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693B1 - 암을 치료하기 위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치료제 - Google Patents

암을 치료하기 위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693B1
KR101876693B1 KR1020177018662A KR20177018662A KR101876693B1 KR 101876693 B1 KR101876693 B1 KR 101876693B1 KR 1020177018662 A KR1020177018662 A KR 1020177018662A KR 20177018662 A KR20177018662 A KR 20177018662A KR 101876693 B1 KR101876693 B1 KR 10187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inhibitor
breast cancer
administer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157A (ko
Inventor
스테판 티. 나브로키
제니퍼 에스. 커루
구루 레디
Original Assignee
스펙트럼 파마슈티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펙트럼 파마슈티컬즈 인크 filed Critical 스펙트럼 파마슈티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8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7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amic or thiocarbamic acids, meprobamate, carbachol, ne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six-membered rings, e.g. thioxanth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8Aryloxyalkylamines, e.g. propranolol, tamoxifen, phenoxybenz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6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carbo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procainamide, procarbazine, metoclopramide, labeta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8Sulfon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with compounds having aromatic groups, e.g. dipivefrine, ibop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tax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xygen in the same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45Indole-alkylamines; Amides thereof, e.g. serotonin, melaton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81,3-Diazoles condensed with o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biotin, sorbin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7Thi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rapa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06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3, e.g. zimel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pamperone, anaba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64-Aminoquinolines; 8-Aminoquinolines, e.g. chloroquine, primaqu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9Bor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6Arseni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명세서는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또는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이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키트, 및 이러한 화합물, 조성물 및 키트를 사용하는 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는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방사선요법을 사용하는 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암을 치료하기 위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치료제{THIOXANTHONE-BASED AUTOPHAGY INHIBITOR THERAPIES TO TREAT CANCER}
우선권 주장
이 특허 출원은 2010년 3월 8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131,736호에 대해 미국특허법(35 U.S.C. § 119(e))에 의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기초출원은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
암은 미국 내 두 번째 사망 원인이며, 1998년에 1,228,600명의 새로운 환자 및 564,800명의 사망이 있었다. 지난 50년에 걸쳐, 주로 흡연으로부터 초래된 폐암 사망률의 큰 증가에 기인하여 암에 의한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되었다. 암은 모든 연령의 사람에게서 발생하지만, 45세 이상의 사람에게서 그의 발생은 크게 증가한다. 그러나, 암은 35세 내지 65세의 미국인에게서 주된 사망원인이며, 또한 15세 이하의 미국 어린이 중에서 사고가 아닌 사망의 주된 원인이다. 남성은 여성보다 암에 기인하는 더 높은 사망률을 가지며, 흑인은 임의의 주된 인종 그룹 중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을 가진다. 미국에서, 남성은 2명 중 1명이 일생동안 암 발생 위험을 가지며, 여성은 3명 중 1명이 일생동안 암 발생 위험을 가진다. 심장병 및 뇌졸중 사망률의 예견된 지속적 감소로, 암은 2010년 전체 미국 인구에 대해 전체의 전반적인 주된 사망 원인이 될 것이다.
악성 종양의 초기 적응증(indication)이 증상 또는 방사선 이미지 이상일 수 있지만, 암의 진단은 보통 병리학자의 조직 생검의 조직학적 검사를 필요로 한다. 일단 진단되면, 암은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또는 면역요법, 호르몬 요법, 또는 혈관형성 저해제 치료와 같은 표적화된 치료로 보통 치료된다. 치료제의 선택은 종양의 위치 및 등급 및 질병의 단계뿐만 아니라 환자의 일반적 상태(수행 상태(performance status))에 의존한다. 더 나아가, 암의 유형 및 단계에 의존하여, 이런 암 치료 유형 중 2가지 이상은 동시에 조합될 수도 있고, 한 가지 이후에 사용될 수도 있다. 신체의 나머지에 대한 손상 없이 암을 완전히 치료하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지만, 암 치료에 대한 현존하는 접근은 제한된 성공으로 충족되었다. 수술에 대하여, 이것은 인접한 조직에 침입하는 개개의 또는 소수의 암세포의 경향 또는 멀리 떨어진 자리로 전이에 부분적으로 기인하며, 이것에 의해 국소 수술 치료의 효능을 제한한다.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의 효능은 종종 신체 내 정상 조직에 대한 독성 또는 손상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암 치료에 더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은 매우 바람직하다. 추가로, 현재 치료가 존재하지 않는 특정 유형의 암을 치료할 수 있는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은 또한 매우 바람직하다.
자가포식작용(autophagy)(거대자가포식작용 또는 자율흡수작용(autophagocytosis))은 리소좀 기구를 통해 세포가 단백질 및 세포소기관을 포함하는 손상된, 쓸모없는 또는 달리 불필요한 세포질 성분을 분해하는 이화작용 과정이다. 강하게 조절되는 과정인 이 분해 경로는 영양 박탈 하에, 대사 스트레스 또는 에너지 균형을 보장하기 위한 미세환경 조건, 손상된 단백질의 클리어런스 및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이 유발된다. 자가포식작용은 세포 성분의 합성과 분화 간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정상 세포 성장 및 발생의 부분으로 작용한다. 추가적으로, 이 과정은 항상성 및 생존력을 유지하기 위해 대사 스트레스 기간 동안 대안의 에너지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분해 산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자가포식작용은 영양분 고갈의 상황에서 세포보호(cytoprotective) 역할을 한다.
자기잠식(self-cannibalization) 과정은 자가포식소체(autophagosome) 또는 자가포식 공포(autophagic vacuole)로 불리는 이중 막 결합 소포 내 세포의 세포질 일부의 캡슐화를 수반하며, 세포질의 나머지로부터 단백질 및 세포소기관을 포함하는 성분을 봉쇄시킨다. 자가포식소체는 자가포식소체 전구체로 알려진 작은 막 구조의 신장으로부터 형성된다. 이 형성은 클래스 III 포스포이노시타이드 3-키나제 및 자가포식작용-관련 유전자(Atg) 6(또한 베클린-1로 알려짐)에 의해 개시된다. 이 자가포식소체 전구체의 확장은 자가포식작용 조절자의 변형된 복합체를 생성하는 2개의 유비퀴틴 유사 컨쥬게이션 시스템의 참여를 필요로 한다. 하나는 ATG12-ATG5-ATG16 복합체와 LC3/ATG8에 대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의 나머지 및 ATG4 프로테아제 복합체의 컨쥬게이션을 수반한다. 핵형성, 확장, 탈외피 다음에 자가포식소체의 완전한 형성이 일어난다. 이어서, 자가포식소체의 외막은 그의 내용물이 산성 라이소좀 하이드롤라제를 통해 분해되는 경우 라이소좀과 세포질 중에서 융합하여 자가라이소좀 또는 자가포식라이소좀을 형성한다. 자가포식작용 활성화의 최종 결과는 세포 상황 및 스트레스 유발 신호의 강도 및 지속에 매우 의존적이다.
아미노산, 지질, 핵산 및 당을 포함하는 세포질 및 세포소기관의 분해 산물은 투과효소에 의해 라이소좀으로부터 세포질로 노출된다. 세포는 거대분자 합성을 위해 또는 에너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빌딩 블록으로서 이 세포 분해 산물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자가포식작용은 더 본질적인 세포 과정으로 세포가 재순환하고 재분배되는 주요 메커니즘이다. 자가포식작용은 또한 탈분극된 미토콘드리아 및 폴딩되지 않은 단백질과 같은 손상된 또는 오래된 세포 성분을 분해함으로써 단백질 및 세포소기관 품질 제어에서 작용한다. 자가포식작용을 통한 단백질 및 세포소기관 전환(turnover)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오래되고 손상된 세포 성분의 독성 빌드업(buildup)을 방지하는데 중요하다.
자가포식작용은 대사 스트레스 및 저산소증의 조건 하에서 종양 세포 생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또는 표적화된 치료에 의해 유발된 세포사멸을 벗어나기 위한 신규 세포질보호 메커니즘으로 생겨났다. 예를 들어, 공격적 암은 물질대사를 지탱하는 자가포식작용에 의존하여 특히 저산소증 및 영양 결핍의 환경에서 종양 세포 생존을 유지한다. 추가로, 자가포식작용은 스트레스가 제거될 때 세포 증식을 재소비하는 소수의 휴면 종양 세포 능력을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자가포식작용은 스트레스, 치료적 스트레스조차도 견딜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는 암 세포를 제공하며, 조건이 더 유리할 때 성장을 재개한다. 자가포식작용에 의해 제공되는 스트레스 생존, 휴면, 및 재생의 이런 과정은 성공적인 암 치료를 달성하는데 주된 장애가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예를 들어 화학요법, 표적화된 치료, 및 방사선요법와 같은 암 치료의 주된 양태는 종양 세포 상에서 아포토시스(apoptosis), 괴사 또는 또 다른 형태의 세포 사멸에 의해 그것들을 사멸시키는데 충분한 손상을 가한다. 종양 미세환경에서 본질적 대사 스트레스에 더하여, 치료는 세포 스트레스를 증폭시키고 자가포식작용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자가포식작용은 종양 괴사 및 염증을 제한하고, 대사 스트레스 및 치료 유발 아포토시스에 대해 종양 세포 내 게놈 손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보호 작용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종양 세포의 생존을 연장시킨다.
자가포식작용은 대사 스트레스를 견디기 위해 종양 세포에 의해 사용되는 생존 경로이기 때문에, 자가포식작용 저해제(autophagy inhibitor)는 암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가포식작용 저해제는 그것들이 치료, 특히 방사선에 저항력이 있는 저산소증 종양 영역에서 그 종양 세포를 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매력적이다. 추가적으로, 전이과정에서 종양 세포는 자가포식작용에 특히 의존적일 수 있고, 이는 조기 진행 및 애주번트 설정에서 자가포식작용을 폐지하기 위한 접근을 지지한다. 특히 유용한 암 치료제는 자가포식 분해를 억제하는 작용물질(agent)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화학요법제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이는 일반적으로 자가포식작용 경로를 활성화시킨다.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부가는 이 작용물질의 세포독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에 의한 처리는 암에 걸린 인간 환자에서 아포토시스-유발 화학요법제의 효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자가포식작용 저해제로 자가포식작용-매개 생존을 차단하는 것과 관련된 암치료제는 극도로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자가포식작용의 중용한 저해제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지만, 자가포식작용 경로를 특이적으로 표적화하는 작용물질은 현재 없다. 본 명세서는 자가포식작용을 유발하는 화학요법적 화합물 또는 방사선과 조합하여 넓은 범위의 암 치료에서 상승적으로 유리한 효과를 초래하는 자가포식작용 저해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는,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과 병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a) 치료적 유효량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로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는 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티옥산텐-9-온(루칸톤(lucanthone)), 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하이드록시메틸)-9-티옥산텐온, N-[[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9H-티아잔텐-4-일]메틸]메탄설폰아마이드, 이들의 인다졸 유사체 또는 이들의 염인, 상기 치료적 유효량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되,
상기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2E,4E,6R)-7-(4-다이메틸아미노페닐)-N-하이드록시-4,6-다이메틸-7-옥소헵타-2,4-다이엔아마이드, N-하이드록시-N'-페닐옥탄다이아마이드(보리노스탯(vorinostat)), 4-다이메틸아미노-N-(6-하이드록시카바모일헥실)-벤즈아마이드, N-하이드록시-3-[(E)-3-(하이드록시아미노)-3-옥소프로프-1-엔일]벤즈아마이드, (2E)-3-[3-(아닐리노설포닐)페닐]-N- 하이드록시아크릴아마이드(벨리노스탯(belinostat), ((E)-N-하이드록시-3-[4-[[2-하이드록시에틸-[2-(1H-인돌-3-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프로프-2-엔아마이드, (E)-N-하이드록시-3-[4-[[2-(2-메틸-1H-인돌-3-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프로프-2-엔아마이드, N-(2-아미노페닐)-N'-페닐-옥탄다이아마이드, 4-(2-아미노페닐카바모일)벤질카바메이트, 4-아세트아미도-N-(2-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 N-(2-아미노페닐)-4-[[(4-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벤즈아마이드, 3-(다이메틸아미노메틸)-N-[2-[4-(하이드록시카바모일)페녹시]에틸]-1-벤조퓨란-2-카복스아마이드, 또는 {6- [(다이에틸아미노)메틸]-2-나프틸}메틸{4-[(하이드록시아미노)카보닐]페닐}카바메이트, 또는 이들의 염인,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양태는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의 사용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양태는 암치료 방법을 개시하며, 본 방법은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와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둘 다의 투여는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키고, 이것에 의해 암을 치료한다.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순차적 투여는 서로 약 3시간 이내, 서로 약 2시간 이내, 또는 서로 약 1시간 이내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암의 비제한적 예는, 폐암, 뇌암, 중추신경계암, 유방암, 결장암, 백혈병, 골수종, 전립선암, 또는 난소암을 포함한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방법은 방사선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추가 양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또는 암 치료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용을 개시하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와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둘 다의 투여는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키고, 이것에 의해 암을 치료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암의 비제한적 예는, 폐암, 뇌암, 중추신경계암, 유방암, 결장암, 백혈병, 골수종, 전립선암, 또는 난소암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방법은 방사선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추가 양태는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키트를 개시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양태는 암 치료 방법을 개시하며, 본 방법은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사선요법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와 방사선요법 둘 다의 투여는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암을 치료한다.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방사선요법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방사선요법의 순차적 투여는 서로 약 3시간 내, 서로 약 2시간 내, 또는 서로 약 1시간 내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암의 비제한적 예는 폐암, 뇌암, 중추신경계암, 유방암, 결장암, 백혈병, 골수종, 전립선암, 또는 난소암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추가 양태는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또는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암 치료를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사선요법의 사용을 개시하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와 방사선요법 둘 다의 투여는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암을 치료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암의 비제한적 예는 폐암, 뇌암, 중추신경계암, 유방암, 결장암, 백혈병, 골수종, 전립선암, 또는 난소암을 포함한다.
