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402B1 -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402B1
KR101879402B1 KR1020180023454A KR20180023454A KR101879402B1 KR 101879402 B1 KR101879402 B1 KR 101879402B1 KR 1020180023454 A KR1020180023454 A KR 1020180023454A KR 20180023454 A KR20180023454 A KR 20180023454A KR 101879402 B1 KR101879402 B1 KR 101879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dissipation
fluid inlet
du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영은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218Very long range radars, e.g. surface wave radar, over-the-horizon or ionospheric propaga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032Constructional details for solid-state rada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안테나 장치와 연결되며,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쪽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날개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한정된 공간 내에서 많은 열원을 공랭식으로 냉각시키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Heat Radiating Structure of Expandable Long Range Radar,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Long Range Radar and Heat Radiat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300km 이상을 만족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이더는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탐색을 수행하며, 24 시간 무중단 운용을 통해 항공기의 피아 식별 및 항적을 신속, 정확하게 탐지하고 탐지된 표적을 중앙 통제소로 전달하여 격추할 수 있도록 감시 정찰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고온환경에서의 고출력 대형레이더의 성능 유지를 위해 공랭식 냉각구조가 필수적이다. 안테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하기 위한 공간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 내에서 많은 열원을 공랭식으로 냉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한정된 공간에서 효율적인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냉각구조(덕트) 및 방열구성품(송풍기 등)의 형상 및 배치설계를 통해 레이더 성능을 24시간 무중단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냉각구조 설계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대형구조물 이동 시 에는 도로교통법에 따른 차량이동을 고려하여 한다. 이동 가능형 또는 이동형 레이더로의 제작을 위해서는 폴딩가능 구조 설계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8592호 (등록일 : 2017.12.07.)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으로 별도의 안테나 장치와 연결되며,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쪽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날개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한정된 공간 내에서 많은 열원을 공랭식으로 냉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동 설치를 위한 분해 및 재조립을 통한 안테나 정렬의 틀어짐 발생으로 인해 성능 저하를 해결하고, 이동 및 재설치 시에도 근접전계 결과와 동일한 안테나 성능을 유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주요 방열구성품인 송풍기가 고장나더라도 연속적으로 운용 가능한 방열구성품 이중화 구조 및 이중화 구조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유량손실 방지구조를 적용하여 레이더가 24시간 무중단 운용될 수 있는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와 연결되며,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쪽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날개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들을 탑재하기 탑재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 프레임은, 상기 별도의 안테나 장치를 안착시키고,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에 절첩식 구조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다수의 방열 장치를 직렬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체 외함, 상기 구조체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직렬로 조립된 방열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방열 장치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입하는 유체 유입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구성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열을 외부로 전달 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방열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핀 각각이 인접하는 공간인 공기유로를 통해,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 구성품 각각을 분리하여 탑재하기 위한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전자 구성품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며, 상기 방열핀과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방열 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체 유입부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제어부는, 상기 덕트와 상기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유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와 상기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유체의 유입에 따라 상기 덮개부를 회전시키는 힌지 구조부 및 상기 유체 유입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의 풍량과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구조부와 연결 구성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 구조부는, 상기 유체 유입부에 고정 가능한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부가 펼쳐질 때에 탄성 복원력을 저장하였다가 상기 덮개부가 원래 상태로 닫히도록 상기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센서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동작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의 하단에 제1 유체 유입부 및 제2 유체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 유입부 및 제2 유체 유입부는 각각 제1 개폐 제어부와 제2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체 유입부의 작동 정지 시 상기 제1 개폐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개폐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2 유체 유입부가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상기 다수의 방열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부, 상기 덕트의 외관과 상기 방열핀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판 블록, 상기 방열 하우징과 연결되며 상기 방열핀과 상기 고정판 블록을 조립하는 어댑터 블록, 상기 어댑터 블록과 조립되어, 상기 본체의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패킹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과 상기 방열부의 내측을 연결하며, 상기 전자 구성품의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상기 고정판 블록을 중심으로, 좌측에 상기 덕트가 조립되고 우측에 상기 어댑터 블록이 조립되며, 상기 어댑터 블록의 우측에 상기 다수의 방열 장치가 조립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의 조립 방향은 상기 날개 프레임와 반대 방향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는, 안테나 장치를 연결하며,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쪽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날개 프레임 및 상기 몸체부가 상기 안테나 장치를 연결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정비를 수행하는 레이더 정비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탑재하기 탑재 프레임 및 상기 탑재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 장치가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 프레임은, 상기 몸체부에 절첩식 구조로 연결되며, 복수 개의 배열소자들을 상기 날개 프레임의 평면 범위 내에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다수의 방열 장치를 직렬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체 외함, 상기 구조체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직렬로 조립된 방열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방열 장치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입하는 유체 유입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열을 외부로 전달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방열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핀 각각이 인접하는 공간인 공기유로를 통해,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 구성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전자 구성품 각각을 분리하여 탑재하기 위한 격벽부 및 격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전자 구성품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며, 상기 방열핀과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방열 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 유입부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제어부는, 상기 덕트와 상기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유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와 상기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유체의 유입에 따라 상기 덮개부를 회전시키는 힌지 구조부 및 상기 유체 유입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의 풍량과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구조부와 연결 구성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구조부는, 상기 유체 유입부에 고정 가능한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부가 펼쳐질 때에 탄성 복원력을 저장하였다가 상기 덮개부가 원래 상태로 닫히도록 상기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센서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동작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의 하단에 제1 유체 유입부 및 제2 유체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 유입부 및 제2 유체 유입부는 각각 제1 개폐 제어부와 제2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체 유입부의 작동 정지 시 상기 제1 개폐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개폐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2 유체 유입부가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상기 고정판 블록을 중심으로, 좌측에 상기 덕트가 조립되고 우측에 상기 어댑터 블록이 조립되며, 상기 어댑터 블록의 우측에 상기 다수의 방열 장치가 조립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의 조립 방향은 상기 날개 프레임와 반대 방향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방열 방법은, 제1 유체 유입부 동작 감지 단계, 상기 제1 유체 유입부 동작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유입부의 동작 감지 신호 수신 시 전자 구성품의 온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구성품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 시 정상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유체 유입부의 동작 감지 신호 미수신 시 제2 개폐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구성품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시 상기 제2 개폐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개폐 제어부가 제2 유체 유입부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별도의 안테나 장치와 연결되며,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쪽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날개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한정된 공간 내에서 많은 열원을 공랭식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판 일체형 전자모듈 조립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레이더의 냉각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일체형 조립구조 적용 시 노출될 수 있는 기계적/전자적 차폐 성능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주요 방열구성품인 송풍기가 고장나더라도 연속적으로 운용 가능한 방열구성품 이중화 구조 및 이중화 구조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유량손실 방지구조를 적용하여 레이더가 24시간 무중단 운용될 수 있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장진단 기능을 보유한 송풍기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센서를 덕트 내부에 적용하여 방열구조가 정상적으로 운용되는 것을 모니터링 하였다면, 유량손실 방지구조에 동작감지 신호를 통합하여 방열구조에 적용함으로써 비용 및 구조적인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의 방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의 유체 유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의 힌지 구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에 방열 패키징 구조체가 탑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방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10)는 몸체부(100), 날개 프레임(200),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 탑재 프레임(4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거리 레이더는 몸체부, 날개 프레임,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포함하여 레이더로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장거리 레이더는 주변의 항적을 탐지하여 3차원 표적 정보, 예를 들어 거리, 방위, 고도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탐지 레이더이다. 본 실시예의 장거리 레이더는 국제적인 기준(ex: 국제민간항공기구 기준 등)에 따른 피아 식별을 위한 식별능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장거리 레이더 마스터 컨트롤 센터, 항공교통 관제센터와도 교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10)는 이동 가능형 또는 이동형 레이더로의 제작을 위해 폴딩 가능 구조로 설계한 안테나 장치에 사용되는 구조이다.
