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564B1 - 절연체 코팅 전도선의 qc 장치 및 이의 방법 - Google Patents

절연체 코팅 전도선의 qc 장치 및 이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564B1
KR101878564B1 KR1020160134902A KR20160134902A KR101878564B1 KR 101878564 B1 KR101878564 B1 KR 101878564B1 KR 1020160134902 A KR1020160134902 A KR 1020160134902A KR 20160134902 A KR20160134902 A KR 20160134902A KR 101878564 B1 KR101878564 B1 KR 10187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tainer
terminal
potential difference
liquid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584A (ko
Inventor
박구곤
황선미
임성대
김창수
이원용
양태현
박석희
김민진
손영준
배병찬
김승곤
신동원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3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5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by electrostatic coating
    • H01L35/2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등에 이용되는 전도선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절연코팅체의 품질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절연체로 코팅된 전도선의 피복 상태를 수치적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요지로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절연코팅체 QC 장치는 제1 및 제2전극, 전위차, 마이크로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절연체 코팅 전도선의 QC 장치 및 이의 방법 {Coating QC device for the electrical conductive cable and the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모터 등에 이용되는 전도선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절연코팅체의 품질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절연체로 코팅된 전도선의 피복 상태를 수치적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요지로 하고 있다.
전도선은 모터에서부터 가전제품, 각종 전자기기의 필수구성요소로 이용되고 있으며, 모터의 경우, 코일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 포함된다.
모터는 고정자와 고정자의 내측 공간부에 구비되는 회전자로 구성되며, 회전자는 모터 내부에서 전기적인 힘을 받아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하고, 고정자는 규소강판인 코어와 구리동선인 코일 및 절연재로 구성된다.
코일은 구리동선에 절연 물질을 코팅한 것으로, 손상이 없는 경우 그 자체로서 절연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제조과정 또는 운반과정에서 코팅된 절연물질에 손상이 있을 경우, 모터가 가동하는 도중에 쇼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모터에 이용되는 전도선에 절연물질을 코팅하는 것은 제품의 안전성과 성능 확보를 위한 핵심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도선의 코팅과정에서 그 코팅 품질을 점검하고, 코팅이 완료된 후에도 혹시 있을지 모르는 피복 여부를 검사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일례로, 전도성 지그와 코일간의 전위차인 방전전압을 계측하거나, 모터 조립 전 중간단계에서 고정자 코일의 절연검사를 하며, 이 경우 전류센서를 통해 코일과 모터케이스간의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코일내 절연체의 피복여부를 검사해왔다.
일례로, US 5945594호의 경우, 전도선의 코팅 품질을 수치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전위차를 측정하는 기술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의 경우, 양산공정에서 절연체가 코팅된 전도선에 관하여 전수검사가 이루어질 경우, 상부로 액상전해질이 유출되거나, 일부 용매가 증발되어 액상전해질의 농도가 변경될 수 있고, 전위차에 기반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얻어야만 절연코팅의 품질을 검사할 수 있으나, 액상전해질의 유실 및 전극의 움직임 등으로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왔다.
또한, 양산공정의 전수검사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들이 일체화되고 콤팩트화된 장비가 필요하나, 기존 기술의 경우, 각 구성요소가 일체화되지 않고 별도로 구성되어, 구성요소간 연결에 불편함이 있어왔다.
