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697B1 - 변속 기구 - Google Patents

변속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697B1
KR101877697B1 KR1020177018564A KR20177018564A KR101877697B1 KR 101877697 B1 KR101877697 B1 KR 101877697B1 KR 1020177018564 A KR1020177018564 A KR 1020177018564A KR 20177018564 A KR20177018564 A KR 20177018564A KR 101877697 B1 KR101877697 B1 KR 101877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sprocket
guide rod
radi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202A (ko
Inventor
히로시 단게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52Pulleys or friction discs of adjustable construction
    • F16H55/54Pulleys or friction discs of adjustable construction of which the bearing parts are radially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2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chains or toothed belts, belts in the form of links; Chains or belts specially adapted to such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provided with radially-actuatable elements carrying the be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Abstract

동력이 입출력되는 회전축(1)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가동으로 지지되는 피니언 스프로킷(20)과, 피니언 스프로킷(20)을 회전축(1)의 축심(C1)으로부터 등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직경 방향으로 동기시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갖는 복합 스프로킷(5)과, 2세트의 복합 스프로킷(5), (5)에 감아 걸린 체인(6)을 구비하고, 피니언 스프로킷(20)을 둘러싸면서 또한 접하는 원의 반경을 변경함으로써 변속비를 변경하는 변속 기구이다. 복수의 가이드 로드(29)는 접원 A의 반경의 크기에 구애되지 않고 항상 체인(6)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로드(291)와, 적어도 접원 A의 반경이 가장 클 때에 체인(6)을 안내함과 함께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로드(292)를 갖는다. 이에 의해, 레시오 커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속 기구{TRANSMISSION MECHANISM}
본 발명은 회전축에 대하여 등거리를 유지하면서 직경 방향으로 가동으로 지지되어 회전축의 축심에 대하여 공전(회전축과 일체 회전)하는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과 이들에 감아 걸린 체인에 의해 동력 전달되는 변속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에 구동 벨트가 감아 걸린 변속기가 실용화되어 있다. 이 변속기에서는, 각 풀리의 가동 시브에 가하는 추력에 의해 각 풀리와 구동 벨트 사이에 발생한 마찰력이 사용된다.
이러한 변속기에서는, 큰 동력을 전달할 때에 추력을 증대시켜 마찰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때, 추력용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일 펌프를 구동하는 구동원(엔진 또는 전동 모터)의 부담이 증대되어, 이것에 관한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를 초래해 버릴 우려가 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미끄럼이 발생하는 부분에서는 마찰 손실이 발생해 버린다.
그래서, 상기한 추력이나 마찰력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과 이들에 감아 걸린 체인에 의해 동력 전달되는 변속 기구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변속 기구로서는, 회전축의 축심에 대하여 등거리를 유지하면서 직경 방향으로 가동이면서도 또한 회전축과 일체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회전축의 축심에 대하여 공전하는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 및 가이드 로드 각각에 의해 다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 외관상의 대 스프로킷(이하, 「복합 스프로킷」이라고 함)이, 입력측 및 출력측 각각에 설치되고, 이들 복합 스프로킷에 감아 걸린 체인에 의해 동력 전달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체인은, 피니언 스프로킷의 원주 상에 설치된 톱니에 맞물려 동력 전달함과 함께, 가이드 로드에 의해 안내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주위 방향으로 복수 설치된 피니언 스프로킷 및 가이드 로드의 축 방향 단부측의 각각에 2종의 디스크(스핀들)가 병설되고, 각각의 디스크에 방사상 홈이 형성되고,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고정 디스크의 방사상 홈(이하, 「고정 방사상 홈」이라고 함)과 회전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가동 디스크의 방사상 홈(이하, 「가동 방사상 홈」이라고 함)이 서로 축 방향에서 보아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고정 방사상 홈과 가동 방사상 홈이 교차하는 개소에 피니언 스프로킷 및 가이드 로드가 지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고정 디스크와 가동 디스크의 상대 각도(위상)가 변경되면, 고정 방사상 홈과 가동 방사상 홈의 교차 개소가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로 인해, 이러한 교차 개소에 지지된 피니언 스프로킷 및 가이드 로드 각각은, 양쪽 디스크의 상대 회전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피니언 스프로킷 및 가이드 로드 각각이 회전축의 축심에 대하여 등거리를 유지하면서 동기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다각형의 크기가 상사적으로 변화하여, 피니언 스프로킷을 모두 둘러싸서 접하는 원(접원)의 반경이 변경됨으로써, 변속비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변속 기구의 레시오 커버리지(변속비의 가동 범위)를 확대시키는 것은 유효하다. 예를 들어, 차량의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레시오 커버리지의 확대는, 차량의 가속 성능이나 연비 성능의 향상에 공헌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변속 기구에서는,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 및 가이드 로드 각각이 회전축의 축심에 대하여 등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레시오 커버리지의 확대가 제한되어 버린다. 그것은,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 및 가이드 로드 각각이, 소정의 직경 방향 위치보다도 내측에서는 서로 간섭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미국 특허 제7713154호 명세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레시오 커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한, 변속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목적에 한하지 않고,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하는 각 구성에 의해 도출되는 작용 효과이며,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는 얻지 못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다.
(1)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변속 기구는, 동력이 입력 또는 출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가동으로 지지된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 및 복수의 가이드 로드와, 상기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 및 복수의 가이드 로드 각각을 상기 회전축의 축심으로부터 등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직경 방향으로 동기시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갖는 복합 스프로킷 2세트와, 상기 2세트의 복합 스프로킷에 감아 걸린 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을 모두 둘러싸면서 또한 상기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의 어느 것에도 접하는 원의 반경인 접원 반경의 변경에 의해 변속비를 변경하는 변속 기구이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로드는, 상기 접원의 반경의 크기에 구애되지 않고 항상 상기 체인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로드와, 적어도 상기 접원의 반경이 가장 클 때에 상기 체인을 안내함과 함께 상기 접원의 반경이 가장 작을 때에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로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적어도 상기 접원의 반경이 가장 클 때에, 상기 회전축의 축심으로부터의 상기 제1 가이드 로드의 거리와 상기 회전축의 축심으로부터의 상기 제2 가이드 로드의 거리가 동등하다.
(2) 상기 접원의 반경이 소정 직경 이상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가이드 로드 및 상기 제2 가이드 로드가 상기 회전축의 축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접원의 반경이 상기 소정 직경 미만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보다도 상기 제2 가이드 로드가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제1 가이드 로드 및 상기 제2 가이드 로드는, 주위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접원의 반경이 가장 작을 때에, 상기 제2 가이드 로드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맞닿고,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는 상기 제2 가이드 로드의 외주면에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의 각 지지 부재가 내부 삽입됨과 함께 외주를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에 대하여 지각측 및 진각측 중 어느 한쪽으로 시프트해 가도록 형성된 고정 방사상 홈이 복수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일체 회전하는 고정 디스크와, 상기 고정 방사상 홈 각각과 축 방향에서 보아 교차하는 교차 개소에 상기 지지 부재가 위치하는 가동 방사상 홈이 복수 형성되고, 상기 고정 디스크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되면서, 또한 상대 회전 가능한 가동 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 스프로킷은, 상기 접원의 반경이 가장 작을 때에 상기 접원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체인과 맞물리는 톱니부를 갖는 섹터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톱니부는, 적어도 1톱니가 상기 고정 방사상 홈의 홈폭 내에 존재하도록 배치된 제1 톱니부와, 상기 제1 톱니부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연장 설치된 제2 톱니부를 갖고, 상기 제2 가이드 로드는, 상기 접원의 반경이 가장 작을 때에, 상기 제2 톱니부에 대하여 직경 방향 내측의 공간 또는 상기 공간의 주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상기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은, 자전하지 않는 하나의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과, 그 밖의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변속 기구에 의하면, 접원의 반경이 가장 작을 때에, 제2 가이드 로드와 제1 가이드 로드 혹은 피니언 스프로킷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접원의 반경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결과적으로 레시오 커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의 복합 스프로킷 및 체인에 주목한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직경 방향 단면도(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의 복합 스프로킷 및 체인에 주목한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축 방향 단면도(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의 고정 디스크에 주목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도 3은,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보아 A-A에 대응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의 가동 디스크에 주목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도 4는,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보아 B-B에 대응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에 있어서 피니언 스프로킷 등의 직경 방향 이동용 고정 디스크 및 가동 디스크와 이들에 의해 이동되는 피니언 스프로킷 및 가이드 로드를 나타내고, 스프로킷 이동 기구 및 로드 이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 (b), (c)의 순으로 접원의 반경이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접원의 반경이, 가장 작은 것을 (a)에 도시하고, 가장 큰 것을 (c)에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의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이 도 6은, 도 2의 C-C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의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이 도 7은 도 2의 D-D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을 모두.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의 제1 캠 홈 및 제2 캠 홈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 도 8은, 도 2의 E-E 화살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의 복합 스프로킷에 주목한 주요부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직경 방향 단면도(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의 피니언 스프로킷의 하나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의 복합 스프로킷 및 체인에 주목한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직경 방향 단면도(횡단면도)이다. 이 도 11은, 도 1에 대응하는 개소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의 복합 스프로킷 및 체인에 주목한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축 방향 단면도(종단면도)이다. 이 도 12는, 도 2에 대응하는 개소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속 기구에 관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변속 기구는, 차량용 변속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축심 혹은 이 축심에 평행한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고, 회전축의 축심을 기준으로 직경 방향 및 주위 방향 각각을 정한다. 직경 방향을 기준으로 말하는 내측 또는 외측은, 회전축의 축심에 대한 거리(반경)가 짧은 측 또는 긴 측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공전 방향을 기준으로 진각측 및 지각측을 정한다.