고온환경에서의 고출력 대형레이더의 성능 유지를 위해 공랭식 냉각구조가 필수적이다. 안테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하기 위한 공간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 내에서 많은 열원을 공랭식으로 냉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한정된 공간에서 효율적인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냉각구조(덕트) 및 방열구성품(송풍기 등)의 형상 및 배치설계를 통해 레이더 성능을 24시간 무중단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냉각구조 설계 기술이 필요하다.
몸체부(100)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와 연결되며,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포함한다.
날개 프레임(200)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쪽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대형 레이더의 공랭식 방열구조의 경우 공간활용을 위해 주요 방열구성품(FAN 등)을 안테나 좌/우 날개 부분에 설치하고, FAN 등으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덕트를 통해 구성품 전달하여 냉각하는 구조로 적용되어 있고, 또한 전자모듈과 방열 하우징이 분리되어 조립되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몸체부(100)에만 탑재함으로써, 안테나를 접이식 구조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방열구조 적용이 가능하고, 전자모듈과 방열 하우징이 연결된 구조이므로 냉각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날개 프레임(200)은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날개 프레임(210)과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날개 프레임(230)을 포함한다.
날개 프레임(200)은 몸체부에 절첩식 구조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날개 프레임(210)과 제2 날개 프레임(230)이 몸체부(100)에 각각 절첩식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절첩식 구조 이외에도, 안테나의 방사면이 확장 가능한 슬라이드 구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날개 프레임(200)은 접이식 안테나 장치의 이동 시, 8미터 가량의 폭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써, 간섭 없이 순차적으로 구조물을 접히도록 하는 형태이다.
날개 프레임(200)은, 별도의 안테나 장치를 안착시키고,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13, 233) 및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에 절첩식 구조로 연결된다.
제1 날개 프레임(210)의 일측은 제1 조립 모듈(211)에 연결되며, 제2 날개 프레임(230)의 일측은 상기 제2 조립 모듈(231)에 연결된다.
조립 모듈(211, 231)은, 날개 프레임(200)의 일측과 힌지 결합이 가능하도록, 힌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힌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조립 모듈(211)과 제2 조립 모듈(231)은 높이가 상대적으로 다르게 형성되어, 제1 날개 프레임(210)과 제2 날개 프레임(230)이 절첩 되었을 때 적층 구조가 된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차량 이동을 위한 안테나 접이식 구조를 고려하여 날개부가 아닌 중앙 몸체부에 레이더의 전자구성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모든 방열구성품이 위치하게 된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모듈화 되어 있으며, 모듈화 된 구조 적용 시 6개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가 동일한 방열성능을 보유하게 된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하는 방열 구조체이다. 공랭식 냉각은 열 설계에서의 냉각 방식의 일종으로, 냉각 매체로서 공기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경제성이 뛰어나므로 많은 정보 기기에서 채용되고 있다. 공기의 자연 대류를 이용한 자연 공랭, 팬(fan)으로 강제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강제 공랭으로 대별할 수 있다. 강제 공랭은 자연 공랭에 비해서 유속이 크기 때문에 방열 효과도 한 자리 정도 크다. 정보 기기 내의 발열량이 큰 집적회로(IC), 트랜지스터에 대해서는 방열날개를 부착하여 국부적으로 방열 효과를 높이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레이더 송수신부 내부의 발생열을 제거하기 위해 실린더 및 블록 주위에 공기를 흐르게 하여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의 한 형식으로, 이 형식에서는 레이더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냉각수가 필요 없으며 라디에이터도 필요하지 않다. 냉각효과가 있는 방열핀이 설치되어 공기가 이 방열핀을 냉각시키게 되는데, 강제 냉각 방식과 자연 냉각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탑재 프레임(400)은 몸체부(100)와 연결되며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탑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총 6개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탑재한 경우이며, 레이더의 구조와 크기에 따라 방열 패키징 구조체의 탑재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테나 안착 구조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별도의 안테나 장치를 회전시키고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 구조부(111, 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도 조절부는, 몸체부를 회전하고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수신하며,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모터 및 모터에 연동하여 운동하는 모터측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구조체 외함(310), 덕트(320), 방열 장치(330), 유체 유입부(340)를 포함한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차량 이동을 위한 안테나 접이식 구조를 고려하여 날개부가 아닌 중앙 몸체부에 레이더의 전자구성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모든 방열구성품이 위치하게 된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가로X세로 크기가 10m 이상의 알루미늄 용접구조물의 경우 용접 후 열처리 과정에서 구조물이 뒤틀리게 되어 조립되는 구성품의 인터페이스를 맞추기 어려우나 모듈화된 방열구조 적용 시 방열판 일체형 전자구성품, 덕트, 송풍기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제외하고 안테나 몸체부와 모듈화된 방열구조의 인터페이스만 만족시키면 되므로 적용이 용이한 구조이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모듈화 되어 있으며, 모듈화 된 구조 적용 시 6개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가 동일한 방열성능을 보유하게 된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하는 방열 구조체이다. 공랭식 냉각은 열 설계에서의 냉각 방식의 일종으로, 냉각 매체로서 공기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경제성이 뛰어나므로 많은 정보 기기에서 채용되고 있다. 공기의 자연 대류를 이용한 자연 공랭, 팬(fan)으로 강제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강제 공랭으로 대별할 수 있다. 강제 공랭은 자연 공랭에 비해서 유속이 크기 때문에 방열 효과도 한 자리 정도 크다. 정보 기기 내의 발열량이 큰 집적회로(IC), 트랜지스터에 대해서는 방열날개를 부착하여 국부적으로 방열 효과를 높이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레이더 송수신부 내부의 발생열을 제거하기 위해 실린더 및 블록 주위에 공기를 흐르게 하여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의 한 형식으로, 이 형식에서는 레이더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냉각수가 필요 없으며 라디에이터도 필요하지 않다. 냉각효과가 있는 방열핀이 설치되어 공기가 이 방열핀을 냉각시키게 되는데, 강제 냉각 방식과 자연 냉각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구조체 외함(310)은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다수의 방열 장치를 직렬로 조립할 수 있다.
