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093B1 -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093B1
KR101876093B1 KR1020160170738A KR20160170738A KR101876093B1 KR 101876093 B1 KR101876093 B1 KR 101876093B1 KR 1020160170738 A KR1020160170738 A KR 1020160170738A KR 20160170738 A KR20160170738 A KR 20160170738A KR 101876093 B1 KR101876093 B1 KR 101876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variable shaft
inverting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754A (ko
Inventor
전종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0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55Continuously controlled electromagnetic valves
    • B60T8/366Val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41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valves
    • B60T8/342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50/00Monitoring, detecting, estimating vehicle conditions
    • B60T2250/04Vehicle reference speed; Vehicle body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의 브레이크페달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모듈레이터밸브; 차속센서의 정보에 의해 제어작용을 하는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모듈레이터밸브의 에어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에어 중 낮은 압력에 의해 에어탱크로부터의 에어를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공급하는 인버팅체크밸브; 및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변축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에어가 분기되어 공급되는 공압식인버팅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D LIFT AXLE BRAK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축이 상승한 경우 가변축에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하며, ASR 작동이 원활하도록 선택적으로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트랙터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견인차량이며, 주로 대형트레일러를 견인한다.
한계용량 이상의 무거운 짐을 싣고 다니는 트레일러를 견인하는 트랙터는 차량의 안정성에도 문제를 야기하지만, 도로 파괴의 주범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가변축(lifting axle)을 장착하여 보조 바퀴를 운용하는 것이다. 가변축은 필요에 따라 내리거나(적차시) 올릴 수(공차 시)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가변축을 내릴 경우 가변축에 연결된 보조바퀴가 차량의 하중을 나누어 지지함으로써 각 축당 부가되는 하중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가변축을 운용하기 위해 6*2 트랙터가 적용되는데, 6*2 트랙터는 공차상태 운행시 기존 6*4 트랙터가 후1,2축 모두 구동하는데 반해 후2축(가변축)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후1축만 구동하여 운행할 수 있는 트랙터를 말한다.
6*2 트랙터의 적용으로, 트랙터의 구동마찰력이 감소되어 연비가 상승함은 물론 타이어 및 브레이크 패드 마모감소로 사용연한이 대폭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트랙터의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회로도이며,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트랙터의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개략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은, 에어탱크를 통해 압축공기가 솔레노이드밸브(50)로 공급되며, 솔레노이드밸브(50)를 통한 공기는 인버팅체크밸브(40)로 공급된다. 또한, 브레이크페달(10)의 작동에 따라 모듈레이터밸브(20)으로도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인버팅체크밸브(40)는 모듈레이터밸브(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 압력과 솔레노이드밸브(5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 압력 중 낮은 압력을 아웃풋으로 배출한다. 모듈레이터밸브(2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솔레노이드밸브(50)를 통한 압축공기보다 압력이 낮기 때문에, 모듈레이터밸브(2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가변축브레이크 챔버에 공급된다.
