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473B1 -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473B1
KR101487473B1 KR20130150790A KR20130150790A KR101487473B1 KR 101487473 B1 KR101487473 B1 KR 101487473B1 KR 20130150790 A KR20130150790 A KR 20130150790A KR 20130150790 A KR20130150790 A KR 20130150790A KR 101487473 B1 KR101487473 B1 KR 101487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mergency
tension
vehicl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기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5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급발진 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 또는 기타 탑승자가 수동으로 엔진의 출력을 급격하게 감소시켜서 충돌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거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과 연결된 공기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비상 공기 차단 밸브;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와 연결되는 제 1 케이블; 상기 엔진과 연결된 연료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비상 연료 차단 밸브;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와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및 운전석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케이블의 장력과 상기 제 2 케이블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Anti-uncontrolled accelera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anti-uncontrolled accel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급발진 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 또는 기타 탑승자가 수동으로 엔진의 출력을 급격하게 감소시켜서 충돌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거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에서 운전자의 의도와는 상관 없이 자동차가 이상 거동을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즉 급가속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운전자나 탑승자는 물론이고, 경제적이나 사회적, 심리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이렇게 발생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원인은, 운전자의 조작 미숙이나 자동차의 전기적 시스템의 오류나, 전자파나 알려지지 않은 기타 외부적인 환경 영향 때문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각종 전자적인 제어 방법으로 급발진 발생시 엔진을 제어하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자동차 주위에서 강한 전자파가 발생되거나 자동차의 제어 장치의 오동작인 경우에는 제대로 작동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하여, 야기되어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급발진 또는 급가속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운전자는 물론이고, 조수석 탑승자나 기타 다른 탑승자 누구라도 수동으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동시에 강제로 차단하여 엔진의 출력을 급격하게 떨어뜨려서 자동차의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거나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엔진의 연료와 공기 차단시 엔진에 최소량의 연료 및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하여 엔진에 의해 가동되는 브레이크나 기타 부수적인 장치들이 급발진 방지 후에도 동작될 수 있게 하며, 파킹 브레이크와 연동되어 급발진시 바퀴에 제동력을 동시에 줄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엔진과 연결된 공기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비상 공기 차단 밸브;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와 연결되는 제 1 케이블; 상기 엔진과 연결된 연료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비상 연료 차단 밸브;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와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및 운전석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케이블의 장력과 상기 제 2 케이블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는, 상기 제 1 케이블 및 상기 제 2 케이블과 연결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휠; 및 상기 회전휠의 일부분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사용자의 손 또는 발로 회동시킬 수 있는 긴급 차량 정지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는, 자동차의 바퀴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케이블과 연결되어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공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의 상기 공기 유로 폐쇄시 최소 공기량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판 또는 밸브 몸체에 최소 공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는, 연료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케이블과 연결되어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연료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의 상기 연료 유로 폐쇄시 최소 연료량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판 또는 밸브 몸체에 최소 연료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은, 엔진과 연결된 공기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비상 공기 차단 밸브,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와 연결되는 제 1 케이블, 상기 엔진과 연결된 연료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비상 연료 차단 밸브,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와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및 운전석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케이블의 장력과 상기 제 2 케이블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에 있어서, 급발진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케이블 및 상기 제 2 케이블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 및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가 상기 엔진의 상기 공기 공급 라인 및 상기 연료 공급 라인을 동시에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는, 자동차의 바퀴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케이블의 장력과 상기 제 2 케이블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케이블의 장력과 상기 제 2 케이블의 장력과 함께 상기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도 동시에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동 조작으로 전자기적인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장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자동차의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거나 피해를 줄일 수 있어서 소비자들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엔진의 연료와 공기 차단시에도 브레이크나 기타 부수적인 장치들이 동작될 수 있게 하며, 파킹 브레이크와 연동되어 급발진시 바퀴에 제동력을 동시에 줄 수 있어서 