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381B1 - 병렬 구조 직류-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병렬 구조 직류-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381B1
KR101877381B1 KR1020160178022A KR20160178022A KR101877381B1 KR 101877381 B1 KR101877381 B1 KR 101877381B1 KR 1020160178022 A KR1020160178022 A KR 1020160178022A KR 20160178022 A KR20160178022 A KR 20160178022A KR 101877381 B1 KR101877381 B1 KR 10187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voltage
resistor
convert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183A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3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2001/006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병렬 구조의 직류-직류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직류 전압을 입력 받아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제1 DC-DC 컨버터, 제1 DC-DC 컨버터와 병렬로 연결되어, 직류 전압을 입력 받아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제2 DC-DC 컨버터,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고,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제1 스위칭부,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고,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제2 스위칭부, 부하로 전달되는 출력 전압과 제1 직류 출력 전압의 차가 기설정된 제1 기준 전압보다 크면, 제1 제어 신호를 제1 스위칭부로 전달하는 제1 제어부, 및 출력 전압과 제2 직류 출력 전압의 차이가 기설정된 제2 기준 전압보다 크면, 제2 제어 신호를 제2 스위칭부로 전달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병렬 구조 직류-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RALLEL STRUCTURE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렬 구조의 직류-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부하가 요구하는 소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DC-DC 컨버터는 대표적으로, 벅 컨버터(buck converter),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포워드 컨버터(forward converter),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등이 있다.
최근에는 방산용 전자 부품 등에서 요구되는 소모 전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전류가 높아야 하는 전원 장치 분야에서 DC-DC 컨버터를 통해 전원 변환 회로를 구성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유도 무기용 탐색기의 경우에는 서보 모터와 많은 센서를 사용함에 따라 소요 전류가 매우 크며, 레이더의 경우에도 송신 출력 증폭을 위해 소요 전류가 매우 많다. 시스템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반면, 소요 전류가 커짐에 따라 이러한 전원 변화 회로의 필요성은 계속 증가되는 상황이다.
DC-DC 컨버터를 통해 전원 변환 회로를 구성할 시, 높은 출력 전류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여러 개의 DC-DC 컨버터들을 병렬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으나, 병렬로 구성할 시, 복수개의 DC-DC 컨버터 각각의 출력 전원 간의 전압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역전류 경로로 인한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회로가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DC-DC 컨버터를 병렬로 구성할 시에는 회로 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구성할 경우에는 전원 변환 회로 간에 역전류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지만, 전류량에 따라 다이오드의 크기가 크게 증대되어 부피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460944호 (2014.11.05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병렬구조의 DC-DC 컨버터들 간의 출력 전압 차로 인한 회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병렬구조의 DC-DC 컨버터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병렬 구조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제어 시스템은 직류 전압을 입력 받아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제1 DC-DC 컨버터; 상기 제1 DC-DC 컨버터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압을 입력 받아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제2 DC-DC 컨버터;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고,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고,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제2 스위칭부; 상기 부하로 전달되는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의 차가 기설정된 제1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칭부로 전달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의 차이가 기설정된 제2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전달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제1 P 채널 MOSFET, 제1 저항 및 제2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채널 MOSFET의 게이트(G)와 상기 제1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제2 저항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드레인(D)이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에 접속되고, 소스(S)에 상기 제1저항의 일단과 상기 부하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저항의 타단이 상기 제1 제어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제어부는, 부측 전원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P채널 MOSFET의 드레인(D)에 연결된 비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과 상기 제1 P채널 MOSFET의 소스(S)에 연결된 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의 차이를 증폭하는 제1 차동 증폭기; 부측 전원 단자가 상기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차동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하이(High) 신호 또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단에 베이스(B)가 연결되고, 이미터(E)가 상기 제2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컬렉터(C)가 상기 접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비교기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1스위칭부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제2 P 채널 MOSFET, 제3 저항 및 제4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채널 MOSFET의 게이트(G)와 상기 제3저항의 타단과 상기 제4 저항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드레인(D)이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에 