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065B1 -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065B1
KR101878065B1 KR1020160124655A KR20160124655A KR101878065B1 KR 101878065 B1 KR101878065 B1 KR 101878065B1 KR 1020160124655 A KR1020160124655 A KR 1020160124655A KR 20160124655 A KR20160124655 A KR 20160124655A KR 101878065 B1 KR101878065 B1 KR 10187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resin
weight
vinyl acetat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890A (ko
Inventor
정수정
채병훈
민경대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0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기존의 액상형 접착제를 대체할 수 있는 특정 조성의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a)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40~70중량%; (b)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공중합체 10~40중량%; (c)폴리에틸렌 3~30중량%; 및 (d)무수말레인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된 폴리올레핀 3~30중량%를 포함하는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Composition of Adhesive Tie-Resin for Polyethylene and PVC Multi-Layer Adhesion}
본 발명은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액상형 접착제를 대체할 수 있는 특정 조성의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염화비닐(PVC)은 유연성, 내후성, 방수성, 인쇄성 등이 우수하여 옥내외 광고시트, 데코시트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PVC는 다른 기재와의 접합을 통해 특정 용도를 위한 다층구조의 필름 혹은 시트형태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공개번호 1995-060918에서는 연질특성과 내유성을 지닌 PVC에, 내약품특성을 지닌 폴리에틸렌(PE)을 적층한 PE/PVC의 다층 구조로 된 시트제조 대한 기술을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PVC와 PE간에는 상호 접착력이 부족하여 층간 박리가 쉽게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층간 접착력을 유지 위해 접착층이 추가된 PVC/접착층/PE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물 기술이 필요하다.
PVC/접착층/PE 다층 구조물 관련 특허들을 살펴 보면 접착층의 필요성 대하여 언급을 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다층 구조의 특징 및 용도에 대한 기술을 중점으로 기술할 뿐 접착층 소재 기술에 대한 상세 언급을 하지 않거나, 접착층으로써 액상형 접착제 사용에 대한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있다. 예로 공개번호 JR 1995-060918에서는 접착층으로 2액형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염화비닐, 식초비계 수지 등의 앵커 바니시와 폴리우레탄 수지(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 바니시를 혼합한 2액 혼합형 접착제 사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추가적 예로 공개번호 JR 1997-201863에서는 PVC/접착수지층/폴리올레핀으로 접착수지층을 언급하고 있으나, 상세 접착수지 조성에 대한 기술 언급이 없으며, 액상 접착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액형 접착제는 용매사용에 따른 환경적 이슈, 제조 공정측면에서도 경제성의 단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압출을 통하여 PVC/접착수지/PE의 간단한 다층 필름 또는 시트 제조 가능하며, 혹은 핫프레싱 공정을 통해 다층 성형을 할 수도 있는 수지 형태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상기 목표를 위해 시행한 실험에 따르면, PVC/PE를 접착하기 위하여 비닐아세테이트(EVA)가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EVA의 경우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으며, 또는 연질의 물성 특성으로 인하여 박리평가 시 접착력이 저해되어 단독 접착층으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06365호 (2013.01.16)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5-060918호 (1995.06.28)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7-201863호 (2008.02.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41035호 (2008.07.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27046호 (2009.03.1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19583호 (2009.11.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특정 조성의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접착용 수지를 제조하는 경우, 기존의 액상형 접착제가 가지는 휘발성용매의 사용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다층성형 또는 핫프레싱에도 적용 가능한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40~70중량%; (b)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공중합체 10~40중량%; (c)폴리에틸렌 3~30중량%; 및 (d)무수말레인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된 폴리올레핀 3~30중량%를 포함하는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점착부여제 1~10중량%; 또는 산화방지제 0.05~2.0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밀도가 0.86~0.91g/㎤이며, 용융유속(MFR)이 온도 190℃, 2.16kg의 하중 하에서 0.5∼25.0g/10min 및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12~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는 밀도가 0.86-0.92g/㎤이며, 용융유속(MFR)이 온도 190℃, 2.16kg의 하중 하에서 0.5∼25.0g/10min 및 