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348B1 - 릴레이 및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릴레이 및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348B1
KR101877348B1 KR1020157002292A KR20157002292A KR101877348B1 KR 101877348 B1 KR101877348 B1 KR 101877348B1 KR 1020157002292 A KR1020157002292 A KR 1020157002292A KR 20157002292 A KR20157002292 A KR 20157002292A KR 101877348 B1 KR101877348 B1 KR 101877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liquid crystalline
resin composition
crystalline resi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879A (ko
Inventor
유토 히로세
요시아키 타구치
토모히로 타키
Original Assignee
포리프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0678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773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포리프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포리프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2Different parts are assembled by insertion without extra mounting facilities like screws, in an isolated mounting part, e.g. stack mounting on a coil-suppor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베이스(基臺)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단자 삽입에 견딜 수 있고, 에폭시계 접착제에 대한 충분한 접착성을 가지는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릴레이를 제공한다.
액정성 수지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액정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다. 엘라스토머로서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정성 수지 조성물은,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릴레이 및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RELAY, AND LIQUID CRYSTALLINE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RELAY}
본 발명은, 릴레이 및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는, 일렉트로닉스 산업의 발전과 함께 그 생산량도 순조롭게 성장하고 있으며, 통신 기기, OA 기기, 가전 기기, 자판기등 사용되는 분야도 다방면에 걸쳐 있다. 최근, 릴레이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 땜납 리플로우 처리 후에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완전 기밀 밀폐형의 릴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릴레이를 구성하는 부품의 원료로서 열가소성 수지가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액정성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공개특허 특개2009-191088호 공보
릴레이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릴레이 본체가 표면에 배치되는 베이스(基臺)가 있다. 베이스는, 단자 삽입에 견딜 수 있을 것, 베이스와 기판의 접합에 사용되는 에폭시계 접착제에 대한 접착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베이스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단자 삽입을 견딜 수 있고, 에폭시계 접착제에 대한 충분한 접착성을 가지는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액정성 수지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액정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제공한다.
(1) 단자구멍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단자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단자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릴레이 본체와, 상기 릴레이 본체를 덮고,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릴레이 본체가 수용되는 중공 용기 형상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단자가 삽입 통과되는 스루홀이 천공되고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이면과 에폭시계 접착제로 접합되는 기판, 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액정성 수지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는 릴레이.
(2) 상기 엘라스토머는,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인 (1)에 기재된 릴레이.
(3) 상기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4질량부 이상 17질량부 이하이며, 상기 유리섬유의 함유량이 27질량부 이상 73질량부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릴레이.
(4) 표면에 전자(電磁) 릴레이가 배치되고, 에폭시계 접착제로 기판과 접합되는 베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로서, 액정성 수지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베이스를 성형하면, 단자 삽입에 견딜 수 있고, 에폭시계 접착제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베이스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릴레이는, 베이스에 단자를 압입할 때 베이스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베이스 자체가 에폭시계 접착제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베이스와 기판간의 밀착성에 특히 우수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릴레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로크웰 경도의 측정 개소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밀착성 평가를 위한 샘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밀착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핀 압입 시험에 이용한 시험편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은, 액정성 수지와 엘라스토머를 가진다. 이하,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성 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액정성 수지는, 광학 이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는 용융 가공성 폴리머를 가리킨다. 이방성 용융상의 성질은, 직교 편광자를 이용한 관용의 편광 검사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방성 용융상의 확인은, Leitz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Leitz 핫스테이지에 올린 용융 시료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40배의 배율로 관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액정성 수지는 직교 편광자 사이에서 검사했을 때, 가령 용융 정지 상태에서도 편광은 통상 투과되어 광학적으로 이방성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액정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아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동일 분자쇄중에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도 그 범위에 있다. 