜지(221)가 돌출 형성되며, 기어부와 마주하는 가이드플랜지(221)의 조립면에는 유성기어와 계합 가능한 한 쌍의 제1스톱퍼(222)가 좌우 대칭되게 마련된다. 각 스톱퍼(222)는 일정한 원호각(θ2)을 갖는 부채꼴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스톱퍼(222)는 두 개의 유성기어(212)와 각각 대응되어 좌우 대칭되게 두 개로 구성됨을 보여주고 있다. 제1스톱퍼(222)는 유성기어(212)의 일부 치형과 계합될 수 있는 치형상(222a)을 갖는다.
도 3의 (b)를 참고하면, 구동몸체부(220)는 클러치부재와 마주하는 가이드플랜지(221)의 조립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좌우 대칭된 고정리브(224)가 형성된다. 구동몸체부와 클러치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두 고정리브(224)에 고무밴드(미도시)가 감기게 되어 클러치부재는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조립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플랜지(221)는 동일 반경 상에 일정 원호각(θ3)을 갖고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걸림턱(225)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225)은 구동몸체부(220)와 클러치부재 사이의 회전 운동 시에 회전각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4의 (a)를 참고하면, 클러치부재(230)는 구동몸체부와 대면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는 조립면에서 돌출 형성된 단차부(231)가 형성되며, 이때 단차부(231)의 높이는 대략 가이드플랜지(221)(도 1 참고)의 두께와 대략 같다. 따라서, 구동몸체부와 클러치부재(230)가 조립된 상태에서 단차부(231)와 가이드플랜지(221)는 같은 평면상에 위치한다. 단차부(231)는 일측에 편심되어 돌출 형성된 제2스톱퍼(232)가 마련되며, 이때 제2스톱퍼(232)는 일정한 원호각(θ4)을 갖는 부채꼴 형상을 갖는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클러치부재(230)는 고정부재와 대면하게 되는 조립면에는 일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레버(233)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234)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고정날개(235)가 형성되어 몸체(234)와 고정날개(235) 사이에 고무밴드(미도시)가 삽입 위치하여 클러치부재(230)는 구동몸체부(220)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조립된다.
도 5를 참고하면, 고정부재(240)는 클러치부재를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플랜지(241)가 형성된 고정플레이트(242)와, 고정플랜지(241)에 삽입되어 클러치부재를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43)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243)은 고정플랜지(241)에 압입되어 토션스프링(243)에 정지 마찰력 이상의 토오크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운동 마찰력을 갖고 고정플랜지(241)를 따라서 회전(R3)이 가능한 반면에, 정지마찰력 이하의 토오크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고정플랜지(241)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에 있어서 구동몸체부와 클러치부재의 조립 상태를 평면적으로 보여 주고 있으며, 구동몸체부(220)와 클러치부재(230)는 고무밴드(226)에 의해 회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이때 고무밴드(226)는 탄성을 갖고 양측의 고정리브(224)와 클러치부재(230)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클러치부재(230)의 돌기레버(233)는 구동몸체부(220)에 대해 특정 방향성을 갖게 되며, 도 6에서 돌기레버(233)는 Y축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설명에서 이를 '중립'위치로도 지칭한다.
외부에서 토오크가 작용하여 구동몸체부(220)와 클러치부재(230) 사이의 회전 운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고무밴드(226)는 탄성 변형되고 토오크가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무밴드(226)의 복원력에 의해 클러치부재(230)는 구동몸체부(220)에 대해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몸체부와 클러치부재가 회전 방향으로 탄성 유지될 수 있는 수단으로 고무밴드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축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구동몸체부(220)에 마련된 걸림턱(226)은 클러치부재(230)의 돌기레버(233)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따라서 구동몸체부(220)와 클러치부재(230) 사이의 회전은 한 쌍의 걸림턱(226)에 의한 원호각(θ3)(도 3의 (b))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돌기레버(233)가 중립 위치인 경우에 한 쌍의 제1스톱퍼(222)는 X축 상에 좌우 대칭되게 위치하며, 제2스톱퍼(232)는 X축 상에 편심되어 위치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에 있어서 구동몸체부와 클러치부재의 조립 상태의 평면 구성도로서, 중립 위치에서 구동몸체부(220)에 마련된 한 쌍의 제1스톱퍼(222)와 클러치부재(230)에 마련된 제2스톱퍼(232)는 모두 X축 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제2스톱퍼(232)의 원호각(θ4)은 제1스톱퍼(222)의 원호각(θ2) 보다 더 크다(θ2 < θ4).