미국 등록특허 594559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코팅 QC 장치의 상부로 액상전해질이 유출되거나, 일부 용매가 증발되어 액상전해질의 농도가 변경될 경우, 사전에 이를 감지하고, 액상전해질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측정오차를 줄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개별 구성요소가 1개의 장치내에 집약되어 각 구성들이 일체화되고 콤팩트화된 장치를 구성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절연코팅 QC 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QC와 연계하여 세정 및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QC 방법까지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절연코팅 QC 장치는 각형 또는 원형의 용기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의 상면에는 일부 면적을 덮으면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연결되어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위차 측정기와 상기 전위차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전위차값과 미리 입력된 표준값을 비교하여 절연체의 피복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제어장치 및 상기 전위차의 측정값과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의 판단결과를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는 액상 전해질이 채워져 있고, 상기 용기 내부의 액상 전해질에는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일부 침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전극에는 단자가 연결되고, 그 단자는 전도선과 연결되어 1cm 이상까지 늘어날 수 있도록 권취롤을 통해 제1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위차 측정대상체와 제1전극의 단자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권취롤을 이용하는 방법외에도, 제1전극의 단자가 있는 부분이 상부로 늘어났다가 전위차를 측정해야하는 대상체가 액상전해질속으로 들어간 후, 다시 원위치로 줄어들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전극은 단자가 없는 부분과 단자가 있는 부분의 직경이 상이하고, 내부에 내장된 마이크로모터에 의해 단자가 없는 부분으로부터 단자가 있는 부분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액상전해질을 담고 있는 용기에는 냉각/가열장치가 내장되어 액상전해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기 냉각/가열장치는 열전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기 내부 내벽에는 액상 전해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고, 그 측정결과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상기 용기 내부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상기 용기 내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면서 상기 내벽면과 1 mm 이상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코팅 QC 장치의 용기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전위차 측정기 및 마이크로제어장치가 있는 면적을 제외하고는 탄성체로 만들어진 덮개가 있고, 상기 덮개는 중앙을 기준으로 바깥방향으로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내부 바닥에는 고체전해질이 설치되어, 상기 고체전해질에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일부가 매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체전해질의 상부에 액상 전해질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연코팅 QC 장치를 통한 방법적 측면에서는 절연코팅체를 절연코팅 QC 용기 외부에서 제1전극의 단자와 연결하고, 상기 용기 내부로 절연코팅체를 넣어 상기 용기 덮개 부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로부터 전위차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용기 덮개에 설치된 마이크로제어장치에 미리 입력된 표준값과 비교하여, 절연코팅체의 피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용기 내부의 절연코팅체를 용기 외부로 꺼내고, 용기 옆에 부착된 세정 및 건조기로 옮기는 단계, 상기 세정 및 건조기에서 세정액을 복수개의 노즐로 분사하여 절연코팅체를 세정한 후, 동일한 장치의 내벽에 있는 별도의 복수개의 노즐로 공기를 분사하여 세정된 절연코팅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연코팅 QC 장치는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고, 액상전해질 농도 센서를 부착함으로써, 액상전해질에 이용되는 용매의 증발을 최소화하고, 농도 변화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위차에 기반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얻어야만 절연코팅의 품질을 검사할 수 있으나, 액상전해질의 유실 및 전극의 움직임 등으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감안하여, 고체전해질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액상전해질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고체전해질 내부에 전극의 일부를 매몰시켜 고정함으로써 측정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용기에 전위차 측정 및 측정결과 모니터링을 위한 모든 장치가 하나의 용기내에 구성됨으로써, 양산공정의 전수검사에 이용되는 각 구성들이 일체화되고 콤팩트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코팅 전도선의 QC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권취롤을 포함하는 제1전극의 단자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모터를 내장하는 제1전극의 단자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QC 장치에 의해 피복상태가 양호한 절연코팅체를 검사할 경우의 전위차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QC 장치에 의해 피복상태가 불량한 절연코팅체를 검사할 경우의 전위차 측정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전도선의 절연코팅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코팅 QC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절연코팅 QC 장치는 용기(100)의 내부에 제1전극(200) 및 제2전극(300)이 위치하고, 상기 전극들은 액체 전해질(800)에 일부분이 침지되어 있다. 상기 용기(100)는 전해질을 및 제1전극(200), 제2전극(300)을 구비하고, 품질을 검사할 절연코팅체를 제1전극(200)과 연결한 후, 제1전극(200) 및 제2전극(300)간의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액상 전해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액상 전해질은 황산(sulphoric acid), 과염소산(perchloric acid),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리튬염(lithium salt), 이온 전도성 폴리머, 및 상기 전해질의 약 50wt% 내지 약 99.9wt%를 구성하는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이온 전도성 폴리머는 전형적으로 헤테로원자(hetero atom)와 상기 알칼리 금속염의 금속이온들이 조합하거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고립전자쌍(lone pair of electrons)을 함유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이러한 폴리머의 예로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폴리(비스(메톡시-에톡시-에톡사이드))-포스파젠(poly(bis(methoxy-ethoxy-ethoxide))-phosphazene (MEEP)); 이중관능기 우레탄(difunctional urethane)과 가교된 티올-타입 PEO(triol-type PEO), 폴리((올리고)옥시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co-알칼리금속 메타크릴레이트(poly((oligo)oxyethylene)methacrylate-co-alkali