보다 확실하게 자동차 급발진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비상 공기 차단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비상 연료 차단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1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100)는, 크게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와, 제 1 케이블(11)과,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와, 제 2 케이블(12) 및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E)과 연결된 공기 공급 라인(1)에 설치되는 기계식 밸브로서, 상기 제 1 케이블(11)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전자기파 등 외부의 전자기적인 충격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는, 배관계통에 흐르는 공기 등의 유체를 차단하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각종 밸브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드로틀 밸브(throttle valve)가 적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각종 게이트 밸브(gate valve), 글로브 밸브(globe valve), 콘트롤 밸브(control valve), 체크 밸브(check valve),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플러그 밸브(plug valve), 볼 밸브(ball valve), 다이아프램 밸브(diaphragm valve), 콕 밸브(cock valve), 니들 밸브(needle valve) 등 각종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블(11)은, 선단이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와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케이블 보호관이나, 벨로우즈관이나, 케이블 보호 튜브, 도르레, 풀리 등의 각종 케이블 유도 부재나, 케이블 보호 부재에 의해서 안내되거나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 케이블(11)은 일반적으로 금속 선재나 꼬임 결합되는 금속 섬유 다발이나 수지 선재나 고장력 수지 섬유 다발이나, 직물 섬유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는, 상기 엔진(E)과 연결된 연료 공급 라인(2)에 설치되는 기계식 밸브로서, 상기 제 2 케이블(12)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전자기파 등 외부의 전자기적인 충격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는, 배관계통에 흐르는 공기 등의 유체를 차단하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각종 밸브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드로틀 밸브(throttle valve)가 적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각종 게이트 밸브(gate valve), 글로브 밸브(globe valve), 콘트롤 밸브(control valve), 체크 밸브(check valve),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플러그 밸브(plug valve), 볼 밸브(ball valve), 다이아프램 밸브(diaphragm valve), 콕 밸브(cock valve), 니들 밸브(needle valve) 등 각종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는,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와 그 구성이나, 종류 및 형태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와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는 유체의 신속한 차단을 위해서 드로틀 밸브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예컨데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는 액체 상태의 유체를 쉽게 차단할 수 있도록 버터플라이 밸브나 니들 밸브나 다이아프램 밸브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는 기체 상태의 유체를 쉽게 차단할 수 있도록 드로틀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케이블(12)은, 선단이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와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케이블 보호관이나, 벨로우즈관이나, 케이블 보호 튜브, 도르레, 풀리 등의 각종 케이블 유도 부재나, 케이블 보호 부재에 의해서 안내되거나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 케이블(12)은 일반적으로 금속 선재나 꼬임 결합되는 금속 섬유 다발이나 수지 선재나 고장력 수지 섬유 다발이나, 직물 섬유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제 2 케이블(12) 역시, 상기 제 1 케이블(11)과 그 구성이나, 종류 및 형태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는, 운전석(DS)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케이블(11)의 장력과 상기 제 2 케이블(12)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는, 운전자는 물론이고, 조수석 탑승자 및 기타 탑승자가 자동차의 급발진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자가 착석하여 스티어링휠(SW)을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의 운전석(DS)과 상기 운전석(DS)의 옆자리인 조수석(PS)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서,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는, 회전휠(32) 및 긴급 차량 정지 레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휠(32)은, 외주면이 상기 제 1 케이블(11) 및 상기 제 2 케이블(12)의 후단과 연결될 수 있고, 자동차에 설치된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 1 케이블(11) 및 상기 제 2 케이블(12)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는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급 차량 정지 레버(33)는, 상기 회전휠(32)의 일부분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사용자의 손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물일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휠(32) 및 긴급 차량 정지 레버(33)는 마치 파킹 브레이크의 일종인 핸드 브레이크 처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당길 수 있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이외에도 마치 파킹 브레이크의 다른 일종인 풋 브레이크 처럼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는 형태의 것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긴급 차량 정지 레버(33)를 대신하여, 각종 스위치나, 손잡이나 버튼이나 핸들 등의 형태의 구조물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급발진 또는 급가속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운전자는 물론이고, 조수석 탑승자나 기타 다른 탑승자 누구라도 수동으로 상기 긴급 차량 정지 레버(33)를 조작하면, 상기 회전휠(32)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 1 케이블(11) 및 상기 제 2 케이블(12)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제 1 케이블(11) 및 상기 제 2 케이블(12)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 및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가 동시에 폐쇄되어 상기 엔진(E)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동시에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엔진(E)의 출력을 급격하게 떨어뜨려서 자동차의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거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2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200)의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는, 자동차의 바퀴(W)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파킹 