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947B1 -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947B1
KR101878947B1 KR1020160128285A KR20160128285A KR101878947B1 KR 101878947 B1 KR101878947 B1 KR 101878947B1 KR 1020160128285 A KR1020160128285 A KR 1020160128285A KR 20160128285 A KR20160128285 A KR 20160128285A KR 101878947 B1 KR101878947 B1 KR 10187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pair
guide groove
uni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732A (ko
Inventor
한미옥
Original Assignee
한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옥 filed Critical 한미옥
Priority to KR102016012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9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3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by dumping, tripping, or releasing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의 틸팅 작동시에 소음발생이 저감됨과 동시에 틸팅 작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는, 자동물품분류기의 이송장치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부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틸팅시켜 지정된 위치에 물품이 낙하되도록 함에 따라 물품별로 분류되도록 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에 있어서, 이격부재의 개재하에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열되고 대향면에는 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선가이드홈부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경사가이드홈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통형성되고 타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절곡경사가이드홈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통형성된 후 타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가이드홈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장변부와 단변부를 구비하는 1쌍의 U자형 이동부재가 연결부재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힌지연결지점과 상기 장변부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주행가능한 휠이 구비되는 틸팅연동부; 상기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중간지점이 힌지연결되어 상기 틸팅연동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틸팅되고 상단에는 트레이가 결합되며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중심부가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단홈이 형성되는 틸팅로드부; 및 상기 틸팅연동부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되고 상기 틸팅연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틸팅로드부가 틸팅되도록 하는 틸팅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Tilting device for automatic article sorter}
본 발명은 이송 중인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자동분류기용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틸팅시켜 지정된 위치에 물품이 낙하되도록 함에 따라 물품별로 분류되도록 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물품분류기는 물품을 일정한 거리 사이에서 자동적, 연속적으로 운반 및 분류하는 장치로, 적은 경비를 들여 물품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지정된 장소로 이송하여 물품별로 분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물품분류기의 전체 구성을 평면도로 도시한다.
일반적인 자동물품분류기(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물품들을 작업자가 컨베이어 상에 적재하는 물품적재부(10)와, 다수의 컨베이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루프 형상으로 연결되어 그 상면에 적재된 물품을 이송하는 이송장치(20)와, 이송장치(20)를 따라 이송된 물품이 종류별 또는 크기별로 분류되는 물품분류부(30)를 포함한다.
이송장치(20)에는 컨베이어 상에 물품이 적재되는 트레이(tray)가 설치되고, 트레이의 기울기 조절을 위한 틸팅장치(tilting device)가 구비된다. 이 틸팅장치는 트레이 상에 물품이 적재 및 운반되는 경우에는 트레이가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지정된 장소에 물품을 떨어뜨리는 경우에는 트레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트레이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자동물품분류기에 구비되는 트레이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00854호(2012.01.02. 공고)에는 이송장치에 고정설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이스커버; 상기 베이스커버에 고정설치된 브라켓구에 고정지지되어 베이스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되, 구동모터와 연동하는 회전축에 의해 상기 베이스커버의 상부 끝단에 각각 베어링결합되며, 구동을 위한 기어가 상기 회전축의 양측방향에 구성된 구동부; 일측이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구성된 기어에 결합되고, 타측이 힌지축에 의해 베이스커버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작동하는 한 쌍의 회전작동부;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작동부는 힌지축에 의해 상기 베이스커버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결합부를 구성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수직프레임의 상측으로는 상기 구동부의 기어에 결합되는 호형상의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구동부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자동물품분류용 틸팅장치는 트레이의 틸팅 동작시마다 구동모터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해야 하므로 전력의 소모를 수반하게 되며, 트레이의 수평 조절을 위해서는 센서감지부이 구성을 추가로 구비해야 하므로 틸팅 장치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오동작의 방지를 위하여 다수의 부품에 대해 주기적인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요하게 되므로 장치의 운용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아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62297호(2015.06.08. 공개)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가이드홀과, 상기 제 1 가이드홀과 교차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하고 좌우방향으로 장공 형상의 제 2 가이드홀이 형성된 몸체블럭과, 상기 제 1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봉과, 상기 슬라이딩봉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슬라이딩봉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2 가이드홀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의 이동에 연동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기 트레이가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봉의 양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태핏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태핏이 상승되도록 동작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상승된 태핏과 상기 슬라이딩봉을 상기 몸체블록의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틸팅 가이드부재로 구성된 틸팅부; 및 상기 틸팅부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 태핏과 슬라이드봉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리셋부를 포함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의 경우에는 자동물품분류기에 구비되는 트레이의 기울기 조절을 위한 기구적 장치 및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함과 아울러 트레이의 기울임과 수평상태로의 복귀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품별 분류 동작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직선의 가이드홀이 적용됨에 따라 소음이 크고 틸팅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의 경우에는 태핏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봉에 먼지나 이물질이 끼게 되면서 태핏의 상하이동작동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블럭몸체의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홀 내에 이물질이 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00854호(2012.01.02. 