이들은 60℃에서 펜타플루오로페놀에 농도 0.1중량%로 용해되었을 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dl/g의 대수 점도(I.V.)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아미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본산, 방향족 히드록시아민, 방향족 디아민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을 구성성분으로서 가지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아미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주로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본산 및 그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2) 주로 (a)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본산 및 그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b) 방향족 디카르본산, 지환족 디카르본산 및 그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c) 방향족 디올, 지환족 디올, 지방족 디올 및 그 유도체의 적어도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3) 주로 (a)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본산 및 그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b) 방향족 히드록시아민, 방향족 디아민 및 그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c) 방향족 디카르본산, 지환족 디카르본산 및 그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4) 주로 (a)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본산 및 그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b) 방향족 히드록시아민, 방향족 디아민 및 그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c) 방향족 디카르본산, 지환족 디카르본산 및 그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d) 방향족 디올, 지환족 디올, 지방족 디올 및 그 유도체의 적어도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구성 성분에, 필요에 따라 분자량 조정제를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액정성 수지를 구성하는 구체적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p-히드록시안식향산, 6-히드록시-2-나프토산등의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본산, 2,6-디히드록시나프탈렌, 1,4-디히드록시나프탈렌, 4,4'-디히드록시비페닐,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신, 하기 일반식(I) 및 하기 일반식(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등의 방향족 디올;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4,4'-디페닐디카르본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및 하기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등의 방향족 디카르본산; p-아미노페놀, p-페닐렌디아민등의 방향족 아민류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5008972994-pct00001
(X: 알킬렌(C1~C4), 알킬리덴, -O-, -SO-, -SO2-, -S-, -CO-에서 선택되는 기이다)
Figure 112015008972994-pct00002
Figure 112015008972994-pct00003
(Y:-(CH2)n-(n=1~4), -O(CH2)nO-(n=1~4)에서 선택되는 기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액정성 수지의 조제는, 상기의 모노머 화합물(또는 모노머의 혼합물)로부터 직접 중합법이나 에스테르 교환법을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통상은 용융 중합법이나 슬러리 중합법등이 이용된다. 에스테르 형성능(形成能)을 가지는 상기 화합물류는 그대로의 형태로 중합에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중합 전(前)단계에서 전구체로부터 상기 에스테르 형성능을 가지는 유도체로 변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들 중합에 있어서는 다양한 촉매의 사용이 가능하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디알킬주석 산화물, 디아릴주석 산화물, 이산화티탄, 알콕시티탄 규산염류, 티탄알코올레이트류, 카르본산의 알칼리 및 알칼리토류 금속염류, BF3와 같은 루이스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촉매 사용량은, 일반적으로는 모노머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약 0.001~1질량%, 특히 약 0.01~0.2질량%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머는 더 필요할 경우, 감압 또는 불활성 가스중에서 가열하는 고상(固相) 중합에 의해 분자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에 엘라스토머가 포함됨으로써,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에 유연성이 부여되는 동시에, 에폭시계 접착제에의 접착성이 부여되는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은 베이스의 제조에 적합하다.
엘라스토머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반복단위를 가진다. 엘라스토머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공중합 성분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반복단위의 함유량이 3질량% 이상 1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에틸렌, 1-프로펜,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등의 α-올레핀,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그 유도체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에틸렌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GMA)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EGMA는, 에틸렌,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어느 것일 수 있다.
또한, 에틸렌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이외의 공중합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기타 공중합 성분의 비율은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중의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4질량부 이상 17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4질량부 이상이면,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에 충분한 유연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에폭시계 접착제에의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17질량부 이하이면,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향상 및 얻어지는 릴레이의 외관 향상이라는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6질량부 이상 11질량부 이하이다.
[무기 충전제]
본 발명의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의 필수 성분 이외에, 무기 충전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에 무기 충전재가 포함됨으로써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등을 높일 수 있다. 엘라스토머로 수지 조성물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무기 충전제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함으로써, 베이스에 단자를 압입했을 때의 베이스의 변형을 특히 억제하기 쉬워진다.