이에 가변축이 상승시에도 가변축브레이크 챔버로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불필요하게 압축공기가 소모되며 소모된 압축공기를 보충하기 위하여 에어 컴프레셔의 작동시간이 증대되며, 에어 컴프레셔가 작동되는 만큼 차량연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40239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변축 상승시에 가변축의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압축공기 소모를 막을 수 있고 에어 콤프레서의 작동시간을 줄여 차량연비를 향상시키면서도 브레이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의 브레이크페달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모듈레이터밸브; 차속센서의 정보에 의해 제어작용을 하는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모듈레이터밸브의 에어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에어 중 낮은 압력에 의해 에어탱크로부터의 에어를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공급하는 인버팅체크밸브; 및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변축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에어가 분기되어 공급되는 공압식인버팅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는, 상기 가변축의 상승에 따라 상기 인버팅체크밸브로 공급된 상기 에어를 배출하여 공기압 0의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상기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ASR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인버팅체크밸브로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상기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는,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인입시키는 인입부;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타단에 위치하는 배기부;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변축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에어가 분기되어 공급되는 콘트롤포트;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상기 인버팅체크밸브로 상기 에어탱크로부터의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는,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는 피스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트롤포트에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피스톤부가 상승하여 상기 인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인버팅체크밸브로 전달되었던 상기 에어가 역류하여 상기 배기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트롤포트에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피스톤부는 하강하여 상기 인입부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상기 공급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부의 상단부의 일측에 제1 에어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부의 하단부의 일측에 제2 에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부를 통해 인입된 상기 에어는 상기 제1 에어홀을 통해 상기 피스톤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에어홀을 통해 상기 공급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부의 상하에는 가스켓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방법은, 가변축의 상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가변축이 상승된 경우, 공압식인버팅밸브를 작동하여 가변축 브레이크를 미작동시키는 제1 브레이크 제어단계; 및 상기 가변축이 상승되지 않은 경우, ASR의 동작에 따라 가변축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브레이크 제어단계는, 상기 가변축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일부 에어를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콘트롤포트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피스톤부가 상승하여 인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함과 동시에 인버팅체크밸브로 전달되었던 상기 에어가 역류하여 배기부로 배출되는 단계; 솔레노이드밸브의 공기압을 0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축의 브레이크를 미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브레이크 제어단계는, 상기 ASR이 작동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ASR이 작동하는 경우, 인버팅체크밸브로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하는 단계; 솔레노이드밸브의 공기압을 0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축의 브레이크를 미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SR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가변축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축의 상승 시에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압축공기를 전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변축의 하강 시에도 ASR의 작동에 의해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압축공기가 전달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ASR의 작동시는 물론 가변축의 상승시에도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압축공기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압축공기의 소모를 막을 수 있으며, 에어 콤프레셔의 작동시간을 줄일 수 있어 차량의 연비가 향상됨은 물론 브레이크의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트랙터의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회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트랙터의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인버팅밸브의 작동 개념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를 인버팅체크밸브로 공급하는 공압식인버팅밸브의 미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팅체크밸브로부터 에어를 배출하는 공압식인버팅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가변축을 운용하기 위해 6*2 트랙터가 적용될 수 있으나, 트레일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의 브레이크페달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모듈레이터밸브(110); 차속센서의 정보에 의해 제어작용을 하는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솔레노이드밸브(120); 상기 모듈레이터밸브(110)의 에어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의 에어 중 낮은 압력에 의해 에어탱크로부터의 에어를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171)로 공급하는 인버팅체크밸브(130); 및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변축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에어(150)가 분기되어 공급되는 공압식인버팅밸브(140);를 포함한다.
물론, 가변축(170)과 달리 구동축 브레이크 챔버(161)에는 압축공기가 모듈레이터밸브(110)를 통해 공급되어, 구동축은 가변축(170)의 승하강에 관계없이 제동될 수 있다.
또한, 가변축(170)의 하강 시 공압식인버팅밸브(140), 솔레노이드밸브(120) 및 인버팅체크밸브(130)에는 에어탱크로부터의 에어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가변축(170)이 제동될 수 있다.
인버팅체크밸브(140)는 모듈레이터밸브(1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 압력과 솔레노이드밸브(1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 압력 중 낮은 압력을 아웃풋으로 배출한다.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140)는, 상기 가변축(170)의 상승에 따라 상기 인버팅체크밸브(130)로 공급된 상기 에어를 배출하여 공기압 0의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171)로 상기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변축(170)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에어의 일부(150)가 공압식인버팅밸브(140)로 인입되면, 공압식인버팅밸브(14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가변축(170)의 하강시에 공압식인버팅밸브(140), 솔레노이드밸브(120) 및 인버팅체크밸브(130)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던 에어가 공압식인버팅밸브(140)의 작동에 의해 차단되며, 인버팅체크밸브(130) 및 솔레노이드밸브(120)의 에어는 공압식인버팅밸브(140)의 배기부를 통해 배기된다.
