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934A - 무단 변속기 - Google Patents

무단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934A
KR20080083934A KR1020070024818A KR20070024818A KR20080083934A KR 20080083934 A KR20080083934 A KR 20080083934A KR 1020070024818 A KR1020070024818 A KR 1020070024818A KR 20070024818 A KR20070024818 A KR 20070024818A KR 20080083934 A KR20080083934 A KR 20080083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input shaft
discs
output shaf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만
Original Assignee
박선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만 filed Critical 박선만
Priority to KR102007002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3934A/ko
Publication of KR2008008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2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chains or toothed belts, belts in the form of links; Chains or belts specially adapted to such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입력축과,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서 지름이 가변되는 변속수단과, 변속수단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출력축을 구비함으로써, 소음, 진동 및 마찰손실이 없어 정숙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무단 변속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기는 입력축 및 출력축과, 입력축에 장착됨과 아울러 출력축과 연결되는 변속수단을 구비한다. 변속수단은 입력축에 고정 장착되면서 측면 상에는 중심부분에서 지름방향으로 곡선 형상을 가지며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가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 1 원판과, 각각의 제 1 원판의 외측면 상에 배치되도록 입력축에 끼워지면서 중심부분에서 지름방향으로 직선 형상을 가지며 연장됨과 아울러 제 1 가변공과 연통하는 다수의 제 2 가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 2 원판과, 한 쌍의 제 1 원판 사이에 배치되면서 서로 연통하는 제 1 가변공 및 제 2 가변공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이 장착된 다수의 가변 스프로킷을 구비하며, 다수의 가변스프로킷이 모여서 이루는 원주면과 출력축은 체인에 의해서 연결된다.