도 1. 루칸톤(Lucanthone)은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한다. 도 1a. LC3-II 형성, 공포화(vacuolization), 및 LMP의 루칸톤 유발. LC3-II는 면역세포질화학, 김사(Giemsa) 염색에 의한 공포화(화살표), 및 아크리딘 오렌지 형광의 상실에 의한 라이소좀 막 투과에 의해 시각화하였다. 전자 현미경은 공포화 및 고전자밀도(electron dense) 입자 축적(화살표)을 증명하는데, 이는 분해되지 않은 단백질 축적을 시사한다. 도 1b. 라이소좀 막 투과의 정량화. 평균±표준편차, n = 5. *는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P < 0.05. 도 1c. 루칸톤은 SQSTM1/p62 축적을 자극한다. 도 1d. 루칸톤은 형광 현미경에 의해(도 1d) 및 상대적 형광의 정량화에 의해(도 1e)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SQSTM1/p62 응집을 자극한다. 도 1f. 루칸톤, 바필로마이신(Bafilomycin) A1, 및 조합은 LC3-II 형성 및 SQSTM1/p62 축적을 유발한다. 도 1g. 루칸톤, 바필로마이신 A1, 및 조합은 유방암 세포주에서 아포토시스를 유발한다.
도 2. 루칸톤 및 클로로퀸 처리는 세포 생존력을 감소시킨다. 도 2a. 7개의 유방암 세포주에서 루칸톤의 용량 반응 곡선. 도 2b. 7개의 유방암 세포주에서 클로로퀸의 용량 반응 곡선.
도 3. 카텝신 D 발현은 루칸톤 처리 후 크게 상승된다. 도 3a. Affymetrix 발현 어레이는 유방암 세포 내에서 강하게 상향조절된 유전자로서 카텝신 D(CTSD)를 확인한다. 도 3b. 유방암 세포 내 카텝신 D 발현의 정량적 실시간 PCR 분석. 평균 ± 표준편차, n = 4. *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표시한다. P < 0.05. 도 3c. 루칸톤은 카텝신 D 수준을 증가시키고 그의 응집을 촉진한다.
도 4. 카텝신 D의 유발은 루칸톤-매개된 아포토시스에 기여한다. 도 4a. 루칸톤은 카텝신 D 발현 및 LC3-II 형성을 유발한다. 도 4b. 루칸톤은 4개의 상이한 유방암 세포주에서 아포토시스를 유발한다. 평균 ± 표준 편차, n = 3. *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표시한다. P < 0.05. 도 4c. 카텝신 D 녹다운은 면역블롯팅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루칸톤 유발 아포토시스를 감소시킨다. 도 4d. 카텝신 D 녹다운에 의해 루칸톤 유발 아포토시스 감소의 정량화. 평균 ± SD, n = 3. *는 루칸톤으로 처리한 비표적 siRNA 트랜스펙션 세포와 유의한 차이를 표시한다. P < 0.05.
도 5. 루칸톤은 카텝신 D 발현을 유발하고, p53의 세포 생존력을 독립적으로 감소시킨다. 도 5a. HCT116 p53+/+ 및 p53-/- 세포를 사용하여 p53이 루칸톤 매개 아포토시스에 필요한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도 5b. 루칸톤은 p53 상태와는 독립적인 HCT116 세포 내 카텝신 D 수준을 증가시킨다. 도 5c. HCT116 p53+/+ 및 p53-/- 세포는 루칸톤과 동일하게 민감하다. 평균 ± 표준 편차, n = 3.
도 6. 루칸톤은 보리노스탯(Vorinostat)의 항암 활성을 향상시킨다. 도 6a. 루칸톤과 보리노스탯의 조합은 카텝신 D 수준을 증가시킨다. 도 6b. 유방암 세포 생존력에서 루칸톤 및 보리노스탯 효과의 정량화. 평균 ± 표준 편차, n = 3. *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는 단일 작용물질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P < 0.05. 도 6c. 루칸톤은 보리노스탯-매개 아포토시스를 향상시킨다. 평균±표준편차, n = 3. *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표시한다. **는 단일 작용물질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표시한다. P < 0.05.
도 7. 루칸톤은 벨리노스탯(Belinostat)의 항암 활성을 향상시킨다. 도 7a. 유방암 세포 생존력에서 루칸톤 및 벨리노스탯 효과의 정량화. 평균±표준편차, n = 3. *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는 단일 작용물질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P < 0.05. 도 7b. 루칸톤은 벨리노스탯 매개 아포토시스를 향상시킨다. 평균±표준 편차, n = 3. *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는 단일 작용물질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P < 0.05. 도 7c. MDA-MB-231 유방암 세포주로부터의 세포 내에서 벨리노스탯의 용량 반응 곡선. 도 7d. BT-20 유방암으로부터의 세포 내에서 벨리노스탯의 용량 반응 곡선.
제어되지 않은 세포 성장은 모든 암의 근본적인 원인이기 때문에, 이런 제어되지 않은 세포 성장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은 암에 대해 효과적인 치료가 된다. 본 명세서는 암 세포에 의해 나타나는 제어되지 않은 세포 성장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을 개시한다. 화합물은 부분적으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TAPI)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CTAPIC)을 포함한다. TAPI는 종양 세포의 자가포식작용 매개 생존을 억제하는데, 이는 대사 스트레스, 저산소증 및 암치료, 예를 들어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또는 면역요법, 호르몬 요법 또는 혈관형성 저해제 치료와 같은 표적화된 치료에 대해 종양세포를 더 민감하게 만든다. CTAPIC는 통상적인 화학요법제 또는 표적화된 치료제인데, 그의 작용 메커니즘의 결과로서 자가포식작용을 유발한다. 놀랍게도, TAPI 및 CTAPIC이 종양 세포 상에서 반대의 효과를 가지지만, TAPI과 HDACI 화합물의 조합은 치료적으로 유리한 결과를 크게 개선시키고 더 효과적인 암 치료를 제공하는 상승적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발견에 대한 당연한 결과로서, TAPI와 방사선 치료제의 조합 치료는 또한 상승적으로 유리한 암 치료를 생성하는데, 방사선 치료제가 자가포식작용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의 양태는 부분적으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TAPI)를 개시한다. 실시예 섹션에서 증명하는 바와 같이, TAPI는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하고, 라이소좀 작용을 방해하며, 카텝신 D 발현을 유발하고, 암 세포에 세포독성이며, p53 상태와는 독립적인 항암활성을 가지고, CTAPIC의 항암 활성을 향상시킨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서 유용한 TAPI는 부착된 염기 및 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 없이 데옥시리보스 당 고리와 유사하게 나타나는 부착된 단쇄를 가지는 임의의 티옥산톤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TAPI의 비제한적 예는 루칸톤(미라실 D), 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티옥산텐-9-온, 하이칸톤(Hycanthone)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하이드록시메틸)-9-티옥산텐온, 루칸톤 및 하이칸톤의 인다졸 유사체, (WIN33377) N-[[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9H-티아잔텐-4-일]메틸]메탄설폰아마이드를 이들의 생리학적으로 내성인 유도체, 유사체 및 염과 함께 포함한다. 다른 티옥산톤 아프린/아피리미딘 엔도뉴클레아제 저해제는, 예를 들어 각각의 전문이 참조로 포함되는 문헌[Thomas Corbett, et al., Antitumor Activity of N- [[1-[[2-(diethylamino) ethyl]amino]-9- oxo -9H-thiaxanthen-4-yl]methyl]methansulfonamide(WIN33377) and Analogues, Exp. Opin. Invest. Drugs 3: 1281-1292 (1994); 및 Mark P. Wentland, et al., Anti-solid Tumor Efficacy and Preparation of N- [[1-[[2-(diethylamino) ethyl]amino]-9- oxo -9H-thiaxanthen-4-yl]methyl]methansulfonamide(WIN33377) and Related Derivatives, Bioorg. Med. Chem. Lett. 4: 609-614 (1994)]에서 설명된다.
이 실시형태의 양태에서, TAPI는 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티옥산텐-9-온, 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하이드록시메틸)-9-티옥산텐온, 또는 N-[[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9H-티아잔텐-4-일]메틸]메탄설폰아마이드이다. 이 화합물의 화학적 구조는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64486437-pat00001
Figure 112017064486437-pat00002
Figure 112017064486437-pat00003
Figure 112017064486437-pat00004
본 명세서의 양태는 부분적으로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을 개시한다.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CTAPIC)은 그렇더라도 자가포식작용을 유발하며, 이에 의해 아포토시스를 억제하는, 넓은 범위의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항암 화합물의 부류이다. 다수의 암 치료제는 자가포식작용을 유발하는데, 그것들이 손상(세포독성 화학요법제), 대사 스트레스(혈관형성 저해제, 2-데옥시글루코스)를 유발하고, 또는 모방 인자 박탈 또는 고갈에 의해 성장 신호 경로(표적화된 비세포독성, 키나제 저해제)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CTAPIC는 화학요법제 및 면역요법제, 호르몬 요법제, 또는 혈관형성 저해제 화합물과 같은 표적화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의 비제한적 예는 항혈관형성 화합물, 티로신 키나제 저해제,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EGFR) 저해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 파르네실트랜스퍼라제 저해제, mTOR 저해제, 해당과정 저해제, 및 비타민 D 유사체 및 레티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CTAPIC는, 제한 없이, 삼산화비소, 베바시주맙 카보플라틴 I/II, 보테조밉, 데옥시글루코스, 도세탁셀, 엔도스타틴, 에토포사이드, 에베로리무스, 게피티닙, 이마티닙, 익사베필론, 로나파닙(LonaFarnib), 라파마이신, 수니티닙 말레이트, 타목시펜, 테모졸로마이드, 및 템시롤리무스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양태는, 부분적으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를 개시한다.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HDAC 저해제, HDACI, 또는 HDI)는 HDAC의 작용을 방해하고 히스톤의 과아세틸화를 초래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화합물의 부류이다. HDAC 저해제는 그의 화학적 구조에 따라서 분류되며 클래스 1, 2 및 4의 HDAC에 대해 상이한 특이성 및 친화도가 부여된다. HDAC 저해제 중에서 가장 강력한 것은 유방암에 대해 용량 의존적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고 암성 T세포 림프종에 대한 치료제로서 최근에 승인된 하이드록사메이트형(하이드록삼산형)이다. 하이드록사메이트형 HDAC 저해제의 비제한적 예는 트라이코스타틴 A, 보리노스탯, M-344, CBHA, 벨리노스탯, 다시노스탯(Dacinostat) 및 파노비노스탯(Panobinostat)을 포함한다.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다른 중요한 부류의 HDAC 저해제는 고형종양 및 혈액종양에서 낮은 독성 및 활성이 증명된 벤즈아마이드형 HDAC 저해제이다. 벤즈아마이드형 HDAC 저해제의 비제한적 예는 엔티노스탯(Entinostat), 타세디날린(Tacedinaline), 및 모세티노스탯(Mocetinostat)을 포함한다. 다른 부류의 HDAC 저해제는, 예를 들어 페닐뷰티레이트, 발프론산, 및 유사한 지방족산 화합물과 같은 단쇄 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SCFA); 예를 들어 트라폭신 B 및 뎁시펩타이드와 같은 사이클릭 테트라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에폭시케톤 및 비에폭시케톤; 예를 들어 트라폭신 B 및 뎁시펩타이드와 같은 사이클릭 테트라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에폭시케톤 및 비에폭시케톤; 친전자성 케톤 및 혼성 분자이다. SCFA가 널리 사용되고(특히 발프론산) 임상적으로 효능이 있지만, 이는 약한 HDAC 저해상수를 가진다. 시르투인 클래스 III HDAC은 NAD+ 의존적이며, 따라서 니코틴아마이드뿐만 아니라 NAD, 다이하이드로쿠마린, 나프토피라논, 및 2-하이드록시나프트알데하이드의 유도체에 의해 억제된다.