무기 충전제로서는, 비섬유상 충전제일 수 있고, 섬유상 충전제일 수도 있으나, 섬유상 충전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유리섬유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유리섬유로서는, 공지된 유리섬유의 어느 것이든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리고, 유리섬유의 유리섬유 지름이나, 원통, 누에고치형, 타원단면 등의 형상, 또는 촙트스트랜드나 로빙 등의 제조에 이용할 때의 길이나 글래스 컷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유리의 종류도 한정되지 않으나, 품질상 E 유리나, 조성중에 지르코늄 원소를 가지는 내부식(耐腐食) 유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리섬유와 수지 매트릭스와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아미노실란 화합물이나 에폭시 화합물 등의 유기 처리제로 표면 처리된 유리섬유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중의 유리섬유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7질량부 이상 73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7질량부 이상이면,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73질량부 이하이면, 액정성 수지나 엘라스토머등의 성분을 충분히 배합시키면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또한, 본 발명의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무기 충전제 이외의 임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핵제, 안료, 산화방지제, 안정제, 가소제, 활제, 이형제등을 들 수 있다.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법에 대한 구체적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수지 조성물 또는 그 성형체의 조제법으로서 공지된 설비와 방법에 의해 수지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한 성분을 혼합하고, 1축 또는 2축 압출기 또는 기타 용융혼련장치를 이용하여 혼련하여, 성형용 펠릿으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압출기 또는 기타 용융혼련장치를 복수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든 성분을 호퍼로부터 동시에 투입할 수도 있고, 일부 성분은 사이드 피드구로부터 투입할 수도 있다.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베이스등의 릴레이를 구성하는 수지 부품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액정성 수지 조성물에 요구되는 매우 높은 유동성을,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에는 요구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성형온도에서의 용융 점도가 전단 속도 1000sec-1에서 20Pa·s이상 100Pa·s 이하의 범위에서도 충분히 성형 가능하다.
<릴레이>
본 발명의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은, 릴레이를 구성하는 부품인 베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는 릴레이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가 본 발명의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성형된 릴레이는, 본 발명의 릴레이에 해당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릴레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릴레이(1)는, 베이스(2), 단자(3), 릴레이 본체(4), 커버(5) 및 기판(6)을 구비한다.
베이스(2)는, 단자(3)가 삽입 통과되는 단자구멍(21)을 가진다. 단자구멍(21)에 단자(3)가 압입됨으로써 단자구멍(21)에 단자(3)가 삽입 통과된 상태가 된다.
단자(3)가 단자구멍(21)에 압입될 때, 베이스(2)의 단자구멍(21) 부근이 변형(표면이 벗겨지거나, 솟아오르는 등의 변형)되거나 깎이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베이스(2)라면, 엘라스토머의 배합에 의해 베이스(2) 표면의 표면경도가 낮아져 단자(3)를 단자구멍(21)에 압입했을 때, 베이스(2)가 깎이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베이스(2) 표면 경도의 정도는, 표면의 로크웰 경도(R스케일)로 107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105 이하이다.
또한, 베이스(2)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휨 탄성율이 있는데, ISO 178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휨 탄성율은 12000MPa 이상 15000MPa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00MPa 이상 14500MPa 이하이며 동시에, 경도가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에 있으면, 단자(3) 압입시에 베이스(2)의 단자구멍(21) 부근이 벗겨지거나 깎여지기 더욱 어려워진다.
단자(3)는, 일단이 릴레이 본체(4)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타단은 단자구멍(21)을 관통하여, 후술하는 기판(6)이 가지는 스루홀에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릴레이 본체(4)는, 코일이나 전자석등을 가지는 일반적인 릴레이 본체이며, 릴레이 본체(4)는, 베이스(4)의 표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한 바와 같이, 릴레이 본체(4)는 단자(3)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커버(5)는, 릴레이 본체(4)와 기판(6)의 측벽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베이스(2)와 커버(5)로 형성되는 중공 용기 형상의 내부에 릴레이 본체(4)가 수용된다.
기판(6)은, 단자(3)가 삽입 통과되며 단자(3)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스루홀(61)을 가진다. 기판(6)의 일면과 베이스(2)의 이면이 에폭시계 접착제(7)로 접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2)가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액정성 수지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2)와 기판(6) 간의 밀착력이 매우 강해진다.