Description

무단 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단 변속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무단 변속기 110 : 입력축
112 : 연결플랜지 114 : 부싱
116 : 볼트 120 : 출력축
122 : 종동스프로킷 124 : 체인
126 : 장력조절스프로킷 130 : 변속수단
132 : 제 1 원판 134 : 제 1 가변공
136 : 제 2 원판 138 : 제 2 가변공
140 : 가변스프로킷 142 : 회전축
본 발명은 동력 전달이 필요한 각종 기계장치에 사용되는 무단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입력축과,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서 지름이 가변되는 변속수단과, 변속수단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출력축을 구비함으로써, 소음, 진동 및 마찰손실이 없어 정숙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무단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는 동력원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의 회전력과 속도를 변경하여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변속기에는 수동변속기(Manual Transmission)와 자동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로 구분된다. 그리고 변속기는 동력을 일정한 단계의 변속비로 변경하여 전달하는 유단변속기와 연속적인 무단계의 변속비로 변경하여 전달하는 무단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VT)로 분류된다.
무단변속기는 벨트와 가변풀리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벨트풀리 드라이브 타입(Belt-Pulley drive type)과, 유체의 점성에 의한 탄성유체윤활(Elastohydrodynamic Lubrication)을 이용한 트랙션 드라이브 타입(Traction drive type), 가변용량펌프와 모터를 이용한 정유압 드라이브 타입(Hydrostatic drive type) 등 매우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전술한 벨트풀리 드라이브 타입은 벨트와 풀리 사이에 발생하는 슬립(Slip)에 의하여 내구성이 저하와 큰 체결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트랙션 드라이브 타입은 동력전달요소의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전단력을 발생시키는 윤활유의 개발이 미흡할 뿐만 아니라 변속제어와 수직항력의 인가에 문제가 있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정유압 드라이브 타입은 효율이 낮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무단변속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동력전달의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변속제어가 간편한 변속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입력축과,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서 지름이 가변되는 변속수단과, 변속수단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출력축을 구비함으로써, 소음, 진동 및 마찰손실이 없어 정숙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무단 변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입력축 및 출력축과, 입력축에 장착됨과 아울러 출력축과 연결되는 변속수단을 구비하는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변속수단은;
입력축에 고정 장착되면서 측면 상에는 중심부분에서 지름방향으로 곡선 형 상을 가지며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가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 1 원판과, 각각의 제 1 원판의 외측면 상에 배치되도록 입력축에 끼워지면서 중심부분에서 지름방향으로 직선 형상을 가지며 연장됨과 아울러 제 1 가변공과 연통하는 다수의 제 2 가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 2 원판과, 한 쌍의 제 1 원판 사이에 배치되면서 서로 연통하는 제 1 가변공 및 제 2 가변공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이 장착된 다수의 가변스프로킷을 구비하며, 다수의 가변스프로킷이 모여서 이루는 원주면과 출력축은 체인에 의해서 연결되는 무단 변속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제 1 원판은 입력축에 형성된 연결플랜지에 의해서 이격 배치되고, 연결플랜지에 의해서 이격된 각각의 제 1 원판은 입력축의 양단에서 끼워지는 부싱에 의해서 지지됨과 아울러 각각의 부싱 및 각각의 제 1 원판을 관통하여 연결플랜지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서 입력축에 고정 장착되며, 각각의 제 2 원판은 각각의 부싱의 외주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변스프로킷의 양측면 중앙에는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회전축은 인접한 제 1 가변공 및 제 2 가변공을 관통하여 서로 교차하는 제 1 가변공 및 제 2 가변공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출력축에는 체인에 의해서 다수의 가변스프로킷과 연결될 수 있도록 종동스프로킷이 형성되며, 출력축에 인접하게는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스프로킷이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입력축과,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서 지름이 가변되는 변속수단과, 변속수단과 연 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출력축을 구비함으로써, 소음, 진동 및 마찰손실이 없어 정숙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단 변속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단 변속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기(100)는 입력축(110) 및 출력축(120)과, 입력축(110)에 장착됨과 아울러 출력축(120)과 연결되는 변속수단(130)을 구비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입력축(110)은 통상의 엔진(engine), 또는 통상의 액츄에이터(actuator), 또는 인력 등에 의해서 회전한다.
변속수단(130)은 입력축(110)에 고정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원판(132)과, 입력축(110)에 끼워지고 각각의 제 1 원판(132)의 외측면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원판(136)과, 한 쌍의 제 1 원판(132) 사이에 배치되면서 입력축(110)의 회전력에 따라 제 1 원판(132)의 지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가변스프로킷(140)을 구비한다.
먼저, 제 1 원판(132)의 측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가변공(134)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제 1 가변공(134)은 제 1 원판(132)의 중심부분에서 지름방향으로 곡선의 형상을 가지며 연장된다. 이러한 제 1 원판(132)은 입력축(110)에 소정 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입력축(110)에는 환형의 연결플랜지(1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플랜지(112)에 의해서 이격된 각각의 제 1 원판(132)은 입력축(110)의 양단에서 끼워지는 부싱(114)에 의해서 지지되는데, 각각의 제 1 원판(132)은 각각의 부싱(114) 및 제 1 원판(132)을 관통하여 연결플랜지(112)에 체결되는 볼트(116)에 의해서 고정 장착된다.
제 2 원판(136)의 측면 상에는 제 1 가변공(134)과 연통하는 다수의 제 2 가변공(138)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제 2 가변공(138)은 제 2 원판(136)의 중심부분에서 지름방향으로 직선의 형상을 가지며 연장됨과 아울러 각각의 부싱(114)의 외주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가변공(138)은 제 1 가변공(134)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연통할 수 있도록 겹쳐진다.
한편, 다수의 가변스프로킷(140)의 제 1 가변공(134)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는데, 각각의 가변스프로킷(140)의 양측면 중앙에는 회전축(142)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142)은 인접한 제 1 가변공(134) 및 제 2 가변공(138)을 관통한다. 즉, 가변스프로킷(140)의 양측면 상에서 연장되는 회전축(142)은 서로 교차하는 제 1 가변공(134) 및 제 2 가변공(138)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렇게 형성된 다수의 가변스프로킷(140)과 출력축(120)은 체인(124)에 의해서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서 출력축(120)에는 종동스프로킷(122)이 형성된다. 즉, 체인(124)의 일단은 종동스프로킷(122)에 걸쳐지고 체인(124)의 타단은 다수의 가 변스프로킷(140)이 모여서 이루는 원주면 상에 걸쳐진다. 한편, 출력축(120)에 인접하게는 체인(12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스프로킷(126)이 배치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무단 변속기(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외부 동력원을 입력축(110)에 인가하면, 입력축(110) 및 제 1 원판(132), 제 2 원판(136)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입력축(110) 및 입력축(110)에 고정된 제 1 원판(132), 제 2 원판(136)이 회전되면, 제 1 원판(132)의 회전력에 의해서 각각의 가변스프로킷(140)은 제 1 원판(132)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 1 가변공(134) 및 제 2 가변공(138)을 따라 제 1 원판(132) 및 제 2 원판(136)의 지름 방향으로 확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가변스프로킷(140)은 입력축(110)에 인가되는 동력원에 따라 확장 또는 수축된다.
이렇게 다수의 가변스프로킷(140)이 확장 또는 수축되면, 다수 가변스프로킷(140)과 체인(124)에 의해서 연결된 출력축(120)은 감속비가 변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기(100)는 입력축(110)에 고정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원판(132)과, 입력축(110)에 끼워지고 각각의 제 1 원판(132)의 외측면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원판(136)과, 한 쌍의 제 1 원판(132) 사이에 배치되면서 입력축(110)의 회전력에 따라 제 1 원판(132)의 지름방 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체인(124)에 의해서 출력축(120)과 연결되는 다수의 가변스프로킷(140)을 구비함으로써, 입력축(110)에 인가되는 동력원에 따라 가변스프로킷(140)이 확장 또는 수축되기 때문에 정확한 변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체인(124)에 의해서 가변스프로킷(140)과 출력축(120)이 연결되기 때문에 소음, 진동 및 마찰손실이 없어 정숙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기(100)는 구조가 단순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입력축 및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는 변속수단을 구비하는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변속수단은;
    상기 입력축에 고정 장착되면서 측면 상에는 중심부분에서 지름방향으로 곡선 형상을 가지며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가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 1 원판과, 각각의 상기 제 1 원판의 외측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입력축에 끼워지면서 중심부분에서 지름방향으로 직선 형상을 가지며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변공과 연통하는 다수의 제 2 가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 2 원판과, 한 쌍의 상기 제 1 원판 사이에 배치되면서 서로 연통하는 상기 제 1 가변공 및 상기 제 2 가변공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이 장착된 다수의 가변스프로킷을 구비하며, 다수의 상기 가변스프로킷이 모여서 이루는 원주면과 상기 출력축은 체인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 1 원판은 상기 입력축에 형성된 연결플랜지에 의해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연결플랜지에 의해서 이격된 각각의 상기 제 1 원판은 상기 입력축의 양단에서 끼워지는 부싱에 의해서 지지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부싱 및 각각의 상기 제 1 원판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플랜지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서 상기 입력축에 고정 장착되며, 각각의 상기 제 2 원판은 각각의 상기 부 싱의 외주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변스프로킷의 양측면 중앙에는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인접한 상기 제 1 가변공 및 상기 제 2 가변공을 관통하여 서로 교차하는 상기 제 1 가변공 및 상기 제 2 가변공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각각의 상기 가변스프로킷은 상기 제 1 가변공 및 상기 제 2 가변공을 따라 방사형으로 확장 또는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출력축에는 상기 체인에 의해서 다수의 상기 가변스프로킷과 연결될 수 있도록 종동스프로킷이 형성되며, 상기 출력축에 인접하게는 상기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스프로킷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
KR1020070024818A 2007-03-14 2007-03-14 무단 변속기 KR20080083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818A KR20080083934A (ko) 2007-03-14 2007-03-14 무단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818A KR20080083934A (ko) 2007-03-14 2007-03-14 무단 변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934A true KR20080083934A (ko) 2008-09-19

