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745B1 - 튜브 단열유닛 - Google Patents

튜브 단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745B1
KR101875745B1 KR1020160083408A KR20160083408A KR101875745B1 KR 101875745 B1 KR101875745 B1 KR 101875745B1 KR 1020160083408 A KR1020160083408 A KR 1020160083408A KR 20160083408 A KR20160083408 A KR 20160083408A KR 101875745 B1 KR101875745 B1 KR 10187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ing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811A (ko
Inventor
임용태
Original Assignee
임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태 filed Critical 임용태
Priority to KR102016008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7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8Composition or method of fixing a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단열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튜브에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중공으로 상기 튜브가 인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절개로를 통해 상기 튜브의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개로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형성된 덮개 날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은 덮개 날개부에 의해 절개로가 덮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절개로에 의해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여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튜브 단열유닛{Insulating unit for tube}
본 발명은 튜브 단열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는 튜브에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 단열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건축물의 시스템 에어콘 배관 등에 사용된다. 여기에서, 유체를 필요로 하는 곳까지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파이프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때,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의 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주면에 단열 파이프 커버가 감싸도록 설치된다. 특히, 반도체 제조 설비에서, 고온의 화학물질을 유동시키기 위한 파이프의 경우, 화학물질의 온도변화에 따라 반도체의 품질이 낮아지므로 파이프의 단열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종래에 사용되는 파이프 커버는 파이프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파이프의 외경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 중앙에는 파이프가 위치하는 중공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중공부로 파이프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절개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커버는 파이프가 중공부에 삽입시 절개로를 통해 열손실이 발생되고, 파이프가 곡관일 경우, 상기 절개로가 확장되어 보다 많은 열손실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1-0002870호: 파이프 단열용 유리섬유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파이프가 통과하는 절개로를 통해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개로를 덮을 수 있는 덮개 날개부가 마련된 튜브 단열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은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튜브에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중공으로 상기 튜브가 인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절개로를 통해 상기 튜브의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개로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형성된 덮개 날개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절개로가 마련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외피부재와, 상기 튜브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내벽에 매립된 단열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외피부재는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외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작업자가 상기 외피부재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가 상기 외피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 날개부는 상기 절개로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절개로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외피부재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1날개를 구비한다.
상기 제1날개는 내주면이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외주면에 접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외피부재의 외주면에 접할 시 상기 외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 날개부는 외주면이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내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2날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날개는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외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 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의 단부와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외주면 사이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날개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된 제3날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날개의 내주면 또는 상기 제1날개에 대향되는 상기 외피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의 내주면 또는 상기 제1날개에 대향되는 상기 외피부재의 외주면 중 다른 한 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 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가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날개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외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된 다수의 보강돌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은 덮개 날개부에 의해 절개로가 덮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절개로에 의해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여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튜브 단열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튜브 단열유닛(100)은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튜브(15)에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1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111)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중공(111)으로 상기 튜브(15)가 인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로(112)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절개로(112)를 통해 상기 튜브(15)의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개로(112)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 형성된 덮개 날개부(12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튜브(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외피부재(113)와, 상기 외피부재(113)의 내벽에 매립된 다수의 단열부재(114)를 구비한다.
외피부재(113)는 상기 절개로(112)가 마련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작업자에 의해 외형이 변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외피부재(113)는 실리콘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부재(114)는 외피부재(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상기 단열부재(114)는 작업자가 상기 외피부재(113)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가 상기 외피부재(113)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열부재(114)는 외피부재(113)의 내주면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의 만곡된 호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열부재(114)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다수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다공성 발포체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단열부재(114)가 외피부재(113)에 매립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단열부재(114)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외피부재(113)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외피부재(113)에 매립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체(110)는 외피부재(113)에 단열부재(114)들을 이중 압출하여 제조한다.
덮개 날개부(120)는 상기 절개로(112)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절개로(11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외피부재(113)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1날개(121)를 구비한다.