또한, 베이스(2)의 이면에는 단자(3) 압입시에 발생되는 변형이 거의 없기 때문에, 기판(6)의 일면과 베이스(2)의 이면을 쉽게 밀착시킬 수 있는 결과, 베이스(2)와 기판(6) 간의 밀착력은 매우 강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액정성 수지: 폴리플라스틱스(주) 제품, 벡트라(등록상표) LCP E950i
엘라스토머 1: 스미토모화학(주) 제품, Bondfast 2C[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6중량% 함유)]
엘라스토머 2: 스미토모화학(주) 제품, Bondfast 7M[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6질량% 함유, 아크릴산메틸을 27질량% 함유)]
유리섬유: 니뽄 덴끼가라스(주) ECS03T-786H[유리섬유, 평균섬유지름 10.5㎛, 평균섬유길이 3000㎛]
상기 재료를 2축 압출기((주)일본제강 제품 TEX-30α를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용융혼련하여 펠릿화하였다.
<평가>
용융 점도, 휨 강도, 휨 탄성율, 로크웰 경도, 핀 압입 시험, 밀착력을 평가하였다.
[용융 점도]
상기 펠릿을, 캐필러리식 레오미터((주)토요세이키제작소 제품 캐필로그라프 1D: 피스톤지름 10mm)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가 융점+20℃, 전단속도가 1000sec-1인 조건에서, ISO 11443에 준거하여 외관의 용융 점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내경 1mm, 길이 20mm의 오리피스를 이용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휨 시험]
상기 펠릿을, 사출 성형기(스미토모중기계공업(주) 제품 「SE100DU」)를 이용하여, 시험편(4mm×10mm×80mm)으로 성형하였다. 이후, ISO178에 준거하여, 시험편의 휨 강도, 휨 탄성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로크웰 경도]
상기 펠릿을, 사출 성형기(스미토모중기계공업(주) 제품 「SE100DU」)를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낸 시험편(ISO 시험편 타입 1A, 두께 4mm)으로 성형하였다. 이후, ISO2039-2에 준거한 방법으로 동그라미 표시한 부분의 로크웰 경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핀 압입 시험]
상기 펠릿을, 사출 성형기(닛세이수지공업(주) 제품 NEX500)를 이용하여, 도 5에 나타낸 0.37mm×0.37mm 각진 구멍을 1.27mm 피치에 9개 가지는 시험편(14.84mm×9.6mm×1.0mm)으로 성형하였다. 이후, 1개 걸러 5개의 구멍에, 0.40mm×0.40mm 각진 핀 5개를 동시에 속도 20mm/min로 압입하여 관통시키고, 관통될 때까지의 최대 하중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접착 강도]
상기 펠릿을, 사출 성형기(스미토모중기계공업(주) 제품 「SE100DU」)를 이용하여, 시험편(ISO 시험편 타입 1A, 두께 4mm)을 성형하고, 이 시험편을 2 분할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폭시계 접착제로 서로 붙였다(경화 조건: 120℃×30분). 이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붙인 시험편을 설치하고, 휨 시험기를 이용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하중을 가해서 떨어졌을 때의 하중으로부터 접착 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08972994-pct00004
이상과 같이, 액정성 수지와 특정 엘라스토머를 병용함으로써, 릴레이의 베이스 성형에 특히 적합한 액정성 수지 조성물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릴레이
2 베이스
21 단자구멍
3 단자
4 릴레이 본체
5 커버
6 기판
61 스루홀
7 에폭시계 접착제

Claims (4)

  1. 단자구멍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단자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단자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릴레이 본체와,
    상기 릴레이 본체를 덮고,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릴레이 본체가 수용되는 중공 용기 형상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단자가 삽입 통과되는 스루홀이 천공되고,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이면과 에폭시계 접착제로 접합되는 기판, 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가, 액정성 수지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고,
    상기 액정성 수지는,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본산, 방향족 히드록시아민, 및 방향족 디아민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을 구성성분으로서 가지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아미드인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인 릴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4질량부 이상 17질량부 이하이며,
    상기 유리섬유의 함유량이 27질량부 이상 73질량부 이하인 릴레이.