〔I.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기구는, 2세트의 복합 스프로킷(5, 5)과, 이들 복합 스프로킷(5, 5)에 감아 걸린 체인(6)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체인(6)으로서 사일런트 체인을 예시하지만, 체인(6)으로서 롤러 체인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백색의 화살표는 공전 방향을 나타낸다.
2세트의 복합 스프로킷(5, 5) 중 한쪽은, 입력측의 회전축(1)(입력축)과 동심으로 일체 회전하는 1세트의 복합 스프로킷(5)(도 1에서는 좌측에 나타냄)이며, 다른 쪽은, 출력측의 회전축(1)(출력축)과 동심으로 일체 회전하는 복합 스프로킷(5)(도 1에서는 우측에 나타냄)이다. 이들 복합 스프로킷(5, 5)은 각각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로 입력측의 복합 스프로킷(5)에 주목하여, 그 구성을 설명한다.
복합 스프로킷(5)이란,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복수의 가이드 로드(29)가 다각형(여기서는 18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 외관상의 대 스프로킷을 의미한다. 이 복합 스프로킷(5)은, 회전축(1)과, 이 회전축(1)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가동으로 지지된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축(1)의 축심 C1을 중심으로 한 원주의 주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6개의 피니언 스프로킷(20)이 배치되고, 또한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상호간에는, 각각 2개의 가이드 로드(29)가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가 다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 외관상의 대 스프로킷의 외경, 즉 복합 스프로킷(5)의 외경을 변경(직경 확장 축소)함으로써, 변속 기구의 변속비가 변경된다. 이 변속 기구는, 변속비를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무단 변속 기구로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변속비를 단계적으로 변경하여 다단의 유단 변속 기구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복합 스프로킷(5)의 외경은,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20)을 모두 둘러싸면서 또한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어느 것에도 접하는 원(이하, 「피니언 접원 A」라고 함)의 반경에 대응한다. 즉, 피니언 접원 A의 직경이 복합 스프로킷의 외경이다.
상기한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은,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20)과 체인(6)의 접촉 반경, 즉 복합 스프로킷(5)의 피치원의 반경에도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변속 기구에서는,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변경됨으로써, 체인(6)의 권취 반경이 변경되어, 변속비가 변경된다.
도 1에는 피니언 접원 A가 입력측에서 최소이며 출력측에서 최대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피니언 접원 A에 대하여, 최소인 것을 최소 피니언 접원 A1이라고 칭하고, 최대인 것을 최대 피니언 접원 A2라고 칭한다. 또한, 크기 또는 길이에 주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히 피니언 접원 A라고 칭한다.
도 1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복합 스프로킷(5)은, 고정 디스크(10)에 대하여 가동 디스크(19)를 상대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와,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20)을 이동시키는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와, 복수의 가이드 로드(29)를 이동시키는 로드 이동 기구(40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상세를 후술한다.
이하, 변속 기구의 복합 스프로킷(5)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합 스프로킷(5)에 관한 구성의 설명에서는,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서, 회전축(1)과 일체로 회전하는 고정 디스크(10), 고정 디스크(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디스크(19), 고정 디스크(10)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 회전부(15), 가동 디스크(19)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 회전부(16), 체인(6)에 맞물리는 피니언 스프로킷(20), 체인(6)을 안내(가이드)하는 가이드 로드(29)의 순으로 설명한다. 그 다음에,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작동시키는 기구류로서,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 로드 이동 기구(40B)의 순으로 설명한다.
고정 디스크(10), 가동 디스크(19), 제1 회전부(15), 제2 회전부(16)는, 회전축(1)의 축심 C1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고, 디스크(10, 19)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은 회전축(1)의 직경 방향과 일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의 축 방향 양단측(도 2에 있어서의 상단측 및 하단측) 각각에, 고정 디스크(10)와 가동 디스크(19)가 서로 인접하여 장비되고, 회전축(1)의 축 방향 중간부에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 그리고 이들에 감아 걸린 체인(6)이 배치된다. 또한, 고정 디스크(10) 및 가동 디스크(19) 중 가동 디스크(19) 쪽이, 축 방향 내측, 즉 피니언 스프로킷(20), 가이드 로드(29), 체인(6)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동단면에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 그리고 후술하는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를 나타내고, 입력측의 복합 스프로킷(5)과 출력측의 복합 스프로킷(5) 사이에 간격을 두어 나타내고 있다.
〔1-1. 고정 디스크 및 가동 디스크〕
고정 디스크(10) 및 가동 디스크(19)는,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복수의 가이드 로드(29)의 축 방향 양단부에 각각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지만, 여기에서는, 일측에 설치된 고정 디스크(10), 가동 디스크(19)에 주목하여, 그 구성을 설명한다.
〔1-1-1. 고정 디스크〕
고정 디스크(10)는 회전축(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모두 회전축(1)과 일체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디스크(10)에는,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20)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과 복수의 가이드 로드(29)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2)(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의 2종의 고정 방사상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의 백색의 화살표는 공전 방향을 나타낸다.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은 대응하는 피니언 스프로킷(20)을 안내하기 위한 홈이다. 즉,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은 대응하는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직경 방향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 각각은, 배치 개소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하나의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에는,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제1 지지부(216)가 내부 삽입된다. 이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은 고정 디스크(10)에 있어서의 제1 직경 방향 Dr1에 대하여 지각측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즉,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은 외주(직경 방향 외측)를 향함에 따라 제1 직경 방향 Dr1에 대하여 지각측으로 시프트해 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직경 방향 Dr1」이란,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내주 단부(11a)를 통과하는 직경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연장되는 방향 DS1은, 제1 직경 방향 Dr1에 대하여, 제1 경사각 θ1로 지각측으로 경사져 있다.
여기에서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연장되는 방향 DS1과 평행한 제2 직경 방향 Dr2가,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보다도 지각측에 존재한다. 반대로 말하면, 제2 직경 방향 Dr2를 흑색 도포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진각측으로 평행 이동(시프트)시키면,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연장되는 방향 DS1과 일치한다. 또한, 제2 직경 방향 Dr2는, 회전축(1)의 축심 C1을 통과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2) 각각에는, 가이드 로드(29)의 로드 지지축(29a)이 내부 삽입된다. 이러한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2)은 대응하는 가이드 로드(29)를 안내하기 위한 홈이다. 즉,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2)은 대응하는 가이드 로드(29)의 직경 방향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2)은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 및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모두 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의 2종으로 크게 구별된다.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의 내주 단부(13a)는,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의 내주 단부(14a)보다도,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한 거리가 멀다. 즉,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의 내주 단부(13a)는,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의 내주 단부(14a)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한편,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의 외주 단부(13b)와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의 외주 단부(14b)의 각각은,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한 거리가 동등하다.
여기에서는, 상기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과 마찬가지로,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2)이,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에 대하여 지각측으로 시프트해 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말하면,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의 연장되는 방향 DS2는, 제3 직경 방향 Dr3에 대하여 제2 경사각 θ2로 지각측으로 경사져 있다. 「제3 직경 방향 Dr3」이란,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의 내주 단부(13a)를 통과하는 직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의 연장되는 방향 DS3은, 제4 직경 방향 Dr4에 대하여 제3 경사각 θ3으로 지각측으로 경사져 있다. 「제4 직경 방향 Dr4」란,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의 내주 단부(14a)를 통과하는 직경 방향을 의미한다.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에 관한 제2 경사각 θ2는,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에 관한 제3 경사각 θ3보다도 크다. 그로 인해,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은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보다도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상호간에,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과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의 2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 각각은, 배치 개소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 각각은, 배치 개소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 14)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을 때에는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2)이라고 칭한다.
고정 방사상 홈(11, 12)의 각 홈폭은, 내부 삽입되는 부재의 외경에 대응하는 홈폭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홈폭이 내부 삽입되는 부재의 외경보다도 미소하게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내부 삽입되는 부재는, 원활하게 고정 방사상 홈(11, 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내부 삽입 부재인 지지 부재(216), 지지축(29a)에 대해서는 상세를 후술한다.
〔1-1-2. 가동 디스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디스크(19)는,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를 사이에 두고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설치된다. 이들 가동 디스크(19)는, 연결 샤프트(19A)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상호간에 각각 연결 샤프트(19A)(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일측의 가동 디스크(19)와 타측의 가동 디스크(19)가 일체로 회전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디스크(19)(도 5에는 파선으로 나타냄)에는, 상기한 고정 방사상 홈(11, 12) 각각과 축 방향에서 보아 교차하는 복수의 가동 방사상 홈(19a, 19b)(모두 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하고, 도 5에는 파선으로 나타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디스크(19)의 외형은 원형이며, 축 방향에서 보아 고정 디스크(10)의 외형(원형)과 일치하게 중합하지만, 편의상, 도 5에서는 가동 디스크(19)의 외형 원을 축소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백색의 화살표는 공전 방향을 나타낸다.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9a) 각각은, 대응하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과 축 방향에서 보아 교차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9a)에는,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제2 지지부(217)가 내부 삽입된다. 여기에서는,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9a)이, 직경 방향에 대하여 지각측으로 경사져 있고,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b)에는, 가이드 로드(29)의 로드 지지축(29a)이 내부 삽입된다. 이러한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b)은, 대응하는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2)과 축 방향에서 보아 교차한다. 이러한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b)은,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 각각과 축 방향에서 보아 교차하는 제1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1)과,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 각각과 축 방향에서 보아 교차하는 제2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2)으로 크게 구별된다.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2)과 마찬가지로, 제1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1)의 내주 단부는, 제2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2)의 내주 단부보다도,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한 거리가 멀다. 한편, 제1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1)의 외주 단부와 제2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2)의 외주 단부 각각은,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한 거리가 동등하다.