공고)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62297호(2015.06.0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레이의 틸팅 작동시에 소음발생이 저감됨과 동시에 틸팅 작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물품분류기의 이송장치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부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틸팅시켜 지정된 위치에 물품이 낙하되도록 함에 따라 물품별로 분류되도록 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에 있어서, 이격부재의 개재하에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열되고 대향면에는 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선가이드홈부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경사가이드홈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통형성되고 타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절곡경사가이드홈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통형성된 후 타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가이드홈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장변부와 단변부를 구비하는 1쌍의 U자형 이동부재가 연결부재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힌지연결지점과 상기 장변부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주행가능한 휠이 구비되는 틸팅연동부; 상기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중간지점이 힌지연결되어 상기 틸팅연동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틸팅되고 상단에는 트레이가 결합되며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중심부가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단홈이 형성되는 틸팅로드부; 및 상기 틸팅연동부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되고 상기 틸팅연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틸팅로드부가 틸팅되도록 하는 틸팅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틸팅연동부의 외측부에 배열되고 상기 틸팅연동부와 상기 틸팅로드부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리셋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U자형 이동부재의 굴곡단부의 상부에는 제 1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U자형 이동부재의 굴곡단부의 외측면에는 제 2 롤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고 틸팅작동시 상기 틸팅연동부의 제 1 롤러가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다시 빠져나오는 롤러유입홈이 구비되는 틸팅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1쌍의 U자형 이동부재의 내측면에 연접되게 나란히 배열되는 1쌍의 연결바와, 상기 1쌍의 U자형 이동부재의 단변부를 관통하여 상기 1쌍의 U자형 이동부재를 상기 1쌍의 연결바에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축과, 상기 1쌍의 연결바의 중심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틸팅로드부의 하단홈 내에 위치되는 틸팅작동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틸팅구동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될 경우 일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되고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구동로드과, 상기 구동로드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에서 회동되면서 상기 틸팅연동부의 일단부 측에 틸팅작용력을 가하는 회동식 틸팅구동블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식 틸팅구동블럭은 상기 틸팅연동부의 일단부 측과 접하는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에 의하면, 대향면에 직선가이드홈부, 경사가이드홈부 및 절곡경사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에 틸팅로드부가 틸팅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틸팅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틸팅연동부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틸팅로드부의 하측을 이동시키는 기구적 구조에 의해 틸팅로드부 상의 트레이가 틸팅됨에 따라, 특히 경사가이드홈부 및 절곡경사가이드홈부에 의해 트레이의 틸팅 작동시에 소음발생이 저감됨과 동시에 틸팅 작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에 의하면, 장변부와 단변부를 구비하는 1쌍의 U자형 이동부재와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틸팅연동부에 의해 틸팅로드부의 하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물품분류기의 전체 평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의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에 있어서, 틸팅구동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에 있어서, 틸팅구동부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에 있어서, 틸팅구동부에 의한 트레이의 틸팅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100)는, 자동물품분류기의 이송장치(20; 도 1 참조)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부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틸팅시켜 지정된 위치에 물품이 낙하되도록 함에 따라 물품별로 분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격부재(110)의 개재하에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열되고 대향면에는 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선가이드홈부(121)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경사가이드홈부(123)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통형성되고 타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절곡경사가이드홈부(125)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통형성된 후 타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가이드홈(120)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10a, 110b) 사이에 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장변부(211)와 단변부(213)를 구비하는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가 연결부재(220)에 힌지연결되며 연결부재(220)의 힌지연결지점과 장변부(211)의 외측에는 가이드홈(120)을 따라 주행가능한 휠(230)이 구비되는 틸팅연동부(200);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 사이에 중간지점이 힌지연결되어 틸팅연동부(200)의 이동에 연동되어 틸팅되고 상단에는 트레이(310)가 결합되며 하단에는 연결부재(220)의 중심부가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단홈(320)이 형성되는 틸팅로드부(300); 및 틸팅연동부(200)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되고 틸팅연동부(200)를 이동시켜 틸팅로드부(300)가 틸팅되도록 하는 틸팅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장치(20)는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구동장치(미도시됨)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블록(21)과, 이동블록(21)의 양측단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는 차후에 설명될 틸팅연동부(200)의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틸팅로드부(300)를 양측에서 틸팅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부재이다.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는 이격부재(110)의 개재하에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열된다. 이격부재(110)는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의 하측에만 개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 다른 부위에도 개재될 수 있다.