이에, 인버팅체크밸브(130)는 모듈레이터밸브(110)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인 0의 압력을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171)로 출력하게 되어,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171)에는 에어가 공급되지 않아 가동축(170)은 제동되지 않는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인버팅밸브의 작동 개념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를 인버팅체크밸브로 공급하는 공압식인버팅밸브의 미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팅체크밸브로부터 에어를 배출하는 공압식인버팅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콘트롤포트(145)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즉 콘트롤포트(145)에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가변축 하강시에는, 인입부(141)로부터의 에어는 공급부(147)로 공급되어 솔레노이드밸브와 인버팅체크밸브로 공급되며, 배기부(143)로 에어가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콘트롤포트(145)가 작동하게 되면, 즉 콘트롤포트(145)에 에어가 공급되는 가변축 상승시에는, 인입부(141)로부터의 에어는 공급부(147)를 통해 솔레노이드밸브와 인버팅체크밸브로 공급되지 않으며, 배기부(143)로 에어가 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공압식인버팅밸브(140)는,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140)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인입시키는 인입부(141);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타단에 위치하는 배기부(143);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변축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에어가 분기되어 공급되는 콘트롤포트(145);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를 통해 인버팅체크밸브(130)로 상기 에어탱크로부터의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부(14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140)는,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는 피스톤부(149)를 더 포함하며, 피스톤부(149)의 내부의 상측에는 제1 가스켓부(142a)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제2 가스켓(142b)이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부(149)의 내부에는 제1 스프링(144)이 형성되어 피스톤부(149)를 양측으로 밀게 되며, 제1 및 제2 가스켓부(142a, 142b)가 인입부(141)와 배기부(143)측으로 일정한 힘이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피스톤부(149)의 하부에는 제2 스프링(146)이 형성되어, 피스톤부(149)의 승강을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콘트롤포트(145)에 에어가 공급되면 에어는 피스톤부(149)를 상승시켜 인입부(141)로 인입되는 에어를 차단하게 되며, 콘트롤포트(145)에 에어가 공급되지 않게 되면 제2 스프링(146)의 스프링력에 의해 피스톤부(149)가 하강하게 되어 인입부(141)로 공급된 에어는 공급부(147)로 이동하게 된다.
도 4b는 콘트롤포트(145)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즉 콘트롤포트(145)에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가변축 하강 시 공압식인버팅밸브(140)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에어탱크로부터 에어가 인입부(141)로 공급되면, 피스톤부(149)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1 홀(148a)을 통해 에어는 피스톤부(149)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 에어는 피스톤부(149)의 하부를 통해 공급부(147)로 이동하여 솔레노이드밸브(120) 및 인버팅체크밸브(130)로 공급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콘트롤포트(145)로 가변축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에어의 일부가 공급되면, 공급된 에어는 피스톤부(149)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에, 인인부(141)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제1 홀(148a)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폐쇄하게 되며, 솔레노이드밸브(120) 및 인버팅체크밸브(130)의 에어는 제2 홀(148b)을 통해 배기부(143)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120) 및 인버팅체크밸브(130)의 압력은 0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는, ASR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인버팅체크밸브(130)로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171)로 상기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ASR(Anti Slip Regulation)은 구동하는 구동바퀴의 과도한 미끄러짐을 휠 속도센서에서 속도를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120)를 작동시켜 각 바퀴의 브레이크 챔버에 압축공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가변축의 상승 시에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압축공기를 전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변축의 하강 시에도 ASR의 작동에 의해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압축공기가 전달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ASR의 작동시는 물론 가변축의 상승시에도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압축공기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압축공기의 소모를 막을 수 있으며, 에어 콤프레셔의 작동시간을 줄일 수 있어 차량의 연비가 향상됨은 물론 브레이크의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방법은, 가변축(170)의 상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 상기 가변축(170)이 상승된 경우, 공압식인버팅밸브(140)를 작동하여 가변축 브레이크를 미작동시키는 제1 브레이크 제어단계(S200); 및
상기 가변축(170)이 상승되지 않은 경우, ASR의 동작에 따라 가변축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브레이크 제어단계(S100)는, 상기 가변축(170)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일부 에어(150)를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140)의 콘트롤포트(145)로 공급하는 단계(S210);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140)의 피스톤부(149)가 상승하여 인입부(141)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함과 동시에 인버팅체크밸브(130)로 전달되었던 상기 에어가 역류하여 배기부(143)로 배출되는 단계(S220); 솔레노이드밸브(120)의 공기압을 0으로 형성하는 단계(S230); 및 상기 가변축(170)의 브레이크를 미작동시키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즉, 가변축(170)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에어의 일부(150)가 공압식인버팅밸브(140)로 인입되면, 공압식인버팅밸브(14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가변축(170)의 하강시에 공압식인버팅밸브(140), 솔레노이드밸브(120) 및 인버팅체크밸브(130)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던 에어가 공압식인버팅밸브(140)의 작동에 의해 차단되며, 인버팅체크밸브(130) 및 솔레노이드밸브(120)의 에어는 공압식인버팅밸브(140)의 배기부를 통해 배기된다.