아크릴릭에시드 함량이 4~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89~0.97g/㎤이며, 용융유속(MFR)이 온도 230℃, 2.16kg의 하중 하에서 0.5~12g/10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고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고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무수 말레인산(Maleic Anhydride, MAH)으로 변성한 수지이며 무수말레인산 그래프트(Graft)율이 0.1~10 중량%이며, 분자량이 200,0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제는 방향족 석유계 수지, 지방족 석유계 수지, 석유계 수지, 수소 첨가 석유계 수지, 로진산, 로진 에스테르,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또는 폴리 부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1차 산화방지제 또는 포스페이트계 2차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PVC와 폴리에틸렌을 접착하여 제조되는 다층필름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ASTM D882를 기준으로 100mm/min의 Peel 속도를 적용하여 측정된 필름의 박리강도가 0.5 kgf/1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린아크릴릭에시드, 폴리에틸렌, 무수물 변성 폴리올레핀을 최적의 범위로 포함함에 따라, PVC, 폴리에틸렌을 외층으로 하는 공압출 또는 핫프레스 다층 성형 시, 각 층간의 우수한 접착 성능과 적절한 유연성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액상형 접착제를 이용한 PVC/폴리에틸렌 접착이 용매사용에 의한 환경적인 문제가 있으며, 액상의 불균일 도포에 의한 접착 불량이 발생한다는 점을 주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린아크릴릭에시드, 폴리에틸렌, 무수물 변성 폴리올레핀을 최적의 범위로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간단한 방법으로 다층시트의 제작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핫프레싱 공법에도 적용 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40~70중량%; (b)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공중합체 10~40중량%; (c)폴리에틸렌 3~30중량%; 및 (d)무수말레인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된 폴리올레핀 3~30중량%를 포함하는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 보다 높은 접착성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높은 유연성과 탄성을 갖게 하여 공압출 다층 필름의 제조 공정에도 높은 성형성을 확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점착부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부여제로는 예컨대, 방향족 석유수지, 지방족 석유수지, 석유계 수지, 수소 첨가 석유수지, 로진산, 로진 에스터계 수지,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 부텐 또는 이들의 수첨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석유수지는 나프타 등의 고온열분해유 속에 있는 고급불포화탄화수소를 원료로 하여 산성 촉매로 중합시켜 얻는 중량평균 분자량 2,000 이하의 연한 황색 또는 흑갈색 열가소성 수지이다. 또한 상기 방향족 석유수지는 나프타 분해공정 중 올레핀 공정에서 생산되는 유분 가운데 C9 유분을 주 원료로 하여 생산되는 수지로서, 연화점은 약 80~150℃℃, 중량평균 분자량은 약 600~1,500이다. 상기 방향족 석유수지의 주요 성분은 스티렌비닐톨루엔, αα-메틸스티렌, 인덴의 공중합체이다. 또한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는 나프타 분해공정 중 올레핀 공정에서 생산되는 유분 가운데 C5 유분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수지로서, 연화점은 약 70~100℃℃, 중량평균 분자량은 약 800~2,000이다.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의 주요 성분은 이소프렌, 피페리렌-2-메틸부텐-1 등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는 디시클로펜다디엔을 원료로 제조된 석유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 첨가 석유수지는 상기 방향족 석유수지와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에 수소를 첨가하여 형성된 수지로서, 성상은 무색 투명해지고 자외선 안정성 등 전반적인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수소 첨가 석유수지는 디시클로펜다디엔을 원료로 제조되고 수소가 첨가된 석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부여제는 접착층의 기재, 특히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기재 사이의 접착력을 고려할 때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10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구성 성분들의 컴파운딩 과정상의 열화에 의한 갈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겔 발생, 용융지수(MI) 변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하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산화방지제로서 페놀계 1차 산화방지제 또는 포스페이트계 2차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IRGANOX 1010 또는 NA-11K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산화방지제는 접착층의 기재, 특히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기재 사이의 접착력을 고려할 때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05~2중량%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0.1~0.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5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밀도가 0.86~0.91g/㎤, 용융유속(MFR, 230℃℃, 2.16kg 하중)이 0.5~25g/10min 및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12~3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밀도 및 용융유속 범위 내의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사용할 경우 PVC와 폴리에틸렌 기재 사이의 접착력 향상에 적합하다.
