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248B1 -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248B1
KR101876248B1 KR1020160181237A KR20160181237A KR101876248B1 KR 101876248 B1 KR101876248 B1 KR 101876248B1 KR 1020160181237 A KR1020160181237 A KR 1020160181237A KR 20160181237 A KR20160181237 A KR 20160181237A KR 101876248 B1 KR101876248 B1 KR 101876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abrasive
abrasive plate
grinding ston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745A (ko
Inventor
김옥지
Original Assignee
(주)대일뷰티컬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일뷰티컬렉션 filed Critical (주)대일뷰티컬렉션
Priority to KR1020160181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2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6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for cleaning the feet or 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8/00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4D18/009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 C10N2040/22Metal working with essential removal of material, e.g. cutting, grinding or drilling
    • C10N2240/40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및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연마용판 표면에 연마석과 에폭시수지와 분체분말를 혼합한 후 분말 상태로 건조처리하는 혼합분말건조단계(S10); 에폭시계열 잉크를 이용하여 실크 인쇄하는 실크인쇄단계(S20); 상기 혼합분말건조단계(S10)에 의해 얻게 되는 분말화되며, 표면에 에폭시 수지와 분체분말이 부착된 연마석을 상기 실크인쇄단계(S20)에 의해 인쇄처리된 연마용판 표면에 살포하게 되는 연마석 살포단계(S30); 상기 연마석 살포단계(S30)를 거친 연마용판을 가열로에서 190℃의 온도 조건에서 12분간 소성 처리하는 소성 단계(S40); 상기 소성 단계(S40)를 거친 연마용판의 표면에 묽게 처리한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코팅 처리하는 코팅 단계(S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물에 의한 세척이 가능함은 물론 각질 제거를 위한 연마용판에 접착되는 연마석이, 사용과정에서 또는 오랜 기간의 사용에 의하더라도 그 연마용판에서 탈거 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 각질 제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s for exfoliating grinding plates}
본 발명은 각질 제거를 위한 연마용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마석과 에폭시 수지 및 분체를 혼합한 다음, 연마용판에 에폭시 잉크를 이용하여 실크 인쇄한 후 상기 연마석과 에폭시 수지 및 분체를 혼합 건조하여 분말화 되는 분말체를 실크 인쇄 처리된 상기 연마용판에 스프레이 살포한 후 일정 온도에서 소성 가공 처리한 후, 이를 다시 에폭시 코팅 처리하여서 되는 것으로, 연마용판에 부착되는 연마석을 무질서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각질 제거 효율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연한 부분과 딱딱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신체 중 피부가 딱딱한 부분으로는 신발을 신고 걷거나 정지 상태에서 신발의 딱딱한 면과 장시간에 걸쳐 접촉하여 일부 피부가 단단하게 변화되어 각질층을 이루게 되는 발을 들 수 있다. 발의 경우에 각질층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두꺼워지고 심할 경우에는 갈라지기까지도 하는데, 이러한 각질층의 갈라짐 현상이 심할 경우 통증을 유발하며, 그 갈라진 틈새로 세균 등의 침투에 의한 2차 감염이 우려되기도 한다.