meta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메틸아크릴로니트릴(PMAN); 폴리실록산(polysiloxanes) 및 그들의 공중합체와 유도체,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클로라이드(chloride) 또는 이들의 유도체의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불소처리된 에틸렌-프로필렌)(poly(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아크릴레이트-기반 폴리머(acrylate-based polymer) 등과, 이들 폴리머의 축합(condensed) 또는 가교에 의한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 다른 폴리머, 및 이들 폴리머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에테르류(예를 들어, 디에틸에테르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알코올류(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s); 케톤류(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에스테르류(예를 들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diethylene glycol ether acetate), 메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methoxypropyl acetate),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등); 아미드류(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디메틸카프릴릭/카프릭 지방산 아미드(dimethylcaprylic/capric fatty acid amide) 및 N-알킬피롤리돈(N-alkylpyrrolidones)); 락톤류(예를 들어, Y-부티로락톤(Y-butyrolactone)); 니트릴류(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부티로니트릴 및 벤조니트릴); 술폭시드류 또는 술폰류(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시드(DMSO) 및 술폴레인(sulfolane));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액상 전해질은 부식성이 강한 산성 또는 알칼리성 용액이 이용되나, 본 발명의 경우, 절연코팅체 및 타 구성품이 품질검사 과정에서 부식되지 않으면서, 정밀한 전위차 측정이 필요한 바, 이를 만족할 수 있는 액상 전해질을 특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0.1 내지 10 중량% 농도의 과염소산, 황산, 염화나트륨 등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이면 전위차의 측정이 정밀하지 않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절연코팅체가 부식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내부에 액상 전해질(800)만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액상 전해질(800)의 사용량을 저감하고,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고정하기 위하여, 용기 바닥면에 고체 전해질(900)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절연코팅체의 QC는 일반적으로 대량으로 양산되는 제조시설에서 이용하게 되며, 이 경우, 대량으로 생산되는 절연코팅체를 전수 검사하거나, 일부 샘플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검사할 경우, 필연적으로 많은 수의 검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장기간에 걸쳐 절연코팅체가 액상 전해질속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외부로 나오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액상 전해질 중 용매가 증발되거나, 외부로 유실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용매의 손실은 용액의 농도 변화를 초래하여, 전위차 측정의 오차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용기의 바닥면을 고체 전해질로 대체하여 액상 전해질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장기간에 걸쳐 전위차 측정이 이루어질 경우,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고정해야 하는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장치들은 QC 장치를 복잡하게 할 수 있는 바, 고체 전해질을 바닥면으로 사용할 경우,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고체 전해질속으로 매몰시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고체전해질은 수소이온 전도성을 가진 재료로서, 세라믹 고체전해질 혹은 고분자 고체전해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중 고분자 고체전해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액상전해질 농도의 변화를 사전에 감지하기 위하여 용기 내벽에 액상전해질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며, 동 센서는 염화나트륨의 농도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전기화학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액상전해질의 농도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중발 등 용매의 유실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액상전해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가열장치가 용기에 부착된다. 상기 냉각/가열장치는 히팅코일이나 냉매 등을 이용하는 장치들이 폭넓게 적용될 수 있으나, 한정된 공간에 일체화될 수 있도록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랍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기에 의해 가열과 냉각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열전소자가 가장 바람직하다. 열전소자는 용기의 내벽을 따라 가열면과 냉각면이 별도로 구성되며, 온도센서에 의해 온도변화가 있을 경우 가열 또는 냉각면이 가동되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의 액상전해질 유실과 관련하여, 또 한가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절연코팅체가 액상 전해질속으로 침지되어 전위차가 측정된 후 외부로 나오는 과정에서 액상 전해질이 외부로 유실부분이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면덮개(701)가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고 있으며, 상면덮개는 도 1에서와 같이, 상면덮개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조각으로 구분되어 있어, 절연코팅체의 반복적인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상면덮개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일반적인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상부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지지대(700)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700)의 상부에는 전위차 측정기(500)와 마이크로제어장치(600)가 위치하고, 이와 함께 전위차 측정기(500)의 측정결과와 마이크로제어장치(600)의 판단결과를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400)가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대(700)상에 전위차 측정기(500), 마이크로제어장치(600), 디스플레이(400)가 위치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 전위차 측정기가 별도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그 측정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수동으로 이루어져, QC 장치가 콤팩트하게 일체화되지 못했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QC 장치의 상부에 디스플레이가 함께 있어, 측정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제어장치(600)에는 절연코팅체의 피복상태가 양호할 경우, 특정 액상전해질에서 나타나는 표준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으며, 상기 전위차 측정기(500)를 통해 측정된 값과 비교되어, 정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값을 디스플레이(400)에 나타내게 된다.
