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425B1 - 이륜차용 짐받이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짐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425B1
KR101879425B1 KR1020170085958A KR20170085958A KR101879425B1 KR 101879425 B1 KR101879425 B1 KR 101879425B1 KR 1020170085958 A KR1020170085958 A KR 1020170085958A KR 20170085958 A KR20170085958 A KR 20170085958A KR 101879425 B1 KR101879425 B1 KR 10187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load carrier
motorcycle
platform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6431A (ko
Inventor
김보식
Original Assignee
김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식 filed Critical 김보식
Priority to KR1020170085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4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6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차의 차체 후측에 설치되어 화물 등을 적재토록 한 짐받이에 있어서, 수평짐받이가 전후로 전동 슬라이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직짐받이는 90도 각운동 조절이 원터치로 정확하게 이루어지질 수 있도록 한 이륜차용 짐받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륜차용 차체(1) 후측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 상부에 이륜차의 차체(1)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5)과, 상기 가이드레일(5)에 안내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될 수 있는 가이더(6)가 하부에 설치된 수평짐받이(3)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에 일단이 고정되는 액츄에이터(8) 및 상기 액츄에이터(8)의 피스톤(9) 단부는 수평짐받이(3)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짐받이(3) 좌우로 토션스프링(14)에 의해 각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10)와, 상기 작동레버(10) 내측에 위치하여 액츄에이터(8) 작동을 단속하는 버튼(11)과, 상기 수평짐받이(3) 전측에서 수평, 수직방향으로 각운동 조절될 수 있는 수직짐받이(4)와, 상기 수직짐받이(4) 좌우에는 걸림턱(17)을 갖는 잠금레버(16)를 축핀(15)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수평짐받이(3)에 고정된 록커(19)의 걸림홈(18)에 수직 전개시 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륜차용 짐받이{Carrier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이륜차용 짐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이륜차의 차체 후측에 설치되어 화물 등을 적재토록 한 짐받이에 있어서, 수평짐받이가 전후로 전동 슬라이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직짐받이는 90도 각운동 조절이 원터치로 정확하게 이루어지질 수 있도록 한 이륜차용 짐받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륜차의 후측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짐받이는 차체 후측 상부에 설치되며, 화물 등을 주로 싣고 다니는 화물 이륜차의 경우는 큰 사이즈의 짐받이를 설치,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이륜차에는 차체 후방에 소형 사이즈의 짐받이를 설치하여 소형 화물이나 별도의 트렁크(수납함)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짐받이의 경우는 제작시 전후 사이즈가 특정되어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물의 크기에 따라 짐받이에 적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를 개선코자 이륜차 주유구 개방이나 기타 목적을 위해 프레임을 전후 이동 조절할 수 있는 짐받이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442040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양측으로 "ㄷ"자형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하단부로 고정브라켓이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수용되어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이 이동 또는 고정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조정나사의 나사 조정에 의해 이동프레임을 고정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정하면서 전후 이동 조절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이륜차용 짐받이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에서 조정나사의 나사 조정에 의해 이동프레임을 이동 또는 고정하는 것으로 짐받이의 조절 작업성이 떨어짐은 물론 이동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ㄷ"자형 가이드에 이동프레임이 단순히 안내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이동프레임의 전후 이동시나 고정시 이동프레임의 유동으로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화물을 안전하게 적재하는 것이 곤란한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 10-1581648 호에는 고정설치대, 이동설치대 및 짐받이설치대로 구성되는 이륜차용 짐받이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이동설치대의 핸들부를 하향으로 힘을 가하면 핸들부의 양단에 연결된 잠금수단이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잠금수단 잠금편의 제2요철부가 가이드레일의 제1요철부로부터 탈거되며, 이때 핸들부를 일측으로 당겨지도록 힘을 가하면 가이드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이드부 내부의 롤러가 가이드레일의 내부 저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되게 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어느 정도 이동이 되면 핸들부를 놓게 되면 핀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수단이 힌지축을 기준으로 하향 회전하면서 잠금수단 잠금편 제2요철부가 가이드레일의 제1요철부에 맞물려 끼움 결합되어 가이드부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고정설치대에 이동설치대가 고정되면서 짐받이설치대가 이동설치대의 이동으로 동시에 이동되도록 한 것이나, 이 역시 작동의 편의성 등이 떨어져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이륜차용 짐받이가 요구되었던 것이다.