접속되고, 소스(S)에 상기 제3저항의 일단과 상기 부하가 연결되고, 상기 제4 저항의 타단이 상기 제2 제어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제어부는, 부측 전원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P채널 MOSFET의 드레인(D)에 연결된 비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과 상기 제2 P채널 MOSFET의 소스(S)에 연결된 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의 차이를 증폭하는 제2 차동 증폭기; 부측 전원 단자가 상기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차동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하이(High) 신호 또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단에 베이스(B)가 연결되고, 이미터(E)가 상기 제4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컬렉터(C)가 상기 접지에 연결되며, 상기 제2비교기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2스위칭부로 상기 제2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4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병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DC-DC 컨버터를 구비하는 병렬 구조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병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DC-DC 컨버터를 구비하는 병렬 구조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DC-DC 컨버터 각각이 직류 전압을 입력 받아 제1 및 제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제1 및 제2 스위칭부가 상기 제1 및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부하로 전달하는 단계;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과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출력 전압의 차를 기설정된 제1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출력하는 단계; 제2 제어부가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과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출력 전압의 차를 기설정된 제2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활성화 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가 각각 제1 및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로 전달되는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 또는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부의 제1 차동 증폭기가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전압 차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부의 제1 비교기가 상기 제1 차동 증폭부에서 출력된 상기 전압 차를 기설정된 제1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전압 차가 상기 제1 기준 전압 이상이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3 스위칭부가 상기 제1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하이 신호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활성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제2 차동 증폭기가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전압 차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부의 제2 비교기가 상기 제2 차동 증폭부에서 출력된 상기 전압 차를 기설정된 제2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전압 차가 상기 제2 기준 전압 이상이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제4 스위칭부가 상기 제2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하이 신호 응답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활성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병렬 구조로 구성된 DC-DC 컨버터는 병렬 연결된 DC-DC 컨버터 각각의 출력 전압과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에 응답하여, DC-DC 컨버터와 부하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병렬 연결된 다른 DC-DC 컨버터로에서 발생된 전압과의 전압차로 인해 발생 할 수 있는 역전류 경로를 각각의 DC-DC 컨버터를 차단하여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DC-DC 컨버터와 부하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부에 LED 등의 간단한 회로 구성을 추가하여 불량 발생 여부와 보호 회로 동작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류가 높은 경우, 비교적 작은 부피의 보호 회로 구성이 가능하며, 보호하고자 하는 전압의 크기 설정도 가능하고, 전원의 온/오프 반복, 셧 다운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구조의 DC-DC 컨버터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구조의 DC-DC 컨버터 제어 시스템의 방법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구조의 DC-DC 컨버터의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구조의 DC-DC 컨버터의 제어 시스템(100)은 제1 DC-DC 컨버터(110), 제1스위칭부(120), 제1 제어부(130), 제2 DC-DC 컨버터(150), 제2스위칭부(160), 제2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DC-DC 컨버터(110)와 제2 DC-DC 컨버터(150)은 병렬 연결되어 동일한 직류 전압을 받으며, 서로 공유 핀(Share pin)으로 연결된다.
제1 DC-DC 컨버터(110)는 직류 전압을 입력 받아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제2 DC-DC 컨버터(150)는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압을 입력 받아 제2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제1스위칭부(120)는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부하(190)로 제공한다. 그러나, 제1제어부(130)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 개방되어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차단한다.
상기 제1 스위칭부(120)는 제1 P 채널 MOSFET(120a), 제1 저항(R1) 및 제2저항(R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P채널 MOSFET(MOS field-effect transistor)(120a)의 게이트(G)는 상기 제1 저항(R1)의 타단과 상기 제2 저항(R2)의 일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 P채널 MOSFET(120a)의 드레인(D)은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이 출력되는 제1 DC-DC 컨버터(110)의 출력 에 접속되고, 소스(S)는 상기 제1저항(R1)의 일단과 상기 부하(190)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저항(R2)의 타단은 상기 제1 제어부(130)에 연결된다.
상기 제1제어부(130)는 상기 제1 스위칭부(120)에 의해 상기 부하(190)로 전달되는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의 차가 제1 기준 전압(제1 Vref)보다 크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칭부(120)로 전달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120)를 개방시킨다.
상기 제1제어부(130)는 제1 차동 증폭기(130a), 제1 비교기(130b), 제3스위칭부(130 c)를 포함한다.