덕트(320)는 구조체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직렬로 조립된 방열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덕트(320)는 공기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이다. 공기가 흐르는 경우에는 풍도(風道)라고도 한다. 단면이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된 것이 많이 사용되지만, 때로는 타원형일 수도 있다. 덕트 속을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그 주위의 온도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열의 이동을 막고자 할 때는 덕트의 둘레에 단열재(斷熱材) 등을 감기도 한다. 보통은 아연철판제가 많이 쓰이지만, 때로는 염화비닐 또는 유리섬유도 사용된다.
방열 장치(330)는 전자 구성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구성품의 예로는 송수신부가 있다. 송수신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부 본체의 외부 일측에 설치된 방열 하우징과 연결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방열핀(332)이 열을 지어 설치되고, 방열핀(332)의 사이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유체 유입부(340)는 덕트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방열 장치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입한다. 유체 유입부(3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기를 포함하며, 센서부를 포함하여, 작동 감시 및 고장 진단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레이더의 24시간 무중단 운용을 위해 주요 방열구성품인 송풍기가 이중화 되어 적용되어 있으며, 송풍기 1개만 동작 시 동작하지 않는 송풍기로의 유량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이용한 유량손실 방지구조가 적용된다.
또한, 각 방열 장치(330)가 단열부(370)에 조립되는 형태로, 단열부(370)가 각 방열 장치(3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 상태로 단열부(370)는 냉난방을 위해 열을 이송할 때 도중에서 열의 손실을 막기 위해 단열 조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의 방열 장치(3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장치(330)는 본체(331), 방열핀(332), 격벽부(333), 방열 하우징(334)을 포함한다.
본체(331)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구성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열을 외부로 전달 가능하다.
본체(331)는 본체의 내부에 별도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는 격벽부(333) 및 본체(100)의 일면에, 방열핀이 설치될 수 있도록 방열 하우징(334)을 포함한다.
방열핀(332)은 본체의 외부 일측에 배열되며, 상기 방열핀 각각이 인접하는 공간인 공기유로를 통해,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한다.
방열핀(332)은 방열 하우징과 연결되는 것으로, 방열핀(332)의 사이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덕트(320)를 지나는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격벽부(333)는 전자 구성품 각각을 분리하여 탑재한다. 격벽부(333)는 세로 격벽과 가로 격벽을 포함하며, 격벽이 형성되어 안쪽(내부)으로 분리된 다수개의 분리 공간(335)에 전자 구성품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격벽부(333)는 본체(33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337)로 연결되어, 레이더의 이동 시에도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다.
방열 하우징(334)은 상기 격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전자 구성품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며, 상기 방열핀과 인접하도록 위치한다.
방열 하우징(334)은 부품 및 제품의 열을 낮추기 위한 역할을 한다. 본체 내부의 부품 중에 발열이 심한 CPU나 그래픽카드 등에 사용되며 제품에 따라 구리, 알루미늄 등 다양한 금속 재질을 포함한다. 일반형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고성능 또는 오버클록(본래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을 설정한 메모리는 발열이 심해 열을 식혀줘야 한다.
방열 하우징(334)은 쿨러 없이 열을 빨리 발산시켜야 하므로 방열 하우징의 열 발산에 유리한 대형크기로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소재를 주로 채택한다. 본체의 일측면에 붙여 사용했을 때 화재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열을 반사시켜 외부로 나가는 열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높여주고, 탈착이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장치(330)는 단열부(370), 고정판 블록(371), 어댑터 블록(373), 패킹부(375), 차폐부(377), 나사부(378, 379)와 연결된다.
방열 장치(330)는 전자구성품과 방열판 사이 접촉 열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방열판 일체형 전자구성품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일체형 구조 적용 시 강우 및 전자파에 노출되는 구조를 차폐하기 위해 중간판과 전자구성품 사이에 어댑터 블록과 가스켓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방열 장치(330)는 단열부(370)에 조립되는 형태로, 단열부(370)가 각 방열 장치(3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 상태로 단열부(370)는 냉난방을 위해 열을 이송할 때 도중에서 열의 손실을 막기 위해 단열 조치한다. 특히, 유체 유입부가 조립되어 있는 공간은 주변 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열벽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판 블록(371)은 덕트의 외관과 방열핀을 연결하여 고정한다.
어댑터 블록(373)은 방열 하우징과 연결되며 방열핀과 상기 고정판 블록을 조립한다. 다른 전기나 기계 장치를 서로 연결해서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결합 도구이며, 연결부분을 마찰력을 이용한 스프링 장치나, 나사로 가공해서 잘 빠지지 않도록 만든다.
패킹부(375)는 어댑터 블록과 조립되어, 상기 본체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다. 패킹부(375)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켓은 관 플랜지 이음 등 연결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얇은 조각으로 패킹 가운데 정지체의 패킹에 사용된다. 사용되는 재료에는 석면, 목면, 마, 고무, 각종 합성수지 등이 있으며 용도의 조건에 따라 적응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차폐부(377)는 본체의 외측과 상기 방열부의 내측을 연결하며, 상기 전자 구성품의 전자파를 차폐한다. 전자구성품과 방열핀 사이 접촉 열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방열핀 일체형 전자구성품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일체형 구조 적용 시 노출될 수 있는 방수/전자파 차폐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고정판 블록과 전자구성품 사이에 어댑터 블록과 가스켓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부(378, 379)는 방열 하우징이 단열부(37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의 유체 유입부(3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유체 유입부(340)의 동작으로 덮개부가 열렸을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덮개부가 닫혔을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입부(340)는 개폐 제어부(341), 덮개부(342), 힌지 구조부(343)를 포함한다.
유체 유입부(340)는 덕트(320)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방열 장치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입한다. 유체 유입부(3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기를 포함하며, 센서부를 포함하여, 작동 감시 및 고장 진단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레이더의 24시간 무중단 운용을 위해 주요 방열구성품인 송풍기가 이중화 되어 적용되어 있으며, 송풍기 1개만 동작 시 동작하지 않는 송풍기로의 유량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이용한 유량손실 방지구조가 적용된다. 유체 유입부(340)는 내부에 송풍 장치(347)를 포함한다.
개폐 제어부(341)는 덕트(320)와 연결되며, 상기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여 유량을 제어한다.