KR 등록특허 10-0942247 KR 등록특허 10-1581648 KR 등록실용신안 20-442040
이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는 이륜차의 차체 후측에 설치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조절이 이루어지는 수평짐받이가 액츄에이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전동으로 슬라이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이륜차용 짐받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륜차용 짐받이는 수평짐받이를 전동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킬 때 별도의 작동레버를 해제시킨 상태에서만 액츄에이터 작동용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오작동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조절된 상태에서는 작동레버에 의해 록킹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수평짐받이 전측에 설치되는 수직짐받이는 90도 각도로 조절작동이 원터치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륜차용 짐받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는 이륜차용 차체 후측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이륜차의 차체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될 수 있는 가이더가 하부에 설치된 수평짐받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피스톤 단부는 수평짐받이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짐받이 좌우로 토션스프링에 의해 각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 내측에 위치하여 액츄에이터 작동을 단속하는 버튼과;
상기 수평짐받이 전측에서 수평, 수직방향으로 각운동 조절될 수 있는 수직짐받이;
상기 수직짐받이 좌우에는 걸림턱을 갖는 잠금레버를 축핀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수평짐받이에 고정된 록커의 걸림홈에 수직 전개시 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는 이륜차 차체 후측에 설치되어 화물 등을 적재하는 짐받이를 수평짐받이와 수직짐받이로 구성하되, 수평짐받이는 액츄에이터의 피스톤과 연결하여 버튼의 터치 작동에 의해 전후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조절되어 간단하게 짐받이의 전후 폭을 화물 크기에 맞게 조절, 사용할 수 있으며,
수평짐받이의 좌우로 작동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레버 내측에 액츄에이터 작동 단속용 버튼을 설치하여 오작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짐받이 전측에서 90도 각운동하며 수직으로 전개 및 수평으로 접어지는 수직짐받이에는 걸림턱을 갖는 잠금레버를 축설치하여 수평짐받이에 고정된 록커의 걸림홈에 수직 전개시 자동으로 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개 상태가 확실히 고정됨과 동시에 원터치로 전개 및 접을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의 수평짐받이가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에 있어서, 수직짐받이의 전개 상태를 록킹하기 위한 잠금레버 및 록커를 보인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에 있어서, 수직짐받이의 전개 및 접어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는 이륜차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액츄에이터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슬라이드 조절될 수 있는 수평짐받이를 설치하고, 상기 수평짐받이가 전측으로 슬라이드 조절된 상태에서는 록킹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작동레버를 외측으로 각운동시켜 해제 시에만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짐받이 전측에서 수평, 수직방향으로 각운동 조절될 수 있는 수직짐받이를 설치하되, 좌우의 래칫형 록커 및 수직짐받이에 축설치된 잠금레버에 의해 각운동 작동이 원터치로 간단하게 단속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이륜차용 짐받이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이륜차용 짐받이의 평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륜차용 짐받이는 이륜차용 차체(1) 후측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2) 상부에 전후 슬라이드 조절될 수 있는 수평짐받이(3)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 전측에는 약 90도 각운동 가능하여 수평짐받이(3)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접어지거나, 전측 수직방향으로 90도 전개될 수 있는 수직짐받이(4)가 축핀(7)에 의해 축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 상부에는 가이드레일(5)을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는 가이더(6)를 수평짐받이(3) 하부에 고정토록 하며, 상기 가이드레일(5)에는 볼(ball, 도시하지 아니함)을 복수개 내입시켜 가이더(6)가 가이드레일(5)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할 시에 마찰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에는 액츄에이터(8)의 일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액츄에이터(8)의 피스톤(9) 단부는 수평짐받이(3) 하부에 고정시켜 액츄에이터(8)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피스톤(9)이 신축작동하면 수평짐받이(3)가 베이스프레임(2) 상부에서 가이드레일(5)을 따라 전후로 수평 슬라이드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짐받이(3)는 베이스프레임(2)에 고정된 복수의 가이드레일(5)을 따라 가이더(6)가 안내되면서 전후로 슬라이드 운동토록 하되, 사용자가 작동레버(10)를 록킹상태에서 해제시켜 액츄에이터(8) 작동용 버튼(11)을 터치하여야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작동레버(10)를 수평짐받이(3)에 축핀(12)에 의해 각운동 가능토록 설치하되, 상기 작동레버(10)의 단부가 가이드레일(5)에 형성된 록킹홈(13)에 록킹상태가 될 수 있도록 토션스프링(14)으로 탄력설치되며, 사용자가 작동레버(10)를 외측으로 당기면 록킹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레버(10)가 록킹 상태에서 해제되면 사용자가 액츄에이터(8) 작동제어용 버튼(11)을 터치하여 액츄에이터(8)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10)는 수평짐받이(3)의 일측 또는 좌우로 설치될 수 있으며(도시한 예는 좌우로 복수개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음), 버튼(11)은 좌우 중 일측에만 설치토록 한다.
