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813B1 -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813B1
KR101876813B1 KR1020170168522A KR20170168522A KR101876813B1 KR 101876813 B1 KR101876813 B1 KR 101876813B1 KR 1020170168522 A KR1020170168522 A KR 1020170168522A KR 20170168522 A KR20170168522 A KR 20170168522A KR 101876813 B1 KR101876813 B1 KR 101876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mold
flow
contac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원모
손관우
조현욱
박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7016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제1 차 금형을 이용하여 1 차 사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 차 사출물의 제1 면 상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상기 안테나 패턴과 연결되는 컨택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차 금형에 상기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컨택부가 형성된 상기 1 차 사출물을 배치하고 인서트 사출하여 2 차 사출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 금형은 음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택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컨택부 배치홈 및 양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택부 배치홈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유동 방지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ANTENN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모듈 제조 과정에서 안테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안테나가 사용되며, 안테나는 단말기 몸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의 장치와 무선으로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가 있다. 종래에는 원활한 무선통신을 위해 안테나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안테나 길이를 늘였다가 줄일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안테나와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면서, 안테나는 외부로 노출되기 보다는 내부에 내장되고 있으며, 내부의 다른 부품에 영향 없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며, 안테나 패턴은 안테나 모듈의 하우징에 일체로 장착된다. 안테나 패턴을 모듈 사출물에 일체로 장착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사출물 및 안테나 패턴에 대응하도록 금속 시트를 재단한 후, 사출물에 재단된 금속 시트를 일체로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사출물이 평면이 아닌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안테나 패턴을 사출물에 일체로 장착하는 것은 더욱 복잡하고 어려워진다.
이를 위해, 제1 차 금형을 이용하여 1차 사출물을 형성하고, 1차 사출물 상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한 후,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1차 사출물을 제2 차 금형에 위치시키고 인서트 사출에 의해 2차 사출물을 형성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러나,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안테나 모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레진(resin)의 사출 및 이형 과정 중 실제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안테나 패턴부 및 컨택부가 손상되거나, 변형되어 안테나 모듈의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4794 호(2016.01.13)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안테나 패턴 및 컨택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안테나 패턴 및 컨택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제1 차 금형을 이용하여 1 차 사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 차 사출물의 제1 면 상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상기 안테나 패턴과 연결되는 컨택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차 금형에 상기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컨택부가 형성된 상기 1 차 사출물을 배치하고 인서트 사출하여 2 차 사출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 금형은 음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택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컨택부 배치홈 및 양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택부 배치홈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유동 방지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출물은 상기 제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컨택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유동 방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는 한쌍의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 홈은 상기 컨택부들 사이에 형성되며, 제1 깊이를 갖는 제1 유동 방지 홈, 상기 컨택부들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깊이보다 낮은 제2 깊이로 형성되는 제2 및 제3 유동 방지 홈 및 상기 컨택부와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상기 컨택부를 고정하는 컨택부 끼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 배치홈은 상기 컨택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 돌기는 상기 컨택부 배치홈들 사이에 형성되고, 제1 높이를 갖는 제1 유동 방지 돌기 및 상기 컨택부 배치홈들 외곽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및 제3 유동 방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차 금형은 음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택부 배치홈과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컨택부 끼움 돌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컨택부 끼움 돌기 배치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출물은 상기 제1 면에서 2차 사출물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며,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2차 사출물로부터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측면은 상기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측면의 상기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25도 내지 3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측면은 상기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돌기부 및 상기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가 상기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25도 내지 3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 돌기는 평면도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고정 돌기부 및 평면도 상에서 상기 위치 고정 돌기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고정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차 금형은 상기 컨택부 배치홈 하부에 상기 컨택부 배치홈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갖도록 배치되며,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출물은 상기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1 면 상에 안테나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상기 안테나 패턴과 연결되는 컨택부가 형성되는 1차 사출물 및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1차 사출물의 제1 면 및 상기 안테나 패턴을 완전히 커버하고,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1차 사출물의 제1 면 및 상기 컨택부를 완전히 노출시키는 2차 사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출물은 상기 제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컨택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유동 방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는 한쌍의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 홈은 상기 컨택부들 사이에 형성되며, 제1 깊이를 갖는 제1 유동 방지 홈, 상기 컨택부들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깊이보다 낮은 제2 깊이로 형성되는 제2 및 제3 유동 방지 홈 및 상기 컨택부와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상기 컨택부를 고정하는 컨택부 끼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 홈의 측면은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 방지 홈의 측면의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25도 내지 3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 홈의 측면은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홈부 및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홈부가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25도 내지 3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출물은 상기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의 제조 공정에서 1차 사출물을 제2 차 금형에 배치하고 인서트 사출을 진행할 때, 제2 차 금형에는 유동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1차 사출물에는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유동 방지 홈이 형성되어, 상기 1차 사출물과 상기 제2 차 금형이 정확히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사출물과 상기 제2 차 금형 사이의 공간에 레진이 침투할 수 없으므로, 2차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컨택부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측면을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여, 1차 사출물을 제2 차 금형에 배치시킬 때, 슬라이딩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어 체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1차 사출물의 제1 면에 격벽을 형성하여, 2차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1차 사출물의 제1 면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이 레진의 열과 압력을 직접 받지 않도록 하므로, 2차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안테나 패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후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1차 사출물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1차 사출물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조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의 유동 방지 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제조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의 유동 방지 돌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제조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에 1차 사출물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후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1차 사출물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1차 사출물(120), 컨택부 끼움 돌기(115), 2차 사출물(120), 안테나 패턴(210), 컨택부(220) 및 유동 방지 홈(R1, R2, R3)을 포함한다.