따라서 발 표면 및 뒷굼치 등의 각질은 오랜 시간 방치하기 보다는 수시로 제거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질 제거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것이 각질 제거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각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또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 각질 제거기인데, 대부분의 각질 제거기는 막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표면에 연마석을 부착하여 각질 제거 부위인 발바닥이나 뒷굼치 등을 연마석이 부착된 표면으로 문질러 제거하거나 사포가 부착된 기구를 이용하여 문질러 제거하거나 또는 커터 등을 이용하여 깍아내거나, 굳은살 제거용 약품을 사용하며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의사의 치료에 의해 조치를 취하는 방법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각질 제거기를 이용하여 증상이 심해지기 이전에 제거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바, 상기 제거 수단 중 모래 등이 부착된 기구의 경우 각질 제거기 표면으로부터 모래가 쉽게 이탈되어 사용수명이 짧은 문제 뿐만 아니라 각질 제거 효율성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포를 표면에 부착하는 경우, 각질 제거 후 사포 재질의 특성상 표면을 세척할 수 없고 털어내야 하므로 위생상 청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사포 표면에 형성되는 입도 및 입자의 분포도가 균일하여 각질 제거 효율성을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즉, 각질의 경우 각질 제거기의 표면에 설정 입도를 갖으며 부착되는 연마석이 균일한 분포도를 가질 경우에 각질의 제거 효율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견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612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각질 제거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연마석의 입자 크기를 비교적 불규칙적인 입자로 형성되도록 하고, 그 불규칙적인 입자를 이루는 연마석이 각질 제거기 표면에 불규칙적으로 부착되며 배열 되도록 하므로서, 피부 각질의 제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연마석이 각질 제거기 표면으로부터 사용과정에서 탈거되어 버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오랜 기간 사용을 하더라도 사용 초기와 동일한 피부 각질 효율성을 유지토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마석과 에폭시수지와 분체분말를 혼합한 후 분말 상태로 건조처리하는 혼합분말건조단계(S10);
목재 및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연마용판 표면에 에폭시계열 잉크를 이용하여 실크 인쇄하는 실크인쇄단계(S20);
상기 혼합분말건조단계(S10)에 의해 얻게 되는 분말화되며, 표면에 에폭시 수지와 분체분말이 부착된 연마석을 상기 실크인쇄단계(S20)에 의해 인쇄처리된 연마용판 표면에 살포하게 되는 연마석 살포단계(S30);
상기 연마석 살포단계(S30)를 거친 연마용판을 가열로에서 190℃의 온도 조건에서 12~13분간 소성 처리하는 소성 단계(S40);
상기 소성 단계(S40)를 거친 연마용판의 표면에 묽게 처리한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코팅 처리하는 코팅 단계(S50);
상기 코팅 단계(S50)를 거친 연마용판을 재차 190℃의 온도에서 11분간 소성 처리하는 2차 소성단계(S60);
상기 2차 소성단계(S60)를 거친 연마용판의 표면으로 왁스 또는 실리콘 오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도포 처리하게 되는 표면층 오일도포단계(S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분말건조단계(S10)에서 연마석과 에폭시, 분체분말의 전체 혼합 중량부 대비 연마석은 200 중량부, 에폭시는 16 중량부, 분체분말은 18 중량부 비율로 혼합처리하여 혼합분말을 얻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에 의한 세척이 가능함은 물론 각질 제거를 위한 연마용판에 접착되는 연마석이, 사용과정에서 또는 오랜 기간의 사용에 의하더라도 그 연마용판에서 탈거 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 각질 제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흐름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각질 제거 연마용판을 도시한 것으로 그 표면에 실크인쇄를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연마용판 표면에 일정 두께를 갖으며 에폭시계열의 실크인쇄를 한 상태에서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혼합분말건조단계에 의해 연마석과 에폭시수지 및 도료분말을 혼합한 후 건조 과정을 거친 연마석의 외표면에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이 형성된 예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혼합분말건조단계를 거친 연마석을 표면에 실크인쇄층을 갖는 연마용판에 살포 처리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의해 연마석 살포단계를 거친 연마용판을 소성단계를 거쳐 연마석과 연마용판 표면의 실크인쇄층간 혼화처리되며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질 제거에 이용되기 위한 각질 제거를 위한 연마용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표면층에 각질 제거를 위해 채택되는 연마석을 부착하되 해당 연마석이 사용 과정에서 쉽게 탈거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연마석의 입자 및 입도를 달리하는 불규칙적 배열 배시에 의해, 각질 제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분체분말을 혼합한 후 건조 처리하여 분말화시키는 혼합분말건조단계(S10)와, 연마용판 표면에 실크인쇄하는 실크인쇄단계(S20)와, 연마석과 에폭시수지, 혼합분말건조단계에 의해 분말화된 연마석을 연마용판에 살포하는 연마석 살포단계(S30)와, 연마석이 살포 처리된 연마용판을 소성하는 소성 단계(S40)와, 소성 처리된 연마용판 표면을 코팅 처리하는 코팅 단계(S50)와, 코팅 단계를 거친 연마용판을 다시 소성 처리하게 되는 2차 소성단계(S60)와, 연마용판 표면으로 왁스 또는 실리콘 오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도포 처리하게 되는 표면층 오일도포단계(S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분말 건조단계(S10)는, 전술한 실크인쇄층(11)으로 살포하기 위한 혼합분말을 얻기 위한 것인데 그 혼합분말은 연마석과 에폭시수지, 분체분말로 이루어진다.