한편, 베이스프레임(2) 전측으로 설치되는 수직짐받이(4)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전개 및 수평으로 접을 수 있도록 축핀(7)에 의해 축설치되는바, 수직 전개되었을 시에 위치 고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작동이 원터치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우로 축핀(15)으로 잠금레버(16)를 축설치하되, 상기 잠금레버(16) 하단부에는 걸림턱(17)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17)이 수직짐받이(4)가 수직으로 전개 시 걸림될 수 있는 걸림홈(18)을 갖는 래칫형 록커(19)를 수평짐받이(3)측에 고정토록 한다.
도면중의 부호 20은 화물 결속용 줄을 결속하기 위한 훅(hook)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이륜차용 짐받이는 이륜차의 차체(1) 후측에 베이스프레임(2) 부위를 고정시켜 각종 화물 등을 적재, 고정한 후 이송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화물을 적재하는 수평짐받이(3)가 액츄에이터(8)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드 운동하며 전후 적재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점과, 수직짐받이(4)를 수직으로 전개 및 원터치 작동으로 수평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짐받이에 적재코자 하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수평짐받이(3)의 전후 폭을 조절한다.
즉, 수평짐받이(3)에 설치된 작동레버(10)를 당긴 후 내측에 설치된 버튼(11)을 터치하면 액츄에이터(8)가 작동하여 피스톤(9)이 신장되면서 수평짐받이(3)가 가이드레일(5)을 따라 이륜차의 차체(1)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며, 버튼(11)에서 손을 분리하면 원하는 위치에서 수평짐받이(3)는 정지된다.
그리고 수직짐받이(4)가 수평으로 위치된 상태일 경우 화물 운송 중 전측으로 화물이 이동하지 않도록 수직짐받이(4)를 전측으로 약 90도 각운동시켜 전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수직짐받이(4)를 손으로 잡고 수평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축핀(7)을 기점으로 각운동시키면 수직짐받이(4)가 수직방향으로 각운동하며 전개가 되는데, 이때 수직짐받이(4)에 축핀(15)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레버(16)의 걸림턱(17)이 록커(19)에 형성된 걸림홈(18)에 각운동 진입하면서 걸림상태가 되어 수직짐받이(4)의 수직 전개가 고정상태로 되는 것이다.
수직짐받이(4)가 수직으로 전개되고, 수평짐받이(3)가 화물의 크기에 맞는 적재 폭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사용자는 수평짐받이(3) 상부에 화물을 적재 후 결속끈을 복수개의 훅(20)을 이용하여 화물과 결속한 후 화물을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화물을 수평짐받이(3)에서 하역한 후 수평짐받이(3)를 전측으로 슬라이드 작동시켜 원위치코자 할 시에는 작동레버(10)를 당긴 후 내측에 설치된 버튼(11)을 터치하면 액츄에이터(8)가 작동하여 피스톤(9)이 수축되면서 수평짐받이(3)가 가이드레일(5)을 따라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며, 전측에 이르면 작동레버(10)에서 손을 분리하면 토션스프링(14)에 의해 작동레버(10)가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록킹홈(13)에 작동레버(10)가 록킹되어 수평짐받이(3)는 유동하지 않는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짐받이(4)를 수평방향으로 접고자 할 시에는 잠금레버(16)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축핀(15)을 기점으로 각운동시키면 걸림턱(17)이 록커(19)의 걸림홈(18)으로부터 벗어나면서 록킹 상태가 해제되고, 수직짐받이(4)를 수평짐받이(3) 방향으로 축핀(7)을 기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각도조절하면 수평짐받이(3)와 평행하게 접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짐받이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이륜차용)차체 2: 베이스프레임 3: 수평짐받이 4: 수직짐받이 5: 가이드레일 6: 가이더 7: 축핀 8: 액츄에이터 9: 피스톤 10: 작동레버 11: 버튼 12: 축핀 13: 록킹홈 14: 토션스프링 15: 축핀 16: 잠금레버 17: 걸림턱 18: 걸림홈 19: 록커

Claims (1)

  1. 이륜차용 차체(1) 후측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 상부에 이륜차의 차체(1)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5)과, 상기 가이드레일(5)에 안내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될 수 있는 가이더(6)가 하부에 설치된 수평짐받이(3)와, 상기 수평짐받이(3) 전측에서 수평, 수직방향으로 각운동 조절될 수 있는 수직짐받이(4)와, 상기 수직짐받이(4) 좌우에는 걸림턱(17)을 갖는 잠금레버(16)를 축핀(15)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수평짐받이(3)에 고정된 록커(19)의 걸림홈(18)에 수직 전개시 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륜차용 짐받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에 일단이 고정되는 액츄에이터(8)와;
    상기 액츄에이터(8)의 피스톤(9) 단부는 수평짐받이(3)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짐받이(3) 좌우로 토션스프링(14)에 의해 축핀(12)을 기점으로 각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10)와;
    상기 작동레버(10) 내측에 위치하여 액츄에이터(8) 작동을 단속하는 버튼(1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짐받이.