또한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의 대향면에는 가이드홈(120)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가이드홈(120)은 틸팅연동부(200)의 휠(230)이 주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단순히 선형으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선가이드홈부(121)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는 경사가이드홈부(123)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통형성되고, 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선가이드홈부(121)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는 절곡경사가이드홈부(125)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통형성된 후 타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직선가이드홈부(121)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연통형성되는 경사가이드홈부(123)와 절곡경사가이드홈부(125)는 평상시 중립상태에서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하중편향에 따라 휠(230)이 소음없이 원활하게 상향주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틸팅구동부(400)에 의한 틸팅 작동시에 휠(230)이 소음없이 원활하게 하향주행되도록 유도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틸팅연동부(200)의 작동이 소음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10a, 110b) 사이에는 틸팅연동부(200)가 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틸팅연동부(200)는 평상시 중립상태에서 틸팅로드부(300)의 직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틸팅구동부(400)에 의한 틸팅구동시에 틸팅로드부(300)의 틸팅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부재이다.
이러한 틸팅연동부(200)는 서로 대응되게 배열되는 장변부(211)와 단변부(213)를 구비하는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와,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대향 내측면에 연접배열되고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연결부재(220)와,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외측면 중에서 연결부재(220)의 힌지연결지점과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장변부(211)의 단부측에 설치되고 가이드홈(120)을 따라 주행가능한 휠(230)을 포함한다.
U자형 이동부재(210a)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굴곡단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장변부(2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변부(213)가 형성되는 비대칭 형상을 가진다. 또한 U자형 이동부재(210a)에 대향되게 배열되는 U자형 이동부재(210b)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굴곡단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U자형 이동부재(210a)의 장변부(211)에 연접되는 단변부(21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U자형 이동부재(210a)의 단변부(213)에 연접되는 장변부(211)가 형성되는 비대칭 형상을 가진다.
또한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굴곡단부의 상부에는 차후에 설명될 틸팅가이드부(600)의 롤러유입홈(610)으로 유입가능한 제 1 롤러(215)가 구비되고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굴곡단부의 외측면에는 틸팅구동부(400) 측에 접하는 제 2 롤러(217)가 구비된다.
또한 연결부재(220)는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내측면에 연접되게 나란히 배열되는 1쌍의 연결바(221)와,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단변부(213)를 관통하여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를 1쌍의 연결바(221)에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축(223)과, 1쌍의 연결바(221)의 중심부를 서로 연결하며 틸팅로드부(300)의 하단홈(320) 내에 위치되는 틸팅작동축(225)을 포함한다.
또한 휠(230)은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의 가이드홈(120)을 따라 주행되면서 연결부재(220)에 연결된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회동 또는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휠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통상의 아이들휠로 형성된다.
전술한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 사이에는 틸팅로드부(300)의 중간지점이 힌지연결된다. 틸팅로드부(300)는 틸팅연동부(200)의 이동에 연동되어 트레이(310)과 일체로 틸팅회동되면서 트레이(310) 상의 물품이 지정된 위치에 낙하되도록 함에 따라 물품별로 실제 분류되도록 하는 구성부재이다.
틸팅로드부(300)의 상단에는 물품이 안착되는 트레이(310)가 결합되는데, 이 트레이(310)는 하부면 측에 틸팅로드부(300)의 상단에 고정체결되는 접시 형상으로 형성된다.