제1 차동 증폭기(130a)는 부측 전원 단자가 접지(GND)에 연결되고, 상기 제1 P채널 MOSFET(120a)의 드레인(D)에 연결된 비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과 상기 제1 P채널 MOSFET(120a)의 소스(S)에 연결된 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의 차이를 증폭하여 상기 제1 비교기(130b)로 출력한다.
제1비교기(130b)는 부측 전원 단자가 상기 접지(GND)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차동 증폭기(130a)에 의해 증폭된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하이(High) 신호 또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비교기(130b)는, 상기 제1 차동 증폭기(130a)에 의해 증폭된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 보다 크다면, 상기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차동 증폭기(130a)에 의해 증폭된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 보다 작다면, 상기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
제3스위칭부(130c)는 상기 제1 비교기(130b)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1스위칭부(120)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출력하며, NPN 형 BJT(Biploar Junction Transisto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스위칭부(130c)가 NPN 형 BJT로 구성될 경우, 상기 제1 비교기(130b)의 출력단에 베이스(B)가 연결되고, 이미터(E)가 상기 제2 저항(R2)의 타단에 연결되고, 컬렉터(C)가 상기 접지(GND)에 연결된다.
제2스위칭부(160)는 상기 제2 DC-DC 컨버터(150)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상기 부하(190)로 제공한다. 그러나, 제2제어부(170)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 개방되어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차단한다.
상기 제2스위칭부(160)는 제2 P 채널 MOSFET(160a), 제3 저항(R3) 및 제4저항(R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P채널 MOSFET(160a)의 게이트(G)는 상기 제3저항(R3)의 타단과 상기 제4 저항(R4)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드레인(D)이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에 접속되고, 소스(S)에 상기 제3저항(R3)의 일단과 상기 부하(19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4 저항(R4)의 타단이 상기 제2 제어부(170)에 연결된다.
상기 제2제어부(170)는 제2 차동 증폭기(170a), 제2 비교기(170b), 제4스위칭부(170c)를 포함한다.
제2차동 증폭기(170a)는 부측 전원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P채널 MOSFET(160a)의 드레인(D)에 연결된 비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과 상기 제2 P채널 MOSFET(160a)의 소스(S)에 연결된 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의 차이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2비교기(170b)는 부측 전원 단자가 상기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차동 증폭기(170a)에 의해 증폭된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하이(High) 신호 또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비교기(170b)는, 상기 제2 차동 증폭기(170a)에 의해 증폭된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 보다 크다면, 상기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차동 증폭기(170a)에 의해 증폭된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 보다 작다면, 상기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
제4스위칭부(170c)는 상기 제2비교기(170b)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2스위칭부(160)로 상기 제2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출력하며, NPN 형 BJT(Biploar Junction Transisto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스위칭부(170c)가 NPN 형 BJT로 구성될 경우, 상기 제2 비교기(170b)의 출력단에 베이스(B)가 연결되고, 이미터(E)가 상기 제4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컬렉터(C)가 상기 접지(GND)에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스위칭부(120, 160)은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DC-DC 컨버터(110, 150)에서 출력되는 제1 및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각각 부하(190)로 전달되는 출력 전압과 비교하여, 부하(190)로 전달되는 출력 전압이 제1 및 제2 직류 출력 전압보다 크면, 제1 및 제2 DC-DC 컨버터(110, 150)에서 출력되는 제1 및 제2 직류 출력 전압의 전압 레벨에 차이가 있어 역전류 경로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될 수 있으므로, 개방되어 역전류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대응하는 DC-DC 컨버터(110, 150)를 보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구조의 DC-DC 컨버터 제어 시스템의 방법 흐름도이다.
200단계에서 병렬 구조의 DC-DC 컨버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제1 DC-DC 컨버터(110)에서 변환되어 출력된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제1 스위칭부(120)를 통해 부하(190)로 제공하고, 205단계에서 병렬 구조의 DC-DC 컨버터 제어 시스템(100)의 제1제어부(130)가 상기 제1 스위칭부(120)에 의해 상기 부하(190)로 전달되는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의 차를 제1 기준 전압과 비교한다. 상기 205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스위칭부(120)에 의해 상기 부하(190)로 전달되는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의 차가 제1 기준 전압보다 크면, 210단계에서 제1제어부(130)가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칭부(120)로 전달하고, 215단계에서 상기 제1신호에 의해 제1스위칭부(120)는 개방된다. 그러나, 상기 205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스위칭부(120)에 의해 상기 부하(190)로 전달되는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의 차가 제1 기준 전압보다 작다면, 2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 DC-DC 컨버터(150)의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제2 스위칭부(160)를 통해 상기 부하(190)로 제공한다.