후성적(epigenetic) 변형은 정상 세포에서 DNA 서열 변화없이 유전자의 전사 발현을 조절하는 가역적 염색질 재배열이다. 전사는 DNA로부터의 단백질 생성에 수반된 단계 중 하나이다. 전사가 일어나기 위하여, 전사 인자는 DNA 상의 특이적 결합 자리에 결합하여야 한다. DNA가 그의 응축된 형태로 있을 때, 드물게 생기는 최종 결과와 함께 전사 인자가 그의 동족 결합 자리에 물리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어렵다.
히스톤은 유전자의 전사 조절에 중심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이 공 모양의 단백질은 리신 및 아르기닌 잔기에 존재하는 아민 기에 기인하여 보통 양으로 하전된 가요성의 N-말단을 가진다. 이 양전하는 DNA 백본 상에서 히스톤의 N-말단 부분이 음으로 하전된 포스페이트 기와 상호작용하고 결합하도록 돕는다. 그것은 응축 DNA가 염색체로서 그의 촘촘한 염색질 형태에 들어가도록 돕는 히스톤 DNA 상호작용이다. 따라서 DNA가 그의 응축된 형태로 번들화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에 의해, 히스톤은 DNA에 대한 전사 인자의 결합을 제한하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NA에 대한 히스톤의 결합은 세포 내 존재하는 다양한 효소에 의해 제어된다. 특정 유전자의 전사가 지지되는 조건 하에서, 히스톤 아세틸트랜스퍼라제(HAT), 또는 리신 데아세틸라제(KDAC)로 알려진 효소가 히스톤 상의 ε-N-아세틸 리신 잔기에 아세틸 기를 부가한다. 아세틸화는 히스톤의 N-말단 영역 상에서 양전하를 중화하며, 그 결과로서 아세틸화된 히스톤은 DNA 백본과 더 이상 상호작용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염색질을 확장시키는(또는 염색질 탈응축) 결합을 감소시키고, 유전자 전사가 일어나는 것을 허용하는데, 전사 인자가 이제 그의 DNA 결합 자리 및 활성 유전자 전사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전자의 전사가 더 이상 지지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HDAC)로 알려진 효소는 HAT에 의해 부가된 아세틸 기를 제거한다. 탈아세틸화는 히스톤의 N-말단의 양전하를 증가시키고, 이것에 의해 히스톤과 DNA 백본 사이의 높은 친화도 결합을 조장한다. 결과 염색질 응축은 유전자 전사를 방지하는데, 전사 인자가 그의 DNA 결합 자리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HAT는 염색질 탈응축을 용이하게 하고, 그와 같이 유전자 전사를 촉진하는 반면, HDAC는 염색질 응축을 용이하게 하며, 그와 같이 유전자 전사를 억제한다.
18개의 공지된 인간 HDAC가 있으며, 이는 작용 및 그의 부수적 도메인의 DNA 서열 유사성을 기반으로 4개의 부류로 그룹화된다. 처음 2개의 부류는 활성이 트리코스타틴 A(TSA)에 의해 억제되는 "고전적" HDAC로 고려되는 반면 세 번째 그룹은 TSA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NAD+-의존적 단백질의 패밀리이다. 네 번째 부류는 단지 다른 것에 대한 DNA 서열 부동성(dissimilarity)을 기반으로 한 비전형적 카테고리를 고려한다. 클래스 I은 HDAC1, HDAC2, HDAC3 및 HDAC8을 포함하며, 효모 감소된 칼륨 의존성(reduced potassium dependency 3: RPD3)에 대해 상동성을 가진다. HDAC4, HDAC5, HDAC7 및 HDAC9는 클래스 II에 속하고 효모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1(HDA1)에 상동성을 가진다. HDAC6 및 HDAC10은 2개의 촉매적 자리를 함유하며 클래스 IIa로 분류된다. 또한 시르투인(sirtuin)으로 알려진 클래스 III은 SIR2와 관련되어 있으며, SIRT1-7을 포함하는 반면, HDAC11은 클래스 IV에 위치되는데, 이것은 클래스 I과 클래스 II HDAC 둘 다에 의해 공유된 그의 촉매 중심 내에서 보존된 잔기를 가지기 때문이다.
몇몇 항종양 화합물은 HDAC 저해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염색질 응축의 억제는 암 치료에서 치료적으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믿어지는데, 이러한 염색질 리모델링은 1) 중요한 아포토시스의 전사 억제 및 세포 주기 조절 유전자(이것에 의해 세포 주기 휴지기 및 아포토시스를 촉진한다); 2) 증가된 종양 저해제 이형 접합체(heterozygousity) 및/또는 3) 혈관형성의 저해를 초래한다. 따라서, 염색질 응축을 통한 유전자 전사의 후성적 조절은 종양발생을 유발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생겨났다.
이 실시형태의 양태에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는 하이드록사메이트형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또는 벤즈아마이드형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이다. 이 실시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는 (2E,4E,6R)-7-(4-다이메틸아미노페닐)-N-하이드록시-4,6-다이메틸-7-옥소헵타-2,4-다이엔아마이드, N-하이드록시-N'-페닐옥탄다이아마이드, 4-다이메틸아미노-N-(6-하이드록시카바모일헥실)-벤즈아마이드, N-하이드록시-3-[(E)-3-(하이드록시아미노)-3-옥소프로프-1-엔일]벤즈아마이드, (2E)-3-[3-(아닐리노설포닐)페닐]-N-하이드록시아크릴아마이드, ((E)-N-하이드록시-3-[4-[[2-하이드록시에틸-[2-(1H-인돌-3-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프로프-2-엔아마이드, (E)-N-하이드록시-3-[4-[[2-(2-메틸-1H-인돌-3-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프로프-2-엔아마이드, N-(2-아미노페닐)-N'-페닐-옥탄다이아마이드, 4-(2-아미노페닐카바모일)벤질카바메이트, 4-아세트아미도-N-(2-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 N-(2-아미노페닐)-4-[[(4-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벤즈아마이드 3-(다이메틸아미노메틸)-N-[2-[4-(하이드록시카바모일)페녹시]에틸]-1-벤조푸란-2-카복사미드, 또는 {6-[(다이에틸아미노)메틸]-2-나프틸}메틸 {4-[(하이드록시아미노)카보닐]페닐}카바메이트이다. 이 저해제의 화학적 구조는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64486437-pat00005
Figure 112017064486437-pat00006
Figure 112017064486437-pat00007
Figure 112017064486437-pat00008
Figure 112017064486437-pat00009
Figure 112017064486437-pat00010
Figure 112017064486437-pat00011
Figure 112017064486437-pat00012
Figure 112017064486437-pat00013
Figure 112017064486437-pat00014
Figure 112017064486437-pat00015
Figure 112017064486437-pat00016
Figure 112017064486437-pat00017
본 명세서의 양태는 부분적으로 표적화된 치료제를 개시한다. 표적화된 치료적 화합물은, 제한 없이, 면역요법제, 호르몬 요법제 및 혈관형성 저해제 화합물을 포함한다. 호르몬 요법제는 특이적 호르몬, 특히 스테로이드 호르몬, 또는 이러한 호르몬의 생성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호르몬 안타고니스트)의 외인성 투여를 통한 내분비기관의 조작을 수반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특정 암 세포에서 유전자 발현의 강력한 구동자이기 때문에 특정 호르몬의 수준 또는 활성을 변화시키는 것은 특정 암이 성장을 중단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고, 심지어 세포 사멸을 겪을 수 있다. 고환절제술 및 난소적출술과 같은 내분비 기관의 수술에 의한 제거는 또한 호르몬 요법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면역요법은 자연체(natural body) 물질 또는 자연체 물질로부터 만들어진 약물을 사용하는 치료이다. 그것들은 암 세포를 공격하도록 신체를 자극하며, 다른 암 치료에 의해 야기되는 부작용을 극복한다. 면역요법은 암을 거부하기 위해 면역계를 사용한다. 주된 전제는 질병을 초래하는 악성 종양 세포를 공격하도록 환자의 면역계를 자극하는 것이다. 이는 파괴되어야 하는 표적으로서 종양 세포를 인식하도록 환자 자신의 면역계가 훈련된 환자의 면역화를 통해, 또는 치료적 항체에 의해 종양 세포를 파괴하도록 환자의 면역계가 채용된 약물로서 치료적 항체의 투여를 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임의의 수 및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예를 들어 2가지 이상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또는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3가지 이상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또는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4가지 이상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또는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또는 5가지 이상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또는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개체에 투여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통상적으로 허용가능한 약제학적 부형제와 조합하는 것에 의해, 치료적 용도에 적합한 단위 제형의 제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중 어느 하나와 같은 치료적으로 유효한 농도의 활성 화합물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투여될 때 부작용, 알레르기, 또는 다른 뜻밖의 또는 원치않는 반응을 만들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의학 및 수의학 용도에 유용하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단독으로 또는 다른 보충적 활성 화합물, 작용물질, 약물 또는 호르몬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인 혼합, 용해, 과립화, 드라제 제조, 현탁분리, 에멀전화, 캡슐화, 포획법(entrapping) 및 동결건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과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한 없이, 멸균 용액, 현탁액, 에멀전, 동결건조물, 정제, 알약, 펠렛, 캡슐, 분말, 시럽, 엘릭시르 또는 투여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제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비경구 주사에 적합한 액체 제형은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멸균 수용액 또는 비수용액, 분산물, 현탁액 또는 에멀전 및 멸균 주사가능 용액 또는 분산물로 복원을 위한 멸균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수성 및 비수성 담체, 희석제, 용매 또는 비히클의 예는 물, 에탄올, 폴리올(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 글라이세롤 등),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 식물성 오일(예컨대 올리브 오일) 및 에틸 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유기 에스터를 포함한다. 적절한 유동성은, 예를 들어 레시틴과 같은 코팅의 사용에 의해, 분산물의 경우에 필요한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및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액체 조제물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전형적으로 약 0.0001 %(w/v) 내지 약 50%(w/v), 바람직하게는 약 0.001 %(w/v) 내지 약 1.0%(w/v)이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고체 제형은 캡슐, 정제, 알약, 분말 및 과립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체 제형에서, 활성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의 관례적인 부형제(또는 담체), 예컨대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제2인산칼슘 또는 (a) 충전제 또는 증량제, 예로서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글루코스, 만니톨 및 규산, (b) 결합제,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c) 보습제, 예를 들어 글라이세롤, (d) 붕해제, 예로서, 한천, 탄산칼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어떤 복합체 규산염 및 탄산나트륨, (e) 용액 지연제, 예를 들어 파라핀, (f) 흡착 가속제, 예를 들어 4가 암모늄 화합물, (g) 습윤제, 예를 들어 세틸 알코올 및 글라이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h) 흡착제, 예를 들어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및 (i) 윤활제, 예를 들어, 활석,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고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라우릴황산 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될 수 있다. 캡슐, 정제 및 알약의 경우, 제형은 또한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조제물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전형적으로 약 0.001 ㎎/㎏ 내지 약 100 ㎎/㎏, 바람직하게는 약 0.1 ㎎/㎏ 내지 약 10 ㎎/㎏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에 활성 화합물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과량의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합리적인 편익/위험 비율(benefit/risk ratio)에 상응하는 다른 문제의 합병증 없이 인간 및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주 내에 있는 화합물, 재료, 조성물 및/또는 제형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약리학적 담체"와 동의어이며, 투여될 때 해로운 효과가 실질적으로 장기간이 아닌 또는 영구하지 않은 임의의 담체를 말하고, 예컨대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 안정제, 희석제, 첨가제, 보조제 또는 부형제"와 같은 용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담체는 일반적으로 활성 화합물과 혼합되거나, 활성 화합물을 희석시키거나 둘러싸고,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작용물질일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은 가용성일 수 있고 또는 요망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에서 현탁액으로서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임의의 다양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제한 없이, 수성 매질, 예컨대 물, 식염수, 글라이신, 히알루론산 등; 고체 담체, 예컨대 전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만니톨, 사카린나트륨, 활석, 셀룰로스, 글루코스, 수크로스, 락토스, 트레할로스, 탄산마그네슘 등; 용매; 분산 매질; 코팅; 항박테리아 및 항진균제; 등장성 및 흡착 지연제; 또는 임의의 다른 불활성 성분을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선택은 투여 방식에 의존할 것이다. 임의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가 활성 화합물과 양립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제외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에서 그의 용도가 고려된다. 이러한 약제학적 담체의 구체적 사용의 비제한적 예는 문헌[Pharmaceutical Dosage Forms and Drug Delivery Systems (Howard C. Ansel et al., ed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ublishers, 7th ed. 1999);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Alfonso R. Gennaro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th ed. 2000);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Joel G. Hardman et al., eds., McGraw-Hill Professional, 10th ed. 2001); 및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Raymond C. Rowe et al., APhA Publications, 4th edition 2003)]에서 찾을 수 있다. 이 프로토콜은 일상적이며, 임의의 변형은 당업자 및 본 명세서의 교시의 범주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한 없이,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또는 약제학적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제한 없이, 완충제, 보존제, 등장 조절제, 염, 항산화제, 삼투압 조절제, 생리적 물질, 약리학적 물질, 벌크제, 에멀전화제, 습윤제, 감미제 또는 향미제 등을 포함한다. 다양한 완충제 및 pH 조절을 위한 수단을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데, 단 얻은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하다. 이러한 완충제는, 제한 없이, 아세테이트 완충제, 보레이트 완충제, 시트레이트 완충제, 포스페이트 완충제, 중성 완충 식염수, 및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를 포함한다. 필요하다면 산 또는 염기를 사용하여 조성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항산화제는, 제한 없이, 메타중아황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아세틸시스테인, 뷰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및 뷰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을 포함한다. 유용한 보존제는, 제한 없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클로로뷰탄올, 티메로살, 아세트산페닐 수은, 질산페닐 수은, 안정화된 옥소 클로로 조성물, 예컨대 아염소산나트륨 및 킬란트, 예컨대 DTPA 또는 DTPA-비스아마이드, 칼슘 DTPA 및 CaNaDTPA-비스아마이드를 포함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에 유용한 등장 조절제는, 제한 없이,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만니톨 또는 글리세린과 같은 염 및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등장 조절제를 포함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염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산, 황산, 아세트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말산, 숙신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산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염은 대응하는 유리 염기 형태에서보다 수성 또는 다른 프로톤성 용매에서 더 잘 용해되는 경향이 있다. 약리학의 분야에서 알려진 이것들 및 다른 물질은 본 발명에서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시간에 걸쳐 제어된 화합물 방출 프로파일을 달성하기 위하여 약물 전달 플랫폼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약물 전달 플랫폼은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서 분산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전형적으로 생분해성, 생침식성, 및/또는 생흡수성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용어 "중합체"는 합성 동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동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뿐만 아닐 선형, 분지형 또는 성상형 구조를 가지는 이들의 합성 변형 또는 유도체를 말한다.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무작위, 블록, 세그먼트, 테이퍼드 블록, 그래프트 또는 트라이블록(triblock)과 같은 임의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축합 중합체이다. 중합체는 가교제를 도입함으로써 또는 측면 잔기를 변경함으로써 그의 기계적 또는 분해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가교된다면, 중합체는 보통 5% 미만, 보통 1% 미만으로 가교된다.
