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037B1 -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037B1
KR101876037B1 KR1020160089725A KR20160089725A KR101876037B1 KR 101876037 B1 KR101876037 B1 KR 101876037B1 KR 1020160089725 A KR1020160089725 A KR 1020160089725A KR 20160089725 A KR20160089725 A KR 20160089725A KR 101876037 B1 KR101876037 B1 KR 10187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ermanent magnet
electromagnet
valve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8014A (ko
Inventor
김대호
김진민
Original Assignee
김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호 filed Critical 김대호
Priority to KR102016008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037B1/ko
Priority to PCT/KR2017/004920 priority patent/WO2018012720A1/ko
Publication of KR2018000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연료공급라인과 시동장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에 있어서, 전류의 공급 및 차단으로 작동하는 전자석과 마주보는 밸브몸체 내의 영구자석이 상기 전자석과 같은 극성이나 서로 다른 극성을 유지함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연료공급라인을 개폐하여 차량의 시동 및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밸브몸체 내의 영구자석의 주변과 나란히 세워지는 안내 벽을 각각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을 둔 상기 영구자석과 안내 벽 사이로 연료가 통과하도록 한 것이며,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전에 연료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불시에 급가속을 일으키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에 도달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여 급발진 사고를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sudden start of automobiles}
본 발명은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차량의 연료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설정된 엔진 회전수에 따른 전류공급기의 온(ON) 동작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고, 이렇게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석의 작동에 의한 반발력으로 영구자석이 작동하여 연료공급라인의 연료공급을 차단하도록 한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발진이란 시동상태에서 운전자의 가속 페달 및 변속 조작행위가 없는 상태에서도 차량이 스스로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것을 말한다. 차량이 스스로 전진하거나 또는 후진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차량의 파손, 차량 운전자 및 급발진하는 차량 근처에서 보행중인 보행자가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급발진이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 명확하고 완전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운전자의 조작 오류, 차량 부속의 노후화와 불량 등을 추정하고 있다. 차량 부속의 노후와 결함으로 추정하는 경우에서는,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 및 전자제어장치(ECU)를 작동하게 하는 센서들의 노후화와 불량 등으로 인한 차량의 급발진을 추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흡기 공기 온도 센서(ATS: Air Temperature Sensor), 냉각 수온 센서(WTS: Water Teperature Sensor), 트로틀 포지션 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 산소 센서 등의 노후화 및 불량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컨대, 냉각 수온 센서가(WTS)가 노후되거나 불량일 경우, 수온 감지가 안되고, 이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전달받은 전자제어장치(ECU)는 엔진의 온도를 낮게 판단하여 연료를 다량으로 분사시켜, 엔진의 회전수가 7000∼8000rpm까지 상승함으로써 급발진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의 급발진에 의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는 많은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들은 완벽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나마 낫다고 하는 것들도 모두 여러 가지의 부품들로 의해 고가의 복잡한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769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92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의 시동장치와 연료공급라인 사이에 연결하여 설치하되, 차량의 설정된 엔진 회전수에서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연료공급라인에 설치된 전자석의 작동에 의한 반발력으로 영구자석이 작동하여 연료공급라인의 연료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되, 상기 연료공급라인과 영구자석의 사이에 안내 벽을 세워 정상적인 연료공급이 이루지도록 한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는, 차량의 연료공급라인과 시동장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에 있어서, 전류의 공급 및 차단으로 작동하는 전자석과 밸브몸체 내의 영구자석이 상기 전자석과 같은 극성이나 자력을 상실함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연료공급라인을 개폐하여 차량의 시동 및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밸브몸체 내의 영구자석의 주변과 나란히 세워지는 안내 벽을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을 둔 상기 영구자석과 안내 벽 사이로 연료가 통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는, 상기 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연료유입구와 연료유출구가 형성되어 설치된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 내에 배치된 영구자석; 상기 밸브몸체의 바깥에서 영구자석과 마주보도록 부착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시동장치; 상기 시동장치와 전자석 사이의 연결도상에 연결되어 