상기 용기내 액상 전해질속에서 제1전극과 절연코팅체는 단자(20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나, 액상 전해질에 침지된 이후 제1전극과 절연코팅체가 견고하게 연결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기존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접촉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정밀한 전위차 측정을 위해서는 안정된 전기적 접속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권취롤을 이용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자동화된 마이크로모터를 이용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외에도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이크로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2는 권취롤에 의해 단자가 절연코팅체와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며, 제1전극(200)에 부착된 단자(201)는 제1전극에 부착된 소형 권취롤(202)에 의해 1cm 이상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용기내 액상 전해질의 외부에서 제1전극과 연결된 단자(201)가 외부로 늘어난 후 절연코팅체와 접속되고, 절연코팅체가 액상 전해질속으로 침지될 경우, 제1전극에 부착된 소형 권취롤(202)에서 풀렸던 도선이 감기면서 제1전극에 단자가 부착되게 구성된다. 도 3은 단자와 절연코팅체간의 또 다른 연결방법을 나타내며, 제1전극의 단자가 있는 부분이 상부로 늘어났다가 전위차를 측정해야하는 대상체가 액상전해질속으로 들어간 후, 다시 원위치로 줄어들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전극은 단자가 없는 부분과 단자가 있는 부분의 직경이 상이하게 구성되어 직경이 작은 부분이 직경이 큰 부분의 내부로 들어갔다가 외부로 나올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의 이동은 수동에 의해서도 가능하고, 마이크로모터에 의해 자동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절연코팅 QC 장치는 전도선에 절연체가 코팅된 후, 절연코팅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QC 단계가 완료된 후, 절연코팅체는 포장단계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액상 전해질에 침지되어 절연코팅체의 표면에 묻은 액상 전해질을 세정하고, 건조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세정 및 건조단계가 QC 과정과 연계되어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세정 및 건조기는 내벽에 세정액을 분무하는 복수개의 노즐과 공기를 분무하는 복수개의 노즐이 함께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QC 장치에서 QC가 완료된 절연코팅체는 세정 및 건조기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세정액에 의해 세정된 후, 공기 분무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QC 장치에 의해 피복상태가 양호한 절연코팅체를 검사할 경우의 전위차 측정값을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QC 장치에 의해 피복상태가 불량한 절연코팅체를 검사할 경우의 전위차 측정값을 나타낸다. 도 4와 도 5는 모두 10mM HClO4 전해질에서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도 5의 #2 그래프는 코팅된 부위중 일부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된 경우이고, #3 그래프는 코팅된 전선의 피복이 손상된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모두 피복상태가 정상인 도 4의 #1 그래프와는 명확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100 : 용기의 용기
200 : 제1전극
201 : 단자
202 : 권취롤
203 : 마이크로모터
300 : 제2전극
400 : 디스플레이
500 : 전위차 측정기
600 : 마이크로제어장치
700 : 지지대
701 : 상면덮개
800 : 액상 전해질
900 : 고체 전해질
1000 : 냉각/가열장치

Claims (10)

  1. 각형 또는 원형의 용기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의 상면에는 일부 면적을 덮으면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연결되어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위차 측정기와 상기 전위차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전위차값과 미리 입력된 표준값을 비교하여 절연체 피복의 정상상태를 판단하는 마이크로제어 장치 및 상기 전위차의 측정값과 상기 마이크로제어장치의 판단결과를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는 액상 전해질이 채워져 있고,
    상기 용기 내부의 액상 전해질에는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일부 침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전극에는 단자가 연결되고, 그 단자는 전도선과 연결되어 1 cm 이상까지 늘어날 수 있도록 권취롤을 통해 제1전극과 연결되고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고,