덮개부(342)는 덕트와 상기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유체의 통로를 개폐한다.
도 4의 (a)는 유체 유입부(340)의 동작으로 덮개부가 회전하여 덮개부가 개폐 제어부(341)와 수직인 방향에 위치하며, 도 4의 (b)는 덮개부가 닫혔을 경우로 덮개부가 개폐 제어부(341)와 같은 방향에 위치하여, 유체 통로를 막는다. 구체적으로 송풍 장치 동작 시 풍력에 의해 덮개부가 열리고, 송풍기 미동작 시 스프링 복원력으로 덮개부가 닫히며, 송풍기 동작 시에 덮개부가 닫히는 경우는 고장으로 진단할 수 있다.
힌지 구조부(343)는 덮개부와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유체의 유입에 따라 상기 덮개부를 회전시킨다. 힌지 구조부(343) 동작 감지 기능를 보유한다.
덕트(320)에서 유체의 이동 방향은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의 힌지 구조부(343)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부(343)는 센서부(344), 고정대(345), 코일 스프링(346)을 포함한다.
개폐 제어부(341)의 일측면에 힌지 구조부(343)가 연결되어 작동한다.
덮개부(342)는 덕트와 상기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유체의 통로를 개폐한다.
힌지 구조부(343)는 덮개부와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유체의 유입에 따라 덮개부(342)를 회전시킨다. 힌지 구조부(343) 동작 감지 기능를 보유한다.
센서부(344)는 유체 유입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의 풍량과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힌지 구조부와 연결 구성된다. 센서부(334)는 힌지 구조부(343)의 동작을 파악하는 동작 인식 센서와 전자 구성품들의 온도를 확인하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센서는 물체의 움직임과 위치를 인식하여 입력하는 센서이다.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그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진다. 발광부와 수신부를 모두 갖춘 적외선 센서는 발광부에서 발생된 적외선이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고 수광부에서는 이 반사된 빛의 변화량을 감지해 물체의 움직임을 알아내거나 반사된 빛의 세기를 측정해 물체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역동적인 힘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는 물체의 운동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온도변화를 저항 값으로 변경하여 측정하는 온도 센서, 압력의 크기나 이동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 센서, 근거리 측정을 위한 PSD 센서, 압전과 왜전을 이용한 초음파 센서 등 여러 가지를 이용하여 센서부(344)를 구성하여 유체 유입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고정대(345)는 상기 유체 유입부에 고정 가능하다.
코일 스프링(346)은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어 덮개부(342)가 펼쳐질 때에 탄성 복원력을 저장하였다가 상기 덮개부가 원래 상태로 닫히도록 상기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코일 스프링(346)은, 상기 센서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동작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코일 스프링(346)의 끝단의 센서부(344)에는 동작 인식 센서가 포함되어 덮개부가 열리면 스프링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를 레이더 개폐 제어부에 보내주게 되고 레이더 개폐 제어부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 하여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유체 유입부가 고장이라고 판단하여 대기하고 있는 제2 유체 유입부를 동작시키게 되므로 주요 방열구성품인 송풍기가 이중화되어 동작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의 앞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의 뒷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구조체 외함(310), 덕트(320), 방열 장치(330), 제1 유체 유입부(350), 제2 유체 유입부(360)를 포함한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차량 이동을 위한 안테나 접이식 구조를 고려하여 날개부가 아닌 중앙 몸체부에 레이더의 전자구성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모든 방열구성품이 위치하게 된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가로X세로 크기가 10m 이상의 알루미늄 용접구조물의 경우 용접 후 열처리 과정에서 구조물이 뒤틀리게 되어 조립되는 구성품의 인터페이스를 맞추기 어려우나 모듈화된 방열구조 적용 시 방열판 일체형 전자구성품, 덕트, 송풍기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제외하고 안테나 몸체부와 모듈화된 방열구조의 인터페이스만 만족시키면 되므로 적용이 용이한 구조이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하는 방열 구조체이다. 공랭식 냉각은 열 설계에서의 냉각 방식의 일종으로, 냉각 매체로서 공기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경제성이 뛰어나므로 많은 정보 기기에서 채용되고 있다. 공기의 자연 대류를 이용한 자연 공랭, 팬(fan)으로 강제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강제 공랭으로 대별할 수 있다. 강제 공랭은 자연 공랭에 비해서 유속이 크기 때문에 방열 효과도 한 자리 정도 크다. 정보 기기 내의 발열량이 큰 집적회로(IC), 트랜지스터에 대해서는 방열날개를 부착하여 국부적으로 방열 효과를 높이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레이더 송수신부 내부의 발생열을 제거하기 위해 실린더 및 블록 주위에 공기를 흐르게 하여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의 한 형식으로, 이 형식에서는 레이더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냉각수가 필요 없으며 라디에이터도 필요하지 않다. 냉각효과가 있는 방열핀이 설치되어 공기가 이 방열핀을 냉각시키게 되는데, 강제 냉각 방식과 자연 냉각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대형구조물 용접변형 최소화하기 위한 모듈화 방열구조이며, 방수 및 전자파 차폐 구조이다.
또한, 너비 조절이 가능한 방열핀이 설치되어 6개의 방열구조가 동일한 방열성능 보유하여, 전자 구성품 간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조체 외함(310)은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다수의 방열 장치를 직렬로 조립할 수 있다.
덕트(320)는 구조체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직렬로 조립된 방열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방열 장치(330)는 전자 구성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구성품의 예로는 송수신부가 있다. 송수신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부 본체의 외부 일측에 설치된 방열 하우징과 연결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방열핀(332)이 열을 지어 설치되고, 방열핀(332)의 사이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유체 유입부(340)는 덕트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방열 장치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입한다. 유체 유입부(3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기를 포함하며, 센서부를 포함하여, 작동 감시 및 고장 진단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레이더의 24시간 무중단 운용을 위해 주요 방열구성품인 송풍기가 이중화 되어 적용되어 있으며, 송풍기 1개만 동작 시 동작하지 않는 송풍기로의 유량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이용한 유량손실 방지구조가 적용된다.
방열핀(332)은 본체의 외부 일측에 배열되며, 상기 방열핀 각각이 인접하는 공간인 공기유로를 통해,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한다.