설치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여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영구자석은 밸브본체 안에서 전자석과 마주보면서 같은 극으로 설치되어 전자석의 온(ON)/오프(OFF) 작동에 의한 반발력 또는 자력으로 연료공급라인의 연료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전진 및 후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자석과 시동장치 사이에서 별도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조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설정된 엔진 회전수에서도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아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미작동의 경우,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상기 보조스위치의 선택작동에 의해 스위치의 작동에 관계없이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영구자석이 이동하여 연료유출구 사이를 막을 때, 상기 연료유출구의 내벽과 영구자석 사이에 미량의 연료가 통과하는 미세 간격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영구자석이 이동하여 연료유출구 사이를 막을 때 미량의 연료가 통과하도록 상기 연료유입구와 영구자석이 위치하는 밸브몸체 내의 공간 사이, 상기 연료유출구와 영구자석이 위치하는 밸브몸체 내의 공간 사이에 미세한 연료 통과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연료유입구와 연료유출구는 직각으로 배치하되, 상기 연료유출구가 영구자석과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료유입구와 연료유출구는 일직선 상으로 배치하되, 상기 연료유출구가 영구자석과 마주보면서 연료유입구와 단차를 두고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에 의하면,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전에 연료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불시에 급가속을 일으키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에 도달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여 급발진 사고를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어 누구나 부담없이 구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동장치와 연료공급라인 사이에 별도로 연결된 보조스위치에 의해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미작동시에도 전류를 공급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시동장치와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연결잭에 의해 상기 스위치에 전류가 공급되어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오작동시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전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후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전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후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차량의 급발진 사고는 급가속 상태에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급가속 상태는 엔진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엔진 회전수(rpm)의 비정상 수치를 말하며, 보통 최소 4000rpm 이상의 비정상 수치에서 급가속이 일어난다. 이러한 급발진에 의한 사고는 직접 경험한 운전자들에 의하면 차량의 결함이든, 본인의 실수이든 갑자기 급격하게 상승하는 엔진 회전수(rpm)에 의한 급가속을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는 차량의 연료공급라인과 시동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급가속에 의한 급발진이 발생하였을 때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영구자석이 전자석에 의해 작동하도록, 즉 차량의 설정된 엔진 회전수에서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석의 작동에 의한 반발력으로 자력에 의해 붙어있던 영구자석을 작동시켜 연료공급라인의 연료공급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전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후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는 밸브몸체(1), 영구자석(4), 전자석(5), 시동장치(13), 스위치(9) 및 제어장치(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몸체(1)는 직사각의 박스 또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연료공급라인의 도상에 연결하여 설치되며, 밸브몸체(1)에 형성되는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가 수직으로 배치된 것으로, 영구자석(4)은 상기 연료유출구(3)와 일직선으로 마주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는 각각 연료공급라인과 기밀성 있게 연결된다. 상기 밸브몸체(1)는 전자석(4)의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의 형태와 크기 및 위치(높이)와 방향 등은 차종에 따라 각기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밸브몸체(1) 내에는 안내 벽(14)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안내 벽(14)은 밸브몸체(1) 내의 상부에서 영구자석(4)의 주변과 나란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것으로, 상기 안내 벽(14)은 밸브몸체(1)의 내벽과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함으로써 연료가 이 간격들을 통해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료유입구(2)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는 밸브몸체(1)와 안내 벽(14) 사이 및 안내 벽(14)과 영구자석(4) 사이를 거쳐 연료유출구(3)로 배출됨으로써 정상적인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연료가 흐르는 유로를 돌려서 영구자석(4)의 양측면을 통해 연료가 통과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전자석(5)은 밸브몸체(1)의 바깥에서 영구자석(4)과 마주보도록 밀착하여 설치되며, 차량에 사용되는 전류는 직류이기 때문에 상기 영구자석(4)과 마주보는 쪽을 항상 N극 또는 S극으로 고정된 상태로 한다. 따라서 상기 영구자석(4)은 전자석(5)이 작동하면 반발력에 의해 떨어지고 상기 전자석(5)이 작동하지 않으면 자력에 의해 달라붙게 된다.
상기 시동장치(13)는 온(ON)/오프(OFF)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시동키가 있는 차량의 키박스와 연결된 시동모터와 같은 것으로서, 상기 전자석(5)과 전기적으로 한쪽 라인은 직접 연결되고 다른 쪽 라인은 스위치(9) 및 제어장치(10)와 함께 연결된다.