Family

ID=4002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818A KR20080083934A (ko) 2007-03-14 2007-03-14 무단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39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739A2 (ko) * 2010-07-22 2012-01-26 Jeong Ki Sook 가변디스크 및 이를 이용한 무단변속기
CN107002837A (zh) * 2014-12-09 2017-08-01 加特可株式会社 变速机构
CN107002836A (zh) * 2014-12-09 2017-08-01 加特可株式会社 变速机构
WO2018190558A1 (ko) * 2017-04-10 2018-10-18 황현 체인벨트식 무단변속기용 동력전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739A2 (ko) * 2010-07-22 2012-01-26 Jeong Ki Sook 가변디스크 및 이를 이용한 무단변속기
WO2012011739A3 (ko) * 2010-07-22 2012-07-05 Jeong Ki Sook 가변디스크 및 이를 이용한 무단변속기
CN107002837A (zh) * 2014-12-09 2017-08-01 加特可株式会社 变速机构
CN107002836A (zh) * 2014-12-09 2017-08-01 加特可株式会社 变速机构
WO2018190558A1 (ko) * 2017-04-10 2018-10-18 황현 체인벨트식 무단변속기용 동력전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888A (en) Automatic transmission with a toroidal CVT and a belt type CVT for vehicle
KR100527269B1 (ko) 연속 가변 변속 풀리
US7803076B2 (en)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5713994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2010510452A (ja) 連続可変トランスミッションベースの遊星歯車
KR20080083934A (ko) 무단 변속기
KR101055839B1 (ko) 자동차의 토크 컨버터
EP1301736B1 (en) Belt drive ring cvt coupler
WO2014155835A1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における軸支持構造
US20060058127A1 (en) Belt-driven conical-pulley transmission, method for producing it, and motor vehicle having such a transmission
AU2001273547A1 (en) Belt drive ring CVT coupler
JP4352046B2 (ja) Vベルト式自動変速機
KR100767461B1 (ko) 자동 무단 변속기
EP0116731A1 (en) 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drive ratio
KR100823207B1 (ko) 외경 가변 기계장치를 이용한 무단변속기
JP2006037991A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のロックアップ機構
RU2294469C1 (ru)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крутящего момента для коробки передач
KR100500496B1 (ko) 기어형 구동 링 커플러
JP6531519B2 (ja) 車両の変速システム
KR20020089678A (ko) 무단변속장치
AU2001261539A1 (en) Geared drive ring coupler
JPH0333544A (ja) 動力伝達用リング体及びリング式動力伝達装置
JP2021076246A (ja) 無段変速機
JPH1113846A (ja) 可変径プーリ
KR100250284B1 (ko)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