가동용 방사상 홈(19a, 19b)의 각 홈폭은, 내부 삽입되는 부재의 외경에 대응하는 홈폭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홈폭이 내부 삽입되는 부재의 외경보다도 미소하게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내부 삽입되는 부재는, 원활하게 가동용 방사상 홈(19a, 19b)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내부 삽입되는 부재인 제2 지지부(217), 로드 지지축(29a)에 대해서는, 상세를 후술한다.
〔1-2. 제1 회전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5)는 고정 디스크(10)와 일체 회전하는 부분, 즉 회전축(1)과 일체 회전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제1 회전부(15)가 회전축(1)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회전부(15)는 고정 디스크(10) 및 가동 디스크(19)보다도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5)에는, 제1 캠 홈(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캠 홈(15a)은, 회전축(1)의 축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만들어져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캠 홈(15a)이 회전축(1)의 축심 C1과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는 제1 캠 홈(15a)(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이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소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지만, 제1 캠 홈(15a)의 형성 개소나 형성 개수는, 주위의 구성이나 요구 사양 등에 따라 설정하면 되며, 다양한 형상이나 개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의 백색의 화살표는 공전 방향을 나타낸다.
〔1-3. 제2 회전부〕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부(16)는 가동 디스크(19)와 접속부(17)를 개재시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의 백색의 화살표는 공전 방향을 나타낸다.
먼저, 접속부(17)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속부(17)는 가동 디스크(19) 및 제2 회전부(16)와 일체로 회전하고, 고정 디스크(10)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접속부(17)는 고정 디스크(10)의 외주를 덮는 축 방향 접속부(17a)와, 고정 디스크(10)의 축 방향 외측을 덮는 직경 방향 접속부(17b)를 갖는다.
접속부(17)에 있어서는, 가동 디스크(19)와 제2 회전부(16)의 접속 중 축 방향 성분의 이격분을 접속하고 있는 것이 축 방향 접속부(17a)이며, 직경 방향의 이격분을 접속하고 있는 것이 직경 방향 접속부(17b)이다.
축 방향 접속부(17a)는, 회전축(1)의 축심 C1과 동심에 설치됨과 함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축 방향 접속부(17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 내측이 가동 디스크(19)의 외주 단부(외주부)(19t)에 결합되고, 축 방향 외측이 다음에 설명하는 직경 방향 접속부(17b)에 접속되어 있다.
직경 방향 접속부(17b)는, 직경 방향 외측이 축 방향 접속부(17a)에 접속되고, 직경 방향 내측이 제2 회전부(16)에 접속되어 있다. 이 직경 방향 접속부(17b)는, 회전축(1)의 축심 C1과 동심에 설치됨과 함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반으로부터 다음에 설명하는 두께 감소부(17c)에 의해 두께 감소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방향 접속부(17b)에는, 두께 감소부(17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3개소에 형성된 부채형의 두께 감소부(17c)가, 상호간에 직경 방향 접속부(17b)를 사이에 두고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두께 감소부(17c)의 형상이나 형성 개수는, 주위의 구성이나 요구 사양 등에 따라 설정하면 되며, 다양한 형상이나 개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단, 두께 감소부(17c)가 생략되고, 원반상으로 직경 방향 접속부(17b)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도 2,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2 회전부(16)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회전부(16)는 가동 디스크(19)의 외주 단부(19t)에 상기한 접속부(17a, 17b)를 개재시켜 연결됨과 함께 제1 회전부(15) 근방의 외주를 덮도록 설치되고, 회전축(1)의 축심 C1과 동심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회전부(16)에는, 제2 캠 홈(1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캠 홈(16a)은, 제1 캠 홈(15a)의 외주에 인접함과 함께 회전축(1)을 따라 형성되고, 직경 방향에서 보아 제1 캠 홈(15a)과 교차한다. 또한, 제2 캠 홈(16a)은 축 방향에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제2 캠 홈(16a)(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이 3개소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지만, 제2 캠 홈(16a)의 형성 개소나 형성 개수는, 제1 캠 홈(15a)의 형성 개소나 형성 개수에 따라 설정된다.
〔1-4. 피니언 스프로킷 및 가이드 로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는, 회전축(1)의 축심 C1 주위로 공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공전」이란,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 각각이, 회전축(1)의 축심 C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축(1)이 회전하면, 이 회전에 연동하여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 각각이 공전한다. 즉, 회전축(1)의 회전수와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가 공전하는 회전수는 동등하다.
이들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는, 공전하기만 하고 자전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말하는 「자전」이란,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 각각이, 자신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1-4-1. 피니언 스프로킷〕
피니언 스프로킷(20)은 회전축(1)의 축심 C1을 중심으로 한 원주의 주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피니언 스프로킷(210), 제2 피니언 스프로킷(220), 제3 피니언 스프로킷(230), 제4 피니언 스프로킷(240), 제5 피니언 스프로킷(250), 제6 피니언 스프로킷(260)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피니언 스프로킷(210, 220, 230, 240, 250, 260)은 배치 개소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피니언 스프로킷(210, 220, 230, 240, 250, 260)을 통합하여 간단히 피니언 스프로킷(20)이라고 칭한다. 또한, 제1 피니언 스프로킷(210)에 주목하여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는 축 방향으로 1열의 피니언 스프로킷(210)이 설치된 것을 예시한다. 단, 피니언 스프로킷(210)의 열수는, 예를 들어 변속 기구의 전달 토크의 크기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제1 피니언 스프로킷(210)은 본체부(211)와 지지 부재(215)를 갖는다.
본체부(211)는 톱니부(212)와 기초부(213)를 갖는다.
톱니부(212)는 기초부(213)의 직경 방향 외측에 설치되고, 체인(6)과 맞물린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부(212)는 복수(여기서는 4개)의 톱니를 갖는다. 즉, 제1 피니언 스프로킷(210)은 톱니부(212)는 전체 둘레가 아니고 일부에 설치되고, 섹터 기어(부채형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톱니부(212)는 최소 피니언 접원 A1의 원주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소 피니언 접원 A1이 된 상태에서는, 톱니부(212)에 있어서 각 톱니의 선단(외주 단부)이 최소 피니언 접원 A1에 접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의 백색의 화살표는 공전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톱니부(212)는 제1 톱니부(22a)와 제2 톱니부(22b)로 크게 구별된다.
제1 톱니부(22a)는, 적어도 1톱니(1개의 톱니)가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홈폭 내에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즉,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홈에 제1 톱니부(22a)의 적어도 1톱니가 축 방향에서 보아 중복된다. 여기에서는, 톱니부(212)에 있어서의 진각측의 2개의 톱니가 제1 톱니부(22a)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제2 톱니부(22b)는, 제1 톱니부(22a)로부터 지각측으로 연장 설치된 부위이다. 이 제2 톱니부(22b)는, 제1 톱니부(22a)에 대하여,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연장되는 방향 DS1과 평행한 제2 직경 방향 Dr2의 영역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톱니부(22b)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연장되는 방향 DS1과 이것에 평행한 제2 직경 방향 Dr2의 거리 이상으로, 제1 톱니부(22a)에 대하여 오프셋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톱니부(212)에 있어서의 지각측의 2개의 톱니가 제2 톱니부(22b)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기초부(213)는 제2 톱니부(22b)의 직경 방향 내측이 절결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환언하면, 기초부(213)의 지각측이며 제2 톱니부(22b)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초부(213)는 다음에 설명하는 지지 부재(215)에 의해 지지된다.
도 2,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15)는 축 방향 단부부터 순서대로 제1 지지부(216), 제2 지지부(217), 제3 지지부(218)를 갖고, 제1 피니언 스프로킷(2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216)와 제2 지지부(217)가 결합되고, 제2 지지부(217)와 제3 지지부(218)가 결합되어 있다.
제1 지지부(2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에 내부 삽입된다. 즉, 제1 지지부(216)의 축 방향 위치와 고정 디스크(10)의 축 방향 위치는 동일하다. 이 제1 지지부(216)는 직경 방향의 소정 길이에 걸쳐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에 접촉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피니언 스프로킷(210)을 자전시키는 회전력이 작용했을 때에, 제1 지지부(216)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에 대하여 회전력을 전달함과 함께, 이 회전력의 반작용(항력)으로 제1 피니언 스프로킷(210)의 자전을 방지한다.
즉, 제1 지지부(216)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에 있어서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부(216)에 관한 「소정 길이」란, 제1 피니언 스프로킷(210)을 자전시키는 회전력의 항력을 확보 가능한 길이를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제1 지지부(216)는 그 길이 방향이 직경 방향을 따르고 있고, 예를 들어 직육면체상의 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은 키 홈이라고도 할 수 있다. 구동 토크의 전달 시에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내벽으로부터 제1 지지부(216)를 향하여 구동 토크가 전달된다. 환언하면, 구동 토크의 반력(구동력의 회전 반력)은, 제1 지지부(216)와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내벽에 작용한다.