적합한 중합체는, 제한 없이, 알기네이트, 지방족 폴리에스터, 폴리알킬렌, 옥살레이트,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미도에스터, 폴리무수물,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폴리하이드록시지방족 카복실산, 폴리오쏘에스터, 폴리옥사에스터, 폴리펩타이드, 폴리포스파젠, 폴리사카라이드,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중합체는 보통 적어도 약 10%(w/w), 적어도 약 20%(w/w), 적어도 약 30%(w/w), 적어도 약 40%(w/w), 적어도 약 50%(w/w), 적어도 약 60%(w/w), 적어도 약 70%(w/w), 적어도 약 80%(w/w), 또는 적어도 약 90%(w/w)의 약물 전달 플랫폼을 포함한다. 약물 전달 플랫폼에 유용한 생분해성, 생침식성 및/또는 생흡수성 중합체 및 방법의 예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각각이 참조로 포함된 Drost, et. al., (발명의 명칭: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 미국특허 제4,756,911호; Smith, et. al., (발명의 명칭: 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Devices), 미국특허 제5,378,475호; Wong and Kochinke, (발명의 명칭: Formulation for Controlled Release of Drugs by Combining Hyrophilic and Hydrophobic Agents), 미국특허 제7,048,946호; Hughes, et. al., (발명의 명칭: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calized Therapy of the Eye), 미국특허 공개 2005/0181017호; Hughes, (발명의 명칭: Hypotensive Lipid-Containing Biodegradable Intraocular Implants and Related Methods), 미국특허 공개 2005/0244464호; Altman, et al., (발명의 명칭: Silk Fibroin Hydrogels and Uses Thereof), 미국특허 공개 2011/0008437호에서 설명된다.
이 실시형태의 양태에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예를 들어 실크 피브로인, 케라틴 또는 콜라겐과 같은 폴리펩타이드이다. 이 실시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예를 들어 셀룰로스, 아가로스, 엘라스틴, 키토산, 키틴 또는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유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더마탄 설페이트, 케라탄 설페이트, 또는 히알루론산과 같은 다당류이다. 이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예를 들어 D-락트산, L-락트산, 라세미 락트산, 글라이콜산, 카프롤락탐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폴리에스터이다.
당업자는 적합한 개시된 약물 전달 플랫폼을 형성하기 위한 적합한 중합체의 선택이 몇몇 인자에 의존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적절한 중합체(들)의 선택에서 더 적절한 인자는, 제한 없이, 중합체와 약물의 양립가능성, 약물의 요망되는 방출 역학, 이식 자리에서 플랫폼의 요망되는 생분해 역학, 이식 자리에서 플랫폼의 요망되는 생침식성 역학, 이식 자리에서 플랫폼의 요망되는 생흡착성 역학, 플랫폼의 생체내 기계적 성능, 처리 온도, 플랫폼의 생체 양립가능성, 환자의 견딤을 포함한다. 어느 정도로 시험관내 및 생체내 중합체의 거동을 지시하는 다른 적절한 인자는 화학적 조성물, 구성요소의 공간분포, 중합체의 분자량 및 결정화도를 포함한다.
약물 전달 플랫폼은 서방성 약물 전달 플랫폼과 지속성 방출 약물 전달 플랫폼을 둘 다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서방성"은 약 7일 이상의 기간에 걸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화합물의 방출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지속성"은 약 7일 미만의 기간에 걸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화합물의 방출을 말한다.
이 실시형태의 양태에서, 서방성 약물 전달 플랫폼은, 예를 들어 투여 후 약 7일, 투여 후 약 15일, 투여 후 약 30일, 투여 후 약 45일, 투여 후 약 60일, 투여 후 약 75일, 또는 투여 후 약 90일의 기간에 걸쳐 실질적으로 제1차 방출 역학을 가지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을 방출한다. 이 실시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서방성 약물 전달 플랫폼은 예를 들어 투여 후 적어도 7일, 투여 후 적어도 15일, 투여 후 적어도 30일, 투여 후 적어도 45일, 투여 후 적어도 60일, 투여 후 적어도 75일, 또는 투여 후 적어도 90일의 기간에 걸쳐 실질적으로 제1차 방출 역학을 가지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을 방출한다.
이 실시형태의 양태에서, 약물 전달 플랫폼은 예를 들어 투여 후 약 1일, 투여 후 약 2일, 투여 후 약 3일, 투여 후 약 4일, 투여 후 약 5일, 투여 후 약 6일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을 방출한다. 이 실시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약물 전달 플랫폼은, 예를 들어 투여 후 1일 이내, 투여 후 2일 이내, 투여 후 3일 이내, 투여 후 4일 이내, 투여 후 5일 이내, 또는 투여 후 6일 이내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을 방출한다.
본 명세서의 양태는, 부분적으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키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부분적으로 암을 제공한다.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임의의 암을 치료하는 것에 유용할 수 있다. 암은 세포의 그룹이 포유류 신체에서 제어되지 않는 증식을 나타내는 100가지 이상의 질병의 그룹이며, 근본적으로 신체가 세포 분화 및 성장을 제어하는 것을 사용하는 조절 메커니즘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백혈병과 같은 일부 암에서는 세포가 종양을 형성하지 않지만, 암 세포는 종양으로 불리는 세포의 클럼프를 형성한다. 종양은 악성 또는 양성일 수 있다. 게다가, 악성 종양(또는 암)은 비정상 유전적 물질을 가지는 세포를 포함하며, 보통 빠른 제어되지 않은 세포 성장을 겪고, 인접한 조직을 침범하며 파괴하고, 때때로 림프 또는 혈액을 통해 신체 내 다른 위치에 퍼진다(즉, 전이). 암은 높은 사망 발생률과 관련되는데, 신체를 통한 암 세포의 침범 및 전이가 중단되지 않는다면, 암 세포가 생명 유지에 필요한 기관을 침범하고 기관의 기능장애 및 종국적인 사망을 유발할 것이기 때문이다. 암의 악성 특성은 그것을 양성 종양과 구별하는데, 양성 종양은 서서히 성장하고 자기 제한적이며, 침범하거나 전이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다. 국소적, 국부적 또는 멀리 떨어진 단계는 침범적인 것으로 고려된다. 인시츄 암으로 불리는 단지 소수의 세포층에서 발견된 매우 조기의 암은 비침범적인 것으로 고려된다.
암은 그의 원인 및 생태학이 크게 다른 다양한 부류의 질병이다. 암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작용하는 다양한 인자에 의해 야기된다. 일부 암은 담배, 식이요법, 특정 화학물질, 방사선 및 바이러스와 같은 외적인 인자에 의해 야기된다. 다른 암은 호르몬, 면역 상태, 및 타고난 유전적 돌연변이와 같은 내적 인자에 의해 야기된다. 보통 암을 야기하는 인자에 대한 노출 및 검출가능한 질병 간에 10년 이상이 지나간다.