  4. 표면에 전자 릴레이가 배치되며, 에폭시계 접착제로 기판과 접합되는 베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로서,
    액정성 수지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엘라스토머,
    를 함유하고,
    상기 액정성 수지는,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본산, 방향족 히드록시아민, 및 방향족 디아민의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을 구성성분으로서 가지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아미드인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
KR1020157002292A 2012-08-07 2013-06-19 릴레이 및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 KR101877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5437A JP6037709B2 (ja) 2012-08-07 2012-08-07 リレー及びリレー用液晶性樹脂組成物
JPJP-P-2012-175437 2012-08-07
PCT/JP2013/066886 WO2014024574A1 (ja) 2012-08-07 2013-06-19 リレー及びリレー用液晶性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879A KR20150040879A (ko) 2015-04-15
KR101877348B1 true KR101877348B1 (ko) 2018-07-11

Family

ID=5006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292A KR101877348B1 (ko) 2012-08-07 2013-06-19 릴레이 및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37709B2 (ko)
KR (1) KR101877348B1 (ko)
CN (1) CN104520957B (ko)
TW (1) TWI514432B (ko)
WO (1) WO201402457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051A (ja) * 2001-03-29 2002-10-09 Toray Ind Inc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00126530A (ko) * 2008-03-19 2010-12-01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접점 장치
KR20110126604A (ko) * 2009-02-04 2011-11-23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형 입력 스위치
JP2012142210A (ja) * 2011-01-04 2012-07-26 Fujitsu Component Ltd 電磁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5133B2 (en) * 2003-04-14 2005-04-26 Agilent Technologies, Inc. High frequency bending-mode latching relay
JP4540064B2 (ja) * 2005-09-09 2010-09-08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US20070084633A1 (en) * 2005-09-21 2007-04-19 Tyco Electroni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lay with noise reducing sealant
JP2006179503A (ja) * 2006-03-27 2006-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高周波リレー
TW201113144A (en) * 2009-06-15 2011-04-16 Sumitomo Chemical Co Resin formed body, producing method thereof, and relay
JP5566172B2 (ja) * 2010-04-16 2014-08-0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051A (ja) * 2001-03-29 2002-10-09 Toray Ind Inc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00126530A (ko) * 2008-03-19 2010-12-01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접점 장치
KR20110126604A (ko) * 2009-02-04 2011-11-23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형 입력 스위치
JP2012142210A (ja) * 2011-01-04 2012-07-26 Fujitsu Component Ltd 電磁継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35841A (ja) 2014-02-24
WO2014024574A1 (ja) 2014-02-13
TWI514432B (zh) 2015-12-21
KR20150040879A (ko) 2015-04-15
TW201409515A (zh) 2014-03-01
CN104520957A (zh) 2015-04-15
JP6037709B2 (ja) 2016-12-07
CN104520957B (zh) 201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4795A (en) Polymer blend composition for melt molding
TWI449774B (zh) 平面狀連接器
TWI641653B (zh) 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composition, granules, molded articles, and electronic machine frames
WO2011132543A1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EP2415838A1 (en)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natural fibers
US10377851B2 (en) Liquid crystal polymer
CN110997820B (zh) 耐滑动摩耗构件用液晶性树脂组合物和使用了其的耐滑动摩耗构件
JP6545416B1 (ja) 耐摺動摩耗部材用液晶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耐摺動摩耗部材
JPH02276819A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および芳香族ポリエステルアミド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繊維、樹脂組成物
JP7199853B2 (ja) 耐摺動摩耗部材用液晶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耐摺動摩耗部材
KR101877348B1 (ko) 릴레이 및 릴레이용 액정성 수지 조성물
JP6829035B2 (ja) 液晶性樹脂組成物及び液晶性樹脂用高流動化剤
JP2022553023A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組成物及びプラスチック/金属ハイブリッドの複合体
JP2005276758A (ja) 平面状コネクター
JP4498810B2 (ja) 液晶樹脂組成物
CN110922724A (zh) 一种玻纤增强pbt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81840B1 (ko) 액정성 폴리머 조성물
EP0487337B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JP2549710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919937A (ja) 射出成形体
EP3950843B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JP2022186080A (ja) 液晶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H03149773A (ja) 樹脂コネクター
CN104629301A (zh) 高机械性能抗老化pc/abs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