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299A -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299A
KR20130134299A KR1020120057722A KR20120057722A KR20130134299A KR 20130134299 A KR20130134299 A KR 20130134299A KR 1020120057722 A KR1020120057722 A KR 1020120057722A KR 20120057722 A KR20120057722 A KR 20120057722A KR 20130134299 A KR20130134299 A KR 20130134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antenna radiator
electronic device
c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길
배상우
임대기
한창목
박성흠
성재석
조성은
전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299A/ko
Publication of KR2013013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패턴이 매립된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테나 방사체와,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안테나 방사체와 함께 1차로 몰드 사출 성형되어 본체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일면과 접하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함께 2차로 몰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내부에 몰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가 노출되는 면으로 향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외부면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Electronic device ca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패턴이 매립된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핸드폰, PDA, 네비게이션, 노트북 컴퓨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사회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장치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 무선랜, GSM, DMB 등의 기능이 부가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들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가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로드 안테나나 헬리컬 안테나와 같은 외장형 타입에서 단말기 내부에 배치하는 내장형 타입으로 발전되는 경향이다.
외장형 타입은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내장형 타입은 단말기 자체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체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본 출원인은 전자장치 케이스에 안테나를 매립하기 위해, 방사체를 몰드 사출 성형하여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몰드 사출 성형, 즉 이중 사출하여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사체가 전자장치 케이스 내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이중 사출에 의해 방사체가 매립된 전자장치 케이스를 제조하는 경우 방사체가 형성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전자장치 케이스를 제조하는 제조금형에 배치하고 수지재를 유입시켜 수지재와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일체화된 전자장치 케이스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정은 고온, 고압의 극한의 사출액이 유입되는 공정이 요구되며,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 내에 배치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두께에 비해 전자장치 케이스가 되는 금형의 내부공간이 더 큰 경우 고온, 고압의 사출액에 의해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 내에서 밀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고온, 고압의 사출액에 의해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 내에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외관불량, 즉 품질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중 사출하여 최종 형성되는 프레임이 전자장치 케이스가 되므로 2차 사출 결과물의 외관 디자인의 외면은 돌기, 홈 흔적, 제조 흔적 등 어떠한 표식도 드러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 기술에 따른 몰딩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1차 사출물을 2차 사출 몰드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2차 사출물의 외면에 흔적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었다.
하기의 선행문헌은 이중 사출에 의해 내부에 안테나 패턴이 몰딩되는 전자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상기 선행문헌은 외면에 흔적이 남을수 밖에 없어 별도의 처리 공정이 필요하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178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중 사출 몰딩에 의해 전자장치 케이스를 제조하는 경우라도 안테나 방사체를 원하는 위치에 단단히 고정한 상태로 몰딩이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2중 사출 결과물의 외관에 어떠한 흔적도 남지 않도록 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는 안테나 방사체;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안테나 방사체와 함께 1차로 몰드 사출 성형되어 본체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일면과 접하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함께 2차로 몰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내부에 몰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가 노출되는 면으로 향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외부면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외부면으로 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몰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로 수신된 신호를 전자장치 내부로 전송하거나 송신할 신호를 전자장치 내부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로 전송하는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연결 단자부와 상기 안테나 방사체를 상호 연결하는 절곡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곡면부에 배치되도록 플렉서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경계면이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단면이 작은 단부가 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1차 사출 성형시 몰드의 고정돌기에 끼움 고정되도록 고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의 일단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고정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드 코어와 연통되는 보조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연통되는 보조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테두리 부분에 물막이벽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은 1차 사출 몰드의 고정돌기가 안테나 방사체의 고정홀에 끼움되도록 상기 안테나 방사체를 상기 1차 사출 몰드에 고정하고 수지재를 주입하여 안테나 방사체가 몰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방사체가 몰드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2차 사출 몰드의 바닥면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면과 접하고 타단은 상기 2차 사출 몰드의 천정면에 접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2차 사출 몰드의 내부에 고정한 상태로 수지재를 주입하여 케이스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단면이 작은 단부가 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의 