암은 종양과 비슷한 세포 유형에 의해 일반적으로 분류되며, 따라서 조직은 종양의 원점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암종은 상피 세포로부터 유래된 악성 종양이다. 이 그룹은 폐암, 뇌암, 중추신경계암, 유방암, 결장암, 백혈병, 골수종, 전립선암, 또는 난소암의 흔한 형태를 포함하는, 가장 흔한 암을 나타낸다. 육종은 결합 조직, 또는 간엽세포로부터 유래된 악성 종양이다. 아세포종은 보통 미숙한 또는 배아 조직과 유사한 악성 종양이다. 이들 종양 중 다수는 어린이에게서 가장 흔하다. 림프종 또는 백혈병은 조혈(혈액 형성) 세포로부터 유래된 악성종양이다. 마지막으로, 생식세포 종양은 분화전능성(totipotent) 세포로부터 유래된 종양이다. 성인에게서는 고환 및 난소에서 가장 자주 발견되며; 태아, 아기, 및 영아에게서는 신체 정중선, 특히 꼬리등뼈의 끝에서 가장 자주 발견된다. 이와 같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암"은 암종, 육종, 백혈병, 아세포종 또는 생식세포 종양일 수 있는 1차 암 및 전이 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부분적으로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이 실시형태의 양태에서, 감소된 증상은 암 세포의 성장률 증가이다.이 실시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감소된 증상은 암 세포의 세포분화속도의 증가이다. 이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감소된 증상은 인접한 조직 또는 기관에 암 세포의 침입 정도의 증가이다. 이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감소된 증상은 전이 정도의 증가이다. 이 실시형태의 추가 양태에서, 감소된 증상은 혈관형성의 증가이다. 이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감소된 증상은 아포토시스의 감소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추가 양태에서, 감소된 증상은 세포 사멸 또는 세포 괴사의 감소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을 사용하는 치료는 암 세포의 성장속도를 감소시키고, 암 세포의 분할 속도를 감소시키며, 인접한 조직 또는 기관에 암 세포의 침범 정도를 감소시키고, 전이 정도를 감소시키며, 혈관형성을 감소시키고, 아포토시스를 증가시키며, 및/또는 세포사멸 및/또는 세포 괴사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양태는 부분적으로 포유류를 제공한다. 포유류는 인간을 포함하며, 인간은 환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부분적으로 개체를 제공한다. 개체는 포유류 및 인간을 포함하며, 인간은 환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부분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하는"은 임상적으로, 치료적으로 또는 실험적으로 유리한 결과를 잠재적으로 초래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제공하는 임의의 전달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동일한 시간에(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점에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된 바와 같은 동시에는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이 동시에 하나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부분으로서 함께 또는 동시이지만 별개의 약제학적 조성물로 함께 취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 성분은 별개로 투여될 수 있지만 원하는 치료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간과 충분히 가깝게 투여될 수 있다. 대안으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투여는 서로 약 1시간 이내, 서로 약 2시간 이내, 또는 서로 약 3시간 이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1회 이상의 주기 동안 투여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1주기는 4일마다 7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는, 제한 없이, 임의의 허용가능한 형태, 예컨대 정제, 액체, 캡슐, 분말 등과 같은 임의의 허용가능한 형태로 경구 투여; 예를 들어 점적, 스프레이, 크림, 겔 또는 연고와 같은 임의의 허용가능한 형태로 외용 투여; 임의의 허용가능한 형태로 경구, 비강 및/또는 흡입 투여; 임의의 허용가능한 형태로 직장 투여; 임의의 허용가능한 형태로 질 투여; 예를 들어 정맥 볼루스 주사, 정맥내 주입, 동맥 볼루스 주사, 동맥내 주입 및 혈관에 카테터 주입과 같은 임의의 허용가능한 형태로 혈관내 투여; 예를 들어 복강내 주사, 근육내 주사, 피하 주사, 피하 주입, 안내 주사, 망막 주사, 또는 망막하 주사 또는 경막외주사와 같은 임의의 허용가능한 형태로 조직 주변 및 조직 내 투여; 예를 들어 카테터 점적 주사와 같은 임의의 허용가능한 형태로 소포내 투여; 및 예를 들어 임플란트, 스텐트, 패치, 펠렛, 카테터, 삼투압 펌프, 좌약, 생체침식성 전달 시스템, 생체침식성이 아닌 전달 시스템 또는 다른 이식 확장된 또는 서방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용 또는 비경구 접근을 포함한다. 생체침식성 중합체 및 사용 방법의 예시적 열거는, 예를 들어 문헌[Handbook of Biodegradable Polymers (Abraham J. Domb et al., eds., Overseas Publishers Association, 1997)]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사용하여 포유류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암 치료 방법에 적합한 투여 경로는 국소 및 전신 투여를 둘 다 포함한다. 국소 투여는 포유류의 전신과 비교하여 특정 위치에 조성물의 현저하게 더 많은 전달을 초래하는 반면, 전신 투여는 본질적으로 개체의 전신에 조성물의 전달을 초래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암 치료 방법에 적합한 투여 경로는 또한 중추와 말초 투여를 포함한다. 중추 투여는 본질적으로 개체의 중추 신경계에 조성물의 전달을 초래하며, 예를 들어 척추강내 투여, 경막외 투여뿐만 아니라 두개골 주사 또는 임플란트를 포함한다. 주변 투여는 본질적으로 중추 신경계의 개개의 바깥쪽 임의의 영역에 조성물의 전달을 초래하며, 척추 또는 뇌에 직접 투여 이외의 임의의 투여 경로를 포함한다. 포유류에게 사용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실제 투여경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암의 유형, 암의 위치, 암의 원인, 암의 중증도, 치료의 지속기간, 요망되는 경감의 정도, 요망되는 경감의 지속, 사용된 특정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 사용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배설속도, 사용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약역학, 조성물 내 포함된 다른 화합물의 특성, 특정 투여 경로, 개체의 병력 및 위험 인자, 예컨대 연령, 체중, 일반적 건강 상태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인자들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은 포유류에게 전신으로 투여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은 포유류에게 국소적으로 투여된다. 이 실시형태의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포유류의 종양에 투여된다. 이 실시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포유류의 종양 주위의 영역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적 유효 용량"과 동의어이며 암 치료에 대해서 사용될 때 요망되는 치료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최소 용량을 의미하고,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용량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의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적어도 10%, 적어도 20%, 적어도 30%, 적어도 40%,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100%로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킨다. 이 실시형태의 다른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10% 이하, 20% 이하, 30% 이하, 40% 이하, 50% 이하, 60% 이하, 70% 이하, 80% 이하, 90% 이하 또는 100% 이하로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킨다. 이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100%, 약 10% 내지 약 90%, 약 10% 내지 약 80%, 약 10% 내지 약 70%, 약 10% 내지 약 60%, 약 10% 내지 약 50%, 약 10% 내지 약 40%, 약 20% 내지 약 100%, 약 20% 내지 약 90%, 약 20% 내지 약 80%, 약 20% 내지 약 20%, 약 20% 내지 약 60%, 약 20% 내지 약 50%, 약 20% 내지 약 40%, 약 30% 내지 약 100%, 약 30% 내지 약 90%, 약 30% 내지 약 80%, 약 30% 내지 약 70%, 약 30% 내지 약 60%, 또는 약 30% 내지 약 50%로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킨다. 이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치료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적어도 1주, 적어도 1개월, 적어도 2개월, 적어도 3개월, 적어도 4개월, 적어도 5개월, 적어도 6개월, 적어도 7개월, 적어도 8개월, 적어도 9개월, 적어도 10개월, 적어도 11개월, 또는 적어도 12개월 동안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투약량이다.
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서 활성 성분의 양은 다를 수 있고, 따라서 적합한 투약량이 얻어진다. 포유류에게 투여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실제 치료적 유효량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암의 유형, 암의 위치, 암의 원인, 암의 중증도, 치료의 지속기간, 요망되는 경감의 정도, 요망되는 경감의 지속, 사용된 특정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 사용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배설속도, 사용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약역학, 조성물 내 포함된 다른 화합물의 특성, 특정 투여 경로, 개체의 병력 및 위험 인자, 예컨대 연령, 체중, 일반적 건강 상태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인자들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활성 성분의 유효 투약량은 모든 기준을 고려하고 개체의 이익에 대한 최고의 판단을 이용하여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반복된 투여가 사용된 경우,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실제 조성물의 유효량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투여 빈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반감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인자에 추가로 의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은 인간에게 투여 전 동물 모델을 사용하는 시험관내 및 생체내 투여 연구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필요한 유효량의 큰 변화는 다양한 투여 경로의 다른 효율성의 관점에서 예상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는 일반적으로 정맥내 또는 유리체내 주사에 의한 투여보다 더 높은 투약량 수준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 투약 수준의 변화는 표준의 경험에 의한 일상적인 최적화를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는데, 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정확한 치료적 유효량 수준 및 형태는 상기 확인한 인자를 고려하여 주치의에 의해 바람직하게 결정된다.
포유류에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할 때 비 제한적 예로서, 치료적 유효량은 일반적으로 약 0.001 ㎎/㎏ 내지 약 100.0 ㎎/㎏의 범위에 있다. 이 실시형태의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은, 예를 들어 약 0.01 ㎎/㎏ 내지 약 0.1 ㎎/㎏, 약 0.03 ㎎/㎏ 내지 약 3.0 ㎎/㎏, 약 0.1 ㎎/㎏ 내지 약 3.0 ㎎/㎏, 또는 약 0.3 ㎎/㎏ 내지 약 3.0 ㎎/㎏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적어도 0.001 ㎎/㎏, 적어도 0.01 ㎎/㎏, 적어도 0.1 ㎎/㎏, 적어도 1.0 ㎎/㎏, 적어도 10 ㎎/㎏, 또는 적어도 100 ㎎/㎏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0.001 ㎎/㎏ 이하, 0.01 ㎎/㎏ 이하, 0.1 ㎎/㎏ 이하, 1.0 ㎎/㎏ 이하, 10 ㎎/㎏ 이하, 또는 100 ㎎/㎏ 이하일 수 있다.
용량은 1회 용량 또는 누적적(단계적 용량)일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 치료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의 1회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은 암의 증상을 나타내는 부위에서 또는 부위 근처에서 1회 주사 또는 침착 또는 약물의 1회 경구 투여로서 포유류에게 1회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암 치료는 예를 들어 매일, 며칠에 1회, 1주일마다, 1개월마다 또는 1년마다 등과 같은 시간 기간의 범위에 걸쳐서 수행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의 다수회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포유류에게 1주일에 1회 또는 2회 투여될 수 있다. 투여 시간은 포유류 증상의 중증도와 같은 인자에 의존하여, 포유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은 무한한 시간 기간 동안 1개월에 1회, 또는 포유류가 치료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까지 투여될 수 있다. 당업자는 포유류의 상태가 치료 과정을 통해 모니터링될 수 있고, 따라서 투여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은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동시이든 순차적이든,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조합 투여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암 치료에 유리한 상승적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상승적 치료 효과는 개별적으로 투여될 때와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 동일 화합물이 조합하여 투여될 때 암과 관련된 증상이 더 큰 정도로 감소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의 양태에서, 조합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동일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또는 동일한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단독의 투여에 비하여, 예를 들어 적어도 10% 초과, 적어도 20% 초과, 적어도 30% 초과, 적어도 40% 초과, 적어도 50% 초과, 적어도 60% 초과, 적어도 70% 초과, 적어도 80% 초과, 적어도 90% 초과 또는 적어도 100% 초과로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또한 전반적인 치료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치료 화합물과 조합하여 포유류에게 투여될 수 있다. 적응증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화합물의 사용은 유리한 효과를 증가시키는 한편 부작용을 존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양태는, 부분적으로 방사선요법을 개시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TAPI 및 CTAPIC를 투여하는 것에 의한 암치료 방법은 방사선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사선요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및 조성물의 투여 전, 투여 후 또는 투여 동안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암 치료방법은 TAPI 및 방사선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지만, CTAPIC는 포함하지 않는다.
방사선은 다양한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은 전자기적일 수 있고, 또는 자연 그대로 참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행에서 유용한 전자기적 방사선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x-레이 및 감마 레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초고압 x-레이(x-레이>=4 MeV)는 본 발명의 실행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행에 유용한 구체적 방사선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자 빔, 양성자 빔, 중성 빔, 알파 입자, 및 네거티브 파이 중간자를 포함한다. 방사선은 통상적인 방사성 치료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고, 복강내 및 정위적 방법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행에서 사용에 적합한 방사선 치료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는 문헌[Steven A. Leibel et al., Textbook of Radiation Oncology (1998) (publ. W. B. Saunders Company)]을 통하여, 특히 Chapters 13 및 14에서 찾을 수 있다. 방사선은 또한 예를 들어 방사성 "씨드"에 의해, 또는 표적화된 방사성 컨쥬게이트의 전신 전달에 의해 표적화된 전달과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문헌[J. Padawer et al., Combined Treatment with Radioestradiol Lucanthone in Mouse C3HBA Mammary Adenocarcinoma and with Estradiol Lucanthone in an Estrogen Bioassa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7:347-357 (1981)]. 다른 방사성 전달 방법이 본 방법의 실행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요망되는 치료 부피로 전달된 방사선의 양은 다양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방사선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 또는 조성물과 함께 투여될 때 방사선은 숙주의 중추신경계의 암의 저지 또는 퇴보를 야기하는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방사선은 적어도 이틀에 한번 치료적 부피로 적어도 약 1 Gray(Gy) 분획에서 투여되며, 더 바람직한 방사선은 치료 부피에 대해 1일 당 적어도 1회로 적어도 약 2 Gray(Gy) 분획으로 투여되며, 훨씬 더 바람직한 방사선은 1주일 당 연속 5일 동안 치료적 부피로 1일에 적어도 1회 적어도 약 2 Gray(Gy) 분획으로 투여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방사선은 이틀에 한번 3 Gy으로, 치료 부피에 대해 1주일 당 3회 투여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처음 23 분획은 초기 치료 부피로 투여되는 한편, 다른 7 치료 분획은 치료 부피를 부스트(boost) 치료 부피로 전달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체로 적어도 약 20 Gy,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0 Gy,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60 Gy의 방사선이 치료가 필요한 숙주에 투여된다. 다른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방사선은 치료 부피보다는 전체 뇌에 투여된다. 전체 뇌를 방사선 조사할 때, 최대 30 Gy의 조사량이 추천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방사선은 숙주의 전체 뇌에 투여되며, 숙주는 전이 암에 대해 치료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치료 부피는 CT 또는 MRI 스캔 상의 콘트라스트 향상 병변, 가장 바람직하게는 콘트라스트 향상 병변 및 주위의 부종,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CT 또는 MRI 스캔 상에서 콘트라스트 향상 병변 및 주위 부종 + 적어도 약 1 ㎝ 여유를 포함한다.
치료 계획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마주보는 가로주름 필드, 웨지 쌍(wedge pair)의 필드, 로테이션 또는 다중 필드 기법을 포함할 수 있다. CT-가이드 치료 계획은 필드 배열을 선택에서 정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안된다. 초기 치료 부피 및 조사영역 축소(cone-down) 치료 부피에 대한 등선량 분포는 평행의 마주보는 필드를 가지는 것을 포함하여, 모든 환자에 대해 제안된다.초기 치료 부피 및 부스트 치료 부피에 대해 용량 분포를 나타내는 복합 계획이 바람직하다. 치료 부피에 대한 최대 및 최소 용량은 치료 부피의 중심에서 약 10%의 용량 내에서 바람직하게 유지된다.