이에, 인버팅체크밸브(130)는 모듈레이터밸브(110)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인 0의 압력을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171)로 출력하게 되어,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171)에는 에어가 공급되지 않아 가동축(170)은 제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2 브레이크 제어단계(S300)는, ASR이 작동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10); 상기 ASR이 작동하는 경우, 인버팅체크밸브(130)로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하는 단계(S320); 솔레노이드밸브(120)의 공기압을 0으로 형성하는 단계(S330); 및 상기 가변축(170)의 브레이크를 미작동시키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
ASR이 작동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10)는 구동하는 구동바퀴의 과도한 미끄러짐을 휠 속도센서에서 속도를 검출하며, 검출된 신호값이 기준 오차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ECU(미도시)는 ASR이 동작할 것을 판단하고, ASR 작동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12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ASR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가변축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가변축의 상승 시에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압축공기를 전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변축의 하강 시에도 ASR의 작동에 의해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압축공기가 전달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ASR의 작동시는 물론 가변축의 상승시에도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압축공기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압축공기의 소모를 막을 수 있으며, 에어 콤프레셔의 작동시간을 줄일 수 있어 차량의 연비가 향상됨은 물론 브레이크의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10: 모듈레이터밸브
120: 솔레노이드밸브
130: 인버팅체크밸브
140: 공압식인버팅밸브
150: 가변축 상승에 필요한 에어의 일부
161: 구동축 브레이크 챔버
170: 가변축

Claims (14)

  1. 운전자의 브레이크페달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모듈레이터밸브;
    차속센서의 정보에 의해 제어작용을 하는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모듈레이터밸브의 에어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에어 중 낮은 압력에 의해 에어탱크로부터의 에어를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공급하는 인버팅체크밸브; 및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변축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에어가 분기되어 공급되는 공압식인버팅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는,
    상기 가변축의 상승에 따라 상기 인버팅체크밸브로 공급된 상기 에어를 배출하여 공기압 0의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상기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ASR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인버팅체크밸브로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가변축 브레이크 챔버로 상기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는,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인입시키는 인입부;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타단에 위치하는 배기부;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변축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에어가 분기되어 공급되는 콘트롤포트;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상기 인버팅체크밸브로 상기 에어탱크로부터의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는,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는 피스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포트에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피스톤부가 상승하여 상기 인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인버팅체크밸브로 전달되었던 상기 에어가 역류하여 상기 배기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포트에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피스톤부는 하강하여 상기 인입부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상기 공급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상단부의 일측에 제1 에어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부의 하단부의 일측에 제2 에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를 통해 인입된 상기 에어는 상기 제1 에어홀을 통해 상기 피스톤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에어홀을 통해 상기 공급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상하에는 가스켓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11. 가변축의 상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가변축이 상승된 경우, 공압식인버팅밸브를 작동하여 가변축 브레이크를 미작동시키는 제1 브레이크 제어단계; 및
    상기 가변축이 상승되지 않은 경우, ASR의 동작에 따라 가변축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2 브레이크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크 제어단계는,
    상기 가변축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일부 에어를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콘트롤포트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압식인버팅밸브의 피스톤부가 상승하여 인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함과 동시에 인버팅체크밸브로 전달되었던 상기 에어가 역류하여 배기부로 배출되는 단계;
    솔레노이드밸브의 공기압을 0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축의 브레이크를 미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레이크 제어단계는,
    상기 ASR이 작동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ASR이 작동하는 경우, 인버팅체크밸브로 공급되는 에어를 차단하는 단계;
    솔레노이드밸브의 공기압을 0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축의 브레이크를 미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SR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가변축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방법.