상기 1차 사출물(110)은 제1 차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1차 사출물(110)은 상기 제1 차 금형 내로 레진(resin)을 사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사출물(110)에는 안테나 패턴(210) 및 컨택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210) 및 상기 컨택부(220)는 열융착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융착(heat anastomosis)은 열(heater)을 사용하여 열판으로부터 융착하고자 하는 부위를 열전도에 의하여 용융시킨 후 히터를 제거하고 압착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방법이다. 상기 안테나 패턴(210) 및 상기 컨택부(220)에 형성된 홀이 1차 사출물의 표면에 형성된 끼움 돌기에 끼워진 후, 끼움 돌기가 열융착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210) 및 상기 컨택부(220)와 1차 사출물(110)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상기 컨택부(220)에는 납작해진 컨택부 끼움 돌기(115)들이 형성되고, 도 3과 같이, 상기 안테나 패턴(210)에는 납작해진 복수개의 안테나 패턴 끼움 돌기들이 형성된다.
상기 1차 사출물(110)의 제1 면에는 상기 안테나 패턴(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는 상기 컨택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210)과 상기 컨택부(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1차 사출물(110)의 제2 면에는 상기 컨택부(220)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유동 방지 홈(R1, R2, R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부(220)는 한쌍의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 방지 홈은 상기 컨택부(220)들 사이에 형성되며, 제1 깊이를 갖는 제1 유동 방지 홈(R1), 상기 컨택부(220)들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깊이보다 낮은 제2 깊이로 형성되는 제2 및 제3 유동 방지 홈(R2, R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 홈에 대하여는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2차 사출물(120)은 상기 안테나 패턴(210) 및 상기 컨택부(220)가 배치된 상기 1차 사출물(110)을 제2 차 금형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 차 금형 내로 레진(resin)을 사출하여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사출물(120)은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1차 사출물(110)의 제1 면 및 상기 안테나 패턴(210)을 완전히 커버하고,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1차 사출물(110)의 제1 면 및 상기 컨택부(220)를 완전히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면 상에서 상기 제1 사출물(110)의 높이는 상기 제2 사출물(12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300)은 컨택부 배치홈(310), 컨택부 끼움 돌기 배치홈(320) 및 유동 방지 돌기(P1, P2, P3)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부 배치홈(310)은 음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택부(22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택부(220)가 형성된 상기 1차 사출물(110)이 상기 제2 차 금형(30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컨택부 배치홈(310)에 상기 컨택부(220)가 정확히 삽입되어 밀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컨택부 끼움 돌기 배치홈(320)은 상기 컨택부 배치홈(310)과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컨택부 끼움 돌기(115)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택부(220)가 형성된 상기 1차 사출물(110)이 상기 제2 차 금형(30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컨택부 끼움 돌기 배치홈(320)에 상기 컨택부 끼움 돌기(115)가 정확히 삽입되어 밀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 돌기(P1, P2, P3)는 양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택부 배치홈(320)과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동 방지 돌기는 상기 컨택부 배치홈(320)들 사이에 형성되고, 제1 높이(H1)를 갖는 제1 유동 방지 돌기(P1), 상기 컨택부 배치홈(320)들 외곽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를 갖는 제2 및 제3 유동 방지 돌기(P2, P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 돌기는 상기 제2 차 금형(300)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돌기부 및 상기 제2 차 금형(300)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θ)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가 상기 제2 차 금형(30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θ)는 25도 내지 3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 방지 돌기(P1)의 형상은 상기 제1 유동 방지 홈(R1)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유동 방지 돌기(P2)의 형상은 상기 제3 유동 방지 홈(R3)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제3 유동 방지 돌기(P3)의 형상은 상기 제2 유동 방지 홈(R2)의 형상에 대응되므로, 상기 컨택부(220)가 형성된 상기 1차 사출물(110)이 상기 제2 차 금형(30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유동 방지 홈에 상기 유동 방지 돌기가 정확히 삽입되어 밀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동 방지 홈에 상기 유동 방지 돌기가 삽입될 때, 경사부를 통해 슬라이딩되면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어 2차 인서트 사출과정에서 1차 사출물을 제2차 금형이 쉽게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컨택부(220)가 형성된 상기 1차 사출물(110)이 상기 제2 차 금형(30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컨택부(220)가 형성된 상기 1차 사출물(110)의 형상이 상기 제2 차 금형(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1차 사출물이 상기 제2 차 금형에 밀착될 수 있어, 2차 인서트 사출시 상기 컨택부 끼움 돌기(115)와 상기 컨택부(2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1차 사출물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1차 사출물에는 컨택부(220), 컨택부 끼움 돌기(115) 및 유동 방지 홈(R1, R2, R3)이 형성된다.