본 명세서의 양태는 또한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1.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치료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a)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치료적 유효량; 및
b)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실시형태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5. 실시형태 1,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는 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티옥산텐-9-온, 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하이드록시메틸)-9-티옥산텐온, N-[[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옥소-9H-티아잔텐-4-일]메틸]메탄설폰아마이드, 이것의 인다졸 유사체 또는 이것의 염인 조성물.
6. 실시형태 2 내지 4에 있어서, 상기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삼산화비소, 에토포사이드, 라파마이신,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 티로신 키나제 저해제, 타목시펜, 테모졸로마이드, 이마티닙, 또는 보르테조밉인 조성물.
7. 실시형태 6에 있어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는 하이드록사메이트형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 또는 벤즈아마이드형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인 조성물.
8. 실시형태 6에 있어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는 (2E,4E,6R)-7-(4-다이메틸아미노페닐)-N-하이드록시-4,6-다이메틸-7-옥소헵타-2,4-다이엔아마이드, N-하이드록시-N'-페닐옥탄다이아마이드, 4-다이메틸아미노-N-(6-하이드록시카바모일헥실)-벤즈아마이드, N-하이드록시-3-[(E)-3-(하이드록시아미노)-3-옥소프로프-1-엔일]벤즈아마이드, (2E)-3-[3-(아닐리노설포닐)페닐]-N-하이드록시아크릴아마이드, ((E)-N-하이드록시-3-[4-[[2-하이드록시에틸-[2-(1H-인돌-3-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프로프-2-엔아마이드, (E)-N-하이드록시-3-[4-[[2-(2-메틸-1H-인돌-3-일)에틸아미노]메틸]페닐]프로프-2-엔아마이드, N-(2-아미노페닐)-N'-페닐-옥탄다이아마이드, 4-(2-아미노페닐카바모일)벤질카바메이트, 4-아세트아미도-N-(2-아미노페닐)벤즈아마이드, N-(2-아미노페닐)-4-[[(4-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벤즈아마이드, 3-(다이메틸아미노메틸)-N-[2-[4-(하이드록시카바모일)페녹시]에틸]-1-벤조푸란-2-카복사미드, 또는 {6-[(다이에틸아미노)메틸]-2-나프틸}메틸 {4-[(하이드록시아미노)카보닐]페닐}카바메이트인 조성물.
9. 암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실시형태 1 내지 8에 따르는 조성물의 용도.
10. a)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3 내지 6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b)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실시형태 2 내지 6의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와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둘 다의 투여가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암을 치료하는, 암치료 방법.
11. 암 치료를 위한 실시형태 1 내지 8의 조성물의 용도로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와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이 둘 다의 투여가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암을 치료하는 조성물의 용도.
12. 실시형태 10의 방법 또는 실시형태 11의 용도에 있어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동시에 투여되는 방법 또는 용도.
13. 실시형태 10의 방법 또는 실시형태 11의 용도에 있어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또는 용도.
14. 실시형태 13에 있어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서로 약 3시간 이내에 투여되는 방법 또는 용도.
15. 실시형태 13에 있어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서로 약 2시간 이내에 투여되는 방법 또는 용도.
16. 실시형태 13에 있어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서로 약 1시간 이내에 투여되는 방법 또는 용도.
17. 실시형태 10의 방법 또는 실시형태 11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1일 1회 용량으로 투여되거나 1일 1회 초과의 용량으로 분할되는 방법 또는 용도.
18.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상기 1일 1회 초과의 용량은 1일 2회 용량인 방법 또는 용도.
19. 실시형태 10의 방법 또는 실시형태 11의 용도에 있어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경구 투여되는 방법 또는 용도.
20. 실시형태 10의 방법 또는 실시형태 11의 용도에 있어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비경구로 투여되는 방법 또는 용도.
21. 실시형태 10의 방법 또는 실시형태 11의 용도에 있어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캡슐 또는 정제의 형태로 투여되는 방법 또는 용도.
22. 실시형태 10의 방법 또는 실시형태 11의 용도에 있어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1 이상의 주기 동안 투여되는 방법 또는 용도.
23. 실시형태 10의 방법 또는 실시형태 11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1주기는 4일마다 7회를 포함하는 방법 또는 용도.
24. 실시형태 10 또는 실시형태 12 내지 23의 방법 또는 실시형태 11 내지 23의 용도에 있어서, 암은 폐암, 뇌암, 중추신경계암, 유방암, 결장암, 백혈병, 골수종, 전립선암, 또는 난소암인 방법 또는 용도.
25. 실시형태 24에 있어서, 폐암은 비소폐암인 방법 또는 용도.
26. 실시형태 10 내지 25에 있어서, 방법 또는 용도는 방사선 치료, 호르몬 요법 또는 면역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또는 용도.
27. a)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b)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키트.
28. a)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실시형태 1, 4 또는 5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b)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이온화방사선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와 이온화 방사선 둘 다의 투여가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암을 치료하는 암 치료 방법.
29. a)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3 내지 6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b)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실시형태 1, 4 또는 6 내지 8의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c)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이온화 방사선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및 이온화 방사선의 투여가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암을 치료하는 암 치료 방법.
30. 이온화 방사선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와 함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투여는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암을 치료하는,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서 암치료를 위한 실시형태 1, 4 또는 5의 조성물의 용도.
31. 이온화 방사선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과 함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 또는 둘 다의 투여는 암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암을 치료하는,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서 암치료를 위한 실시형태 1 내지 8의 조성물의 용도.
실시예
다음의 비제한적 예는 단지 현재 생각되는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더 완전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예시적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이 실시예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학적 키트, 또는 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루칸톤은 자가 소화 분해를 억제한다
루칸톤은 리소좀 막 침투성 ( lysosomal membrane permeabilization : LMP )을 유발한다 . 자가포식작용은 세포 생존을 촉진하며, 암 세포가 세포 성분을 재활용하여 ATP를 생성하게 함으로써 약물 저항성을 유발한다. 이것에 따라서, 자가포식작용의 억제는 유전적으로 또는 3-MA와 같은 화합물을 사용하여 다양한 항암제의 활성을 향상시킨다. 루칸톤은 그의 화학적 구조에 기반한 항-사지열 작용물질이며, 리소좀 작용을 방해할 수 있고, 자가 소화 작용 분해의 마지막 단계를 저해한다. 이 가설을 시험하기 위하여, 유방암 세포를 루칸톤 또는 클로로퀸으로 처리하였고, LC3-II의 축적, 공포화의 증가 및 리소좀 막 침투성의 출현에 대해 분석하였다.
LC3-II의 축적을 면역세포질화학에 의해 시각화하였다. MDA-MB-231 유방암 세포주로부터의 세포를 챔버 슬라이드 상에 플레이팅하였고 밤새 부착시켰다. 이어서, 세포를 10μM 루칸톤 또는 50μM 클로로퀸으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약물 처리 후,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시켰고, 0.2% TRITON-X-100을 사용하여 침투시켰으며, 표시한 1차 항체와 함께 밤새 인큐베이션시켰다. Alexa Fluor 488 컨쥬게이트된 형광 2차 항체를 단백질 편재화를 시각화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DP71 카메라 및 60X 대물렌즈가 있는 올림푸스(Olympus) 형광 현미경(펜실베니아주의 센터 밸리시에 소재)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캡쳐하였다. 이미지 획득을 위하여 Image-Pro Plus 소프트웨어 Version 6.2.1(메릴랜드주의 베데스다시에 소재한 MediaCybernetics)을 사용하였다.
증가된 공포화를 김사 염색 및 전자 전이 현미경에 의해 시각화하였다. MDA-MB-231 유방암 세포주로부터 세포를 챔버 슬라이드에서 플레이팅하였고,10μM 루칸톤 또는 50μM 클로로퀸으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약물 처리 후, 세포를 PBS로 세척하였고, 5분 동안 메탄올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세포를 탈이온수로 1:20으로 희석한 김사 염색 중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물로 세정하였고, 올림푸스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이미지화하였다. Image-Pro Plus 소프트웨어 Version 6.2.1을 이미지 획득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세포의 투과 전자 현미경을 일상적인 과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LKB Ultracut 마이크로톰(일리노이주의 디어필드시에 소재한 Leica)으로 절편을 절단하였고, 우라닐 아세테이트 및 시트르산납으로 염색하였으며, JEM 1230 투과 전자현미경(메사추세츠주의 피바디시에 소재한 JEOL, USA, Inc.)에서 시험하였다. 이미지를 AMT 이미징 시스템(메사추세츠주의 덴버시에 소재한 Advanced Microscopy Techniques Corp)을 사용하여 캡쳐하였다.
LMP의 외관을 아크리딘 오렌지 형광의 손실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아크리딘 라이소좀을 아크리딘 오렌지 염색에 의해 시각화하였다. 10μM 루칸톤 또는 50μM 클로로퀸으로 48시간 동안 처리 후, MDA-MB-231 유방암 세포주로부터 세포를 37℃에서 15분 동안 1μM 아크리딘 오렌지로 염색하였다. 세포를 PBS로 세척하였고, 이미지를 올림푸스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캡쳐하였다. 산도를 기준으로, 라이소좀을 오렌지 형광 세포질 소포로 나타내었다. 아크리딘 오렌지 강도의 5개 무작위 필드의 정량화를 면역형광에 의해 측정하였고, Image-Pro Plus 소프트웨어 Version 6.2.1을 사용하여 이미지 획득을 수행하였다.
루칸톤은 LC3-1의 LC3-II로의 지질 변형을 유발하였고, 이는 자가포식소체에 대해 LC3의 작은 반점이 있는 편재화를 특징으로 한다(도 1b). 루칸톤은 또한 세포질 공포화를 유발하였는데, 이는 리소좀 막 침투성 및 자가포식작용을 특징으로 한다(도 1b). 더 나아가, 루칸톤은 클로로퀸 및 루칸톤으로 처리 후 리소좀 산도의 손실을 나타내는 아크리딘 오렌지로 라이소좀의 적색 염색 강도를 감소시켰다(도 1b 및 도 1c).
자가포식작용의 억제는 단백질의 축적을 초래한다. 전자현미경에 의해 시각화할 때, 루칸톤 또는 클로로퀸은 고전자밀도 입자의 축적을 초래하는데, 이는 단백질 응집을 시사한다(도 1b). 이 발견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방암 세포를 루칸톤 및 클로로퀸으로 처리하였고, 폴리유비퀴틴 결합 단백질 p62 또는 세퀴스토좀 I(SQSTMI)의 축적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단백질은 자가포식작용에 의해 분해되며, 세포 봉입체에 대해 편재화되고, 자가포식작용에 의한 단백질 응집 클리어런스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이 과정의 붕괴는 SQSTMI/p62의 축적을 초래한다.
SQSTMI/p6의 수준 및 응집을 각각 면역블롯팅 및 면역세포질화학에 의해 결정하였다. 면역블롯팅에 대해, MDA-MB-231 세포주 암 세포를 48시간 동안 10μM 루칸톤 또는 50μM 클로로퀸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채취한 다음 일상적인 과정을 사용하여 용해하였다. 각 샘플로부터 대략 50 ㎍의 총 세포 단백질에 SDS-PAGE를 실시하고, 단백질을 나이트로셀룰로스 막으로 옮겨, 해당 막을 1시간 동안 0.1 % TWEEN-20을 함유하는 Tris-완충 식염수 내 5% 무지방 우유로 차단하였다. 이어서, 블롯을 4℃에서 1차 항체로 밤새 프로빙하였으며, 세척하였고, 겨자무과산화효소와 커플링된 종 특이적 2차 항체로 프로빙하였다. 면역반응 물질을 향상된 화학발광에 의해 검출하였다(일리노이주의 락빌시에 소재한 West Pico, Pierce, Inc.).
자가포식작용 억제 SQSTMI/p62 수준의 일관된 다른 마커는 루칸톤으로 처리 후 강하게 증가되었다(도 1d). 면역세포질화학은 SQSTMI/p62가 염기성 조건 하에서 확산 염색 패턴을 나타내지만, 루칸톤에 대하여 응집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루칸톤이 SQSTM1/p62 축적 및 응집, 유비퀴틴화된 단백질과 그의 보고된 상호작용에 따른 효과를 자극한다는 것을 나타낸다(도 1d).