그리고, 225단계에서 병렬 구조의 DC-DC 컨버터 제어 시스템(100)의 제2제어부(170)가 상기 제1스위칭부(120)에 의해 상기 부하(190)로 전달되는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의 차이와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한다. 상기 225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1스위칭부(120)에 의해 상기 부하(190)로 전달되는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의 차이가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크면, 230단계에서 제2제어부(170)가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칭부(160)로 전달하고, 235단계에서 상기 제2스위칭부(160)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하며,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1DC-DC 컨버터 120: 제1스위칭부
130: 제1제어부 150: 제2DC-DC 컨버터
160: 제2스위칭부 170: 제2제어부
190 : 부하

Claims (8)

  1. 병렬 구조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직류 전압을 입력 받아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제1 DC-DC 컨버터;
    상기 제1 DC-DC 컨버터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압을 입력 받아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제2 DC-DC 컨버터;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고,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고,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부하로 전달하는 제2 스위칭부;
    상기 부하로 전달되는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의 차가 기설정된 제1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칭부로 전달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의 차이가 기설정된 제2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전달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제1 P 채널 MOSFET, 제1 저항 및 제2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P채널 MOSFET의 게이트(G)와 상기 제1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제2 저항의 일단이 접속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드레인(D)이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에 접속되고, 소스(S)에 상기 제1 저항의 일단과 상기 부하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저항의 타단이 상기 제1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구조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부측 전원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P채널 MOSFET의 드레인(D)에 연결된 비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과 상기 제1 P채널 MOSFET의 소스(S)에 연결된 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의 차이를 증폭하는 제1 차동 증폭기;
    부측 전원 단자가 상기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차동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하이(High) 신호 또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단에 베이스(B)가 연결되고, 이미터(E)가 상기 제2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컬렉터(C)가 상기 접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비교기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구조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제2 P 채널 MOSFET, 제3 저항 및 제4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채널 MOSFET의 게이트(G)와 상기 제3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제4 저항의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드레인(D)이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에 접속되고, 소스(S)에 상기 제3 저항의 일단과 상기 부하가 연결되고,
    상기 제4 저항의 타단이 상기 제2 제어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구조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부측 전원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P채널 MOSFET의 드레인(D)에 연결된 비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과 상기 제2 P채널 MOSFET의 소스(S)에 연결된 반전 입력단(-IN)의 입력 전압의 차이를 증폭하는 제2 차동 증폭기;
    부측 전원 단자가 상기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차동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하이(High) 신호 또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단에 베이스(B)가 연결되고, 이미터(E)가 상기 제4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컬렉터(C)가 상기 접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비교기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4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구조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제어 시스템.
  6. 병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DC-DC 컨버터를 구비하는 병렬 구조의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DC-DC 컨버터 각각이 직류 전압을 입력 받아 제1 및 제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제1 및 제2 스위칭부가 상기 제1 및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부하로 전달하는 단계;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과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출력 전압의 차를 기설정된 제1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출력하는 단계;
    제2 제어부가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과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출력 전압의 차를 기설정된 제2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활성화 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가 각각 제1 및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로 전달되는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 또는 제2 직류 출력 전압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제1 P 채널 MOSFET, 제1 저항 및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채널 MOSFET의 게이트(G)와 상기 제1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제2 저항의 일단이 접속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드레인(D)이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에 접속되고, 소스(S)에 상기 제1 저항의 일단과 상기 부하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저항의 타단이 상기 제1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의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부의 제1 차동 증폭기가 상기 제1 직류 출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전압 차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부의 제1 비교기가 상기 제1 차동 증폭부에서 출력된 상기 전압 차를 기설정된 제1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전압 차가 상기 제1 기준 전압 이상이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3 스위칭부가 상기 제1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하이 신호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활성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의 제어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제2 차동 증폭기가 상기 제2 직류 출력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전압 차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부의 제2 비교기가 상기 제2 차동 증폭부에서 출력된 상기 전압 차를 기설정된 제2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전압 차가 상기 제2 기준 전압 이상이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제4 스위칭부가 상기 제2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하이 신호 응답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활성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의 제어 방법.