상기 시동장치(13)와 전자석(5) 사이의 연결도상에 연결되어 설치된 스위치(9)는 일정한 조건하에서 전류가 공급되도록 연결하고, 연결하고 나서 일정한 조건이 해제된 후에는 다시 연결이 끊어지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제어장치(10)는 스위치(9)에 연결하여 설치되고, 일정조건하에서, 즉 엔진의 회전수가 급발진을 발생하는 회전수 정도의 미리 설정된 회전수에 도달하면 스위치(9)가 동작하도록 회로를 구성하여 제어하게 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9)의 동작 후 미리 설정된 회전수 이하로 내려오면 동작하지 않아 전류를 공급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어장치(10)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도록 하며, 급발진을 일으키는 일정 회수 이상의 엔진 회전수를 설정해놓고 상기 제어장치(10)가 이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면 상기 스위치(9)가 동작하도록 하여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전자석(5)이 작동하도록 한다. 급발진을 일으키는 엔진회전수는 대개 4000rpm을 초과하므로 설정된 엔진 회전수는 4000rpm을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하면 될 것이다. 이러한 엔진 회전수는 엔진의 종류와 차량의 용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한다. 상기 제어장치(10)로는 차량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ECU)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여 스위치(9)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장치(10)로 전자제어장치(ECU)와는 상관 없이 별도의 감지센서를 차량에 설치하여 계기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계기판에 표시되는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여 스위치(9)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5)과 시동장치(13) 사이에 전기적으로 별도의 연결라인을 구성하여 상기 시동장치(13)에 보조스위치(12)를 연결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회전수에서도 상기 스위치(9)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조스위치(12)를 동작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여 제어하게 된다. 상기 보조스위치(12)는 동작 후 압력이 해소되면 동작하지 않아 전류를 공급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9)와 시동장치(13) 사이의 연결도상에는 연결잭(11)을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급발진을 일으키는 설정된 엔진 회전수 미만에서도 전자석(5)에 전류가 공급되면서 작동하여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가 오작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잭(11)의 연결을 임의로 해제하여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자석(5)이 작동하지 않아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을 보면,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급발진을 일으키기는 엔진의 설정된 회전수 미만에서 시동장치(13)가 키 온(key on) 상태 또는 시동모터의 작동상태이면, 스위치(9)가 동작하지 않아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자석(5)도 작동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밸브몸체(1) 내의 영구자석(4)은 자력에 의해 전자석(5)에 달라붙어 있어 밸브몸체(1)의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를 통해 연료가 공급된다.
이후 제어장치(10)에서 차량이 급가속을 하여 급발진을 일으키는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면 스위치(9)가 동작하여 전류가 공급되고, 이렇게 전류가 공급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석(5)이 작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있는 영구자석(4)이 상기 밸브몸체(1)의 연료유출구(3) 쪽으로 이동하면서 막아버려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후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9)의 특성에 의해 엔진 회전수가 정상범위로 내려오면 전류를 공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자석(5)이 작동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연료의 공급이 계속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영구자석(4)가 이동하여 연료유출구(3)를 막아 차단할 때, 영구자석(4)과 연료유출구(3) 사이에 미세 홈(6)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료유출구(3)의 차단 후에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 쪽의 압력을 같게 해서 영구자석(4)이 원활하게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급발진을 일으키는 엔진의 일정 회전수에서만 본 발명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가 작동하도록 하였으나, 엔진의 일정 회전수 미만에서도 본 발명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가 작동하는 오작동이 있는 경우 이를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시동장치(13)를 오프(OFF)로 선택하고 전자석(5)과 시동장치(13) 사이에 별도로 연결된 보조스위치(12)를 동작시켜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전자석(5)이 작동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4)이 상기 밸브몸체(1)의 연료유출구(3) 쪽으로 이동하면서 막아버려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당연히 본 발명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후,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스위치(12)의 특성에 의해 압력이 해소되면 전류를 공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자석(5)이 작동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연료의 공급이 계속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전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후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는
상기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것 외에는 다른 구성들은 모두 상기한 일 실시예의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다만 상기 일실시예의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와 함께 다른 실시예의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밸브몸체(1)에는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 쪽에 연료가 통과되는 미세한 연료 통과홀(8)(8-1)(7)들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료 통과홀(8)(8-1)은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의 사이에 형성하며, 상기 연료 통과홀(7)은 연료유출구(3)와 밸브몸체(1) 내의 다른 쪽의 상부 공간 사이, 즉 다른 쪽의 안내 벽(14) 상부에 형성한다. 상기 연료 통과홀(8)(8-1)(7)들은 1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료 통과홀(8)(8-1)(7)들은 영구자석(4)이 이동하여 연료유입구(3)를 막으면서 차단할 때, 연료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4)이 원활하게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한편으로는 상기 연료 통과홀(8)(8-1)(7)들의 크기를 조금 더 크게 하여 연료유출구(3)가 막히더라도 시동이 완전히 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연료유출구(3)가 막혀도 시동이 완전히 꺼지지 않도록 한 것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밸브몸체 2 : 연료유입구