상기 컨택부(220)는 한쌍의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부(220)는 열융착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융착(heat anastomosis)은 열(heater)을 사용하여 열판으로부터 융착하고자 하는 부위를 열전도에 의하여 용융시킨 후 히터를 제거하고 압착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방법이다. 상기 컨택부(220)에 형성된 홀이 1차 사출물의 표면에 형성된 컨택부 끼움 돌기(115)에 끼워진 후, 상기 컨택부 끼움 돌기(115)가 열융착되어 상기 컨택부(220)와 1차 사출물(110)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부(220)에는 납작해진 컨택부 끼움 돌기(115)들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 방지 홈은 상기 컨택부(220)들 사이에 형성되며, 제1 깊이를 갖는 제1 유동 방지 홈(R1), 상기 컨택부(220)들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깊이보다 낮은 제2 깊이로 형성되는 제2 및 제3 유동 방지 홈(R2, R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제1 유동 방지 돌기(P1)의 제1 높이(H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제2 및 제3 유동 방지 돌기(R2, R3)의 제2 높이(H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 유동 방지 홈(R1)의 형상은 상기 제1 유동 방지 돌기(P1)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유동 방지 홈(R2)의 형상은 상기 제3 유동 방지 돌기(P3)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제3 유동 방지 홈(R3)의 형상은 상기 제2 유동 방지 돌기(P2)의 형상에 대응되므로, 상기 컨택부(220)가 형성된 상기 1차 사출물(110)이 상기 제2 차 금형(30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유동 방지 홈에 상기 유동 방지 돌기가 정확히 삽입되어 밀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 홈의 측면은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홈부 및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홈부는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수직 돌기부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경사 홈부는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경사 돌기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은 도 4 및 도 5의 제2 차 금형과 자성체부(M1, M2)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은 컨택부 배치홈(310) 하부에 배치되는 자성체부(M1, M2)를 포함한다.
상기 자성체부(M1, M2)는 컨택부 배치홈(310)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차 금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부(M1, M2)의 면적은 상기 컨택부 배치홈(31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성체부(M1, M2)의 면적은 상기 컨택부 배치홈(310)의 면적의 70% 내지 8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부(M1, M2)는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성체부(M1, M2)는 상기 컨택부 배치홈(310)에 컨택부(220)가 배치되는 경우 자력으로 상기 컨택부(220)를 끌어당겨 상기 컨택부 배치홈(3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2차 인서트 사출 공정 시 상기 컨택부(220)가 상기 컨택부 배치홈(310)에 밀착되므로 상기 컨택부(220)와 상기 컨택부 배치홈(310) 사이에 레진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컨택부(220)와 상기 컨택부 배치홈(310) 사이에 레진이 흘러 들어가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테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조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의 유동 방지 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조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의 유동 방지 돌기의 측면은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θ)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유동 방지 돌기(P1)의 측면은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θ)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유동 방지 돌기(P1)의 측면이 상기 제2 차 금형(30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θ)는 25도 내지 3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 돌기(P1)의 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유동 방지 홈에 상기 유동 방지 돌기가 삽입될 때, 경사진 측면을 통해 슬라이딩되면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어 2차 인서트 사출과정에서 1차 사출물을 제2차 금형이 쉽게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유동 방지 돌기(P1)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동 방지 돌기는 제1 유동 방지 돌기(P1)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및 제3 유동 방지 돌기(P2, P3)의 측면도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의 유동 방지 돌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의 유동 방지 돌기는 위치 고정 돌기부(P10) 및 회전 고정 돌기부(P2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고정 돌기부(P10)는 평면도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고정 돌기부(P20)는 평면도 상에서 상기 고정 돌기부(P1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고정부(P10) 및 회전 고정 돌기부(P20)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 돌기부(P10)는 제2 차 금형에 배치되는 1차 사출물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회전 고정 돌기부(P20)는 위치가 고정된 1차 사출물이 회전하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유동 방지 돌기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1차 사출물이 제2 차 금형으로부터 이탈하거나 회전 또는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2차 인서트 사출과정에서 1차 사출물이 제2 차 금형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회전 또는 이동하는 경우 안테나 모듈의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돌기는 상기 위치 고정부(P10) 및 회전 고정 돌기부(P20)는 서로 교차하여 'T'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1차 사출물이 제2 차 금형에 단단히 고정되어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1차 사출물이 이탈하거나, 회전 또는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출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테나 모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제조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에 1차 사출물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제조에 이용되는 제2 차 금형(300)에 1차 사출물(110)이 배치된다.