따라서 중립 위치에서 제1스톱퍼(222)는 제2스톱퍼(232)의 원호각(θ2)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이하, 본 발명의 클러치 조립체의 작동예를 관련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클러치 조립체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어부(210), 구동몸체부(220)의 제1스톱퍼(222), 클러치부재(230)의 제2스톱퍼(232) 및 걸림턱(225)은 동일 평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중립위치에서 구동몸체부(220)와 클러치부재(230)는 고정부재(240)와 함께 고정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한편, 메인샤프트(100)가 별도의 구동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경우에 메인샤프트(100)와 함께 기어부(210)가 일정 각도 회전하다가 제2스톱퍼(232)에 의해 정지하며, 이때 기어부(210)의 캐리어(211)는 제2스톱퍼(232)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기어부(210)의 유성기어(212)는 제1스톱퍼(222)와 계합될 수 없는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메인샤프트(10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자전 운동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메인샤프트(100)의 회전 구동이 구동몸체부(220)로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은 구동몸체부(220)의 직접 구동에 의해 메인샤프트(100)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메인샤프트(100)는 정지된 상태이며, 당김줄 또는 모터에 의해 구동몸체부(220)에 직접 회전 구동력이 인가되어 구동몸체부(220)가 회전한다. 이때 클러치부재(23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고정부재(240)(도 5 참고)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0에 예시된 것과 같이, 구동몸체부(220)는 회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걸림턱(225)이 돌기레버(233)와 접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제1스톱퍼(222)와 제2스톱퍼(232)의 상대 위치가 변동되면서 기어부(210)의 캐리어(211)의 회동 가능 각도가 변동된다. 이후 구동몸체부(220)는 클러치부재(230)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때, 클러치부재(2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던 토션스프링(243)(도 5 참고)은 일정 운동 마찰력을 갖고 고정플랜지(241)(도 5 참고)를 축으로 하여 함께 회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 과정까지 메인샤프트(100)와 함께 기어부(21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구동몸체부(220)와 클러치부재(230)가 계속 회전하면서 제1스톱퍼(222)와 유성기어(212)가 치합된다. 이후 구동몸체부(220)와 클러치부재(230)는 제1스톱퍼(222)에 의해 유성기어(212)를 물고서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며, 제1스톱퍼(222)에 계합된 유성기어(212)는 자전의 능력을 상실하고 구동몸체부(220)에 고정되며, 이로 인해 유성기어(212)에 치합된 메인샤프트(100)의 톱니(110)와도 고정이 유되어 결국 구동몸체부(220)와 메인샤프트(100)는 고정된 상태로 회전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구동몸체부(220)에 작용하던 회전 구동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토션스프링(243)은 고정플랜지(241)에 고정되어 정지하게 되고 구동몸체부(220)와 클러치부재(230)는 고무밴드(2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하면서 제1스톱퍼(222)와 유성기어(212) 사이의 치결합이 해제된다(도 9 참고).
도 12는 본 발명의 클러치 조립체가 적용된 수동식/전동식 겸용의 블라인드 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에 예시된 것과 같이, 블라인드의 상하 조작을 위한 메인샤프트(100) 일단에는 두 개의 제1클러치 조립체(A)와 제2클러치 조립체(B)가 마련되며, 제1클러치 조립체(A)와 제2클러치 조립체(B)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조작을 위한 수단에 따라서 구동몸체부의 외관만이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클러치 조립체(A)는 해당 구동몸체부(220A)의 외주면에 휠리브(233A)가 마련되어 당김줄(10)이 귄취되며, 제2클러치 조립체(B)는 해당 구동몸체부(220B)의 외주면에 치형(233B)이 형성되어 전동모터(20)와 조립된다.
사용자가 수동식으로 당김줄(10)을 조작하여 메인샤프트(100)를 회전 구동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메인샤프트(100)의 회전 구동력이 제2클러치 조립체(B)를 통해 전동모터(20)에 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전동모터(20)에 불필요한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전동식으로 블라인드를 조작하게 되는 경우에 전동모터(20)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는 메인샤프트(100)의 회전 구동력은 제1클러치 조립체(A)로 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당김줄(10)이 움직이지 않아서 엉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식 블라인드 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독립된 구동원의 구동력을 하나의 구동축에 선택적인 전달이 요구되는 구동 메커니즘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메인샤프트 110 : 톱니
210 : 기어부 211 : 캐리어
211a : 가이드돌기 212 : 유성기어
220 : 구동몸체부 221 : 가이드플랜지
222 : 제1스톱퍼 223 : 휠리브
224 : 고정리브 225 : 걸림턱
226 : 고무밴드 230 : 클러치부재
231 : 단차부 232 : 제2스톱퍼
233 : 돌기레버 234 : 몸체
235 : 고정날개 240 : 고정부재
241 : 고정플랜지 242 : 고정플레이트
243 : 토션스프링

Claims (8)

  1. 메인샤프트와 축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캐리어와, 상기 메인샤프트와 치결합되어 상기 캐리어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유성기어를 갖는 기어부와;
    상기 유성기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제1스톱퍼를 갖고 상기 메인샤프트와 축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구동몸체부와;
    상기 메인샤프트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몸체부와 회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캐리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제2스톱퍼를 갖는 클러치부재와;
    고정플랜지가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랜지에 삽입되어 상기 클러치부재를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를 포함하여 상기 클러치부재를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하게 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캐리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성기어가 자유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몸체부는,
    상기 메인샤프트가 관통하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서,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와 마주하는 조립면에 상기 제1스톱퍼가 마련되는 가이드플랜지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랜지는, 상기 클러치부재와 마주하는 조립면의 동일 반경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부재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게 되는 한 쌍의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재는,
    상기 구동몸체부와 대면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는 조립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스톱퍼가 마련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로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구동원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메인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각 구동원과 대응되어 상기 메인샤프트에 복수개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샤프트에 블라인드가 권취되어 블라인드를 상하 구동하기 위한 블라인드 시스템으로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는, 당김줄에 의해 상기 메인샤프트를 회전 구동하게 되는 제1클러치 조립체와, 상기 제1클러치 조립체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전동모터에 의해 상기 메인샤프트를 회전 구동하는 제2클러치 조립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시스템.