틸팅로드부(300)의 하단에는 연결부재(220)의 중심부, 특히 1쌍의 연결바(221)의 중심부를 서로 연결하는 틸팅작동축(225)이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단홈(320)이 형성된다. 하단홈(320)은 하단이 개방되며 틸팅로드부(300)의의 틸팅시에 틸팅작동축(225)이 유동가능하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다.
전술한 틸팅연동부(200)의 양측에는 틸팅구동부(400)가 배열된다. 틸팅구동부(400)는 틸팅연동부(200)를 이동시켜 틸팅로드부(300)가 틸팅되도록 하는 구성부재로, 그 구조와 작동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틸팅구동부(400)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될 경우 일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되고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솔레노이드(410)와, 솔레노이드(410)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구동로드(420)과, 구동로드(420)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로드(430)와, 연결로드(430)의 타단에서 회동되면서 틸팅연동부(200)의 일단부 측에 틸팅작용력을 가하는 회동식 틸팅구동블럭(440)을 포함한다.
솔레노이드(410)는 물품을 적재하여 이송장치(40)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트레이(310)가 지정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해당 트레이(310) 및 틸팅로드부(300)를 일측으로 틸팅시켜 기울이는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제어되고, 지정된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트레이(310)가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통과하도록 작동이 중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회동식 틸팅구동블럭(440)은 틸팅연동부(200)의 일단부 측과 접하여 틸팅작동력을 가하는 구성부재로, 상부면에는 틸팅연동부(200)의 일단부 측을 상부로 밀어올리기 위한 경사면(441)이 형성된다. 경사면(441)은 솔레노이드(410)의 작동시에 틸팅연동부(200)의 일단부 측, 즉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 중 하나의 굴곡단부측에 구비된 제 2 롤러(217)를 밀어올려 상부로 구름주행되도록 하여 틸팅연동부(200)의 일단부 측이 회동식 틸팅구동블럭(440)을 타고 넘어가 트레이(310)의 틸팅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틸팅연동부(200)의 외측부에는 리셋부(500)가 배열될 수 있다. 리셋부(500)는 틸팅구동부(400)에 의한 틸팅로드부(300) 및 트레이(310)의 틸팅작동 이후에 틸팅연동부(200)와 틸팅로드부(300)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구성부재이다.
리셋부(500)는 물품 이송방향으로 볼 때 트레이(310) 및 틸팅로드부(300)가 지정 위치에서 틸팅되어 트레이(310) 상의 물품이 분류장소로 낙하이송된 직후의 지점에 설치되어 틸팅연동부(200)와 틸팅로드부(300)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틸팅연동부(200)의 제 1 및 제 2 롤러(215, 217)가 중립상태로 유지되도록 가이드하는 일종의 롤러가이드판의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솔레노이드(410)의 원상회복에 따라 틸팅구동부(400)에 의한 틸팅로드부(300) 및 트레이(310)의 틸팅작동 이후에 틸팅연동부(200)와 틸팅로드부(300)가 중립상태로 원위치, 즉 리셋가능하므로 리셋부(500)가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10a, 110b)의 양측 상부에는 틸팅가이드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틸팅가이드부(600)는 틸팅구동부(400)에 의한 틸팅로드부(300) 및 트레이(310)의 틸팅작동시 틸팅연동부(200)를 상부에서 가이드하는 것으로, 틸팅연동부(200)의 제 1 롤러(215)가 내부로 유입가능한 롤러유입홈(610)이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도 7에는 틸팅구동부(400)에 의한 틸팅로드부(300) 및 트레이(310)의 틸팅작동도가 도시된다.
우선 중립상태에서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는 자체 하중편중에 의해 굴곡지점이 아래로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위치된다.