일단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고정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관통하는 보조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케이스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는, 수지재의 주입 전에 상기 2차 사출 몰드의 외부에서 몰드의 내부 공간으로 관통 끼움되는 코어 고정바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보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추가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보조 고정부와 연통되는 보조홀을 구비하여 상기 코어 고정바가 상기 보조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고정부에 끼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테두리 부분에 물막이벽을 구비하여, 상기 2차 사출 몰드의 내부로 수지재를 분사하더라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된 안테나 방사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중 사출 몰딩에 의해 안테나가 몰딩된 전자장치 케이스를 제조하는 경우라도 안테나 방사체를 원하는 위치에 단단히 고정한 상태로 몰딩이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2중 사출 결과물의 외관에 어떠한 흔적도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매립되는 케이스를 가지는 전자장치인 휴대 단말의 케이스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사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사체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안테나 방사체가 휴대 단말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PCB)과 연결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부분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의 제조금형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케이스프레임의 제조금형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매립되는 케이스를 가지는 전자장치인 휴대 단말의 케이스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사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사체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안테나 방사체가 휴대 단말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PCB)과 연결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230)에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231)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케이스(200)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안테나 패턴(230)에 구비되는 안테나 방사체(231)를 상기 케이스(200)의 내측에 형성시키기 위해 안테나 패턴(230)에 구비되는 안테나 방사체(231)를 베이스 프레임(210) 상에 형성시킨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은 안테나 패턴(230)에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231), 절곡연결부(232) 및 연결 단자부(233)와 베이스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230)은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도전재로 이루어져 외부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같은 전자장치의 신호 처리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230)은 다양한 대역의 외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미앤더 라인(Meander line)을 이루는 안테나 방사체(23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230)은 외부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방사체(231)와 상기 외부 신호를 전자장치에 전송하거나 전자장치에서 방사체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 컨택되는 연결 단자부(233)가 다른 평면에 배치되는 안테나 패턴(23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230)은 안테나 방사체(231)와 연결 단자부(233)를 각각 절곡하여 3차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와 연결 단자부(233)는 절곡 연결부(232)에 의해 절곡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곡 연결부(232)는 안테나 방사체(231)와 연결 단자부(233)가 다른 평면 상에 구비되도록 절곡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의 케이스(200)에 매립되지 않는 연결 단자부(233)는 베이스 프레임의 반대면(210b)에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 연결부(232)를 기준으로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와 상기 연결 단자부(233)가 절곡되어, 안테나 패턴(230)이 3차원 곡면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3차원 곡면 형상의 안테나 패턴(23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반대면(210b)에는 방사체 지지부(21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방사체 지지부(215)는 상기 반대면(210b)으로 노출되는 연결 단자부(233)와 절곡 연결부(232)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안테나 방사체(231)에는 고정홀(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234)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를 1차 사출 몰드에 구비되는 고정돌기에 끼움 고정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에 구비되는 고정홀(234)은 1차 몰드 사출 과정에서 몰드의 고정돌기에 끼움되는 경우에는 수지액이 채워질 수 없으나 고정돌기가 끼워지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홀(234)의 내부에 수지액이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홀(235)에 채워지는 수지액이 굳어 고정돌기(213)를 형성하면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와 베이스 프레임(210)의 결합이 더욱 단단해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부(233)는 수신된 외부신호를 전자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안테나 패턴(230)의 일부를 절곡, 포밍(forming), 드로잉(drawing)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단자부(233)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와 별도로 제조된 후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에 연결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40)의 단자(144)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편평한 평면부(212)와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211)로 이루어지는 입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곡면부(211)에 배치되도록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와 함께 1차로 몰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구조물로,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는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면(210a)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단자부(233)는 상기 일면(210a)의 반대면(210b)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과 경계면이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의 테두리 부분에 물막이벽(219)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는 2차 몰드 사출 과정에서도 베이스 프레임(210)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1차로 몰드 사출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2차 몰드 사출에 의해 케이스 프레임(270)을 형성하여 전자장치 케이스(200) 내부에 안테나 패턴(230)을 매립할 수 있다.