상기 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공중합체는 밀도가 0.86~0.92g/㎤, 용융유속(MFR, 230℃℃, 2.16kg 하중)이 0.5~25g/10min 및 아크릴릭에시드 함량이 4~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밀도 및 용융유속 범위 내의 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할 경우 PVC와 폴리에틸렌 기재 사이의 접착력 향상에 적합하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89~0.97g/㎤이며, 용융유속(MFR)이 온도 230℃, 2.16kg의 하중 하에서 0.5~12g/10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무수말레인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된 폴리올레핀은, 무수말레인산 혹은 그 유도체로 변성 과정을 거치는 반응압출법 혹은 솔루션 법에 의해 제조 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 80중량% 이상, 과산화물 개시제 0.02 내지 1 중량%, 무수 말레인산 또는 그 유도체 0.7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수지에 대한 무수말레인산 또는 그 유도체에 의한 그라프트율은 0.1~10 중량% 이상인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변성된 폴리올레핀은 분자량이 200,0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200,000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수지와의 혼합이 어려워져 접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과산화물 개시제라 함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 라디칼을 생성시켜서 폴리올레핀에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 반응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화합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과산화물 개시제로는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DTBPH, 2,5-Dimethyl 2,5-Di(t-butylperoxy) hexane], DCPO(dicumyl perox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수물 변성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으로는 고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고폴리에틸린, 저밀도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사용 될 수 있다.
이러한 과산화물 개시제는 특히 PVC와 폴리에틸렌 기재 사이의 접착력을 고려할 때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02 내지 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된 폴리올레핀, 점착부여제 및 산화방지제를 단순 혼합한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높은 접착력 및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면서 향상된 탄성 및 유연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된 폴리올레핀, 점착부여제 및 산화방지제 간의 반응 압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압출물은 상기 성분들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 압출물은 150~220℃℃ 온도에서 상기 성분들을 용융 압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반응 압출은 2축 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150~220℃℃ 온도 범위에서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인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된 폴리올레핀 및 산화방지제를 메인 피더(main feeder)를 통해서 함께 투입하고, 분자량이 낮은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점착부여제는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통하여 투입할 수 있다.
종래 다층 필름용 접착 재료들은 주로 솔루션(solution)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는데, 이러한 종래 접착 재료들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거나 성형성 또는 유연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서 공압출 다층 필름의 제조공정에 적용하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특정의 성분을 포함하고, 이들이 반응 압출하여 복합체로 형성됨으로써 고온이나 저온 경시 변화에도 우수한 접착 성능과 향상된 유연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면서도 공압출 다층 필름의 제조공정 등 다양한 제조공정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 압출물은 필름 등의 형태로 성형이 용이한 펠렛(pellet) 형태로 얻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단위: 중량%)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고 40mm 2축 압출기로 150~220℃℃의 온도에서 압출하여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58.8 24.8 66.8 79.8 16.8 56.8
폴리에틸렌 5 20 5 17 40 30 
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공중합체 23 35 10 0 10 5
무수물 변성 폴리올레핀 10 17 15 0 30 5
점착부여제 3 3 3 3 3 3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2) 다층 필름의 제조
단층으로 제조된 PVC필름 상기 접착성 수지조성물(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 의해 제조된 접착성 수지 필름 및 폴리에틸렌(PE) 필름을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다층 합지(PVC/접착수지/PE)하였다. 핫프레싱 온도는 180℃℃ 에서 30초간 50bar로 합지하였다.