3 : 연료유출구 4 : 영구자석
5 : 전자석 6 : 미세 홈
7, 8, 8-1 : 연료 통과홀 9 : 스위치(연결스위치)
10 : 제어장치 11 : 연결잭
12 : 보조스위치 13 : 시동장치
14 : 안내 벽

Claims (7)

  1. 차량의 연료공급라인과 시동장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에 있어서,
    전류의 공급 및 차단으로 작동하는 전자석(5)과 밸브몸체(1) 내의 영구자석(4)이 상기 전자석(5)과 같은 극성이나 자력을 상실함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연료공급라인을 개폐하여 차량의 시동 및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밸브몸체(1) 내의 영구자석(4)의 주변과 나란히 세워지는 안내 벽(14)을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을 둔 상기 밸브몸체(1) 내벽과 안내 벽(14) 사이 및 상기 안내 벽(14)과 영구자석(4) 사이로 연료가 통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는,
    상기 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가 형성되어 설치된 밸브몸체(1);
    상기 밸브몸체(1) 내에 배치된 영구자석(4);
    상기 밸브몸체(1)의 바깥에서 영구자석(4)과 마주보도록 부착된 전자석(5);
    상기 전자석(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시동장치(13);
    상기 시동장치(13)와 전자석(5) 사이의 연결도상에 연결되어 설치된 스위치(9); 및
    상기 스위치(9)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여 스위치(9)를 동작시키는 제어장치(10)를 포함하여,
    상기 영구자석(4)은 밸브몸체(1) 안에서 전자석(5)과 마주보면서 같은 극으로 설치되어 전자석(5)의 온(ON)/오프(OFF) 작동에 의한 반발력 또는 자력으로 연료공급라인의 연료유출구(3)를 개폐하도록 전진 및 후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5)과 시동장치(13) 사이에서 별도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조스위치(1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설정된 엔진 회전수에서도 스위치(9)가 동작하지 않아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미작동의 경우,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상기 보조스위치(12)의 선택작동에 의해 스위치(9)의 작동에 관계없이 전자석(5)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4)이 이동하여 연료유출구(3) 사이를 막을 때, 상기 연료유출구(3)의 내벽과 영구자석(4) 사이에 미량의 연료가 통과하는 미세 홈(6)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4)이 이동하여 연료유출구(3) 사이를 막을 때 미량의 연료가 통과하도록 상기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 사이, 상기 연료유출구(3)와 영구자석(4)이 위치하는 밸브몸체(1) 내의 공간 사이에 미세한 연료 통과홀(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를 직각으로 배치하되, 상기 연료유출구(3)가 영구자석(4)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입구(2)와 연료유출구(3)를 일직선상으로 배치하되, 상기 연료유출구(3)가 영구자석(4)과 마주보면서 연료유입구(2)와 단차를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1020160089725A 2016-07-15 2016-07-15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101876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725A KR101876037B1 (ko) 2016-07-15 2016-07-15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PCT/KR2017/004920 WO2018012720A1 (ko) 2016-07-15 2017-05-12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725A KR101876037B1 (ko) 2016-07-15 2016-07-15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014A KR20180008014A (ko) 2018-01-24
KR101876037B1 true KR101876037B1 (ko) 2018-08-02

Family

ID=6095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725A KR101876037B1 (ko) 2016-07-15 2016-07-15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6037B1 (ko)
WO (1) WO2018012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780Y1 (ko) * 2023-05-31 2024-02-27 박훈근 차량 동력 차단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73B1 (ko) * 2013-12-05 2015-01-29 자동차부품연구원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162A (ko) * 2000-02-10 2001-08-29 김태승 오토매틱차량 급발진 방지 장치
KR100699513B1 (ko) * 2005-09-07 2007-03-26 박한문 자동차의 도난방지 겸용을 위한 주제동브레이크와주차브레이크의 겸용장치
KR101675145B1 (ko) 2010-08-19 2016-1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급발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449259B1 (ko) * 2012-12-31 2014-10-08 김진민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101665200B1 (ko) * 2014-11-03 2016-10-11 김진민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73B1 (ko) * 2013-12-05 2015-01-29 자동차부품연구원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014A (ko) 2018-01-24
WO2018012720A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259B1 (ko)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JP5231156B2 (ja) 急発進防止装置
KR101665200B1 (ko)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101876037B1 (ko)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US7114487B2 (en) Ice-breaking, autozero and frozen throttle plate detection at power-up for electronic motorized throttle
KR100394654B1 (ko) 자동차용 전자 스로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US7072164B2 (en) Electric parts drive circuit
KR101162496B1 (ko) 액츄에이터 구동장치
KR102041738B1 (ko)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
KR101687098B1 (ko)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CN109070868B (zh) 制动装置、制动控制方法及马达锁定异常判定方法
KR100507467B1 (ko) 디젤 차량의 가속 페달 센서 고장 감지장치 및 방법
JP2007285286A (ja) Lpiエンジンの診断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7034148A1 (ko)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JP2003214234A (ja) 電子制御スロットル装置
KR20190096554A (ko) 차량의 엔진회전수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스위치
KR101519256B1 (ko) 통합형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US20120090575A1 (en) Electronic throttle control apparatus
JPH06284564A (ja) 負荷駆動回路の過電流保護装置
KR100251798B1 (ko) 차륜잠김 방지장치 및 구동력 제어장치의 통합 전자제어 회로
JPH02136542A (ja) 内燃機関の安全遮断装置を監視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7063990A (ja) 車両の衝突事故防止制御と装置
WO2016085200A1 (ko)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JPH0521466Y2 (ko)
KR100633543B1 (ko) 엔진 시동 및 정지시 엔진회전수를 감소시키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