상기 1차 사출물(110)의 제1 면에는 안테나 패턴(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는 컨택부(2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210)들의 외곽부에는 격벽부(W1, W2)가 형성된다. 상기 1차 사출물(110)의 제2 면 및 상기 컨택부(220)는 상기 제2 차 금형(300)과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1차 사출물(110)과 상기 제2 차 금형(300) 사이의 공간에 레진이 사출되며, 이때, 레진이 사출되면서, 상기 1차 사출물(110)의 제1 면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210)이 사출되는 레진의 열 및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의 1차 사출물(110)은 상기 안테나 패턴(210)의 외곽에 형성되는 격벽부(W1, W2)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부(W1, W2)는 상기 안테나 패턴(21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안테나 패턴(210)의 외곽에 형성되어, 레진이 사출될 때 1차적으로 상기 격벽부(W1, W2)에 접촉하게 되므로, 사출되는 레진이 안테나 패턴(210)에 직접 열과 압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W1, W2)는 1차 사출물(110)의 형성 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1차 사출물(1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의 제조 공정에서 1차 사출물을 제2 차 금형에 배치하고 인서트 사출을 진행할 때, 제2 차 금형에는 유동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1차 사출물에는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유동 방지 홈이 형성되어, 상기 1차 사출물과 상기 제2 차 금형이 정확히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사출물과 상기 제2 차 금형 사이의 공간에 레진이 침투할 수 없으므로, 2차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컨택부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측면을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여, 1차 사출물을 제2 차 금형에 배치시킬 때, 슬라이딩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어 체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1차 사출물의 제1 면에 격벽을 형성하여, 2차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1차 사출물의 제1 면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이 레진의 열과 압력을 직접 받지 않도록 하므로, 2차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안테나 패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1차 사출물
115: 컨택부 끼움 돌기
120: 2차 사출물
210: 안테나 패턴
220: 컨택부
R1: 제1 유동 방지 홈
R2: 제2 유동 방지 홈
R3: 제3 유동 방지 홈
300: 제2 차 금형
310: 컨택부 배치홈
320: 컨택부 끼움 돌기 배치홈
P1: 제1 유동 방지 돌기
P2: 제2 유동 방지 돌기
P3: 제3 유동 방지 돌기

Claims (17)

  1. 제1 차 금형을 이용하여 1 차 사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 차 사출물의 제1 면 상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상기 안테나 패턴과 연결되는 컨택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차 금형에 상기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컨택부가 형성된 상기 1 차 사출물을 배치하고 인서트 사출하여 2 차 사출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 금형은,
    음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택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컨택부 배치홈; 및
    양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택부 배치홈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유동 방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사출물은 상기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출물은,
    상기 제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컨택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유동 방지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는 한쌍의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 방지 홈은,
    상기 컨택부들 사이에 형성되며, 제1 깊이를 갖는 제1 유동 방지 홈;
    상기 컨택부들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깊이보다 낮은 제2 깊이로 형성되는 제2 및 제3 유동 방지 홈; 및
    상기 컨택부와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상기 컨택부를 고정하는 컨택부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 배치홈은 상기 컨택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 방지 돌기는,
    상기 컨택부 배치홈들 사이에 형성되고, 제1 높이를 갖는 제1 유동 방지 돌기; 및
    상기 컨택부 배치홈들 외곽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및 제3 유동 방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 금형은,
    음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택부 배치홈과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상기 컨택부 끼움 돌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컨택부 끼움 돌기 배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출물은 상기 제1 면에서 2차 사출물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며,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2차 사출물로부터 완전히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측면은 상기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측면의 상기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25도 내지 3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 돌기의 측면은,
    상기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돌기부; 및
    상기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돌기부가 상기 제2 차 금형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25도 내지 3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 돌기는,
    평면도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고정 돌기부; 및
    평면도 상에서 상기 위치 고정 돌기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고정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 금형은,
    상기 컨택부 배치홈 하부에 상기 컨택부 배치홈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갖도록 배치되며,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조 방법.