또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내벽에 접하는 제1 지지부(216)의 측벽, 특히, 제1 지지부(216)의 네 코너에, 베어링을 장착하면, 제1 지지 부재(216)의 원활한 직경 방향 이동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1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9a)에 내부 삽입된다. 즉, 제2 지지부(217)의 축 방향 위치와 가동 디스크(19)의 축 방향 위치는 동일하다. 여기에서는, 제2 지지부(217)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지지부(218)는 기초부(213)에 결합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3 지지부(218)는, 제1 피니언 스프로킷(210)을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3 지지부(218)가 제2 지지부(217)보다도 소직경의 원기둥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측의 복합 스프로킷(5)에서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이 상술한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9a)과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이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에 내부 삽입되는 제1 지지부(216')의 형상도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지지부(216')로서는, 상기한 제2 지지부(217)와 같이 원기둥형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밖에도 길이 방향이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을 따라 형성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출력측의 복합 스프로킷(5)에서는,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9'a)이 상술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과 같이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이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9'a)에 내부 삽입되는 제2 지지부(217')의 형상도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217')는 직경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출력측의 복합 스프로킷(5)에서는,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9'a)과 제2 지지부(217')에 구동 토크 및 그 반력이 작용한다.
〔1-4-2. 가이드 로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 로드(29)는, 체인(6)과 회전축(1)의 축심 C1의 거리의 변동(체인(6)의 권취 반경의 변동)을 작게 하도록, 즉 회전축(1) 주위의 체인(6)의 궤도를 가능한 한 원 궤도에 접근시키도록 체인(6)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가이드 로드(29)는,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체인(6)이 권취되어 다각형의 꼭지점을 구성한다. 또한, 가이드 로드(29)는, 피니언 스프로킷(20)과 달리, 체인(6)과 맞물리지 않아 동력 전달에 기여하지 않는다.
이러한 가이드 로드(29)는, 제1 가이드 로드(291)(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 및 제2 가이드 로드(292)(모두 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의 2종으로 크게 구별된다.
제1 가이드 로드(291) 각각은, 배치 개소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로드(292) 각각은, 배치 개소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가이드 로드(291, 292)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을 때에는 가이드 로드(29)라고 칭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로드(29)는, 로드 지지축(29a)의 외주에 원통상의 가이드 부재(29b)가 외부 삽입된 것이며, 로드 지지축(29a)에 의해 지지되고, 가이드 부재(29b)의 외주면에서 체인(6)을 안내한다.
가이드 로드(29)의 축 방향 양단부(29A)(한쪽의 축 방향 단부에만 부호를 부여함)는 가이드 부재(29b)로부터 로드 지지축(29a)이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된 로드 지지축(29a)이 고정 디스크(10) 및 가동 디스크(19)에 지지된다.
즉, 가이드 로드(29)는, 로드 지지축(29a)와, 로드 지지축(29a)에 있어서의 체인(6)과 접촉하는 축 방향 위치에 부분적으로 외장된 원통상의 가이드 부재(29b)를 갖는다.
도 5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로드(291)는 직경 방향 위치(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의 크기)에 구애되지 않고 항상 체인(6)을 안내한다. 이에 반하여, 제2 가이드 로드(292)는 최소 피니언 접원 A1 또는 그 근방이 된 상태에서는 체인(6)을 안내하지 않기는 하지만, 최대 피니언 접원 A2가 된 상태에서는 제1 가이드 로드(291)와 함께 체인(6)을 안내한다. 즉, 최대 피니언 접원 A2가 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로드(29) 모두가 체인(6)을 안내한다.
이들 가이드 로드(291, 292)의 상대적인 직경 방향 위치에 주목하여 환언하면, 제2 가이드 로드(292)는 최소 피니언 접원 A1 또는 그 근방 상태에서는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한편, 최대 피니언 접원 A2가 된 상태에서는,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한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제2 가이드 로드(292) 각각의 거리가 동등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가이드 로드(292)는 기초부(213)의 지각측이며 제2 톱니부(22b)의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된 공간 S의 주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간 S보다도 약간 지각측에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위치한다. 또한,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이루는 상태의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제2 톱니부(22b)에 대하여 직경 방향 내측의 공간 S에 위치해도 된다. 이 경우, 기초부(213)의 지각측의 절결량을 많게 함과 함께, 제2 가이드 로드(292)에 관한 방사상 홈(14, 192)이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로드(291, 292)의 직경 방향 위치가 상술한 위치가 되도록,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 14) 및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1, 192)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제2 가이드 로드(292)는 주위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피니언 스프로킷(210)의 지각측에, 제2 가이드 로드(292), 제1 가이드 로드(291)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29)는,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상호간에 각각 2개가 설치되는 배치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총 개수가 1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로드(29)의 개수를 많게 할수록 복합 스프로킷(5)을 진원에 접근시켜, 체인(6)과 회전축(1)의 축심 C1의 거리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특히 제1 가이드 로드(291)의 개수가 많을수록 최소 피니언 접원 A1의 반경의 확대를 초래할 우려가 있고, 이외에도 부품의 증가에 의한 제조 비용이나 중량의 증가를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들을 고려하여 가이드 로드(29)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상대 회전 구동 기구〕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는 복합 스프로킷(5, 5)을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기구이다. 이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는 상술한 제1 회전부(15)에 형성된 제1 캠 홈(15a)과 제2 회전부(16)에 형성된 제2 캠 홈(16a) 외에도, 제1 캠 홈(15a)과 제2 캠 홈(16a)이 교차하는 제1 교차 개소 CP1에 배치된 캠 롤러(90)와, 이 캠 롤러(90)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변속용 포크(35)와, 이 변속용 포크(35)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 방향 이동 기구(31)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캠 롤러(90), 변속용 포크(35), 축 방향 이동 기구(31)의 순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롤러(90)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캠 롤러(90)는 회전축(1)의 축심 C1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축심을 갖고, 제1 캠 홈(15a)과 제2 캠 홈(16a)이 교차하는 제1 교차 개소 CP1(모두 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로 인해, 캠 롤러(90)는 회전축(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축(1)의 축심 C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캠 롤러(90)의 외주에는, 제1 캠 홈(15a)에 대응하는 개소에 베어링(91a)이 외장되고, 마찬가지로, 제2 캠 홈(16a)에 대응하는 개소에 베어링(91b)이 외부 끼움되어 있다.
캠 롤러(90)의 일단부(90a)는, 제1 교차 개소 CP1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캠 롤러(90)는 캠 홈(15a, 16a)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적절한 빠짐 방지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러한 빠짐 방지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어 캠 롤러(90)의 타단부에 헤드부를 설치하는 것이나 빠짐 방지 핀을 추가하여, 캠 롤러(90)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변속용 포크(35)는 2세트의 복합 스프로킷(5, 5)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변속용 포크(35)가, 축 방향에서 보아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변속용 포크(35)는 각 복합 스프로킷(5, 5)에 대응하여 설치된 원환상의 캠 롤러 지지부(35a)(일측에만 부호를 부여함)와, 각 캠 롤러 지지부(35a)를 연결하는 브리지부(35b)를 갖는다. 캠 롤러 지지부(35a)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상기한 제1 회전부(15) 및 제2 회전부(1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변속용 포크(35)는 디스크(10, 19)에 대하여 평행한 플레이트상의 부재이며, 체인(6)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디스크(10, 19)에 대하여 축 방향 외측에 병설되어 있다.
캠 롤러 지지부(35a)에는, 직경 방향 내측의 전체 둘레에 걸쳐 홈부(35c)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홈부(35c)는 캠 롤러(90)의 돌출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고, 캠 롤러(90)의 일단부(90a)를 수용하고 있다. 즉, 홈부(35c)는 직경 방향 길이가 캠 롤러(90)의 돌출 길이의 원환상 공간을 갖는다.
이 홈부(35c)에는 캠 롤러(90)와 구름 접촉할 수 있는 전동체(35d)(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동체(35d)는, 회전축(1)의 축심 C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 롤러(90)가 홈부(35c)의 측벽에 접촉했을 때에 캠 롤러(90)가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홈부(35c)의 측벽을 형성하는 캠 롤러 지지부(35a)에, 전동체(35d)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전동체(35d)가 홈부(35c)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동체(35d)로서 니들 베어링을 예시하지만, 이 대신에 볼 베어링을 사용해도 된다.
축 방향 이동 기구(31)는 변속용 포크(35)를 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모터(32)와, 모터(32)의 출력축(32a)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운동 변환 기구(33)와, 변속용 포크(35)를 지지함과 함께 운동 변환 기구(33)에 의해 직선 운동되는 포크 지지부(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모터(32)로서는 스테핑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축 방향 이동 기구(31)에 대하여, 포크 지지부(34), 운동 변환 기구(33)의 순으로 설명한다.
포크 지지부(34)는 모터(32)의 출력축(32a)과 동심의 통축을 갖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포크 지지부(34)에는, 모터(32)의 출력축(32a)이 내부 삽입되어 있다.
또한, 포크 지지부(34)는 내주에 모터(32)의 출력축(32a)에 형성된 수나사부(32b)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34a)가 나사 형성되고, 외주에 변속용 포크(35)의 브리지부(35b)와 걸림 결합하는 포크 홈(34b)이 오목 형성되어 있다.
포크 홈(34b)은 변속용 포크(35)의 브리지부(35b)의 두께(축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폭(축 방향 길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포크 홈(34b)에는 브리지부(35b)의 중간부(2개의 복합 스프로킷(5, 5)의 사이)가 끼움 삽입되어, 포크 지지부(34)와 변속용 포크(35)의 브리지부(35b)가 일체로 결합된다.
운동 변환 기구(33)는 출력축(32a)의 수나사부(32b)와, 포크 지지부(34)의 암나사부(34a)를 갖는다. 출력축(32a)이 회전하면, 수나사부(32b)와 암나사부(34a)의 나사 결합에 의해, 암나사부(34a)가 형성된 포크 지지부(34)가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축 방향 이동 기구(31)는 모터(31)의 회전 운동을 운동 변환 기구(33)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이 직선 운동으로 포크 지지부(34)를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킨다.