연마석(11)은 비교적 다양한 입자를 갖는 연마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루색상계열의 80 메쉬 입자를 갖는 연마석과 핑크색상계열의 150 메쉬 입자를 갖는 연마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각 입자 크기를 달리하는 블루색상계열과 핑크색상계열의 연마석을 혼합하여 에폭시 수지와 분체분말을 혼합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블루색상계열의 연마석 또는 핑크색상계열의 연마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연마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선택되는 연마석(11)과 에폭시수지를 혼합하고, 아울러 분체분말을 혼합 처리하게 되는데 연마석과 에폭시, 분체분말의 전체 혼합 중량부 대비 연마석(11)은 200 중량부, 에폭시는 16 중량부, 분체분말은 18 중량부 비율로 혼합처리하게 된다.
또는 상기 분체분말은 상기 연마석(11)의 무게 대비 15~17%의 비율의 양으로 혼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때의 혼합처리되는 혼합물은 겔상의 에폭시 때문에 분말화된 상태는 아니며, 상기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건조 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건조는 통상의 건조로 등을 통과시켜 건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폭시의 혼합 중량부를 16 중량부로 하는 것은, 후술하게 되는 소성 단계(S40)를 거칠 때 에폭시가 녹아내리며 연마용판(10)의 표면에 인쇄처리된 실크인쇄층(11)과 혼화(混和) 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분체분말은 색상 표현을 표출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치인 18 중량부보다 많을 경우에는 색상 발현은 잘 되지만 연마석(20)이 연마용판(10)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성질을 방해하게 되고, 기준치인 18 중량부보다 적을 경우에는 색상 발현이 제대로 실현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되면, 도 4 에서와 같은 알갱이 형태의 분말을 얻을 수 있는바, 각 연마석(20)의 외표면으로는 에폭시와 도료가 혼합된 상태를 이루며 에워싸는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21)을 이루게 된다.
즉 연마석(20)의 각 입자마다 그 외표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21)을 이루며 건조되어진다.
상기 실크인쇄단계(S20)는 준비되는 연마용판(10)에 에폭시계열의 잉크를 이용하여 실크 인쇄하여 실크인쇄층(11)을 얻는 것으로, 연마석(20)과 에폭시수지, 분체가 혼합처리되는 혼합분말이 연마용판(10)에 살포 처리된 다음 소성 과정을 거칠 때, 상기 연마석(20)과 실크인쇄층(11)간의 접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소성 단계(S40)에 의해 실크인쇄층(11)이 녹으면서 연마석(20)을 파지하며 견고하게 연마용판(10)에 부착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혼합분말건조단계(S10)에 의해 혼합 되는 혼합 분말을 살포한 후 소성 가공시 그 혼합 분말이 연마용판(10)의 실크인쇄층(11)이 녹아 내릴 때 함입되며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 처리되며 외표면에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21)을 형성하는 연마석(20)은 채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 범위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는 연마석(20)들을 선별하고, 그 선별된 연마석(20)들을 연마용판(10) 외표면에 살포 처리하게 된다.(S30; 연마석 살포단계)
이와 같은 연마석 살포단계(S30)에 의해 살포 처리된 연마석(20)은 도 5에서 보듯이, 연마용판(10)의 표면층에 형성된 실크인쇄층(11) 표면에 얹혀지며 살포 처리된다.
실크인쇄층(11) 표면에 각각 얹혀지는 연마석(20)들은 그 입자가 일정 크기 이상을 구성하고 있으며 일률적인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배제한다.