KR1020160170738A 2016-12-14 2016-12-14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876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38A KR101876093B1 (ko) 2016-12-14 2016-12-14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38A KR101876093B1 (ko) 2016-12-14 2016-12-14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754A KR20180068754A (ko) 2018-06-22
KR101876093B1 true KR101876093B1 (ko) 2018-07-06

Family

ID=6276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738A KR101876093B1 (ko) 2016-12-14 2016-12-14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0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732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푸셔 액슬이 적용된 차량의 에이 비 에스/에이 에스 알 장치
KR20010001901U (ko) * 1999-06-30 2001-01-26 정몽규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1013111B1 (ko) * 2010-10-08 2011-02-14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공압용 전동 레귤레이터 및 그 레귤레이터를 구비한 가변축 전동 제어시스템
KR101368061B1 (ko) * 2012-08-28 2014-02-27 김창율 차량용 가변축 제어방법
KR101440239B1 (ko) * 2013-07-01 2014-10-30 김창율 차량의 가변축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732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푸셔 액슬이 적용된 차량의 에이 비 에스/에이 에스 알 장치
KR20010001901U (ko) * 1999-06-30 2001-01-26 정몽규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1013111B1 (ko) * 2010-10-08 2011-02-14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공압용 전동 레귤레이터 및 그 레귤레이터를 구비한 가변축 전동 제어시스템
KR101368061B1 (ko) * 2012-08-28 2014-02-27 김창율 차량용 가변축 제어방법
KR101440239B1 (ko) * 2013-07-01 2014-10-30 김창율 차량의 가변축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754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4162B2 (ja)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BR112019022513A2 (pt) sistema de inflação de pneu com base em carga para veículos de serviço pesado
US7810827B2 (en) Pilot operated valve with inversion control and pressure hold functions
US10137750B2 (en)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ft axle and air suspension on a trailer
JPH07501506A (ja) アンチロック装置を備えた油圧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
US10160269B2 (en) Vehicle air supply system
JPWO2007091312A1 (ja)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制御方法及びブレーキ制御装置
JPH06206532A (ja) スキッドコントロール装置を有する液圧式自動車ブレーキ装置
KR101876093B1 (ko) 차량의 가변축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10358011B2 (en) Dynamic weight shift suspension system
JP5014159B2 (ja) ブレーキ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260283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JPH0220409A (ja) 中央タイヤインフレーションシステム用のタイヤ漏れ検出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008432B2 (ja) フォークリフト車の安全装置
JP4034763B2 (ja) セミトレーラ
KR101365023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WO1995029837A1 (en) Trailer with air suspension system
KR101447465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파일럿 밸브
JPH06183323A (ja) 流体ブレーキ回路
CN114754120A (zh) 限滑差速器的控制方法、车辆防滑系统以及车辆
KR20050038691A (ko) 차량용 푸셔 액슬 장치
CN116265270A (zh) 用于控制挂车的能抬升的从动桥的阀组件和方法
KR20140111409A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파일럿 밸브
JPS5851502B2 (ja) レンケツシヤノセイドウリヨクセイギヨソウチ
CN101863271A (zh) 一种重型汽车气制动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