상기한 변속용 포크(35), 축 방향 이동 기구(31)를 포함하는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는 피니언 스프로킷(21, 22, 23)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하,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에 의한 가동 디스크(19)의 고정 디스크(10)에 대한 상대 회전 구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축 방향 이동 기구(31)에 의해 포크 지지부(34)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되면, 포크 지지부(34)에 결합된 변속용 포크(35)가 일체로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수반하여 캠 롤러(90)도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캠 홈(15a)과 제2 캠 홈(16a)이 교차하는 제1 교차 개소 CP1에 배치되는 캠 롤러(90)가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교차 개소 CP1도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캠 홈(15a)이 형성된 제1 회전부(15)는 회전축(1) 및 고정 디스크(10)와 일체 회전하기 때문에, 제1 교차 개소 CP1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회전부(15)에 대하여 제2 캠 홈(16a)이 형성된 제2 회전부(16)가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제2 회전부(16)는 가동 디스크(19)와 일체 회전하고, 제1 회전부(15)는 고정 디스크(10)와 일체 회전하므로, 제1 회전부(15)에 대하여 제2 회전부(16)가 상대 회전되면, 고정 디스크(10)에 대하여 가동 디스크(19)가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1-6. 스프로킷 이동 기구 및 로드 이동 기구〕
이어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 및 로드 이동 기구(40B)를 설명한다.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는, 피니언 스프로킷(20)을 이동 대상으로 하고, 또한, 로드 이동 기구(40B)는, 복수의 가이드 로드(29)를 이동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로드 이동 기구(40B)는, 제1 가이드 로드(291)를 이동 대상으로 하는 제1 로드 이동 기구(401)와 제2 가이드 로드(292)를 이동 대상으로 하는 제2 로드 이동 기구(402)를 겸하고 있다.
이들 이동 기구(40A, 40B(401, 402))는, 각 이동 대상을 직경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키는 것이다.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는, 고정 디스크(10)와 가동 디스크(19)와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도 2 및 도 7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로드 이동 기구(40B)는, 고정 디스크(10)와 가동 디스크(19)와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이동 기구(40A, 40B)의 구성은, 각 이동 대상이 상이할 뿐이며, 그 밖의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를 참조하여, 이동 기구(40A 및 40B)에 의한 이동을 설명한다.
도 5의 (a)는 최소 피니언 접원 A1이 된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 디스크(19)의 고정 디스크(10)에 대한 위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과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9a)이 교차하는 제2 교차 개소 CP2는,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하여 가장 근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3)과 제1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1)이 교차하는 제3 교차 개소 CP3,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4)과 제2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92)이 교차하는 제4 교차 개소 CP4는, 각각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하여 가장 근접하고 있다. 이 제4 교차 개소 CP4는, 제3 교차 개소 CP3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이것은,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데 대응한다.
그리고,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에 의해 가동 디스크(19)의 회전 위상을 고정 디스크(10)에 대하여 변경하면, 도 5의 (b), 도 5의 (c)의 순으로, 교차 개소 CP2, CP3, CP4가 각각 동기하면서 회전축(1)의 축심 C1로부터 멀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는, 제2 교차 개소 CP2에서 지지되는 피니언 스프로킷(20) 각각을, 회전축(1)의 축심 C1로부터 등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직경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제1 로드 이동 기구(401)는 제3 교차 개소 CP3에서 지지되는 제1 가이드 로드(291) 각각을, 회전축(1)의 축심 C1로부터 등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직경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킨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2 로드 이동 기구(402)는 제4 교차 개소 CP4에서 지지되는 제2 가이드 로드(292) 각각을, 회전축(1)의 축심 C1로부터 등거리를 유지시키면서, 또한 최소 피니언 접원 A1 및 그 근방 상태 이외에서는 제1 가이드 로드(291)와 대략 동일한 직경을 유지하도록, 직경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킨다.
한편,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에 의해 가동 디스크(19)의 회전 위상의 변경 방향을 상기한 방향과 반대로 하면,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의 이동 방향이 반전되어,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는 회전축(1)의 축심 C1에 근접한다.
〔2.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피니언 스프로킷(20)의 톱니부(212)는 최소 피니언 접원 A1의 원주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종래의 스프로킷 기어 형상을 갖는 피니언 스프로킷에 비교하여 피니언 스프로킷(20)의 톱니부(212)에서는 체인(6)과 맞물리는 톱니수를 확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스프로킷 기어 형상을 갖는 피니언 스프로킷에 비교하여 톱니부(212)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체인(6)과 맞물리는 톱니부(212)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크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이루는 상태에서는, 피니언 스프로킷(20)의 톱니부(212)가 최소 피니언 접원 A1의 원주를 따르기 때문에, 톱니부(212)와 체인(6)이 안정되게 맞물려, 토크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2) 톱니부(212)가 최소 피니언 접원 A1의 원주를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이 외주를 향함에 따라 제1 직경 방향 Dr1에 대하여 지각측으로 시프트해 가도록 형성되는 경우, 즉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이 제1 직경 방향 Dr1에 대하여 경사져 형성되는 경우에는, 피니언 접원 A가 이루는 원주에 대하여 피니언 스프로킷(20)의 톱니부(212)의 위치가 다음과 같이 기하학적으로 정해진다.
피니언 접원 A가 커짐에 따라, 제2 직경 방향 Dr2가 피니언 접원 A의 원주와 교차하는 개소를 기준으로 진각측을 향할수록, 피니언 접원 A가 이루는 원주에 대한 피니언 스프로킷(20)의 톱니부(212)의 위치가 이격된다. 도 9의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최대 피니언 접원 A2가 된 상태에서는, 진각측을 향할수록 최대 피니언 접원 A2가 이루는 원주에 대하여 피니언 스프로킷(20)의 톱니부(212)(도면 중에 있어서 특히 진각측이 되는 제1 톱니부(22a)의 우측 단부의 톱니)의 위치가 이격된다.
따라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연장되는 방향 DS1을 기준으로 진각측 및 지각측 각각을 향하는 대칭의 톱니부를 갖는 피니언 스프로킷에서는, 피니언 접원 A의 원주에 대하여 특히 진각측의 톱니부가 이격되어 버린다.
피니언 접원 A가 이루는 원주에 대한 톱니부(212)의 위치가 이와 같이 정해지는 것은, 최소 피니언 접원 A1의 중심을 제2 직경 방향 Dr2를 따라 이동시킨 경우에, 제2 직경 방향 Dr2와 피니언 접원 A의 원주가 교차하는 개소에 있어서, 최소 피니언 접원 A1의 원주가 피니언 접원 A의 원주에 접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 형태의 변속 기구에서는, 피니언 스프로킷(20)의 톱니부(212)가,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홈폭 내에 존재하도록 배치된 제1 톱니부(22a)와, 이 제1 톱니부(22a)로부터 지각측으로 연장 설치된 제2 톱니부(22b)를 갖는다. 따라서, 최대 피니언 접원 A2가 된 상태라도 제2 톱니부(22b)가 최대 피니언 접원 A2가 이루는 원주를 따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피니언 접원 A의 크기에 구애되지 않고, 제2 톱니부(22b)와 체인(6)의 맞물림을 안정시킬 수 있어, 토크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디스크(10)의 고정 방사상 홈(11, 12)이 직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 방사상 홈(11, 12)과 가동 디스크(19)의 가동 방사상 홈(19a, 19b)의 교차 각도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의 직경 방향 이동에 가해지는 고정 디스크(10)에 대한 가동 디스크(19)의 회전 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어, 고정 방사상 홈(11, 12) 및 가동 방사상 홈(19a, 19b)에 있어서의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지지 부재(216, 217) 및 가이드 로드(29)의 로드 지지축(29a)의 걸림(스틱)을 억제할 수 있다.
(3) 제2 톱니부(22b)는, 제1 톱니부(22a)에 대하여,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연장되는 방향 DS1과 평행한 제2 직경 방향 Dr2의 영역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직경 방향 Dr2가 피니언 접원 A의 원주와 교차하는 개소에 제2 톱니부(22b)가 설치되고,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에 구애되지 않고 피니언 접원 A의 원주를 따라 제2 톱니부(22b)를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4)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은 외주를 향함에 따라 제1 직경 방향 Dr1에 대하여 지각측으로 시프트해 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구동 토크의 반력의 일부(분력)를,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의 연장되는 방향 DS1 중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작용시킬 수 있다. 즉, 구동 토크의 전달 시에는, 피니언 스프로킷(20)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체인(6)의 이완을 억제할 수 있어, 본 변속 기구에 관한 각종 기구의 백래시를 없앨 수 있다.
(5) 제1 지지부(216)는 직경 방향의 소정 길이에 걸쳐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에 접촉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피니언 스프로킷(20)을 자전시키는 회전력이 작용했을 때에,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에 대하여 회전력의 반작용(항력)으로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자전을 방지할 수 있다.