전자장치 케이스(200)의 내부에 매립되는 안테나 패턴(230)의 구조는 외부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 방사체(231)와 외부신호를 전자장치에 전송하거나 단말에서 외부로 전송할 신호를 안테나 방사체(231)에 전송하는 연결 단자부(233)가 다른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 프레임(270)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의 일면과 접하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1차로 몰드 사출 성형되어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과 함께 2차로 몰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이다. 여기서 2차로 몰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은 휴대 단말(100)의 케이스(200)에 해당하게 된다.
한편, 2차 몰드 사출의 진행시에는 상기 1차 몰드 사출에 의해 형성된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몰드 사출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면에 안테나 방사체(231)가 구비된 구조물)을 2차 사출 몰드에 고정해야 한다.
이에, 2차 사출 몰드의 내부에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을 배치한 후 별도의 고정편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에, 상기 케이스 프레임(270)의 내부에는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이 몰딩되게 된다.
즉, 상기 케이스 프레임(270)은 내부에 몰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가 노출되는 면으로 향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270)의 외부면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은 콘 형상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은 단면이 작은 단부가 콘 형상일 수 있다. 즉, 단면이 큰 단부측은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 부재로 구비되고 단면이 작은 단부측은 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의 단부가 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270)의 외부면으로 점 노출될 수 있다. 즉, 점의 형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수지재의 주입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의 단면이 작은 단부가 다소 마모되거나 미세하게 밀리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70)의 단부는 케이스 프레임(27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270)과 재질이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270)의 녹는점이 동일하므로 액상의 수지재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의 단면이 작은 단부가 일부 녹을 수 있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의 단부가 케이스 프레임(270)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은 2차 사출 성형시 상기 케이스 프레임(270)을 형성하도록 주입되는 수지재보다 녹는점이 낮을 수 있다. 이 경우라면 수지재를 주입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이 단면이 작은 단부부터 녹을 것이므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의 단부가 케이스 프레임(270)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이 과도하게 액화되는 경우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의 일단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의 고정홀(23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면에 고정구비되므로,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을 2차 사출 몰드의 내부공간에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휴대단말)에는 전자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피커, 버튼, 사이드 키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고자 전자장치 케이스(200)에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불가피하게 전자장치의 케이스(200)에 구비되는 관통홀을 2차 몰드 사출 성형 과정에서 형성하면서 이를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을 고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270)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드 코어(271)와 연통되는 보조 고정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2차 사출 몰드의 내부에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을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2차 사출 몰드의 외부에서 몰드의 내부공간으로 관통 삽입되는 코어 고정바(295)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보조 고정부(214)의 적어도 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을 추가로 고정한 상태로 2차 몰드 사출이 진행될 수 있다.
2차 사출 몰드에 상기 코어 고정바(295)를 구비한 상태로 2차 사출이 진행되면 케이스 프레임(270)에 상기 코어 고정바(295)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271)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 고정바(295)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끼움되어 있었으므로 상기 슬라이드 코어(271)와 보조 고정부(214)는 연통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전자장치의 케이스(200)는 외부와 내부 공간이 연통될 수 있으며 이에 스피커, 버튼, 사이드 키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271)와 연통되는 보조홀(235)을 구비할 수 있다. 통상, 안테나 방사체(231)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의 전자장치 케이스(200)에 관통홀이 형성되는데 부득이하게 필요한 경우라면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에 추가로 보조홀(235)을 구비하여 2차 사출 몰드에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이 고정되는 경우 상기 코어 고정바(295)가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의 보조홀(235)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끼움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A-A 부분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의 제조금형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의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시된다. 여기서, 안테나 패턴 프레임(210)은 공지의 다양한 구성일 수 있으며 공지의 다양한 방식의 몰드 사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설명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의 안테나 패턴(230)은 상기 연결 단자부(233)와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와 각각 절곡되어 연결되는 절곡 연결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 연결부(232)는 안테나 방사체(231)와 연결 단자부(233)를 다른 평면 상에 구성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의 케이스(200)에 매립되지 않는 연결 단자부(233)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의 반대면(210b)에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 연결부(232)를 기준으로 안테나 방사체(231)와 연결 단자부(232)가 절곡되어, 안테나 패턴(230)이 3차원 곡면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3차원 곡면 형상의 안테나 패턴(23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반대면(210b)에는 방사체 지지부(21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방사체 지지부(215)는 상기 반대면(210b)으로 노출되는 연결 단자부(233)와 절곡 연결부(232)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사체 프레임(20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방사체(231)와 상기 외부 신호를 전자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 컨택되는 연결 단자부(233)가 다른 평면에 배치되는 안테나 패턴(23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안테나 방사체(231)에는 고정홀(234)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230)은 안테나 방사체(231)와 연결 단자부(233)을 각각 절곡하여 3차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와 연결 단자부(233)는 절곡 연결부(232)에 의해 절곡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테나 패턴(230)를 제공한 후, 상기 안테나 패턴(230)를 1차 몰드 사출을 위한 제조금형(300)의 내부공간(350)에 배치한다.