이 때 U자형 이동부재(210a)의 장변부(211)에 설치되는 휠(230)은 가이드플레이트(100b)의 절곡경사가이드홈부(125)의 절곡부위에 위치되고 U자형 이동부재(210a)의 단변부(213)를 관통하는 힌지축(223)에 설치되는 휠(230)은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의 직선가이드홈부(121)에 위치된다. 또한 U자형 이동부재(210b)의 장변부(211)에 설치되는 휠(230)은 가이드플레이트(100a)의 절곡경사가이드홈부(125)의 절곡부위에 위치되고 U자형 이동부재(210b)의 단변부(213)를 관통하는 힌지축(223)에 설치되는 휠(230)은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의 직선가이드홈부(121)에 위치된다. 또한 이 때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양 단부측은 틸팅구동부(400)의 회동식 틸팅구동블럭(440)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틸팅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틸팅구동부(400)의 솔레노이드(4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410)의 회전축이 소정각도만큼 회전되면서 솔레노이드(410)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로드(420)도 동일각도로 회전구동된다. 이 때 구동로드(420)에 연결된 연결로드(4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식 틸팅구동블럭(440)이 직립되면서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 중 하나의 굴곡단부에 설치된 제 2 롤러(217)가 회동식 틸팅구동블럭(440)의 상부면에 형성된 경사면(441)을 타고 상부로 구름주행된다. 이를 통해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 중 하나의 굴곡단부가 상부로 밀어올려지고 제 2 롤러(217)가 경사면(441)을 타고 회동식 틸팅구동블럭(440)를 타고 넘게 되면서 틸팅로드부(300) 및 트레이(310)의 틸팅이 이루어진다.
또한 틸팅을 위한 제어신호의 중지에 따라 솔레노이드(410)에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면 솔레노이드(410)의 회전축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구동로드(420), 연결로드(430) 및 회동식 틸팅구동블럭(440)도 원상회복되면서 최초 중립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리셋작동은 리셋부(5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1)의 경우에는, 대향면에 직선가이드홈부(121), 경사가이드홈부(123) 및 절곡경사가이드홈부(125)를 포함하는 가이드홈(120)이 형성되는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에 틸팅로드부(230)가 틸팅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틸팅구동부(400)의 구동에 의해 틸팅연동부(200)가 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되면서 틸팅로드부(300)의 하측을 이동시키는 기구적 구조에 의해 틸팅로드부(3000) 상의 트레이(310)가 틸팅됨에 따라, 특히 경사가이드홈부(123) 및 절곡경사가이드홈부(125)에 의해 트레이(310)의 틸팅 작동시에 소음발생이 저감됨과 동시에 틸팅 작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1)의 경우에는, 장변부(211)와 단변부(213)를 구비하는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와 연결부재(220)를 포함하는 틸팅연동부(200)에 의해 중립상태나 틸팅 작동시에 틸팅로드부(300)의 하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자동물품분류기
10 : 물품적재부
20 : 이송장치
21 : 이동블럭
23 : 가이드레일
30 : 물품분류부
100a, 100b : 가이드플레이트
110 : 이격부재
120 : 가이드홈
121 : 직선가이드홈부
123 : 경사가이드홈부
125 : 절곡경사가이드홈부
200 : 틸팅연동부
210a, 210b : U자형 이동부재
211 : 장변부
213 : 단변부
215 : 제 1 롤러
217 : 제 2 롤러
220 : 연결부재
221 : 연결바
223 : 힌지축
225 : 틸팅작동축
230 : 휠
300 : 틸팅로드부
310 : 트레이
320 : 하단홈
330 : 힌지결합축
400 : 틸팅구동부
410 : 솔레노이드
420 : 구동로드
430 : 연결로드
440 : 회동식 틸팅구동블럭
500 : 리셋부
600 : 틸팅가이드부
610 : 롤러유입홈

Claims (7)

  1. 자동물품분류기(1)의 이송장치(20)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부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트레이(310)를 일측으로 틸팅시켜 지정된 위치에 물품이 낙하되도록 함에 따라 물품별로 분류되도록 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에 있어서,
    이격부재(110)의 개재하에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열되고 대향면에는 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선가이드홈부(121)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경사가이드홈부(123)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통형성되고 타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절곡경사가이드홈부(125)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통형성된 후 타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가이드홈(120)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
    상기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10a, 110b) 사이에 상기 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장변부(211)와 단변부(213)를 구비하는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가 연결부재(220)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220)의 힌지연결지점과 상기 장변부(211)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20)을 따라 주행가능한 휠(230)이 구비되는 틸팅연동부(200);
    상기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a, 100b) 사이에 중간지점이 힌지연결되어 상기 틸팅연동부(200)의 이동에 연동되어 틸팅되고 상단에는 트레이(310)가 결합되며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재(220)의 중심부가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단홈(320)이 형성되는 틸팅로드부(300); 및