(6) 가이드 로드(29)는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이루는 상태에서, 체인(6)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로드(291)와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로드(292)를 갖는다. 그로 인해,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제2 가이드 로드(292)와 제1 가이드 로드(291) 혹은 피니언 스프로킷(20)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 피니언 접원 A1의 반경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로서,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직경 방향 이동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레시오 커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다. 이때, 체인(6)은 제1 가이드 로드(291)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체인(6)의 권취 반경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되게 동력 전달할 수 있어, 정음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적어도 최대 피니언 접원 A2가 된 상태에서는,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한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제2 가이드 로드(292) 각각의 거리가 동등하다. 즉, 최대 피니언 접원 A2가 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로드(29) 모두가 체인(6)을 안내한다. 그로 인해,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제2 가이드 로드(292) 모두에 의해 체인(6)을 안내할 수 있다. 즉, 복합 스프로킷(5)에 권취되는 체인(6)이 가장 길어지는 최대 피니언 접원 A2가 된 상태에 있어서, 체인(6)을 안내하는 가이드 로드(29)의 개수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체인(6)의 권취 반경의 변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7)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가이드 로드(292)는 기초부(213)의 지각측이며 제2 톱니부(22b)의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된 공간 S의 주변에 위치한다. 이 공간 S는, 제2 톱니부(22b)를 제1 톱니부(22a)로부터 연장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변속 기구에 특유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S를 이용하여, 제2 가이드 로드(292)를 수용(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변속 기구에서는, 소위 데드 스페이스가 될 수도 있는 공간 S를,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가이드 로드(292)의 수용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제2 가이드 로드(292)를 공간 S에 위치시키면, 제2 가이드 로드(292)의 수용 공간으로서 더욱 유효하게 공간 S를 이용할 수 있다.
(8)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주위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기 때문에,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제2 가이드 로드(292)를 효율적으로 직경 방향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II.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변속 기구는, 피니언 스프로킷 자체의 구성과 가이드 로드의 수용 상태 및 직경 방향 이동 경로가 주로 상이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부여하고, 각 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1. 구성〕
이하,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의 변속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기구는, 2세트의 복합 스프로킷(5', 5')과, 이들 복합 스프로킷(5', 5')에 감아 걸린 체인(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의 백색의 화살표는 공전 방향을 나타낸다.
복합 스프로킷(5')은 회전축(1')과, 이 회전축(1')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가동으로 지지된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를 갖고 있다. 이들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는 회전축(1')의 축심 C1 주위로 공전한다. 여기에서는,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에 의해 21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 외관상의 대 스프로킷이 복합 스프로킷(5')을 형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축(1')의 축심 C1을 중심으로 한 원주의 주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3개의 피니언 스프로킷(20')이 배치되고, 또한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상호간에는 각각 6개의 가이드 로드(29')가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 스프로킷(5')의 외경, 즉 피니언 접원 A'를 확장 축소함으로써, 본 변속 기구에 있어서 변속비가 변경된다.
이하, 복합 스프로킷(5')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합 스프로킷(5')은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제1 회전부(15), 제2 회전부(16) 및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 이외에도, 피니언 스프로킷(20'), 가이드 로드(29'), 고정 디스크(10'), 가동 디스크(19'), 회전축(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복합 스프로킷(5')은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작동시키는 기구류로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 이외에도,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 로드 이동 기구(40B'),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복합 스프로킷(5')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에 대하여, 피니언 스프로킷(20'), 가이드 로드(29'), 고정 디스크(10'), 가동 디스크(19'), 회전축(1')의 순으로 설명한다. 그 다음에, 복합 스프로킷(5')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작동시키는 기구류에 대하여,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 로드 이동 기구(40B'),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의 순으로 설명한다.
〔1-1. 피니언 스프로킷〕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20')은 각각 외주부 전체 둘레에 톱니부가 형성된 스프로킷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연히, 피니언 스프로킷(20') 각각에 형성되는 톱니부의 형상 치수 및 피치는 동일 규격의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스프로킷(20')의 톱니부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피니언 스프로킷(20)의 톱니부(212)(도 9 등 참조)보다도 작게 형성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피니언 스프로킷(20')은 자전하지 않는 하나의 피니언 스프로킷(이하,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이라고 함)(21')과, 이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을 기준으로 공전의 회전 위상이 진각측 및 지각측 각각에 배치되고 자전 가능한 2개의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 중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을 기준으로, 진각측의 것을 제1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진각측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이라고 칭하고, 지각측의 것을 제2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지각측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3')이라고 칭한다.
또한,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에 대해서는, 자전하지 않기 때문에, 체인(6')과 맞물리는 영역에만 부분적으로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각 피니언 스프로킷(21', 22', 23')은 모두 그 중심으로 설치된 지지축(피니언 스프로킷축)(21'a, 22'a, 23'a)에 대하여 결합되어 있다. 즉,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 각각은, 지지축(22'a, 23'a)의 축심 C2, C3 주위로 자전한다. 또한, 각 지지축(21'a, 22'a, 23'a)의 축심 C2, C3, C4 및 회전축(1')의 축심 C1은, 모두 서로 평행이다.
제1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과 제2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3')은, 배치 개소 및 자전 방향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1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 제1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및 제2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3')을 구별없이 사용할 때에는 간단히 피니언 스프로킷(20')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지지축(21'a, 22'a, 23'a)에 대해서도 구별없이 사용할 때에는 지지축(20'a)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 스프로킷(20')은 축 방향으로 3열의 기어(20'g)(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를 구비하고, 이들 각 열의 기어에 대응하여 체인(6')도 3개 권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3열의 기어(20g')가 스페이서(20's)(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를 개재시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스프로킷(20')에 있어서의 기어(20'g)의 열수는, 변속 기구의 전달 토크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2열 또는 4열 이상이어도 되고 1열이어도 된다.
또한, 도 12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동단면에 제1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및 가이드 로드(29') 그리고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를 나타내고, 입력측의 복합 스프로킷(5')과 출력측의 복합 스프로킷(5') 사이에 간격을 두어 나타내고 있다.
〔1-2. 가이드 로드〕
가이드 로드(29')는 하나에 주목하면, 로드 지지축(29'a)의 외주에 원통상의 가이드 부재(29'b)가 외부 삽입되어 있고, 가이드 부재(29'b)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된 로드 지지축(29'a)이 고정 디스크(10') 및 가동 디스크(19')에 지지된다.
그러나, 가이드 로드(29')는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로드(29)에 대하여,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상호간에 배치되는 개수,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의 수용 상태 및 직경 방향 이동 경로가 상이하다.
가이드 로드(29')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로드(291')(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 및 제2 가이드 로드(292')(모두 1개소에만 부호를 부여함)의 2종으로 크게 구별된다.
제1 가이드 로드(291') 각각은, 배치 개소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로드(292') 각각은, 배치 개소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가이드 로드(291', 292')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을 때에는 가이드 로드(29')라고 칭한다.
여기에서는,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상호간에 6개의 가이드 로드(29')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6개의 가이드 로드(29')는 4개의 제1 가이드 로드(291')와 2개의 제2 가이드 로드(29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제1 가이드 로드(291')와 하나의 제2 가이드 로드(292')를 1세트라고 간주하면, 서로가 주위 방향으로 인접하고 있으며,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주위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로드(291')는 직경 방향 위치(피니언 접원 A의 반경)에 구애되지 않고 항상 체인(6')을 안내한다. 이에 반하여, 제2 가이드 로드(292')는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이상일 때에 체인(6')을 안내한다. 그로 인해, 최대 피니언 접원 A2'가 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로드(29')의 모두가 체인(6')을 안내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정 직경이란, 최소 피니언 접원 A1'보다도 크고 최대 피니언 접원 A2'보다도 작은 직경이며,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일 때에 제1 가이드 로드(291')와 제2 가이드 로드(292')가 간섭(접촉)하지 않는 크기로 설정된다.
이들 가이드 로드(291', 292')의 상대적인 직경 방향 위치에 주목하여 환언하면,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미만일 때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한편,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이상일 때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한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제2 가이드 로드(292') 각각의 거리가 동등하다. 따라서, 당연히 최대 피니언 접원 A2'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도, 제2 가이드 로드(292')는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한 거리가 제1 가이드 로드(291')의 그것과 동등하게, 체인(6')을 안내한다.
제2 가이드 로드(292')는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보다도 작아짐에 따라,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그로 인해,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서는, 제1 가이드 로드(291')에 대하여 가장 직경 방향 내측에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위치한다.
또한,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서는, 제2 가이드 로드(292')가 회전축(1')의 외주면(1'a)에 맞닿고, 이 제2 가이드 로드(292')에 제1 가이드 로드(291')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맞닿는다. 이와 같이,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서는,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회전축(1')의 축심 C1측에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수용(저장)된다.
환언하면, 가이드 로드(291', 292')의 직경 방향 위치가 상술한 위치가 되도록, 다음에 설명하는 디스크(10', 19')에 형성된 방사상 홈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1-3. 고정 디스크 및 가동 디스크〕
고정 디스크(10')에는,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20')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과 복수의 가이드 로드(29')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12)의 2종의 고정 방사상 홈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에는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지지축(20'a)이, 또한,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12)에는 가이드 로드(29')의 로드 지지축(29'a)이 내부 삽입된다. 여기에서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 및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12) 각각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직경 방향에 대하여 지각측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12)은 제1 가이드 로드(291')의 로드 지지축(29a')이 내부 삽입되는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과 제2 가이드 로드(292')의 로드 지지축(29'a)이 내부 삽입되는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의 2종으로 크게 구별된다.
가동 디스크(19')에는, 상기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 각각과 축 방향에서 보아 교차하는 복수의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19)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한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12) 각각과 축 방향에서 보아 교차하는 복수의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2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가동 방사상 홈(119, 129) 각각이 직경 방향에 대하여 진각측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19)에는, 상기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과의 교차 개소 CP2'에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지지축(20'a)이 내부 삽입된다. 또한,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29)에는, 상기한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112)과의 교차 개소에 가이드 로드(29')의 로드 지지축(29'a)이 내부 삽입된다. 여기에서는,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19) 및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29) 각각이 직경 방향에 대하여 진각측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129)은 상기한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과의 교차 개소에 제1 가이드 로드(291')의 로드 지지축(29'a)이 내부 삽입되는 제1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과 상기한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과의 교차 개소에 제2 가이드 로드(292')의 로드 지지축(29'a)이 내부 삽입되는 제2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으로 크게 구별된다.