KR1020160178022A 2016-12-23 2016-12-23 병렬 구조 직류-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7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022A KR101877381B1 (ko) 2016-12-23 2016-12-23 병렬 구조 직류-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022A KR101877381B1 (ko) 2016-12-23 2016-12-23 병렬 구조 직류-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183A KR20180074183A (ko) 2018-07-03
KR101877381B1 true KR101877381B1 (ko) 2018-07-11

Family

ID=6291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022A KR101877381B1 (ko) 2016-12-23 2016-12-23 병렬 구조 직류-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4577B2 (en) 2019-06-07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oost amplifie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469A (ja) * 2000-09-29 2002-04-12 Allied Tereshisu Kk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で構成したor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源回路
JP2005086948A (ja) * 2003-09-10 2005-03-31 Tdk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6340414A (ja) * 2005-05-31 2006-12-14 Mitsumi Electric Co Ltd 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過電圧防止方法
JP2007221880A (ja) * 2006-02-15 2007-08-30 Hitachi Ltd 電源装置、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子装置
JP2011152014A (ja) * 2010-01-25 2011-08-04 Renesas Electronics Corp Dc/dcコンバータ回路
WO2014123172A1 (ja) * 2013-02-08 2014-08-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Dc-dcコンバータ
JP2016134951A (ja) * 2015-01-16 2016-07-25 Fdk株式会社 逆電流保護付き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6134667A (ja) * 2015-01-16 2016-07-25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流出力装置および電流出力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469A (ja) * 2000-09-29 2002-04-12 Allied Tereshisu Kk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で構成したor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源回路
JP2005086948A (ja) * 2003-09-10 2005-03-31 Tdk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6340414A (ja) * 2005-05-31 2006-12-14 Mitsumi Electric Co Ltd 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過電圧防止方法
JP2007221880A (ja) * 2006-02-15 2007-08-30 Hitachi Ltd 電源装置、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子装置
JP2011152014A (ja) * 2010-01-25 2011-08-04 Renesas Electronics Corp Dc/dcコンバータ回路
WO2014123172A1 (ja) * 2013-02-08 2014-08-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Dc-dcコンバータ
JP2016134951A (ja) * 2015-01-16 2016-07-25 Fdk株式会社 逆電流保護付き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6134667A (ja) * 2015-01-16 2016-07-25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流出力装置および電流出力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4577B2 (en) 2019-06-07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oost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183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8885B2 (en) DC-DC CMOS converter
US7304540B2 (en) Source follower and current feedback circuit thereof
US20070114982A1 (en) Constant-voltage power circuit with fold back current limiting capability
US8730636B2 (en) Adaptive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operational amplifier and adaptive protection method thereof
US9148052B2 (en) Switching regulator with reduced EMI
KR102225712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US9000743B2 (en) Multi-channel constant voltage and constant current converting controller and apparatus
US7265614B2 (en) Amplifier circuit with reduced power-off transients and method thereof
US10444779B2 (en)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for generating an output regulated voltage
KR101877381B1 (ko) 병렬 구조 직류-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8244623A (ja) 半導体集積回路
US10291163B2 (en) Cascode structure for linear regulators and clamps
EP1763130A1 (en) Protection circuit
US20200310476A1 (en) Power supply circuit
US20200333390A1 (en) Fully differential current sensing
JP2008191001A (ja) ドライバ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試験装置
JP6439653B2 (ja) 定電圧電源回路
JP5465548B2 (ja) レベルシフト回路
JP2006079517A (ja) 定電圧電源回路
US20120076325A1 (en) Phantom Power Circuit
US20150200586A1 (en) Boost DC-DC Converter with Inrush Current Protection Device and Inrush Current Protecting Method
JP2007164270A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機器
JP7279903B1 (ja) 電源システム、電源システムが実行する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7140392A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slew enhancement for low power amplifiers
JP2006235991A (ja) 基準電圧発生回路及び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