    상기 틸팅연동부(200)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되고 상기 틸팅연동부(200)를 이동시켜 상기 틸팅로드부(300)가 틸팅되도록 하는 틸팅구동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연동부(200)의 외측부에 배열되고 상기 틸팅연동부(200)와 상기 틸팅로드부(300)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리셋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굴곡단부의 상부에는 제 1 롤러(215)가 구비되고 상기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굴곡단부의 외측면에는 제 2 롤러(21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쌍의 가이드플레이트(110a, 110b)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고 틸팅작동시 상기 틸팅연동부(200)의 제 1 롤러(215)가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다시 빠져나오는 롤러유입홈(610)이 구비되는 틸팅가이드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20)는 상기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내측면에 연접되게 나란히 배열되는 1쌍의 연결바(221)와, 상기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의 단변부(213)를 관통하여 상기 1쌍의 U자형 이동부재(210a, 210b)를 상기 1쌍의 연결바(221)에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축(223)과, 상기 1쌍의 연결바(221)의 중심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틸팅로드부(300)의 하단홈(320) 내에 위치되는 틸팅작동축(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품 분류기용 틸팅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구동부(400)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될 경우 일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되고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솔레노이드(410)와, 상기 솔레노이드(410)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구동로드(420)과, 상기 구동로드(420)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로드(430)와, 상기 연결로드(430)의 타단에서 회동되면서 상기 틸팅연동부(200)의 일단부 측에 틸팅작용력을 가하는 회동식 틸팅구동블럭(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동식 틸팅구동블럭(440)의 상부면에는 상기 틸팅연동부(200)의 일단부 측을 밀어올리는 경사면(4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KR1020160128285A 2016-10-05 2016-10-05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KR10187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285A KR101878947B1 (ko) 2016-10-05 2016-10-05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285A KR101878947B1 (ko) 2016-10-05 2016-10-05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732A KR20180037732A (ko) 2018-04-13
KR101878947B1 true KR101878947B1 (ko) 2018-08-16

Family

ID=6197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285A KR101878947B1 (ko) 2016-10-05 2016-10-05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9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3074B1 (en) 1997-12-02 2001-02-27 Mannesmann Ag Conveyor for the sorting of mixed carg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3953C2 (de) * 1991-10-14 1994-06-09 Eisenmann Foerdertech Sortierförderanlage
KR101100854B1 (ko) 2011-10-18 2012-01-02 디텍 (주) 자동분류용 틸팅장치
KR101541691B1 (ko) 2013-11-29 2015-08-04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자동 분류기용 틸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3074B1 (en) 1997-12-02 2001-02-27 Mannesmann Ag Conveyor for the sorting of mixed carg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732A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222B1 (ko)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EP0782966B1 (en) A conveyor
US20070034477A1 (en) Article transport device
JP6861432B2 (ja) 搬送装置及びコンベヤユニット
KR101559146B1 (ko) 방향전환을 위한 오토 디버터
KR101866402B1 (ko) 병렬배치형 이송 컨베어의 디버팅장치
JP6043388B2 (ja) 従動キャリッジに支持される運搬キャリッジを有する仕分けコンベヤ
KR101541691B1 (ko) 자동 분류기용 틸팅 장치
US20090223779A1 (en) Conveyor Diverter
US7080730B2 (en) Conveyor assembly
KR20070055782A (ko) 컨베이어 벨트 주행 자동 조절장치
KR101878947B1 (ko) 자동물품분류기용 틸팅장치
JP2008273640A (ja) トレー送り機構
US20180162657A1 (en) Chain conveyor with free-rotating rollers and retractable flights
JP5018562B2 (ja) 搬送設備
EP2740690B1 (en) A buffer arrangement and an elevator for a feed line for pieces of timber
JP6074151B2 (ja) パレットの搬送装置
EP3212545B1 (en)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on carrier units.
JPS6048420B2 (ja) 仕分装置
JP7318673B2 (ja) 物品仕分け方法及び物品仕分け装置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FI109015B (fi) Lamelliketjukuljetin
CN220760085U (zh) 分拣设备
JP2022070570A (ja) 物品仕分け装置
KR20230160304A (ko) 컨베이어 시스템용 캐스터 휠 정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