KR1020170085958A 2017-07-06 2017-07-06 이륜차용 짐받이 KR10187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58A KR101879425B1 (ko) 2017-07-06 2017-07-06 이륜차용 짐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58A KR101879425B1 (ko) 2017-07-06 2017-07-06 이륜차용 짐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431A KR20170086431A (ko) 2017-07-26
KR101879425B1 true KR101879425B1 (ko) 2018-07-17

Family

ID=5942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958A KR101879425B1 (ko) 2017-07-06 2017-07-06 이륜차용 짐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501B1 (ko) * 2018-05-24 2020-03-10 구동현 오토바이용 전동 캐리어
KR102217156B1 (ko) * 2020-05-27 2021-02-17 구동현 오토바이용 캐리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740A (ja) * 1985-07-20 1987-01-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運搬車の荷台姿勢制御装置
KR200479183Y1 (ko) * 2015-10-05 2015-12-30 박종범 오토바이용 짐받이
KR101633279B1 (ko) * 2016-03-08 2016-06-29 최우향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KR101741706B1 (ko) * 2016-12-01 2017-05-30 최우향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040Y1 (ko) 2006-12-07 2008-10-08 최우향 이인승 시트가 설치된 오토바이용 짐받이
KR100942247B1 (ko) 2009-11-12 2010-02-18 주식회사 레드블리츠 스쿠터용 슬라이더 짐받이
KR101581648B1 (ko) 2015-09-24 2015-12-30 홍성관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740A (ja) * 1985-07-20 1987-01-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運搬車の荷台姿勢制御装置
KR200479183Y1 (ko) * 2015-10-05 2015-12-30 박종범 오토바이용 짐받이
KR101633279B1 (ko) * 2016-03-08 2016-06-29 최우향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KR101741706B1 (ko) * 2016-12-01 2017-05-30 최우향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431A (ko)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22120A1 (ja) ラゲッジボードの移動機構
US9211848B2 (en) Storage unit for a motor vehicle
US9533624B2 (en) Carrier apparatus for vehicle
KR101879425B1 (ko) 이륜차용 짐받이
US20210163082A1 (en) Tailgate assembly with cargo bed access opening and method of providing access to a cargo bed of a vehicle
KR20160025463A (ko) 자동차 내부용 용기 수용 장치
KR102431221B1 (ko) 차량의 캐리어 장치
JP2013112127A (ja) 車両用シート
GB2511207A (en) Backrest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N107303851A (zh) 车辆控制台与座椅间的间隙封塞器总成
US10710488B2 (en) Lift platform with lock and release system
JP4293452B2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
KR101776513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KR101786239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US8783500B1 (en) Sliding lock mechanism
JP2009241631A (ja) 自動車荷室のボード開閉装置
EP3342610B1 (en) Tailgate for a vehicle
CN110997548A (zh) 支腿装置
JP2009196482A (ja) 車両用トノボード装置
JP2010052466A (ja) 貨物自動車用幌構造
CN114728617B (zh) 可折叠的附接系统以及包括可折叠的附接系统的车辆
JP5586431B2 (ja) 荷役作業用テールゲート等における落下防止ストッパ
KR200454056Y1 (ko) 동력운반차용 리프트제한장치
JP2008094198A (ja) 運送車両の荷台装置
KR101610726B1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