상기 내부공간(350)은 상부금형(320) 및 하부금형(340)이 합형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320) 또는 하부금형(340)에 형성된 홈이 상부금형(320) 및 하부금형(340)의 합형으로 내부공간(35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320) 및 하부금형(340)이 합형되면, 상기 안테나 패턴(230)에 형성된 고정홀(234)에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320, 340)에 형성되는 가이드핀(328), 접촉핀(326) 또는 가이드핀(328) 및 접촉핀(326)이 관통 또는 접촉하여 상기 내부공간(350)에 방사체(22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350)은 안테나 패턴(230)이 상기 전자장치의 케이스(200)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베이스 프레임(210)이 되도록 수지재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320, 340)의 내부공간(350)은 커브부가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210)이 곡면부(211)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재는 상기 안테나 패턴(230)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과 경계면이 동일하게 충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을 안테나 패턴(230)이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200) 제조를 위해 금형에 넣고 사출할 때 수지재의 흐름을 좋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케이스프레임의 제조금형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케이스(200)의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시된다. 즉, 상술한 1차 몰드 사출의 결과물인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을 2차 사출 몰드에 고정한 후 몰드 사출하여 케이스 프레임(270)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안테나 방사체(231)가 내부에 몰딩된 전자장치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전자장치 케이스(200)의 구조는 상술했으므로, 이하에서는 1차 몰드 사출 결과물인 안테나 패턴 프레임(201)의 2차 몰드 사출에 의해 전자장치 케이스(2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상술하도록 하겠다.
먼저, 안테나 방사체(231)가 2차 사출 몰드(510, 520)의 내부 공간(540)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2차 사출 몰드(510, 520)의 바닥면에 베이스 프레임(210)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면과 접하고 타단은 상기 2차 사출 몰드(510. 520)의 천정면에 접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을 2차 사출 몰드(510, 520)의 내부에 고정한 상태로 수지재를 주입하여 케이스 프레임(270)을 제조하여 전자장치 케이스(200)를 완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콘 형상이거나 단면이 작은 단부가 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270)과 재질이 동일하거나,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은 2차 사출 성형시 상기 케이스 프레임(270)을 형성하도록 주입되는 수지재보다 녹는점이 낮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의 일단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230)의 고정홀(234)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홀(234)은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의 위치를 안내하고 소정 위치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29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을 관통하는 보조 고정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케이스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수지재의 주입 전에 상기 2차 사출 몰드(510, 520)의 외부에서 몰드의 내부 공간(540)으로 관통 끼움되는 코어 고정바(295)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보조 고정부(214)의 적어도 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을 추가로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금형(520)에는 상기 코어 고정바(295)가 관통 끼움될 수 있도록 고정바 끼움홀(521)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는 상기 보조 고정부(214)와 연통되는 보조홀(235)을 구비하여 상기 코어 고정바(295)가 상기 보조홀(235)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고정부(214)에 끼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231)의 테두리 부분에 물막이벽(219)을 구비하여, 상기 2차 사출 몰드(510, 520)의 내부로 수지재를 분사하더라도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부착된 안테나 방사체(23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100: 휴대단말
110: 배터리 커버
200: 전자장치 케이스
201: 안테나 패턴 프레임
210: 베이스 프레임
230: 안테나 패턴
270: 케이스 프레임

Claims (22)

  1. 안테나 방사체;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안테나 방사체와 함께 1차로 몰드 사출 성형되어 본체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일면과 접하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함께 2차로 몰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내부에 몰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가 노출되는 면으로 향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외부면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외부면으로 점 노출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몰딩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콘 형상인 전자장치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로 수신된 신호를 전자장치 내부로 전송하거나 송신할 신호를 전자장치 내부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로 전송하는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면에 형성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부와 상기 안테나 방사체를 상호 연결하는 절곡 연결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곡면부에 배치되도록 플렉서블한 전자장치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경계면이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는 전자장치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단면이 작은 단부가 콘 형상인 전자장치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1차 사출 성형시 몰드의 고정돌기에 끼움 고정되도록 고정홀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의 일단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고정홀에 배치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드 코어와 연통되는 보조 고정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연통되는 보조홀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테두리 부분에 물막이벽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15. 