브레이크(PB)의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13)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서,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는, 외주면이 상기 제 1 케이블(11)와, 상기 제 2 케이블(12) 및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13)의 후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자동차에 설치된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 1 케이블(11)과, 상기 제 2 케이블(12) 및 상기 파킹 케이블(13)에 동시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는 회전휠(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급발진 또는 급가속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운전자는 물론이고, 조수석 탑승자나 기타 다른 탑승자 누구라도 수동으로 상기 긴급 차량 정지 레버(33)를 조작하면, 상기 회전휠(32)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 1 케이블(11)과, 상기 제 2 케이블(12) 및 상기 파킹 케이블(13)에 장력을 동시에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제 1 케이블(11)과, 상기 제 2 케이블(12) 및 상기 파킹 케이블(13)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 및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가 동시에 폐쇄되어 상기 엔진(E)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동시에 강제로 차단함과 동시에 파킹 브레이크(PB)를 작동시켜서 바퀴에 제동력을 주어 자동차의 급발진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서,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는, 공기 유로(AP)가 형성되는 밸브 몸체(10-1)와, 상기 밸브 몸체(10-1)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케이블(11)과 연결되어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회전축(10-2) 및 상기 회전축(10-2)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0-2)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공기 유로(AP)를 개폐할 수 있는 회전판(10-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10-3)의 상기 공기 유로 폐쇄시 최소 공기량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판(10-3) 또는 밸브 몸체(10-2)에 최소 공기 통로(P1)(P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소 공기 통로(P1)(P2)는 상기 회전판(10-3)의 폐쇄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각종 틈이나 사이 공간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통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케이블(11)에 장력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축(10-2)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판(10-3)이 상기 공기 유로(AP)를 막아서 도 1의 엔진(E)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엔진(E)의 공기 차단시 상기 최소 공기 통로(P1)(P2)를 통해서 상기 엔진(E)에 최소량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하여 상기 엔진(E)에 의해 가동되는 브레이크나 기타 부수적인 장치들이 급발진 방지 조치 이후에도 동작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서,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는, 연료 유로(FP)가 형성되는 밸브 몸체(20-1)와, 상기 밸브 몸체(20-1)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케이블(12)과 연결되어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회전축(20-2) 및 상기 회전축(20-2)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0-2)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연료 유로(FP)를 개폐할 수 있는 회전판(2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20-3)의 상기 연료 유로 폐쇄시 최소 연료량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판(20-3) 또는 밸브 몸체(20-1)에 최소 연료 통로(P3)(P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소 연료 통로(P3)(P4)는 상기 회전판(20-3)의 폐쇄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각종 틈이나 사이 공간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통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케이블(12)에 장력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축(20-2)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판(20-3)이 상기 연료 유로(FP)를 막아서 도 1의 엔진(E)에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엔진(E)의 연료 차단시 상기 최소 연료 통로(P3)(P4)를 통해서 상기 엔진(E)에 최소량의 연료가 공급될 수 있게 하여 상기 엔진(E)에 의해 가동되는 브레이크나 기타 부수적인 장치들이 급발진 방지 조치 이후에도 동작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100)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100)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은, 급발진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케이블(11) 및 상기 제 2 케이블(12)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하는 단계(S11) 및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 및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가 상기 엔진(E)의 상기 공기 공급 라인(1) 및 상기 연료 공급 라인(2)을 동시에 차단하는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200)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200)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은, 급발진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케이블(11)과, 상기 제 2 케이블(12) 및 상기 파킹 케이블(13)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하는 단계(S21) 및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10) 및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20)가 상기 엔진(E)의 상기 공기 공급 라인(1) 및 상기 연료 공급 라인(2)을 동시에 차단하고, 파킹 브레이크(PB)가 동시에 작동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E: 엔진
1: 공기 공급 라인
2: 연료 공급 라인
10: 비상 공기 차단 밸브
11: 제 1 케이블
12: 제 2 케이블
13: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20: 비상 연료 차단 밸브
30: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
100, 200: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SW: 스티어링휠
DS: 운전석
PS: 조수석
31: 회전축
32: 회전휠
33: 긴급 차량 정지 레버
W: 바퀴
PB: 파킹 브레이크
AP: 공기 유로
FP: 연료 유로
10-1, 20-1: 밸브 몸체
10-2, 20-2: 회전축
10-3, 20-3: 회전판
P1, P2, P3, P4: 최소 공기 통로

Claims (10)

  1. 엔진과 연결된 공기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비상 공기 차단 밸브;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와 연결되는 제 1 케이블;
    상기 엔진과 연결된 연료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비상 연료 차단 밸브;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와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및
    운전석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케이블의 장력과 상기 제 2 케이블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는,