방열핀(332)은 방열 하우징과 연결되는 것으로, 방열핀(332)의 사이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덕트(320)를 지나는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제1 유체 유입부(350), 제2 유체 유입부(360)는 방열 패키징 구조체의 하단에 포함되며, 각각 제1 개폐 제어부(351)와 제2 개폐 제어부(36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유체 유입부의 작동 정지 시 상기 제1 개폐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개폐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2 유체 유입부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유체 유입 홀(311)은 유체 유입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통로이며, 내부에 제1 유체 유입부(350), 제2 유체 유입부(360)를 구비한다. 유체 배출부(313)는 방열핀을 통과한 유체를 배출한다. 측면 조립부(315)는 송수신부와 방열부의 구동을 위한 다수의 전자 구성품이 탑재될 수 있다. 후면 프레임(317)은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의 후면에서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이식 구조를 갖는 방열핀 형상 및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송수신기(TRM)을 조립하더라도 조립위치에 따라 방열핀을 접고 펴서 덕트 내 조립되어 있는 송수신기(TRM)의 방열 성능을 조절함으로써 덕트 내부에 조립되는 송수신기(TRM) 간 온도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덕트에 송수신기를 조립 시 조립 위치에 따라 방열핀을 접어서 조립한다. 최상단에 조립되는 송수신기의 경우 방열핀을 모두 펴서 조립하고, 하단으로 내려갈 수록 송수신기의 방열핀을 접는 수량을 늘린다.
송풍기에 의해 덕트에 유입되는 공기가 방열 하우징을 지나면서 송수신기의 내부 전자구성품에서 발생된 열을 배출하게 된다. 송풍기에 가까운 구조의 방열핀은 접힌 상태로, 송풍기에 멀게 위치한 방열핀은 편 상태로 위치시켜 송풍기에 멀게 위치한 방열핀의 너비를 상대적으로 넓게 유지하고, 송풍기에 가깝게 위치한 방열핀은 너비를 상대적으로 좁게 유지하고 공기 유로를 넓힘으로써, 송풍기에서 배출된 공기가 먼 곳까지 도달하도록 하고, 방열핀의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6a는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의 앞면에서는 제1 유체 유입부(350), 제2 유체 유입부(360)가 외함에 가려 보이지 않지만, 도 6b는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의 뒷면에서는 제1 유체 유입부(350), 제2 유체 유입부(360)가 드러나는 구조로, 별도의 분해 없이,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의 뒷면에서 제1 유체 유입부(350), 제2 유체 유입부(360) 고장 시 확인하고 수리할 수 있다.
제1 유체 유입부(350), 제2 유체 유입부(360)는 유체 유입부 연결부(361)로 연결되고, 후면 고정부(351)로 구조체 외함(310)에 연결된다.
주요 방열구성품인 송풍기가 도 6과 같이 이중화 되어 있으며, 송풍기 1개만 동작 시 동작하지 않는 송풍기로의 유량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이용한 유량손실 방지구조를 적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는 덕트(320), 방열 장치(330), 유체 유입부(340), 고정판 블록(371), 어댑터 블록(373), 패킹부(375), 차폐부(377)를 포함한다.
고정판 블록(371)은 덕트의 외관과 상기 방열핀을 연결하여 고정한다.
어댑터 블록(373)은 방열 하우징과 연결되며 상기 방열핀과 상기 고정판 블록을 조립한다.
패킹부(375)는 어댑터 블록과 조립되어, 상기 본체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다.
차폐부(377)는 본체의 외측과 상기 방열부의 내측을 연결하며, 상기 전자 구성품의 전자파를 차폐한다.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상기 고정판 블록을 중심으로, 좌측에 상기 덕트가 조립되고 우측에 상기 어댑터 블록이 조립되며, 상기 어댑터 블록의 우측에 상기 다수의 방열 장치가 조립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의 조립 방향은 상기 날개 프레임와 반대 방향이다.
고정판 블록에 조립되는 어댑터 블록, 유체 유입부의 조립방향을 날개 프레임과 반대방향에 적용함으로써 후면의 유체 유입부 방향에 있는 레이더 정비부를 통해 송풍기를 정비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구체적으로, 300km 이상 360도의 전방위 탐지를 위한 전자기파 방사장치 및 탐지장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1)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1)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1)는 몸체부(100), 날개 프레임(200), 방열 패키징 구조체(300), 레이더 정비부(500), 지지부(600), 배열소자(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1)의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는 레이더 안테나에 배열된 소자(레이더 모듈)들이 개별적인 반도체 증폭 및 위상 변위기를 갖추고 있어 전파의 송수신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위상 배열 레이더이다. 각 소자에서 독자적으로 빔을 송출하고 편향할 수 있으며, 독자적으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소자에서 편향된 빔의 특성이 모두 다르다. 능동 전자 주사식 위상 배열 레이더(AESAR: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Radar)와 동일한 의미이다.
몸체부(100)는 안테나 장치를 연결하며,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포함한다.
날개 프레임(200)은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쪽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날개 프레임(200)은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날개 프레임(210)과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날개 프레임(230)을 포함한다.
날개 프레임(200)은 몸체부에 절첩식 구조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날개 프레임(210)과 제2 날개 프레임(230)이 몸체부(100)에 각각 절첩식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절첩식 구조 이외에도, 안테나의 방사면이 확장 가능한 슬라이드 구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날개 프레임(200)은 접이식 안테나 장치의 이동 시, 8미터 가량의 폭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써, 간섭 없이 순차적으로 구조물을 접히도록 하는 형태이다.
레이더 정비부(500)는 몸체부가 상기 안테나 장치를 연결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정비를 수행한다.
종래의 경우, 방열구성품이 고장나는 경우 정비용 승강기를 통해서 접근이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더 정비부(500)가 몸체부가 상기 안테나 장치를 연결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정비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정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열소자들(700)은 상기 날개 프레임의 평면 범위 내에 포함한다.
몸체부(100), 날개 프레임(200)은 안테나 장치를 결합하여 안테나부(20)를 구성할 수 있다. 안테나부(20)는 레이더의 탐지 신호를 송수신하며, 방사되는 면적이 조절 가능하다. 안테나부 차량탑재 및 이동 시 도로 폭을 감안하여 접이식 힌지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부(20)는 확장 가능한 레이더의 안테나 장치의 주안테나부이다. 주안테나는 1차 레이더 빔을 방사하고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빔을 방사하는 면의 가로 30~36 파장, 세로 27파장~33파장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이 용이하도록 안테나 소자에 회전결합기를 적용한 접이식 구조를 갖는다. 전자빔조향 및 디지털빔형성을 위해 주안테나의 각 행에는 고출력 증폭기와 디지털 송수신기가 장착된다.
구동부(880)는 안테나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장치를 구동한다.
구동부(880)는 회전 시 안테나를 고정하며, 안테나를 일정한 주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부(880)에는 이중화된 모터를 포함하여, 모터 고장 시 즉시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테나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안테나 회전각을 인식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840)는 안테나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며, 안테나부를 회전시키고 각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로부터 상기 안테나부를 회전하고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모터(860) 및 모터에 연동하여 운동하는 모터측 기어를 포함한다.
안테나 받침대(890)는 안테나 장치를 지탱하면서 회전 시 회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안테나 받침대(890)와 안테나부는 별도의 힌지로 연결되며 모터(860)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눕힐 수 있다.