실험예
(1) 박리강도 측정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다층 필름에 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ASTM D882를 기준으로 100mm/min의 Peel 속도를 적용하여 필름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박리강도 (kgf/15mm) 1.2 0.9 0.8 0.3 0.1 0.3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ASTM D882를 기준으로 100mm/min의 Peel 속도 적용 시, 박리강도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a)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24.8~66.8중량%;
    (b)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공중합체 10~35중량%;
    (c)폴리에틸렌 5~20중량%; 및
    (d)무수말레인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된 폴리올레핀 10~17중량%;
    를 포함하는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고,
    점착부여제 1~10중량%; 및
    산화방지제 0.05~2.0중량%;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PVC와 폴리에틸렌을 접착하여 제조되는 다층필름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ASTM D882를 기준으로 100mm/min의 Peel 속도를 적용하여 측정된 필름의 박리강도가 0.8 kgf/1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밀도가 0.86~0.91g/㎤이며, 용융유속(MFR)이 온도 190℃, 2.16kg의 하중 하에서 0.5∼25.0g/10min 및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12~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는 밀도가 0.86-0.92g/㎤이며, 용융유속(MFR)이 온도 190℃, 2.16kg의 하중 하에서 0.5∼25.0g/10min 및 아크릴릭에시드 함량이 4~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89~0.97g/㎤이며, 용융유속(MFR)이 온도 230℃, 2.16kg의 하중 하에서 0.5~12g/10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고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고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무수 말레인산(Maleic Anhydride, MAH)으로 변성한 수지이며 무수말레인산 그래프트(Graft)율이 0.1~10 중량%이며, 분자량이 200,0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여제는 방향족 석유계 수지, 지방족 석유계 수지, 석유계 수지, 수소 첨가 석유계 수지, 로진산, 로진 에스테르,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또는 폴리 부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1차 산화방지제 또는 포스페이트계 2차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9. 삭제
KR1020160124655A 2016-09-28 2016-09-28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187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55A KR101878065B1 (ko) 2016-09-28 2016-09-28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55A KR101878065B1 (ko) 2016-09-28 2016-09-28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90A KR20180034890A (ko) 2018-04-05
KR101878065B1 true KR101878065B1 (ko) 2018-07-12

Family

ID=6197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655A KR101878065B1 (ko) 2016-09-28 2016-09-28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7148B (zh) * 2022-10-31 2023-08-22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210B1 (ko) * 1991-04-10 1995-09-29 에어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점착성의 수성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현탁액을 포함하는 압감성 접착제
KR20000041503A (ko) * 1998-12-22 2000-07-15 유현식 열접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100411947B1 (ko) * 2001-06-18 2003-12-18 (주)그린폴 폐 pvc/pe계 고분자 혼합물
KR100446313B1 (ko) * 2001-06-20 2004-08-30 장홍근 열가소성 수지계 적층물, 그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458828B1 (ko) * 2013-09-10 2014-11-07 주식회사 해피론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1540740B1 (ko) * 2013-11-22 2015-07-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알루미늄 복합 판넬
KR20160054206A (ko) * 2014-11-06 2016-05-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식품 포장용 다층 필름에 적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20160056526A (ko) * 2014-11-12 2016-05-2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210B1 (ko) * 1991-04-10 1995-09-29 에어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점착성의 수성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현탁액을 포함하는 압감성 접착제
KR20000041503A (ko) * 1998-12-22 2000-07-15 유현식 열접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100411947B1 (ko) * 2001-06-18 2003-12-18 (주)그린폴 폐 pvc/pe계 고분자 혼합물
KR100446313B1 (ko) * 2001-06-20 2004-08-30 장홍근 열가소성 수지계 적층물, 그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458828B1 (ko) * 2013-09-10 2014-11-07 주식회사 해피론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1540740B1 (ko) * 2013-11-22 2015-07-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알루미늄 복합 판넬
KR20160054206A (ko) * 2014-11-06 2016-05-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식품 포장용 다층 필름에 적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20160056526A (ko) * 2014-11-12 2016-05-2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90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1668B2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978070B1 (en) Adhesive and layered product made with the same
EP2110408B1 (en) Adhesive and multilayer body using the same
EP2225340B1 (en) Improved tie-layer adhesives for styrene polymers and articles
US20040097637A1 (en) Adhesiv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TWI754073B (zh) 黏著劑組成物及使用該黏著劑組成物之熱黏附性構件
KR101395274B1 (ko)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EP2988935B1 (en) Tie-layer adhesives for styrenic multi-layer structures
KR101649414B1 (ko)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0851599B1 (ko) 알루미늄 하니컴 판넬용 접착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0300783B (zh) 电池用叠层体
KR101540740B1 (ko)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알루미늄 복합 판넬
KR101639485B1 (ko) 식품 포장용 다층 필름에 적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성 수지 조성물
CN110050050B (zh) 粘合性树脂组合物、氟类树脂粘合用膜、层叠体及层叠体的制造方法
JP6464661B2 (ja) 易開封性包装材料
KR102553410B1 (ko) 적층체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KR101878065B1 (ko) Pvc/폴리에틸렌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2410585B1 (ko)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
KR101878066B1 (ko) Pvc/폴리프로필렌 다층 접착을 위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WO2021106848A1 (ja) 接着剤組成物、接着シート、積層体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EP4357129A1 (en) Adhesiv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film
JP2020111745A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EP3546539B1 (en) Roll-shaped body
WO2018155448A1 (ja)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共押出シート
KR100188179B1 (ko) 직접 접착이 가능하고, 저온 열봉합성 및 이지필성이 우수한 압출 라미네이션용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