실시예 2
루칸톤은 유방암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이다
리소좀 막 침투성 및 이후의 자가포식작용 억제는 암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루칸톤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 생존력을 7가지 유방암 세포주의 패널을 사용하여 MTT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유방암 세포주 MDA-MB-231, HCC1954, BT-474, SKBR-3, MDA-MB-435, HCC1937 및 BT-20으로부터의 세포를 웰 당 10,000개 세포에서 96-웰 마이크로배양물 플레이트에 씨딩하였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다음에,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루칸톤 또는 클로로퀸으로 72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약물 처리 후, 3-(4,5-다이메틸티아졸-2-일)-2,5,다이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를 첨가하였고, 세포 생존력을 BioTek(버몬트주의 위누스키시에 소재)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시험관내 약물 노출 후 아포토시스전 효과를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I) 염색 및 서브-G0/G1 DNA 함량의 형광-활성화된 세포 분류(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FACS) 분석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데이터는 대표적인 3가지의 독립적 실험이다. IC50 값을 MTT 분석의 결과로부터 계산하였다.
루칸톤은 7개의 유방암 세포주의 패널에서 유사한 정도로 세포 생존력을 감소시켰다(도 2). 추가로, 직접 비교는 루칸톤이 CQ에 대해 평균 7.2μM 대 66μM의 평균 IC50으로 유방암 세포 생존력을 감소시키는 것에서 CQ보다 상당히 더 강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도 2).
실시예 3
루칸톤은 카텝신 D 발현을 유발한다
Affymetrix 발현 분석을 사용하는 암세포 상의 루칸톤 효과의 특징화 . 유방암 세포 상에 루칸톤의 효과를 추가로 특징화하기 위하여, 발현 프로파일링을 유방암 세포주에서 수행하였다. MDA-MB-231 및 BT-20 유방암 세포주로부터의 세포를 48시간 동안 10μM 루칸톤으로 처리하였다. 전체 RNA를 RNeasy Plus Mini 키트(메릴랜드주의 저먼타운시에 소재한 Qiagen)를 사용하여 분리시켰고, TURBO DNA-free(상표명) 키트(캘리포니아주의 포스터 시티에 소재한 Applied Biosystems)로 처리하였다. 샘플마다 300ng의 총 RNA를 증폭시켰고, 제조업자의 설명서에 따라서 GENECHIP(등록상표) Human Gene 1.0 ST 어레이(캘리포니아주의 산타 클라라시에 소재한 Affymetrix, Inc.)와 혼성화하였다. 약 28,869개의 발현에 대한 이런 어레이 분석은 764,885개의 별개의 프로브를 가지는 유전자를 잘 주해하였다. 디폴트 Partek 정규화 변수 및 프로브 서열 및 GC 함량(GC-RMA)에 대해 조절한 강건 다중 어레이 평균(robust multi-array average: RMA) 분석을 사용하여 Affymetrix CEL 파일을 PARTEK(등록상표) Genomics Suite(상표명) 6.4(미주리주의 세인트 루이스시에 소재한 Partek Inc.)로 읽어들였다. 데이터 정규화를 분위수 정규화를 사용하여 모든 분석에 걸쳐 수행하였다. 유의하게 상향 조절된 유전자(p<0.05 및 > 4-배 증가)를 확인하였다. 데이터는 루칸톤 처리 후 적어도 4배로 상향조절되었다.
루칸톤에 의해 유발된 유전자 중에서, 카텝신 D(CTSD),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1(MMPI), 및 사이토크롬 P450, 패밀리 1, 구성원 AI(CYPIAI)는 세포주 둘 다에서 증가하였다(도 3a).
카텝신 D의 정량적 실시간 PCR 분석. 리소좀 프로테아제 카텝신 D는 아포토시스의 중요한 매개자이며 사이토졸에 그의 방출은 세포사멸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정량적 실시간 PCR(qRT-PCR)을 사용하여 루칸톤 매개 세포사멸 동안 카텝신 D의 역할을 추가로 평가하였다. qRT-PCR을 수행하기 위하여 MDA-MB-231 또는 BT-20 세포주로부터의 세포를 48시간 동안 10μM 루칸톤으로 처리한 다음 분석을 위하여 채취하였다. 전체 RNA를 RNeasy Plus Mini 키트(메릴랜드주의 저먼타운시에 소재한 Qiagen)를 사용하여 분리시켰고, TURBO DNA-free(상표명) 키트(캘리포니아주의 포스터 시티에 소재한 Applied Biosystems)로 처리하였다. 대용량 cDNA 역전사 키트(캘리포니아주의 포스터 시티에 소재한 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하여 20㎕ 반응 혼합물 중에서 1㎍ RNA로부터 첫 번째 가닥 cDNA 합성을 수행하였다. 카텝신 D 및 GAPDH 전사를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TaqMan@ 유전자 발현 분석(캘리포니아주의 포스터 시티에 소재한 Applied Biosystems)을 사용하여 증폭시켰다. mRNA의 수준을 GAPDH 발현에 대해 표준화하였고, 상대적 유전자 발현을 2-ΔCt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정량적 실시간 PCR(qRT-PCR)로 루칸톤이 세포 주 둘 다에서 카텝신 D 수준의 상당한 증가를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b). 더 나아가, 루칸톤은 또한 카텝신 D 단백질 수준을 극적으로 증가시켰고, 면역세포질화학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그의 사이토졸 응집을 촉진시켰다(도 3c).
실시예 4
카텝신 D 유발은 루칸톤 매개 아포토시스에 기여한다
유방암에서 카텝신 D 발현. 카텝신 D가 루칸톤 매개 아포토시스에 상당히 기여하기 때문에, 면역블롯팅에 의한 카텝신 D의 발현 및 PI-FACS에 의한 아포토시스를 4개의 유방암 세포주 내에서 조사하였다. 유방암 세포주 MDA-MB-231, BT-474, SKBR-3, 및 BT-20으로부터의 세포를 웰 당 10,000 세포에서 96웰 마이크로배양물 플레이트에 씨딩하였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다음에 세포를 10μM 루칸톤으로 72시간(아포토시스 분석에 대해서는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면역블롯팅을 위해, 처리 후 세포를 채취하였고, 카텝신 D 수준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결정하였다. 시험관내 약물 노출 후 아포토시스전 효과를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I) 염색 및 서브-G0/G1 DNA 함량의 형광-활성화된 세포 분류(FACS) 분석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데이터는 대표적인 3가지의 독립적 실험이다. 예상한 바와 같이, 카텝신 D 수준은 루칸톤 처리(도 4a) 후 강하게 증가되었고, 아포토시스와 관련이 있었다(도 4b).
카텝신 D 녹다운은 루칸톤 유발 아포토시스를 감소시킨다. 루칸톤 유발 아포토시스에서 카텝신 D의 기계적 역할을 추가로 확립하기 위하여, siRNA를 사용하여 그의 발현을 녹다운시켰다(도 4c). siRNA 카텝신 D 및 비표적 SMARTpool siRNA의 제조를 Dharmacon(콜로라도주의 라파예트시에 소재)으로부터 얻었다. MDA-MB-231 유방암 세포주로부터 세포를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올리고펙타민(캘리포니아주의 칼스베드시에 소재한 Invitrogen)을 사용하여 비표적 또는 카텝신 D siRNA의 100 nM로 트랜스펙션하였다. 트랜스펙션한 세포를 24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한 다음 48시간 동안 10μM 루칸톤으로 처리하였다. RNAi의 효율을 α-카텝신 D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블롯팅함으로써 48시간에 측정하였다. 아포토시스를 PI 염색 및 유세포분석기에 의해 결정하였다. 결과는 감소된 카텝신 D 수준을 가지는 세포가 루칸톤 매개 아포토시스에 대해 상당히 덜 민감하다는 것을 나타낸다(도 4d).
실시예 5
p53은 루칸톤의 카텝신 D 축적 또는 활성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p53의 상실은 종양형성 및 약물 저항성과 관련된 인간 암에서 빈번한 사건이다. 따라서 p53 상태와는 독립적인 효율을 소유하는 작용물질이 매우 바람직하다. 루칸톤 매개 세포사멸에서 p53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질 유전자 p53+1+ 및 p53-1- HCT116 직장결장암 세포주(도 5a). 중요하게는, 루칸톤은 p53 상태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카텝신 D 축적을 유발하였다(도 5b). 카텝신 D의 대응한 유발과 일관되게, 루칸톤은 HCT116 p53+1+와 p53-1- - 세포주를 둘 다 유사한 정도로 생존력을 감소시켰다(도 5c). 이와 같이, p53의 손실은 카텝신 D 축적 또는 루칸톤의 활성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6
루칸톤은 보리노스탯의 활성을 향상시킨다
루칸톤이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는 또한 이 경로를 유발하는 화학요법제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보리노스탯은 아포토시스와 자가포식작용을 둘 다 유발하며 자가포식작용의 억제는 그의 전아포토시스 활성을 강하게 증가시킨다. 조합된 루칸톤 및 보리노스탯이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면역블롯팅에 의한 카텝신 D의 발현, MTT 분석에 의한 세포 생존력 및 PI-FACS에 의한 아포토시스를 4개의 유방암 세포주에서 조사하였다.
유방암 세포주 MDA-MB-231, BT-474, SKBR-3 및 BT-20으로부터의 세포를 웰 당 10,000개 세포로 96웰 마이크로배양물 플레이트에 씨딩하였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이어서, 면역블롯팅을 위해, 세포를 10μM 루칸톤, 2.5μM 보리노스탯,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채취하였으며, 카텝신 D 수준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결정하였다. 다음에, MTT 세포 생존력 분석을 위해, 세포를 10μM 루칸톤, 2.5μM 보리노스탯,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3-(4,5-다이메틸티아졸-2-일)-2,5,다이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를 처리 후 첨가하였고, 세포 생존력을 BioTek(버몬트주의 위누스키시에 소재)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이어서, 아포토시스 분석을 위해, 세포를 10μM 루칸톤, 2.5μM 보리노스탯,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시험관내 약물 노출 후 아포토시스전 효과를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I) 염색 및 서브-G0/G1 DNA 함량의 형광-활성화된 세포 분류(FACS) 분석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데이터는 대표적인 3가지의 독립적 실험이다.
루칸톤과 보리노스탯의 조합은 감소된 세포 생존력(도 6b) 및 증가된 아포토시스(도 6c)와 관련된 단일 작용물질 처리(도 6a)에 의해 달성된 것 이상의 MDA-MB-23I 세포 내 카텝신 D의 증가된 유발을 유도하였다. 이 데이터는 루칸톤에 의한 자가포식작용의 억제가 보리노스탯의 항암 활성을 성공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실시예 7
루칸톤은 벨리노스탯의 활성을 향상시킨다
루칸톤이 HDAC 저해제의 항암 활성을 성공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발견을 추가로 탐구하고 확대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MTT 분석에 의해 세포 생존력을 평가함으로써 다른 HDAC 저해제와 조합한 루칸톤, 벨리노스탯의 효능을 조사하였고, PI-FACS에 의한 아포토시스는 4개의 유방암 세포주에서 조사하였다.
유방암 세포주 MDA-MB-231 및 BT-20으로부터 세포를 웰 마다 10,000개 세포에서 96웰 마이크로배양물 플레이트에 씨딩하였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이어서, MTT 세포 생존력 분석을 위해, 세포를 5μM 루칸톤, 1μM 벨리노스탯,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3-(4,5-다이메틸티아졸-2-일)-2,5,다이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를 처리 후 첨가하였고, 세포 생존력을 BioTek(버몬트주의 위누스키시에 소재)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다음에, 아포토시스 분석을 위해, 세포를 10μM 루칸톤, 1μM 벨리노스탯,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시험관내 약물 노출 후 아포토시스전 효과를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I) 염색 및 서브-G0/G1 DNA 함량의 형광-활성화된 세포 분류(FACS) 분석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데이터는 대표적인 3가지의 독립적 실험이다.