부안테나(820)는 2차 레이더의 빔을 방사하고,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빔을 방사하는 면의 가로 27파장 ~ 30 파장, 세로는 6파장~7파장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 결합기(810)는 ±5도로 회전이 가능하여 주안테나면과 부안테나의 전자기파 방사면 옵셋이 가능하다. 옵셋은 주안테나의 빔과 부안테나의 빔각도를 고려하여 설정하여 두 안테나 간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부엽차단안테나(830)는 주 안테나에 장착되고, 저잡음증폭기를 내장하여 수신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송수신제어부(850)는 안테나 장치를 제어하고, 장치의 상태를 취합하며, 점검 보정기능을 수행한다. 빔 송신 시는 송신 위상 보정값과 빔 조향값에 따라 각 송신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위상을 조정한다. 디지털 수신기로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취합하여 데이터 형태로 신호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에 방열 패키징 구조체가 탑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몸체부(100)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와 연결되며,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포함한다.
날개 프레임(200)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쪽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날개 프레임(200)은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날개 프레임(210)과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날개 프레임(230)을 포함한다.
덕트(320)는 구조체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직렬로 조립된 방열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덕트(320)는 공기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이다. 공기가 흐르는 경우에는 풍도(風道)라고도 한다. 단면이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된 것이 많이 사용되지만, 때로는 타원형일 수도 있다. 덕트 속을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그 주위의 온도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열의 이동을 막고자 할 때는 덕트의 둘레에 단열재(斷熱材) 등을 감기도 한다. 보통은 아연철판제가 많이 쓰이지만, 때로는 염화비닐 또는 유리섬유도 사용된다.
방열 장치(330)는 전자 구성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구성품의 예로는 송수신부가 있다. 송수신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부 본체의 외부 일측에 설치된 방열 하우징과 연결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방열핀(332)이 열을 지어 설치되고, 방열핀(332)의 사이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방열 장치(33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열을 외부로 전달 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방열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핀 각각이 인접하는 공간인 공기유로를 통해,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본체는, 전자 구성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전자 구성품 각각을 분리하여 탑재하기 위한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전자 구성품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며, 상기 방열핀과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방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유입부(340)는 덕트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방열 장치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입한다. 유체 유입부(3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기를 포함하며, 센서부를 포함하여, 작동 감시 및 고장 진단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레이더의 24시간 무중단 운용을 위해 주요 방열구성품인 송풍기가 이중화 되어 적용되어 있으며, 송풍기 1개만 동작 시 동작하지 않는 송풍기로의 유량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이용한 유량손실 방지구조가 적용된다.
또한, 각 방열 장치(330)가 단열부(370)에 조립되는 형태로, 단열부(370)가 각 방열 장치(3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 상태로 단열부(370)는 냉난방을 위해 열을 이송할 때 도중에서 열의 손실을 막기 위해 단열 조치한다.
안테나 결합기(810)는 ±5도로 회전이 가능하여 주안테나면과 부안테나의 전자기파 방사면 옵셋이 가능하다. 옵셋은 주안테나의 빔과 부안테나의 빔각도를 고려하여 설정하여 두 안테나 간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방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레이더의 24시간 무중단 운용을 위해 개폐 제어부는 도 10과 같이 유체 유입부를 제어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방열 방법은 레이더가 운용중인 단계(S110)에서 시작한다.
단계 S120에서 제1 유체 유입부가 동작된다.
단계 S130에서 센서부는 제1 유체 유입부의 고장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140에서 고장신호가 미수신 되었을 경우, 센서부는 송, 수신기의 온도를 확인한다. 제1 개폐 제어부는 전자 구성품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 시 정상임을 판단한다.
단계 S150에서 고장신호가 수신 되었을 경우, 제2 유체 유입부를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유체 유입부의 동작 감지 신호 미수신 시 제2 개폐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자 구성품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시 상기 제2 개폐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한다. 제2 개폐 제어부가 제2 유체 유입부를 구동하며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방열 방법은 종료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10: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100: 몸체부
200: 날개 프레임
300: 방열 패키징 구조체
310: 구조체 외함
320: 덕트
330: 방열 장치
340: 유체 유입부
400: 탑재 프레임

Claims (17)

  1. 별도의 안테나 장치와 연결되며,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쪽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날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접이식 방열핀을 포함하는 방열 장치;
    상기 방열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방열 장치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입하는 유체 유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제어부는, 상기 덕트와 상기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유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와 상기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유체의 유입에 따라 상기 덮개부를 회전시키는 힌지 구조부; 및
    상기 유체 유입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의 풍량 또는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구조부와 연결 구성되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들을 탑재하기 탑재 프레임;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 프레임은,
    상기 별도의 안테나 장치를 안착시키고,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모듈; 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에 절첩식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다수의 방열 장치를 직렬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체 외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구조체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직렬로 조립된 방열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구성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열을 외부로 전달 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방열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핀 각각이 인접하는 공간인 공기유로를 통해,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 구성품 각각을 분리하여 탑재하기 위한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전자 구성품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며, 상기 방열핀과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방열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부는,
    상기 유체 유입부에 고정 가능한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부가 펼쳐질 때에 탄성 복원력을 저장하였다가 상기 덮개부가 원래 상태로 닫히도록 상기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센서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의 하단에 제1 유체 유입부 및 제2 유체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 유입부 및 제2 유체 유입부는 각각 제1 개폐 제어부와 제2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체 유입부의 작동 정지 시 상기 제1 개폐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개폐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2 유체 유입부가 동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상기 다수의 방열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부;
    상기 덕트의 외관과 상기 방열핀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판 블록;
    상기 방열 하우징과 연결되며 상기 방열핀과 상기 고정판 블록을 조립하는 어댑터 블록;