    상기 용기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전위차 측정기 및 마이크로제어장치가 있는 면적을 제외하고는 탄성체로 만들어진 덮개가 있고, 상기 덮개는 중앙을 기준으로 바깥방향으로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코팅 QC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냉각/가열장치가 내장되어 액상전해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코팅 QC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냉각/가열장치는 열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코팅 QC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전극은 단자가 없는 부분과 단자가 있는 부분의 직경이 상이하고, 내부에 내장된 마이크로모터에 의해 단자가 없는 부분으로부터 단자가 있는 부분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코팅 QC 장치
  10. 삭제
KR1020160134902A 2016-10-18 2016-10-18 절연체 코팅 전도선의 qc 장치 및 이의 방법 KR101878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902A KR101878564B1 (ko) 2016-10-18 2016-10-18 절연체 코팅 전도선의 qc 장치 및 이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902A KR101878564B1 (ko) 2016-10-18 2016-10-18 절연체 코팅 전도선의 qc 장치 및 이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584A KR20180042584A (ko) 2018-04-26
KR101878564B1 true KR101878564B1 (ko) 2018-07-13

Family

ID=6208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902A KR101878564B1 (ko) 2016-10-18 2016-10-18 절연체 코팅 전도선의 qc 장치 및 이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564B1 (ko)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731A (ja) * 1991-05-28 1993-06-25 Rockwell Internatl Corp 電子部品のはんだ付け性を評価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電気化学的還元方法
JPH05232072A (ja) * 1992-02-25 1993-09-07 Komatsu Ltd めっきの耐食性評価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43133A (ja) * 1992-07-23 1994-02-18 Toshiba Corp 生化学分析装置
JPH0749327A (ja) * 1993-03-31 1995-02-21 Gaz De France 電解質中の構造物の真の電気化学ポテンシャル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JPH07175877A (ja) * 1993-12-17 1995-07-14 Masayuki Matsuda 情報の記録・読み出し方法
KR970070992A (ko) * 1996-04-18 1997-11-07 윤문수 부식감지장치 및 그 분석제어 프로그램
JP2831319B2 (ja) * 1995-02-13 1998-12-02 ドイチェ フォルシュングスアンシュタルト フュア ルフト−ウント ラウムファールト エー.ファウ. 流体電解質の電解法と電解設備
JP2003270192A (ja) * 2002-01-09 2003-09-25 Osaka Gas Co Ltd 電位測定装置
JP3730157B2 (ja) * 2001-11-13 2005-12-2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金属材料の表面保護皮膜の安定度評価方法
KR20060042694A (ko) * 2004-11-10 2006-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절연층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0592553B1 (ko) * 2005-07-13 2006-06-26 이승경 콘크리트 내장용 철근 부식 모니터링 센서
JP2007024745A (ja) * 2005-07-20 2007-02-01 Mark Denshi:Kk 簡易金属判別計
JP4137058B2 (ja) * 2003-01-15 2008-08-20 大阪瓦斯株式会社 腐食・防食状態評価方法
JP4625390B2 (ja) * 2004-10-04 2011-02-02 メトラー−トレド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電位差測定のための基準電極及び基準電極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
JP2011226843A (ja) * 2010-04-16 2011-11-10 Toyota Motor Corp 燃料酸化検出装置
KR20130077717A (ko) * 2011-12-29 2013-07-09 (주)블루스웰 배터리 밀폐장치
JP2014219246A (ja) * 2013-05-07 2014-11-2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電解質濃度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731A (ja) * 1991-05-28 1993-06-25 Rockwell Internatl Corp 電子部品のはんだ付け性を評価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電気化学的還元方法
JPH05232072A (ja) * 1992-02-25 1993-09-07 Komatsu Ltd めっきの耐食性評価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43133A (ja) * 1992-07-23 1994-02-18 Toshiba Corp 生化学分析装置