    상기 제 1 케이블 및 상기 제 2 케이블과 연결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휠; 및
    상기 회전휠의 일부분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사용자의 손 또는 발로 회동시킬 수 있는 긴급 차량 정지 레버;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는,
    자동차의 바퀴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과 연결되는 것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케이블과 연결되어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공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회전판;
    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상기 공기 유로 폐쇄시 최소 공기량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판 또는 밸브 몸체에 최소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것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는,
    연료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케이블과 연결되어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연료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회전판;
    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상기 연료 유로 폐쇄시 최소 연료량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판 또는 밸브 몸체에 최소 연료 통로가 형성되는 것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9. 엔진과 연결된 공기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비상 공기 차단 밸브,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와 연결되는 제 1 케이블, 상기 엔진과 연결된 연료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비상 연료 차단 밸브,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와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및 운전석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케이블의 장력과 상기 제 2 케이블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에 있어서,
    급발진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케이블 및 상기 제 2 케이블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 공기 차단 밸브 및 상기 비상 연료 차단 밸브가 상기 엔진의 상기 공기 공급 라인 및 상기 연료 공급 라인을 동시에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장력 조절 부재는, 자동차의 바퀴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케이블의 장력과 상기 제 2 케이블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케이블의 장력과 상기 제 2 케이블의 장력과 함께 상기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도 동시에 조절하는 것인,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KR20130150790A 2013-12-05 2013-12-05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KR101487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0790A KR101487473B1 (ko) 2013-12-05 2013-12-05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0790A KR101487473B1 (ko) 2013-12-05 2013-12-05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473B1 true KR101487473B1 (ko) 2015-01-29

Family

ID=5259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0790A KR101487473B1 (ko) 2013-12-05 2013-12-05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4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559B1 (ko) 2014-02-27 2015-08-11 김경환 자동차 급발진 시 차량을 강제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시스템
KR20160118901A (ko) 2015-04-04 2016-10-12 황일 차량의 급발진방지 시스템
WO2016163662A1 (ko) * 2015-04-04 2016-10-13 황일 차량의 급발진방지 시스템
WO2018012720A1 (ko) * 2016-07-15 2018-01-18 김대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280A (ja) * 1991-02-05 1993-01-26 Aisin Seiki Co Ltd アクセル操作装置
JPH0621581B2 (ja) * 1985-02-16 1994-03-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走行制御方法
KR100993409B1 (ko) 2010-06-03 2010-11-09 박종식 차량의 급발진방지시스템
KR101328514B1 (ko) 2012-06-20 2013-11-20 안상기 차량의 작동상태 감시 및 급발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581B2 (ja) * 1985-02-16 1994-03-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走行制御方法
JPH0518280A (ja) * 1991-02-05 1993-01-26 Aisin Seiki Co Ltd アクセル操作装置
KR100993409B1 (ko) 2010-06-03 2010-11-09 박종식 차량의 급발진방지시스템
KR101328514B1 (ko) 2012-06-20 2013-11-20 안상기 차량의 작동상태 감시 및 급발진 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559B1 (ko) 2014-02-27 2015-08-11 김경환 자동차 급발진 시 차량을 강제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시스템
KR20160118901A (ko) 2015-04-04 2016-10-12 황일 차량의 급발진방지 시스템
WO2016163662A1 (ko) * 2015-04-04 2016-10-13 황일 차량의 급발진방지 시스템
WO2018012720A1 (ko) * 2016-07-15 2018-01-18 김대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20180008014A (ko) * 2016-07-15 2018-01-24 김대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101876037B1 (ko) * 2016-07-15 2018-08-02 김대호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473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US8413683B2 (en) Pneumatic control valve device for air-suspended vehicles, with mechanical return of the control element
CN103238016B (zh) 步进电动机操作平衡的流量控制阀
US10100559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H0351891B2 (ko)
US20150308165A1 (en) Vehicle door lock
CN112297777A (zh) 空气排出装置
JP2009090939A (ja) 操舵制御装置および操舵入力装置
CA2827389C (en) Ball valve with integrated cam operated internal microswitch
JP2014527941A (ja) 航空機のキャビンの内部圧力を制御するためのバルブ
CN1139505C (zh) 安全带卷绕装置
CN106864435B (zh) 一种机场摆渡车安全系统
US11466486B2 (en) Motor vehicle drive assembly
CN110944898B (zh) 机车驻停制动器
WO2017145405A1 (ja) 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付きドアラッチ装置及び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の組付方法
US6672564B2 (en) Drive device
US8967117B2 (en) Throttle control assembly with integrated safety switch
JP2002173952A (ja) 建設機械車両の操縦系ロックレバー装置
WO2020041080A1 (en) Air vent for a vehicle
JP5552418B2 (ja) 車両用扉の非常時開放装置
KR20160118901A (ko) 차량의 급발진방지 시스템
US20190211923A1 (en) Shift device
KR101594538B1 (ko) 급발진 방지 토크컨버터
CN1721247A (zh) 阀装置
US11873667B1 (en) Door handle and lo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