KR1020160084841A 2016-07-05 2016-07-05 클러치 조립체 KR101882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41A KR101882811B1 (ko) 2016-07-05 2016-07-05 클러치 조립체
PCT/KR2016/007426 WO2018008783A2 (ko) 2016-07-05 2016-07-08 클러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41A KR101882811B1 (ko) 2016-07-05 2016-07-05 클러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007A KR20180005007A (ko) 2018-01-15
KR101882811B1 true KR101882811B1 (ko) 2018-07-31

Family

ID=6091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841A KR101882811B1 (ko) 2016-07-05 2016-07-05 클러치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2811B1 (ko)
WO (1) WO20180087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966B1 (ko) 2018-01-15 2021-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
US11680826B2 (en) * 2018-11-26 2023-06-20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Inductive position sensor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KR102369937B1 (ko) * 2021-06-14 2022-03-03 주식회사 코지샵 전동식 블라인드 변환 구동 장치
KR102551762B1 (ko) * 2023-03-06 2023-07-04 이현우 블라인드 승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7562A (ja) * 2000-02-18 2001-08-24 Canon Inc クラッチ
JP2015178749A (ja) 2014-03-19 2015-10-08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856A (ja) * 1995-06-30 1997-01-14 Toso Co Ltd 手動電動兼用ロールブラインド
KR20040032424A (ko) * 2002-10-09 2004-04-17 주식회사 주생각 전동 브라인드 장치
KR20040051467A (ko) 2003-02-24 2004-06-18 신민규 전동 블라인드
JP4750663B2 (ja) * 2006-09-29 2011-08-17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US20080121353A1 (en) * 2006-11-16 2008-05-29 Detmer Brandon J Manual roller shade having clutch mechanism, chain guide and universal mounting
KR101211959B1 (ko) 2010-03-02 2012-12-13 주식회사 필룩스 전동식 블라인드 장치
KR101681553B1 (ko) * 2014-12-17 2016-12-01 전춘구 이중 블라인드 커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7562A (ja) * 2000-02-18 2001-08-24 Canon Inc クラッチ
JP2015178749A (ja) 2014-03-19 2015-10-08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007A (ko) 2018-01-15
WO2018008783A3 (ko) 2018-03-08
WO2018008783A2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811B1 (ko) 클러치 조립체
CN109488190B (zh) 一种用于百叶门的控制系统
JP5340207B2 (ja) 家庭用スクリーンを駆動するアクチュエータのためのばね押しブレーキと、このブレーキを備えたアクチュエータ
JP5266237B2 (ja) 可動家具部の駆動装置
JP4010940B2 (ja) 窓操作装置
JP6196331B2 (ja) コイルばねを利用したフリー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JP2001271576A (ja) ブラインド
JP6295116B2 (ja) ブラインド
JP5926843B1 (ja) 空転歯車を備えたフリー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US20060108076A1 (en) Rotor brake mechanism for curtain linkage system
CN112922971A (zh) 一种逆止器、电机装置、窗帘控制装置和电动窗帘
JP4917322B2 (ja) 電動機のクラッチ機構
JP2001040966A (ja) 巻取り装置
JP4816474B2 (ja) クラッチ装置
JP6549831B2 (ja) 駆動装置
KR101906739B1 (ko) 클러치 조립체
CN106089003B (zh) 日照遮挡装置的速度调节装置
JP6545228B2 (ja) 歯車の空転を利用するフリー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JP6828202B1 (ja) フリー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JP6592581B2 (ja) フリー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KR20060025397A (ko) 전동식 창호 작동장치
JP2007285326A (ja) 2ウェイクラッチユニット
JP2018197556A (ja) 歯車の空転を利用するフリー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KR101776205B1 (ko) 블라인드의 쉐이드 구동 장치
JP7050022B2 (ja) フリー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