일정하며 일률적인 입자 크기를 연마석(20)이 갖도록 한다면, 통상적인 사포 형태를 취하는 기존의 각질 제거 연마용판과는 달리 다양한 입자를 갖는 연마용판에 의해, 각질 제거 효율성을 상당히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다양한 입자를 갖는 연마석(20)들이 연마용판(10)에서 탈거되지 않고 오랜동안 사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야 하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살포되는 연마석(20)의 외표면에 미리 에폭시와 도료를 혼합한 후 건조하여 연마석(20) 외표면에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21)을 형성하였다.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21)은 후술하게 되는 소성 단계(S40)에서 연마석(20)을 연마용판(10)의 실크인쇄층(11)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소성 단계(S40)는 건조 처리되며 분말화되는 연마석(20)이 연마용판(10)의 실크인쇄층(11)에 혼화(混和)되며 냉각 후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혼합분말건조단계(S10)를 거쳐 건조 처리된 연마석(20)은 그 외표면을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21)이 감싸지는 상태에서 연마석(20)을 감싸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21)이 연마용판(10)의 표면에 인쇄처리되는 에폭시계열의 실크인쇄층(11)에 살포 처리된 후, 소성 과정을 통하여 녹아내리며 혼화(混和)될 때, 연마석(20)의 외표면을 감싸는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21)에서 에폭시 성분이 녹아 내리게 되고, 연마용판(10) 표면의 실크인쇄층(11)도 녹게 되면서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냉각 후에는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마석(20)의 외표면을 감싸는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21)에서 도료도 소성단계(S50)에서 녹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성단계(S50)에서의 소성 온도인 190℃에서 녹을 수 있는 용해점을 갖는 분체분말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소성단계(S40)를 거치게 되면 연마석(20) 표면층을 감싸는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21)은 모두 녹아내리며 연마용판(10)의 실크인쇄층(11)과 혼화되어지며,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최종적으로 연마석(20)만 드러나게 되어 피부 각질 제거를 위한 연마석(20)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연마용판(10)의 일면과 양면에 일시에 연마석(20)을 형성하고 소성 가공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연마용판(10)의 어느 일면에 실크인쇄하는 과정과 연마석 살포 및 소성, 코팅, 2차 소성과정을 모두 거친 후 다시 타면으로 동일한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소성단계(S40)를 거친 후 상온에서의 냉각과정을 통하여 냉각 처리된 연마용판(10)의 표면에 에폭시 수지를 묽게 하여서 되는 코팅액을 이용하여 코팅 처리를 하게 된다. (S50; 코팅 단계)
상기 코팅 단계(S50)를 거친 연마용판(10)은 다시 190℃의 온도에서 11분간 굽게 되는 2차 소성단계(S60)를 거친 다음, 연마용판(10)의 양 표면에 왁스 또는 실리콘 오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도포 처리하게 되는 표면층 오일도포단계(S70)를 거친 후 건조하여 완성된 각질 제거를 위한 연마용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표면층 오일도포단계(S70)에 의해 각질 제거 과정에서 각질 등의 이물질이 연마석(20)과 연마석(20) 사이에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거되는 각질들이 연마용판(10)에서 손쉽게 탈거되는 역할을 돕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얻게 되는 연마용판은 주로 목재 및 금속판재에 적용될 수 있는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연마용판의 경우 소성 과정에서 변형될 수 있으므로 합성수지재를 이루는 연마용판은 배제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얻게 되는 각질 제거를 위한 연마용판 표면에는 다양한 입자 크기를 갖는 연마석(20)이 살포 처리되며 불규칙적인 배열, 배치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발생 된 각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각질 제거시, 매우 불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연마석(20)은 연마용판(10)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연마석(20)이 연마용판(10)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불규칙한 입도 분포를 갖게 되어 각질 제거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S10; 혼합분말건조단계
S20; 실크인쇄단계
S30; 연마석 살포단계
S40; 소성단계
S50; 코팅단계
S60; 2차 소성단계
S70; 표면층 오일도포단계
10; 연마용판 11; 실크인쇄층
20; 연마석 21; 에폭시 및 도료혼합층

Claims (6)

  1. 연마석과 에폭시수지와 분체분말를 혼합한 후 분말 상태로 건조처리하는 혼합분말건조단계(S10) ;