제2 가이드 로드(292')에 관한 방사상 홈은, 제1 가이드 로드(291')에 관한 방사상 홈보다도 긴 홈이다. 제1 가이드 로드(291')에 관한 방사상 홈은,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을 이루는 위치를 포함하고 이것보다도 외측에서는, 각 디스크(10', 19')의 직경 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제1 가이드 로드(291')에 관한 방사상 홈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형성되고, 또한, 이러한 소정 직경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서는, 각 디스크(10', 19')의 직경 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제1 가이드 로드(291')에 관한 방사상 홈의 그것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각 방사상 홈의 형상은, 상술한 가이드 로드(291', 292')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1-4. 회전축〕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에는, 피니언 스프로킷(20') 각각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에는,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피니언 스프로킷(20')이 가장 깊이 수용된다. 이 상태로부터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직경 방향 위치가 외주측(직경 확장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오목부(2)로의 수용 정도(수용 깊이)가 작아져, 직경 방향 위치가 외측으로 더 이동하면 피니언 스프로킷(20')은 오목부(2)에 수용되지 않게 된다.
오목부(2)는 대응하는 피니언 스프로킷(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회전축(1')을 오목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니언 스프로킷(20')의 각 톱니부의 선단(외주 단부)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원을 저면 또는 상면으로 하는 원기둥의 일부가 원기둥형의 회전축으로부터 제거된 형상으로, 오목부(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에 부분적으로 톱니부가 형성되고 직경 방향 내측에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오목부(2)는 이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서는, 피니언 스프로킷(20') 각각이 각 오목부(2)에 맞닿는다. 말하자면, 피니언 스프로킷(20')은 회전축(1')에 파고 들듯이 오목부(2)에 수용된다. 또한,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서는, 오목부(2)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회전축(1')의 외주면(1'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로드(292')가 맞닿는다.
〔1-5. 스프로킷 이동 기구 및 로드 이동 기구〕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는 이동 대상이 제1 실시 형태의 피니언 스프로킷(20)과 달리 피니언 스프로킷(20')인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는 고정 디스크(10')와 가동 디스크(19')와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드 이동 기구(40B')는 이동 대상이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로드(29)와 달리 가이드 로드(29')인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형태의 로드 이동 기구(40B)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로드 이동 기구(40B')는 고정 디스크(10')와 가동 디스크(19')와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로드 이동 기구(40B')는 제1 가이드 로드(291')를 이동 대상으로 하는 제1 로드 이동 기구와 제2 가이드 로드(292')를 이동 대상으로 하는 제2 로드 이동 기구를 겸하고 있다.
이들 이동 기구(40A', 40B')는 각 이동 대상을 직경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키는 것이다.
단,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미만이면, 제2 로드 이동 기구가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제2 가이드 로드(292')를 이동시킨다. 특히,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서는, 제2 로드 이동 기구가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제2 가이드 로드(292')를 이동시켜 수용한다. 또한,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이상이면, 로드 이동 기구(40B')에 의해, 가이드 로드(291', 292') 모두가, 회전축(1')의 축심 C1로부터 등거리를 유지하면서 직경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이동 기구(40A', 40B')에 의한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가이드 로드(291', 292')의 이동을 설명한다.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과 스프로킷용 가동 방사상 홈(119)의 교차하는 제2 교차 개소 CP2'는,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하여 가장 근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과 제1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이 교차하는 제3 교차 개소, 제2 로드용 고정 방사상 홈과 제2 로드용 가동 방사상 홈이 교차하는 제4 교차 개소는, 각각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하여 가장 근접하고 있다. 이 제4 교차 개소는, 제3 교차 개소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이것은,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서,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데 대응한다.
이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로드(292')는 회전축(1')의 외주면(1'a)에 맞닿고, 제1 가이드 로드(291')는 제2 가이드 로드(292')의 외주면에 맞닿는다.
이 경우, 상대 회전 구동 기구(30)에 의해 고정 디스크(10')에 대한 가동 디스크(19')의 회전 위상을 변경하면, 제2 교차 개소 CP2', 제3 및 제4 교차 개소가 각각 동기하면서 회전축(1')의 축심 C1로부터 멀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는 제2 교차 개소 CP2'에서 지지되는 피니언 스프로킷(20') 각각을, 회전축(1')의 축심 C1로부터 등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직경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제1 로드 이동 기구는, 제3 교차 개소에서 지지되는 제1 가이드 로드(291') 각각을, 회전축(1')의 축심 C1로부터 등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직경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킨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2 로드 이동 기구는, 제4 교차 개소에서 지지되는 제2 가이드 로드(292') 각각을, 회전축(1')의 축심 C1로부터 등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직경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킨다.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미만이면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제2 가이드 로드(292')가 회전축(1)의 축심 C1측에 위치한다. 이때, 3개의 피니언 스프로킷(20') 및 12개의 제1 가이드 로드(291')가 15각형을 형성하고, 이 15각형이 복합 스프로킷(5')을 구성한다. 한편,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이상이면,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제2 가이드 로드(292') 모두가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하여 등거리에 위치한다. 이때, 3개의 피니언 스프로킷(20'), 12개의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6개의 제2 가이드 로드(292')가 21각형을 형성한다. 이 21각형이 복합 스프로킷(5')을 구성한다.
〔1-6. 기계식 자전 기구〕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여, 기계식 자전 기구(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가 피니언 스프로킷(20')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일측의 구성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는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을 회전시켜, 체인(6')에 대한 피니언 스프로킷(20') 사이의 위상 어긋남을 해소하도록,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에 의한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직경 방향 이동에 수반하여, 즉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와 연동하여 기계적으로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을 자전 구동하는 것이다.
단,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는 직경 방향 이동 시의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을 자전시키지 않는 구성도 갖고 있다.
먼저,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에 대하여,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을 자전시키지 않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의 지지축(21'a)(도 11 참조)은, 고정 디스크(10')에 있어서 대응하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지지축(21'a)에는 지지 부재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지지 부재는, 대응하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에 내부 삽입되어 직경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지지 부재는, 직경 방향의 소정 길이에 걸쳐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에 접촉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을 자전시키는 회전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지지 부재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에 대하여 회전력을 전달함과 함께, 이 회전력의 반작용(항력)으로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의 자전을 방지(고정)하는 것이다. 즉, 지지 부재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소정 길이란,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을 자전시키는 회전력의 항력이 확보 가능한 길이이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가 내부 삽입되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이 직경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직사각 형상보다도 작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의 내벽에 접하는 지지 부재의 측벽, 특히 지지 부재의 네 코너에, 베어링을 장착하면, 지지 부재의 보다 원활한 미끄럼 이동을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에 대하여,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을 자전 구동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는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의 지지축(22'a, 23'a) 각각과 일체 회전하도록 고정 설치된 피니언과, 피니언 각각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설치된 랙을 갖는다.
피니언은,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의 각 지지축(22'a, 23'a)에 있어서의 축 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피니언에 각각 대응하는 랙은, 대응하는 스프로킷용 고정 방사상 홈(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의 피니언(진각측 피니언)(51)을 제1 피니언(51)이라고 칭하고, 이 제1 피니언(51)과 맞물리는 랙(진각측 랙)(53)을 제1 랙(53)이라고 칭한다. 마찬가지로, 제2 피니언 스프로킷(23')에도, 피니언(지각측 피니언)을 제2 피니언이라고 칭하고, 이 제2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지각측 랙)을 제2 랙이라고 칭한다. 또한, 제1 피니언(51) 및 제2 피니언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히 「피니언」이라고 칭한다. 제1 랙(53) 및 제2 랙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히 「랙」이라고 칭한다. 도 12에는 제1 피니언(51) 및 제1 랙(53)만을 예시하고 있다.
제1 피니언(51)에 대하여 공전 방향 기준으로 지각측에 제1 랙(53)이 배치된다. 반대로, 제2 피니언에 대하여 공전 방향 기준으로 진각측에 제2 랙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피니언 및 랙은, 피니언이 직경 확장 방향 또는 직경 축소 방향으로 이동되면, 피니언은 이들에 각각 맞물리는 랙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는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에 의해 이동된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직경 방향 위치에 따라,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의 자전에 관한 회전 위상을 설정하는 것이다. 즉,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에 의해,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직경 방향 위치와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의 자전에 관한 회전 위상은 일대일의 대응 관계가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는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이 자전하지 않도록 안내하고,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이 자전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피니언에 대한 랙의 위치 관계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1 피니언(51)과 제2 피니언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또한, 제1 랙(53)과 제2 랙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2.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변속 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가이드 로드(29')는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체인(6')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로드(291')와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로드(292')를 갖는다. 그로 인해,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제2 가이드 로드(292')와 제1 가이드 로드(291') 혹은 피니언 스프로킷(20')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 피니언 접원 A1'의 반경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로서,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직경 방향 이동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레시오 커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다. 이때, 체인(6')은 제1 가이드 로드(291')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체인(6')의 권취 반경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되게 동력 전달할 수 있어, 정음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적어도 최대 피니언 접원 A2'를 이루는 상태에서는, 회전축(1')의 축심 C1에 대한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제2 가이드 로드(292') 각각의 거리가 동등하다. 그로 인해, 최대 피니언 접원 A2'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제2 가이드 로드(292') 모두에 의해 체인(6')을 안내할 수 있다. 즉, 복합 스프로킷(5')에 권취하는 체인(6')이 가장 길어지는 최대 피니언 접원 A2'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체인(6')을 안내하는 가이드 로드(29')의 개수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체인(6')의 권취 반경의 변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2) 상세히 말하면,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이상에 있어서는, 가이드 로드(291', 292')가 회전축(1')의 축심 C1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최대 피니언 접원 A2'를 이루는 상태는 물론,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이상일 때에 가이드 로드(291', 292') 모두에 의해 체인(6')을 안내할 수 있어, 체인(6')의 권취 반경의 변동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미만에 있어서는,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가이드 로드(291')와 제2 가이드 로드(292')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제1 가이드 로드(291')에 대하여 직경 방향 내측에 제2 가이드 로드(292')를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체인(6')의 권취 반경의 변동을 억제하면서 레시오 커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다.