JPH0749327A (ja) * 1993-03-31 1995-02-21 Gaz De France 電解質中の構造物の真の電気化学ポテンシャル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JPH07175877A (ja) * 1993-12-17 1995-07-14 Masayuki Matsuda 情報の記録・読み出し方法
JP2831319B2 (ja) * 1995-02-13 1998-12-02 ドイチェ フォルシュングスアンシュタルト フュア ルフト−ウント ラウムファールト エー.ファウ. 流体電解質の電解法と電解設備
KR970070992A (ko) * 1996-04-18 1997-11-07 윤문수 부식감지장치 및 그 분석제어 프로그램
JP3730157B2 (ja) * 2001-11-13 2005-12-2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金属材料の表面保護皮膜の安定度評価方法
JP2003270192A (ja) * 2002-01-09 2003-09-25 Osaka Gas Co Ltd 電位測定装置
JP4137058B2 (ja) * 2003-01-15 2008-08-20 大阪瓦斯株式会社 腐食・防食状態評価方法
JP4625390B2 (ja) * 2004-10-04 2011-02-02 メトラー−トレド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電位差測定のための基準電極及び基準電極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
KR20060042694A (ko) * 2004-11-10 2006-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절연층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0592553B1 (ko) * 2005-07-13 2006-06-26 이승경 콘크리트 내장용 철근 부식 모니터링 센서
JP2007024745A (ja) * 2005-07-20 2007-02-01 Mark Denshi:Kk 簡易金属判別計
JP2011226843A (ja) * 2010-04-16 2011-11-10 Toyota Motor Corp 燃料酸化検出装置
KR20130077717A (ko) * 2011-12-29 2013-07-09 (주)블루스웰 배터리 밀폐장치
JP2014219246A (ja) * 2013-05-07 2014-11-2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電解質濃度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584A (ko)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401B1 (ko) 비수계 전해질 전지의 전해액 함침도 측정 방법 및 그에적합한 장치
Yang et al. Gel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poly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and ionic liquid for lithium ion battery
US9478363B2 (en) Flexible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Marracci et al. Ultracapacitor degradation state diagnosis via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KR20180118655A (ko) 절연체의 절연 성능의 평가 방법
CN100533617C (zh) 电解电容器
JP4873415B2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EP3553544A1 (en) Rechargeable battery defect inspection device and defect inspection method
CN101663718A (zh) 异质电化学电容器的负电极集流器及其制造方法
US9799456B2 (en) Solid electrolyte capacitor
Zec et al.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anatase TiO2 nanotube arrays electrode in ionic liquid based electrolyte for lithium ion batteries
KR101878564B1 (ko) 절연체 코팅 전도선의 qc 장치 및 이의 방법
JP6301615B2 (ja) 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CN115047354A (zh) 锂离子电池的充放电能量测量方法及锂离子电池
JP2010153289A (ja) 電解液中のhf定量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2041329B1 (ko)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성능 평가 방법과, 이를 위한 평가 장치
US2011015463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iobium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JP7045064B2 (ja) 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WO2017136640A1 (en) Hermetically sealed electrolytic capacitor with double case
CN112881927A (zh) 一种参比电极组件、三电极半电池及制备方法
JP6495738B2 (ja) 現場作業性が良好な実構造物用のイオン透過抵抗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オン透過抵抗測定方法
CN114112206B (zh) 一种复合绝缘界面密封性检测装置和评价方法
CN218629408U (zh) 一种电解液扩散系数测试装置
JP2019158448A (ja) 電極板検査装置及び電極板検査方法
CN215297607U (zh) 一种参比电极组件及三电极半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