    연마용판 표면에 에폭시계열 잉크를 이용하여 혼합분말이 연마용판에 살포 처리된 다음 소성 과정을 거칠 때, 상기 연마석과 실크인쇄층간의 접착을 위한 실크인쇄단계(S20);
    상기 혼합분말건조단계(S10)에 의해 얻게 되는 분말화되며, 미리 에폭시와 도료를 혼합한 후 건조하여 연마석 외표면에 에폭시 수지와 분체분말이 부착되어 도포되도록 하여 상기 실크인쇄단계(S20)에 의해 인쇄처리된 연마용판 표면으로, 상기 연마석을 살포하게 되는 연마석 살포단계(S30);
    상기 연마석 살포단계(S30)를 거친 연마용판을 가열로에서 소성 처리하는 소성 단계(S40);
    상기 소성 단계(S40)를 거친 연마용판의 표면에 묽게 처리한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코팅 처리하는 코팅 단계(S50);
    상기 코팅 단계(S50)를 거친 연마용판을 재차 190℃의 온도에서 11분간 소성 처리하는 2차 소성단계(S60);
    상기 2차 소성단계(S60)를 거친 연마용판의 표면으로 왁스 또는 실리콘 오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도포 처리하게 되는 표면층 오일도포단계(S7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말건조단계(S10)에서 연마석과 에폭시, 분체분말의 전체 혼합 중량부 대비 연마석은 200 중량부, 에폭시는 16 중량부, 분체분말은 18 중량부 비율로 혼합처리하여 혼합분말을 얻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은 80 메쉬에서 150 메쉬 범위내에 있는 것을 포함하는,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용판은 목재 또는 금속재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분말은 190 ℃에서 용해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은 불균일한 입자 크기를 갖으며 연마용판 표면에 불균일한 입도를 갖도록 살포처리되는 것을 포함하는,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KR1020160181237A 2016-12-28 2016-12-28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KR101876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37A KR101876248B1 (ko) 2016-12-28 2016-12-28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37A KR101876248B1 (ko) 2016-12-28 2016-12-28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745A KR20180076745A (ko) 2018-07-06
KR101876248B1 true KR101876248B1 (ko) 2018-08-02

Family

ID=6292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237A KR101876248B1 (ko) 2016-12-28 2016-12-28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2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959B1 (ko) * 2002-03-12 2004-05-17 조인술 각질제거용 연마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21726A (ko) * 2002-08-29 2004-03-11 신선경 손톱 미용기구 제조방법
KR20060013133A (ko) * 2004-08-06 2006-02-09 노상운 각질 제거구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따라 제조된 각질제거구
KR20100078774A (ko) * 2008-12-30 2010-07-08 윤웅태 피부 각질 제거기 및 제조방법
KR101361212B1 (ko) 2012-12-18 2014-02-10 이영길 발 각질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745A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749B2 (en) Method for providing a grinding surface on glass implements used in personal care
WO2008114686A1 (ja) 化粧料塗布具及び該化粧料塗布具の製造方法
KR101876248B1 (ko) 각질 제거 연마용판 제조방법
KR20100020554A (ko) 피부노폐물과 유분 흡착용 마사지 볼과 그 제조방법
CN108374538A (zh) 防滑水池混凝土地面的制备方法
KR102035426B1 (ko) 지압기능을 갖는 도자기 다기 제조방법
US20090025744A1 (en) Nail file
JP6376922B2 (ja) 歯科用研磨器具
JP5398094B1 (ja) 治療器具
KR20180004880A (ko) 쑥이 포함된 발열패드
CN107448002A (zh) 一种对地面进行抛光、釉面修复的施工工艺
EP2483036A1 (en) Dental polishing devices and method of polishing dental surfaces
KR20080071546A (ko) 각질제거기용 세라믹연마재 제조방법
KR101103713B1 (ko) 네일파일용 연마부재 제조방법
JP4231262B2 (ja) 研磨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5111232A (ja) 研摩材
KR20100078774A (ko) 피부 각질 제거기 및 제조방법
CN216727613U (zh) 一种人工骨颗粒研磨器
TWI295918B (ko)
KR101558279B1 (ko)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JP2008006075A (ja) 健康効果シールにおける健康効果材層の形成方法
JPH09140617A (ja) 皮膚削り具
JP7277881B1 (ja) カッサ用具およびカッサ用具の製造方法
KR102298161B1 (ko) 아로마 패치의 제조방법
JP3185343U (ja) 珪藻粉の付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