(3) 제1 가이드 로드(291') 및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주위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기 때문에,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서 제2 가이드 로드(292')를 효율적으로 직경 방향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4)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제2 가이드 로드(292')는 회전축(1')의 외주면(1a)에 맞닿고, 제1 가이드 로드(291')는 제2 가이드 로드(292')의 외주면에 맞닿기 때문에, 가이드 로드(291', 292')의 휨이나 비틀림 등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인(6')과 회전축(1')의 축심 C1의 거리의 변동이 억제되어, 진동이나 소음의 저감에 기여한다. 또한, 회전축(1')의 가상적인 단면적이 확보됨으로써, 전달 가능한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5) 피니언 스프로킷(20')은 자전하지 않는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21')과,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을 갖기 때문에,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직경 방향 이동 시, 즉 변속비의 변경 시에, 피니언 스프로킷(20') 사이의 체인 길이가 적절하게 조정됨으로써, 동력 전달하면서 변속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계식 자전 구동 기구(50)가,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에 의한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직경 방향 이동에 수반하여, 체인(60)에 대한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위상 어긋남을 해소하도록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22, 23)을 스프로킷 이동 기구(40A')와 연동하여 자전 구동하기 때문에, 동력 전달하면서 변속비를 변경할 수 있다.
(6) 회전축(1')의 외주에,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의 피니언 스프로킷(20')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2)에 피니언 스프로킷(20')이 파고들듯이 수용됨으로써, 피니언 스프로킷(20')의 직경 방향 위치를 회전축(1')의 축심 C1에 더 접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최소 피니언 접원 A1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레시오 커버리지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III. 기타〕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은, 필요에 따라 취사 선택할 수 있어,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로드(29)가,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로드(29')와 같이,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미만에 있어서는, 제1 가이드 로드(291)보다도 제2 가이드 로드(292)가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피니언 접원 A의 반경이 소정 직경 이상에 있어서는, 가이드 로드(291, 292)가 회전축(1)의 축심 C1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 방사상 홈 및 가동 방사상 홈이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로드(29)가,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로드(29')와 같이, 최소 피니언 접원 A1'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제2 가이드 로드(292)가 회전축(1)의 외주면에 맞닿고, 제1 가이드 로드(291)가 제2 가이드 로드(292)의 외주면에 맞닿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 로드(29)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진동이나 소음의 저감에 기여하여, 회전축(1')의 가상적인 단면적이 확보됨으로써 전달 가능한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29, 29')의 가이드 부재(29b, 29'b)는 생략해도 된다. 즉, 가이드 로드(29, 29')가 로드 지지축(29a, 29'a)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최소 피니언 접원 A1, A1'를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레시오 커버리지의 확대에 기여한다.

Claims (6)

  1. 동력이 입력 또는 출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가동으로 지지된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 및 복수의 가이드 로드와, 상기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로드 각각을 상기 회전축의 축심으로부터 등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직경 방향으로 동기시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갖는 복합 스프로킷 2세트와, 상기 2세트의 복합 스프로킷에 감아 걸린 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을 모두 둘러싸면서 또한 상기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의 어느 것에도 접하는 원의 반경인 접원 반경의 변경에 의해 변속비를 변경하는 변속 기구이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로드는,
    상기 접원의 반경의 크기에 구애되지 않고 항상 상기 체인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로드와, 적어도 상기 접원의 반경이 가장 클 때에 상기 체인을 안내함과 함께 상기 접원의 반경이 가장 작을 때에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로드를 갖고 있는 변속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원의 반경이 소정 직경 이상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가이드 로드 및 상기 제2 가이드 로드가 상기 회전축의 축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접원의 반경이 상기 소정 직경 미만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보다도 상기 제2 가이드 로드가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변속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로드 및 상기 제2 가이드 로드는, 주위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변속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원의 반경이 가장 작을 때에, 상기 제2 가이드 로드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맞닿고, 상기 제1 가이드 로드는 상기 제2 가이드 로드의 외주면에 맞닿게 되어 있는, 변속 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의 각 지지 부재가 내부 삽입됨과 함께 외주를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에 대하여 지각측 및 진각측 중 어느 한쪽으로 시프트해 가도록 형성된 고정 방사상 홈이 복수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일체 회전하는 고정 디스크와,
    상기 고정 방사상 홈 각각과 축 방향에서 보아 교차하는 교차 개소에 상기 지지 부재가 위치하는 가동 방사상 홈이 복수 형성되고, 상기 고정 디스크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되면서, 또한 상대 회전 가능한 가동 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 스프로킷은, 상기 접원의 반경이 가장 작을 때에 상기 접원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체인과 맞물리는 톱니부를 갖는 섹터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톱니부는, 적어도 1톱니가 상기 고정 방사상 홈의 홈폭 내에 존재하도록 배치된 제1 톱니부와, 상기 제1 톱니부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연장 설치된 제2 톱니부를 갖고,
    상기 제2 가이드 로드는, 상기 접원의 반경이 가장 작을 때에, 상기 제2 톱니부에 대하여 직경 방향 내측의 공간 또는 상기 공간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변속 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니언 스프로킷은, 자전하지 않는 하나의 고정 피니언 스프로킷과, 그 밖의 자전 피니언 스프로킷을 갖고 있는, 변속 기구.
KR1020177018564A 2014-12-09 2015-12-08 변속 기구 KR101877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9399 2014-12-09
JPJP-P-2014-249399 2014-12-09
PCT/JP2015/084343 WO2016093204A1 (ja) 2014-12-09 2015-12-08 変速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202A KR20170093202A (ko) 2017-08-14
KR101877697B1 true KR101877697B1 (ko) 2018-07-12

Family

ID=5610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564A KR101877697B1 (ko) 2014-12-09 2015-12-08 변속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28447A1 (ko)
EP (1) EP3232085A4 (ko)
JP (1) JP6262375B2 (ko)
KR (1) KR101877697B1 (ko)
CN (1) CN107002836A (ko)
WO (1) WO2016093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0884A4 (en) * 2014-05-27 2017-06-21 Jatco Ltd Transmission mechanism
CN106015482B (zh) * 2016-08-17 2018-08-31 丁震中 一种机械式可变链轮无级变速器
US11371592B2 (en) * 2020-07-16 2022-06-28 James Leslie Kalkstein Continuously variable-ratio transmission
CN117000367B (zh) * 2023-09-26 2024-01-09 山东大博泵业科技有限公司 一种研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94443A2 (en) * 2002-08-12 2004-03-03 Jeng, Fu-shen Automatic stepless speed-changing mechanism
JP2005351466A (ja) * 2004-06-14 2005-12-22 Jen Fu-Shen 自動無段変速装置
JP2009092232A (ja) * 2007-10-11 2009-04-30 Toshimasa Matsumoto ボルト歯車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00728Y (zh) * 1994-08-20 1995-06-14 明建 行星链轮准无级定位变速机构
TWI238876B (en) * 2004-04-13 2005-09-01 Fu-Sen Jeng Automatic step-less gearshift mechanism
KR20080083934A (ko) * 2007-03-14 2008-09-19 박선만 무단 변속기
CN101435493B (zh) * 2008-10-23 2013-05-15 金哲根 齿啮合传动无级变速器
US20110059821A1 (en) * 2009-09-08 2011-03-10 Vmt Technologies, Llc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CN202402581U (zh) * 2011-12-20 2012-08-29 湖南科技大学 基于变节圆半径的星形链传动无级变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94443A2 (en) * 2002-08-12 2004-03-03 Jeng, Fu-shen Automatic stepless speed-changing mechanism
JP2005351466A (ja) * 2004-06-14 2005-12-22 Jen Fu-Shen 自動無段変速装置
JP2009092232A (ja) * 2007-10-11 2009-04-30 Toshimasa Matsumoto ボルト歯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202A (ko) 2017-08-14
US20170328447A1 (en) 2017-11-16
EP3232085A1 (en) 2017-10-18
CN107002836A (zh) 2017-08-01
WO2016093204A1 (ja) 2016-06-16
JPWO2016093204A1 (ja) 2017-07-06
EP3232085A4 (en) 2017-12-13
JP6262375B2 (ja)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3896A (ko) 변속 기구
KR101877697B1 (ko) 변속 기구
KR101745813B1 (ko) 무단 변속 기구
JP6182095B2 (ja) 無段変速機構
JP6067665B2 (ja) 変速機構
KR20160145710A (ko) 변속 기구
JP6182094B2 (ja) 無段変速機構
JP5753223B2 (ja) 無段変速機構
JP6592348B2 (ja) 変速機構
JP6175026B2 (ja) 変速機構
JP6766010B2 (ja) 変速機構および変速機構の組立方法
JP6194421B2 (ja) 変速機構
WO2015111339A1 (ja) 無段変速機構
JP6190800B2 (ja) 変速機構
JP6067666B2 (ja) 変速機構
JP6092801B2 (ja) 無段変速機構
JP6046648B2 (ja) サイレントチェーン及びこれを用いた無段変速機構
JP6175046B2 (ja) 変速機構
JPWO2017094404A1 (ja) 変速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