1차 사출 몰드의 고정돌기가 안테나 방사체의 고정홀에 끼움되도록 상기 안테나 방사체를 상기 1차 사출 몰드에 고정하고 수지재를 주입하여 안테나 방사체가 몰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방사체가 몰드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2차 사출 몰드의 바닥면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면과 접하고 타단은 상기 2차 사출 몰드의 천정면에 접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2차 사출 몰드의 내부에 고정한 상태로 수지재를 주입하여 케이스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단면이 작은 단부가 콘 형상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은 콘 형상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고정편의 일단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고정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접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관통하는 보조 고정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는, 수지재의 주입 전에 상기 2차 사출 몰드의 외부에서 몰드의 내부 공간으로 관통 끼움되는 코어 고정바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보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추가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보조 고정부와 연통되는 보조홀을 구비하여 상기 코어 고정바가 상기 보조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고정부에 끼움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테두리 부분에 물막이벽을 구비하여, 상기 2차 사출 몰드의 내부로 수지재를 분사하더라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된 안테나 방사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20120057722A 2012-05-30 2012-05-30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34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722A KR20130134299A (ko) 2012-05-30 2012-05-30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722A KR20130134299A (ko) 2012-05-30 2012-05-30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299A true KR20130134299A (ko) 2013-12-10

Family

ID=4998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722A KR20130134299A (ko) 2012-05-30 2012-05-30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2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768B1 (ko) * 2014-02-14 2015-04-07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3차원 곡면 표면을 갖는 안테나 방사체, 안테나 형성방법 및 응용
KR20150115586A (ko) * 2014-04-04 201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876813B1 (ko) * 2017-12-08 2018-07-1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970952A (zh) * 2020-07-25 2022-01-25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框架组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768B1 (ko) * 2014-02-14 2015-04-07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3차원 곡면 표면을 갖는 안테나 방사체, 안테나 형성방법 및 응용
KR20150115586A (ko) * 2014-04-04 201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876813B1 (ko) * 2017-12-08 2018-07-1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970952A (zh) * 2020-07-25 2022-01-25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框架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622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
KR101101491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금형
KR101079496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그리고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매립된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945117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JP5130274B2 (ja) 電子装置のケース、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金型、移動通信端末機
KR101090026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전자장치
KR100955510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101053336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금형
KR100945123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전자장치
KR101651904B1 (ko) 안테나 구조물
KR20110131619A (ko) 안테나 방사체, 다수의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되는 전자장치의 케이스 제조방법 및 전자장치 케이스
KR20130134299A (ko)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39565B1 (ko)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KR101070038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의 제조금형, 전자장치 케이스
KR101630126B1 (ko)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100117009A (ko) 전자장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25941B1 (ko)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1113346B1 (ko) 안테나 방사체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20130134111A (ko)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KR101328245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101558004B1 (ko)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KR101412888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방사체 프레임 제조 금형
KR20140011090A (ko)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0594A (ko)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6739A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금형 및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