  11. 삭제
  12. 제1 면 상에 안테나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상기 안테나 패턴과 연결되는 컨택부가 형성되는 1차 사출물; 및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1차 사출물의 제1 면 및 상기 안테나 패턴을 완전히 커버하고,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1차 사출물의 제2 면 및 상기 컨택부를 완전히 노출시키는 2차 사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사출물은 상기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출물은,
    상기 제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컨택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유동 방지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는 한쌍의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 방지 홈은,
    상기 컨택부들 사이에 형성되며, 제1 깊이를 갖는 제1 유동 방지 홈;
    상기 컨택부들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깊이보다 낮은 제2 깊이로 형성되는 제2 및 제3 유동 방지 홈; 및
    상기 컨택부와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상기 컨택부를 고정하는 컨택부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 홈의 측면은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 방지 홈의 측면의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25도 내지 3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 홈의 측면은,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홈부; 및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홈부가 상기 1차 사출물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25도 내지 3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17. 삭제
KR1020170168522A 2017-12-08 2017-12-08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6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522A KR101876813B1 (ko) 2017-12-08 2017-12-08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522A KR101876813B1 (ko) 2017-12-08 2017-12-08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813B1 true KR101876813B1 (ko) 2018-07-10

Family

ID=6291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522A KR101876813B1 (ko) 2017-12-08 2017-12-08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3984A1 (ko) * 2021-02-01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70B1 (ko) * 2009-12-24 2010-11-18 마주영 전자기기용 내장형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5815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내장형 안테나의 결착을 위한 돌기 구조, 이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97415A (ko) * 2010-02-25 2011-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
KR20130059590A (ko) * 2011-11-29 2013-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금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134111A (ko) * 2012-05-30 2013-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KR20130134299A (ko) * 2012-05-30 2013-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7480A (ko) * 2015-03-04 2016-09-19 삼성전기주식회사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방사체 프레임의 제조 금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70B1 (ko) * 2009-12-24 2010-11-18 마주영 전자기기용 내장형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5815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내장형 안테나의 결착을 위한 돌기 구조, 이를 포함하는 내장형 안테나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97415A (ko) * 2010-02-25 2011-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
KR20130059590A (ko) * 2011-11-29 2013-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금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134111A (ko) * 2012-05-30 2013-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KR20130134299A (ko) * 2012-05-30 2013-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7480A (ko) * 2015-03-04 2016-09-19 삼성전기주식회사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방사체 프레임의 제조 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3984A1 (ko) * 2021-02-01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798B1 (ko) 내장형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JP4953014B2 (ja) 樹脂成形品、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用金型
JP4848901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型
JP2006307511A (ja) 電子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76813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US7845934B2 (en) Plastic molding die
KR20150051975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일체형 케이스
KR20170100392A (ko) 리셉터클 커넥터
JP6951360B2 (ja) プラスチックハウジング
JP4863478B2 (ja) 燈体成形用の金型
KR101609375B1 (ko) 안테나 일체형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26538A (ja) 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173390B2 (en) Fiber molded article
JP5284835B2 (ja) 部材同士の固定方法
KR20160145949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일체형 케이스
KR20160126851A (ko) 안테나 일체형 케이스
CN109128693B (zh) 具有全像图案的扣具的制造方法
JP4925437B2 (ja) 燈体成形用の金型
JP4863477B2 (ja) 燈体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5262770B2 (ja) Icタグ及びicタグの製造方法
JP2005262472A (ja) 射出成形金型の製造方法、及び射出成形金型、並びにプラスチック光学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9028996A (ja) スタンパ及びスタンパ取り付け方法
KR101991332B1 (ko) 안테나 모듈
JP7339078B2 (ja) 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KR102017498B1 (ko) 안테나 모듈과 무선 통신 기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