루칸톤과 벨리노스탯의 조합은 감소된 세포 생존력(도 7a) 및 증가된 아포토시스(도 7b)를 초래하였다. 이 데이터는 루칸톤에 의한 자가포식작용의 억제가 벨리노스탯의 항종양 활성을 성공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의 양태가 특정 실시형태에 관해 강조되었지만, 당업자는 이 개시된 실시형태가 단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의 예시적 원리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시된 대상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방법, 프로토콜 및/또는 시약 등으로 제한된 방법에 의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개시된 대상의 대안의 다양한 변형 또는 변화 또는 대안의 구성이 본 명세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교시에 따라서 만들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이는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명확히 나타내고 설명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에게 알려진 최상의 방식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물론, 이 설명된 실시형태 상의 변형은 앞서 언급한 설명을 읽을 때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적절하다면 당업자가 이러한 변형을 사용하는 것을 예상하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 이외로 달리 실행되는 것을 의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가능한 법에 의해 허용되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인용된 대상 물질의 모든 변형 및 동등물을 포함한다. 게다가, 이들의 모든 가능한 변형에서 상기 설명한 실시형태의 임의의 조합은 본 명세서에 달리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달리 문맥에 의해 명확히 모순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형태,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그룹화는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각 그룹 구성원은 개별적으로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그룹 구성원 이외의 임의의 조합으로 언급되고 청구될 수 있다. 그룹의 하나 이상의 구성원이 편리함 및/또는 특허가능성의 이유로 그룹에 포함되거나 그룹으로부터 결실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포함 또는 결실이 일어날 때, 본 명세서는 따라서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한 모든 마쿠쉬 그룹의 작성된 설명을 충족시키도록 변형되는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달리 표시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특징, 항목, 양, 변수, 특성, 기간 등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는 용어 "약"에 의해 모든 예에서 변형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은 이렇게 정량화된 특징, 항목, 양, 변수, 특성 또는 기간이 언급된 특징, 항목, 양, 변수, 특성, 기간의 수치 + 또는 - 10% 초과 및 미만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대로 표시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된 수치적 변수는 다를 수 있는 근사값이다. 적어도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론 범주의 적용을 제한하는 시도로서는 아니고, 각 수치적 표시는 적어도 보고된 유효 숫자에 비추어, 보통의 주변 기술을 사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넓은 범주를 설명하는 수치적 범위 및 값이 근사값이라고 해도, 구체적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수치적 범위 및 값은 가능하다면 정확한 것으로 보고된다. 그러나 임의의 수치적 범위 또는 값은 본질적으로 그것 각각의 시험 측정에서 발견되는 표준 편차로부터 초래되는 특정 오차를 필수적으로 함유한다. 본 명세서의 값의 수치적 범위의 인용은 단지 범위 내에 속하는 각 개별 수치적 값에 대해 개별적으로 언급되는 약칭의 방법으로서 작용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다면, 수치적 범위의 각 개별 값은 본 명세서에 개별적으로 인용되는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문맥에서(특히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문맥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용어 및 유사한 언급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설명되거나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다면 단수와 복수를 모두 다루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다면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및 모든 실시예의 사용,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를 들어 "예컨대")는 단지 본 명세서를 더 잘 설명하기 위한 의도이며, 달리 청구되는 본 발명의 범주 상의 제한을 제기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언급도 본 발명의 실행에 본질적인 임의의 청구되지 않은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는 언급으로 이루어지거나 본질적으로 언급으로 이루어진 특허청구범위에서 추가로 제한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될 때, 보정마다 제출되든 부가되든, 전이 용어 "이루어진"은 특허청구범위에서 특정되지 않은 임의의 구성요소, 단계 또는 성분을 제외한다. 전이 용어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은 특정된 물질 또는 단계 및 기본적 및 신규의 특징(들)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에 대해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한다. 이렇게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또는 명확하게 설명되며 본 명세서에서 가능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고 확인된 모든 특허, 특허 공개, 및 다른 간행물은, 예를 들어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간행물에서 설명된 조성물 및 방법을 설명하고 개시하는 목적을 위하여 그의 완전함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포함된다. 이 간행물은 단지 본 출원의 출원일 전에 그의 개시에 대해 제공된다. 이에 관하여 어떤 것도 본 발명 전이라는 이유로 또는 어떤 다른 이유에 대해 이러한 명세서에 앞선 것으로 발명자들에게 자격이 부여되는 것의 용인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 문헌의 내용이 출원인에게 이용가능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것에 대한 날짜 또는 표현에 관한 모든 언급은 이들 문헌의 날짜 또는 내용의 정확함에 대한 어떤 용인으로 해석하지 않는다.

Claims (22)

  1. 유방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과 병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a) 치료적 유효량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로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는 1-((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4-메틸티옥산텐-9-온(루칸톤(lucanthone)) 또는 그의 염인, 상기 치료적 유효량의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되,
    상기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N-하이드록시-N'-페닐옥탄다이아마이드(보리노스탯(vorinostat)) 또는 그의 염인,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와 상기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동시에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상기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상기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서로 약 3시간 이내에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상기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서로 약 2시간 이내에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상기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서로 약 1시간 이내에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의 상기 치료적 유효량 및 상기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의 상기 치료적 유효량은 1일 1회 용량으로 투여되거나 또는 1일 1회 초과의 용량으로 분할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일 1회 초과의 용량은 1일 2회 용량인,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상기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경구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상기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비경구로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상기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캡슐 또는 정제의 형태로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및 상기 유방암 치료적 자가포식작용 유발 화합물은 1회 이상의 주기 동안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1회 이상의 주기는 4일마다 7회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방사선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를 사용하는 유방암과 관련된 증상의 감소는 p53 활성의 작용 상태와는 독립적으로 생기는, 약제학적 조성물.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77018662A 2010-03-08 2011-03-08 암을 치료하기 위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치료제 KR101876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173610P 2010-03-08 2010-03-08
US61/311,736 2010-03-08
PCT/US2011/027606 WO2011112623A1 (en) 2010-03-08 2011-03-08 Thioxanthone-based autophagy inhibitor therapies to treat canc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269A Division KR20130055562A (ko) 2010-03-08 2011-03-08 암을 치료하기 위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157A KR20170083157A (ko) 2017-07-17
KR101876693B1 true KR101876693B1 (ko) 2018-07-09

Family

ID=438772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269A KR20130055562A (ko) 2010-03-08 2011-03-08 암을 치료하기 위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치료제
KR1020177018662A KR101876693B1 (ko) 2010-03-08 2011-03-08 암을 치료하기 위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치료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269A KR20130055562A (ko) 2010-03-08 2011-03-08 암을 치료하기 위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치료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8524762B2 (ko)
EP (1) EP2544673B1 (ko)
JP (2) JP6182313B2 (ko)
KR (2) KR20130055562A (ko)
CN (2) CN105616402A (ko)
AR (1) AR080472A1 (ko)
AU (1) AU2011224445B2 (ko)
BR (1) BR112012022243A8 (ko)
CA (1) CA2789895C (ko)
ES (1) ES2727273T3 (ko)
HK (1) HK1225297A1 (ko)
IL (1) IL221404A (ko)
MX (1) MX2012010212A (ko)
RU (1) RU2627588C2 (ko)
WO (1) WO2011112623A1 (ko)
ZA (1) ZA2012074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27588C2 (ru) 2010-03-08 2017-08-09 Спектрум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рака с применением ингибитора аутофагии на основе тиоксантона
AU2012325804B2 (en) * 2011-10-19 2017-09-07 Pharmacyclics Llc Use of inhibitors of Bruton's tyrosine kinase (Btk)
WO2015192198A1 (en) * 2014-06-19 2015-12-23 The Hospital For Sick Children Treatment of peroxisome biogenesis disorder
WO2016011022A1 (en) * 2014-07-14 2016-01-21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Substituted thioxanthenone autophagy inhibitors
US11541073B2 (en) 2018-01-12 2023-01-03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Methods of attenuating an immune response by inhibition of BFL1
WO2021007593A1 (en) * 2019-07-11 2021-01-14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Compounds useful for inhibiting bfl1 and their use in therapy
EP4114946A1 (en) 2020-03-04 2023-01-11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ensitization of tumor cells to immune therapy
WO2023114245A2 (en) * 2021-12-14 2023-06-22 Radin Daniel Pierc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including glioblastoma and chemoresistant cns tumor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and eliminating cns cancer stem cells
WO2023133086A1 (en) * 2022-01-05 2023-07-13 Northwestern University Incomplete autophagy induction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1615A1 (en) * 2008-02-29 2009-09-03 Guru Reddy Combination anti-cancer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6911A (en) 1986-04-16 1988-07-12 E. R. Squibb & Sons, Inc.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
US5378475A (en) 1991-02-21 1995-01-03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devices
NZ303528A (en) * 1995-02-27 1998-08-26 Sanofi Winthrop Inc Benzothiopyran[4,3,2-cd]indazole derivatives and medicaments
US5869079A (en) 1995-06-02 1999-02-09 Oculex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 for controlled release of drugs by combining hydrophilic and hydrophobic agents
EP1021204B1 (en) 1997-09-26 2005-12-28 Noven Pharmaceuticals, Inc. Bio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pical administration of active agents
US6391911B1 (en) 1999-02-26 2002-05-21 Robert E. Bases Coadministration of lucanthone and radiation for treatment of cancer
MXPA04010199A (es) * 2002-04-15 2005-07-05 Sloan Kettering Inst Cancer Terapia en combinacion para el tratamiento de cancer.
US6767919B2 (en) * 2002-12-17 2004-07-27 Walker Cancer Research Institute, Inc. High specificity anticancer agents
US7135575B2 (en) * 2003-03-03 2006-11-14 Array Biopharma, Inc. P38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553381C (en) 2004-01-20 2011-03-22 Allergan, Inc. Compositions for localized therapy of the eye, comprising preferably triamcinolone acetonide and hyaluronic acid
US7799336B2 (en) 2004-04-30 2010-09-21 Allergan, Inc. Hypotensive lipid-containing biodegradable intraocular implants and related methods
NZ568812A (en) 2005-12-22 2011-09-30 Astrazeneca Ab Combination of AZD2171 and pemetrexed
JP5167144B2 (ja) 2005-12-22 2013-03-21 アストラゼネカ アクチボラグ 併用療法
US20080207738A1 (en) * 2007-02-28 2008-08-28 Cancure Laboratories, Llc Drug combinations to treat drug resistant tumors
EP2305304A4 (en) * 2008-04-28 2011-08-10 Nat University Corp Hamamats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MMUNOSTIMULATOR WITH EP1 AGONIST
WO2010123945A2 (en) 2009-04-20 2010-10-28 Allergan, Inc. Silk fibroin hydrogels and uses thereof
RU2627588C2 (ru) 2010-03-08 2017-08-09 Спектрум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рака с применением ингибитора аутофагии на основе тиоксантон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1615A1 (en) * 2008-02-29 2009-09-03 Guru Reddy Combination anti-cancer agent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ugs, 69(14), 1911-1934, 2009. *
Drugs, 69(14), 1911-1934, 20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5696A1 (en) 2011-11-10
BR112012022243A2 (pt) 2016-10-25
KR20130055562A (ko) 2013-05-28
CA2789895A1 (en) 2011-09-15
AU2011224445B2 (en) 2015-08-27
US9000031B2 (en) 2015-04-07
JP2013522211A (ja) 2013-06-13
CN102858328A (zh) 2013-01-02
JP6182313B2 (ja) 2017-08-16
IL221404A (en) 2016-12-29
BR112012022243A8 (pt) 2021-11-09
CN102858328B (zh) 2016-09-07
KR20170083157A (ko) 2017-07-17
ZA201207438B (en) 2013-06-26
US8524762B2 (en) 2013-09-03
EP2544673A1 (en) 2013-01-16
US20140106003A1 (en) 2014-04-17
JP2016106120A (ja) 2016-06-16
CA2789895C (en) 2019-04-09
MX2012010212A (es) 2012-12-05
IL221404A0 (en) 2012-10-31
RU2627588C2 (ru) 2017-08-09
RU2012135396A (ru) 2014-04-20
AU2011224445A1 (en) 2012-09-13
ES2727273T3 (es) 2019-10-15
CN105616402A (zh) 2016-06-01
AR080472A1 (es) 2012-04-11
WO2011112623A1 (en) 2011-09-15
HK1225297A1 (zh) 2017-09-08
EP2544673B1 (en)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693B1 (ko) 암을 치료하기 위한 티옥산톤계 자가포식작용 저해제 치료제
DE60106905T2 (de) Formulierungen und verfahren zur verwendung von stickstoffmonoxid mimetika gegen einen malignen zellphänotyp
US20170216393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serving photoreceptor and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EP3638232B1 (en) Tinostamustine for use in treating sarcoma
US10722493B2 (en) Methods for treating fibroproliferative disorders in a mammal
EP4166160A1 (en)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with combinations of rxr agonists and thyroid hormones
TW201919617A (zh) 用於治療卵巢癌的化合物
JP2001511176A (ja) 癒着の治療および予防
TW201919615A (zh) 用於治療tnbc的化合物
US20220249438A1 (en) Carbocyanine compounds for targeting mitochondria and eradicating cancer stem cells
US8545841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s and pathogenic infections
RU2485956C2 (ru) 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побочных эффектов противораковой терапии
US20220110953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human papillomavirus (hpv)-induced cancers
KR20110128916A (ko) 췌장암의 치료
TWI590825B (zh) 治療癌症的基於硫□酮之自體吞噬抑制劑治療
EP3854392A1 (en) Use of carbamate compound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concurrent seizures
JP2006089455A (ja) 動脈瘤予防および/または治療剤
CA2336194C (en) 1-(aminoalkyl)-3-quinoxaline-2-one derivatives for the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an antioxidant action
RU2769555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острой и хронической боли, содержащая полмакоксиб и трамадол
WO2009062128A2 (en) Combination drug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ancer
EP3459534A1 (en) Method for treating or preventing radiotherapy induced breast fibr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