    상기 어댑터 블록과 조립되어, 상기 본체의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패킹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과 상기 방열 하우징의 내측을 연결하며, 상기 전자 구성품의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상기 고정판 블록을 중심으로, 좌측에 상기 덕트가 조립되고 우측에 상기 어댑터 블록이 조립되며,
    상기 어댑터 블록의 우측에 상기 다수의 방열 장치가 조립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의 조립 방향은 상기 날개 프레임와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10. 안테나 장치를 연결하며,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양쪽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날개 프레임; 및 상기 몸체부가 상기 안테나 장치를 연결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정비를 수행하는 레이더 정비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방열 패키징 구조체를 탑재하기 탑재 프레임; 및 상기 탑재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 장치가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 프레임은, 상기 몸체부에 절첩식 구조로 연결되며, 복수 개의 배열소자들을 상기 날개 프레임의 평면 범위 내에 포함하며,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접이식 방열핀을 포함하는 방열 장치;
    상기 방열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방열 장치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를 유입하는 유체 유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제어부는, 상기 덕트와 상기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유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와 상기 유체 유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유체의 유입에 따라 상기 덮개부를 회전시키는 힌지 구조부; 및
    상기 유체 유입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의 풍량 또는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구조부와 연결 구성되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다수의 방열 장치를 직렬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체 외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구조체 외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직렬로 조립된 방열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구성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열을 외부로 전달 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방열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핀 각각이 인접하는 공간인 공기유로를 통해, 외부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는 방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 구성품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전자 구성품 각각을 분리하여 탑재하기 위한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전자 구성품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며, 상기 방열핀과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방열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부는,
    상기 유체 유입부에 고정 가능한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부가 펼쳐질 때에 탄성 복원력을 저장하였다가 상기 덮개부가 원래 상태로 닫히도록 상기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센서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의 하단에 제1 유체 유입부 및 제2 유체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 유입부 및 제2 유체 유입부는 각각 제1 개폐 제어부와 제2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체 유입부의 작동 정지 시 상기 제1 개폐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개폐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2 유체 유입부가 동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패키징 구조체는,
    상기 덕트의 외관과 상기 방열핀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판 블록을 중심으로, 좌측에 상기 덕트가 조립되고 우측에 상기 방열핀과 상기 고정판 블록을 조립하는 어댑터 블록이 조립되며,
    상기 어댑터 블록의 우측에 상기 다수의 방열 장치가 조립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의 조립 방향은 상기 날개 프레임와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16. 삭제
  17. 삭제
KR1020180023454A 2018-01-17 2018-02-27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 KR101879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5939 2018-01-17
KR1020180005939 2018-01-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258A Division KR101924209B1 (ko) 2018-01-17 2018-07-09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방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402B1 true KR101879402B1 (ko) 2018-07-18

Family

ID=63049019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785A KR101879400B1 (ko) 2018-01-17 2018-02-20 장거리 레이더의 확장 가능한 안테나 장치 및 이의 접이식 안테나 구조와 설치 방법
KR1020180021015A KR101879401B1 (ko) 2018-01-17 2018-02-22 장거리 레이더의 너비 조절이 가능한 방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한 장거리 레이더와 방열핀의 힌지구조
KR1020180023454A KR101879402B1 (ko) 2018-01-17 2018-02-27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
KR1020180024178A KR101879403B1 (ko) 2018-01-17 2018-02-28 장거리 레이더 안테나의 진동 저감 수송 장치 및 접이식 안테나의 진동 저감 수송 장치
KR1020180029134A KR101879404B1 (ko) 2018-01-17 2018-03-13 장거리 레이더 장치 및 이의 안테나 구조와 방열 장치
KR1020180073287A KR101938776B1 (ko) 2018-01-17 2018-06-26 그리스 자동 주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
KR1020180074606A KR101938779B1 (ko) 2018-01-17 2018-06-28 안테나 적층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거리 레이더 안테나 장치
KR1020180079258A KR101924209B1 (ko) 2018-01-17 2018-07-09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방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785A KR101879400B1 (ko) 2018-01-17 2018-02-20 장거리 레이더의 확장 가능한 안테나 장치 및 이의 접이식 안테나 구조와 설치 방법
KR1020180021015A KR101879401B1 (ko) 2018-01-17 2018-02-22 장거리 레이더의 너비 조절이 가능한 방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한 장거리 레이더와 방열핀의 힌지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178A KR101879403B1 (ko) 2018-01-17 2018-02-28 장거리 레이더 안테나의 진동 저감 수송 장치 및 접이식 안테나의 진동 저감 수송 장치
KR1020180029134A KR101879404B1 (ko) 2018-01-17 2018-03-13 장거리 레이더 장치 및 이의 안테나 구조와 방열 장치
KR1020180073287A KR101938776B1 (ko) 2018-01-17 2018-06-26 그리스 자동 주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
KR1020180074606A KR101938779B1 (ko) 2018-01-17 2018-06-28 안테나 적층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거리 레이더 안테나 장치
KR1020180079258A KR101924209B1 (ko) 2018-01-17 2018-07-09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방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8) KR1018794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3098A (zh) * 2019-09-28 2020-01-10 西安电子工程研究所 长孔径低空警戒雷达天线
KR102158043B1 (ko) 2019-08-07 2020-09-21 국방과학연구소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안테나의 응결수 형성 억제가 가능한 냉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6470302A (zh) * 2023-06-20 2023-07-21 四川省华盾防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相控阵天线模组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102589826B1 (ko) * 2023-01-05 2023-10-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329A1 (ko) * 2018-10-30 2020-05-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
CN113348591A (zh) 2018-10-30 2021-09-03 株式会社Kmw 天线装置
KR102031203B1 (ko) 2019-03-20 2019-10-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11509050B2 (en) 2019-05-17 2022-11-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bay antenna apparatus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141309B1 (ko) * 2019-06-10 2020-08-04 이돈신 Emp 방어용 3d/4d 하이브리드형 레이더 안테나
CN210478550U (zh) * 2019-09-17 2020-05-08 延锋彼欧汽车外饰系统有限公司 一种吸收震动偏差的柔性雷达支架
KR102147390B1 (ko) * 2019-10-01 2020-08-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13403571B (zh) * 2021-05-19 2023-04-25 龚雅斌 人民防空工程防护设备
CN113341403B (zh) * 2021-06-11 2021-11-19 南京驰韵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侦察信号的智能收缩天线雷达装置
KR102380266B1 (ko) * 2021-10-27 2022-03-2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및 피아식별용 비행장치
KR102634559B1 (ko) 2022-08-29 2024-02-08 주식회사 키프코전자항공 Trm & 방열판 일체형 구조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8717A (ja) * 1995-11-15 1997-05-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小型電子機器の放熱構造
JP2003347687A (ja) * 2002-05-28 2003-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基板および該基板を備えたフェーズドアレイアンテナ
JP2006505129A (ja) * 2002-10-29 2006-02-09 ウェイヴストリーム コーポレイション 空間パワーコンバイナのための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
KR100630367B1 (ko) * 2004-10-21 2006-09-29 엠쏘정보통신(주) 통신장비함체의 방열장치
US20080278386A1 (en) * 2007-05-07 2008-11-13 Hall Richard R Radar apparatus and alignment sensor
JP2009159430A (ja) * 2007-12-27 2009-07-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装置
KR20110094831A (ko) * 2010-02-18 2011-08-24 구자회 빔패턴 조정 및 이득 조정이 가능한 레이다형 전파 빔 센서의 안테나
JP2012090253A (ja) * 2010-09-24 2012-05-10 Nihon Univ 展開型フェーズドアレイアンテナ
KR20120104855A (ko) * 2011-03-14 2012-09-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개형 반사 배열 안테나
KR20130022177A (ko) * 2011-08-25 2013-03-06 국방과학연구소 슬롯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바이스태틱 레이더
KR101487981B1 (ko) * 2014-07-03 2015-02-0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항공기용 레이더 안테나
KR101586794B1 (ko) * 2015-08-19 2016-01-19 국방과학연구소 능동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과 이의 환경예열 및 운용방법
JP2017017582A (ja) * 2015-07-02 2017-01-19 株式会社東芝 平面アンテナ装置
JP2017204728A (ja) * 2016-05-11 2017-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レイアンテ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3728B2 (ja) * 1992-08-22 1999-11-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レイアンテナ
KR100224157B1 (ko) * 1995-12-06 1999-10-15 정몽규 차량용 증발기의 냉,난방 전환장치
JP3570860B2 (ja) * 1997-07-17 2004-09-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移動体用衛星通信アンテナ装置
US6608601B1 (en) * 1999-12-21 2003-08-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Integrated antenna radar system for mobile and transportable air defense
KR100396783B1 (ko) * 2001-09-20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통신장비의 냉각장치
KR20020089241A (ko) * 2002-10-15 2002-11-29 주식회사 사라콤 위성신호수신안테나의 위치조정장치
KR100882129B1 (ko) * 2003-03-21 2009-02-06 주식회사 포스코 전동기에서 그리스의 주입시기 제어장치
KR20050037011A (ko) * 2003-10-17 2005-04-21 주식회사 이언샛 이동 수단에 장착되는 위성 안테나 장치
JP4295132B2 (ja) * 2004-02-26 2009-07-15 三菱樹脂株式会社 折畳み可能な放熱板
KR200400141Y1 (ko) * 2005-08-05 2005-11-04 (주)하이게인안테나 저고도 능동형 레이더 안테나
KR100733961B1 (ko) * 2005-10-20 200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페데스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위성추적 안테나
KR100661213B1 (ko) * 2005-12-17 2006-12-2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제품 이송용 완충장치
DE102013100988A1 (de) * 2013-01-31 2014-07-31 Baier & Köppel GmbH & Co. Vorrichtung zur zustandsabhängigen Schmierung wenigstens einer Gleit- und/oder Wälzpaarung
KR101705221B1 (ko) * 2016-02-01 2017-02-09 양무일 자동 경첩
KR101803378B1 (ko) 2016-04-21 2017-11-30 삼성중공업(주) 접이식 안테나
KR101808592B1 (ko) * 2017-10-20 2017-12-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항공기용 공랭식 레이더 안테나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8717A (ja) * 1995-11-15 1997-05-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小型電子機器の放熱構造
JP2003347687A (ja) * 2002-05-28 2003-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基板および該基板を備えたフェーズドアレイアンテナ
JP2006505129A (ja) * 2002-10-29 2006-02-09 ウェイヴストリーム コーポレイション 空間パワーコンバイナのための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
KR100630367B1 (ko) * 2004-10-21 2006-09-29 엠쏘정보통신(주) 통신장비함체의 방열장치
US7884772B2 (en) * 2007-05-07 2011-02-0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Radar apparatus and alignment sensor
US20080278386A1 (en) * 2007-05-07 2008-11-13 Hall Richard R Radar apparatus and alignment sensor
JP2009159430A (ja) * 2007-12-27 2009-07-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装置
KR20110094831A (ko) * 2010-02-18 2011-08-24 구자회 빔패턴 조정 및 이득 조정이 가능한 레이다형 전파 빔 센서의 안테나
JP2012090253A (ja) * 2010-09-24 2012-05-10 Nihon Univ 展開型フェーズドアレイアンテナ
KR20120104855A (ko) * 2011-03-14 2012-09-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개형 반사 배열 안테나
KR20130022177A (ko) * 2011-08-25 2013-03-06 국방과학연구소 슬롯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바이스태틱 레이더
KR101487981B1 (ko) * 2014-07-03 2015-02-0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항공기용 레이더 안테나
JP2017017582A (ja) * 2015-07-02 2017-01-19 株式会社東芝 平面アンテナ装置
KR101586794B1 (ko) * 2015-08-19 2016-01-19 국방과학연구소 능동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과 이의 환경예열 및 운용방법
JP2017204728A (ja) * 2016-05-11 2017-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レイアンテナ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043B1 (ko) 2019-08-07 2020-09-21 국방과학연구소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안테나의 응결수 형성 억제가 가능한 냉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0673098A (zh) * 2019-09-28 2020-01-10 西安电子工程研究所 长孔径低空警戒雷达天线
KR102589826B1 (ko) * 2023-01-05 2023-10-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운용 방법
CN116470302A (zh) * 2023-06-20 2023-07-21 四川省华盾防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相控阵天线模组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16470302B (zh) * 2023-06-20 2023-09-05 四川省华盾防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相控阵天线模组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401B1 (ko) 2018-07-18
KR101879403B1 (ko) 2018-07-18
KR101879404B1 (ko) 2018-07-18
KR101938776B1 (ko) 2019-01-15
KR101938779B1 (ko) 2019-01-15
KR101924209B1 (ko) 2018-11-30
KR101879400B1 (ko)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402B1 (ko) 확장 가능한 장거리 레이더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거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와 방열 방법
US8250877B2 (en) Device and methodology for the removal of heat from an equipment rack by means of heat exchangers mounted to a door
US8331093B2 (en) Aircraft electronics cooling apparatus for an aircraft having a liquid cooling system
US6519146B2 (en) Liquid cooling system for all-in-one computer
JP7050958B2 (ja) アンテナ装置
US20190071193A1 (en) Heat radiator using heat pipe panel
CN101174172A (zh) 电子设备的机箱温度抑制构造及便携式计算机
US20110128700A1 (en) Computer enclosure
JP2007006394A (ja) 撮像装置の放熱構造
KR20180039478A (ko) 감시 카메라용 냉각장치
CN112352349A (zh) 用于无线电装置的冷却系统
US9297571B1 (en) Device and methodology for the removal of heat from an equipment rack by means of heat exchangers mounted to a door
WO2019119230A1 (zh) 旋转雷达及无人机
CA2704869C (en) Methods and devices for forced air cooling of electronic flight bags
CN110632561A (zh) 机载雷达射频单元热控结构
US87940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ir conditioning to an electronic component in a satellite antenna installation
KR101125151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알에프 수신기
CN109975766A (zh) 雷达散热组件及雷达
US11843402B1 (en) Integrated signal chain for an antenna assembly
WO2023074776A1 (ja) 空冷冷却構造およびアンテナ装置
US11406048B2 (en) Base station and device cooling method
JP2006351645A (ja) 制御装置
CN115656935A (zh) 一种气象相控阵雷达
JPH0441520B2 (ko)
JP2023154995A (ja) アンテナ装置及びレー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