제1날개(121)는 내주면이 상기 외피부재(113)의 타단부 외주면에 접하도록 외피부재(113)의 일단부 외주면 가장자리로부터 외피부재(113)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되되, 절개로(112)의 폭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1날개(121)는 상기 외피부재(113)의 외주면에 접할 시 상기 외피부재(11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외피부재(113)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되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제1날개(121)는 외피부재(1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 단열유닛(100)을 튜브(15)에 설치할 경우, 먼저, 제1날개(121)를 파지한 다음 구부려 외피부재(113)의 절개로(112)를 개방시키고, 절개로(112)를 통해 튜브(15)를 본체(110)의 중공(111)에 인입한다. 다음, 튜브(15)의 인입이 완료되면 제1날개(121)에 대한 파지상태를 해제하면, 제1날개(121)는 탄성에 의해 절개로(112)를 덮도록 외피부재(113)의 타단부 외주면에 밀착된다. 제1날개(121)가 외피부재(113)의 외주면에 밀착되면 케이블 타이(115)와 같이 결속수단을 통해 튜브(15)로부터 본체(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110)를 묶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단열유닛(100)은 덮개 날개부(120)에 의해 절개로(112)가 덮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절개로(112)에 의해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여 튜브(15)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날개부(13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덮개 날개부(130)는 주면이 상기 외피부재(113)의 타단부 내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113)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2날개(131)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날개(131)는 외주면이 외피부재(113)의 타단부 내주면에 접하도록 외피부재(113)의 일단부 내주면 가장자리로붙 외피부재(113)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되되, 절개로(112)의 폭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날개(131)는 외피부재(113)의 내주면에 절할 시 상기 외피부재(11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외피부재(113)의 내주면 곡률에 대응되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곡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날개(131)는 외피부재(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덮개 날개부(130)는 절개로(112)의 내외측이 각각 제2날개(131) 및 제1날개(121)에 의해 각각 덮여져 있으므로 절개로(112)를 통해 방출되는 열손실률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날개부(1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덮개 날개부(140)는 상기 제1날개(121)의 단부와 상기 외피부재(113)의 타단부 외주면 사이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113)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3날개(1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날개(141)는 제1날개(121)를 덮을 수 있도록 외피부재(113)의 일단부 외주면 가장자리로부터 외피부재(113)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되되, 제1날개(121)보다 중공(11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3날개(141)는 제1날개(121)를 용이하게 덮을 수 있도록 외피부재(113)의 일단부에 대한 제1날개(121)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날개(141)는 제1날개(121)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피부재(113)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되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덮개 날개부(140)는 제3날개(141)에 의해 제1날개(121)의 단부와 외피부재(113)의 외주면 사이를 덮어 제1날개(121)와 외피부재(113) 사이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날개부(140)는 제2날개(131)와 제3날개(141)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날개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날개(121)에 대향되는 상기 외피부재(113)의 외주면에 삽입홈(151)이 형성되고, 덮개 날개부(150)는 상기 삽입홈(151)에 삽입되도록 제1날개(121)에 형성된 삽입돌기(152)를 더 구비한다.
상기 삽입홈(151)은 제1날개(121)에 대향되는 외피부재(113)의 외주면으로부터 중공(111)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며, 외피부재(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삽입돌기(152)는 삽입홈(15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날개(121)의 내주면으로부터 외피부재(113)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152)는 삽입홈(151)에 대응되게 외피부재(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삽입돌기(152)가 제1날개(121)에 형성되고, 삽입홈(151)이 외피부재(113)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삽입돌기(152) 및 삽입홈(151)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삽입홈(151)이 제1날개(12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삽입돌기(152)가 삽입홈(151)에 대향되는 외피부재(113)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돌기(152)가 삽입홈(151)에 삽입되어 제1날개(121)가 외피부재(113)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외부로부터 본체(110)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제1날개(121)가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제1날개(121)와 외피부재(113)의 외주면 사이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튜브(15)의 열손실을 방지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날개부(16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덮개 날개부(160)는 상기 제1날개(121)가 상기 외피부재(113)의 타단부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날개(12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보강돌기(161)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강돌기(161)는 제1날개(121)의 외주면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며, 다수개가 외피부재(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보강돌기(161)는 제1날개(121)를 지지하여 상기 제1날개(121)가 외력에 의해 외피부재(113)로부터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외피부재(113)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튜브 단열유닛
110: 본체
111: 중공
112: 절개로
113: 외피부재
114: 단열부재
120: 덮개 날개부
121: 제1날개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튜브에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중공으로 상기 튜브가 인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절개로를 통해 상기 튜브의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개로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형성된 덮개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절개로가 마련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외피부재와,
    상기 튜브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내벽에 매립된 단열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 날개부는 상기 절개로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절개로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외피부재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1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날개는 내주면이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외주면에 접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외피부재의 외주면에 접할 시 상기 외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 날개부는 외주면이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내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2날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단열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날개는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외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단열유닛.
  8.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튜브에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중공으로 상기 튜브가 인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절개로를 통해 상기 튜브의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개로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형성된 덮개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절개로가 마련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외피부재와,
    상기 튜브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내벽에 매립된 단열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 날개부는 상기 절개로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절개로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외피부재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1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날개는 내주면이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외주면에 접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외피부재의 외주면에 접할 시 상기 외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 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의 단부와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외주면 사이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날개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된 제3날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단열유닛.
  9. 삭제
  10.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튜브에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중공으로 상기 튜브가 인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절개로를 통해 상기 튜브의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개로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형성된 덮개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절개로가 마련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외피부재와,
    상기 튜브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내벽에 매립된 단열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 날개부는 상기 절개로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절개로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외피부재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1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날개는 내주면이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외주면에 접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외피부재의 외주면에 접할 시 상기 외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 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가 상기 외피부재의 타단부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날개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외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된 다수의 보강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단열유닛.





KR1020160083408A 2016-07-01 2016-07-01 튜브 단열유닛 KR10187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408A KR101875745B1 (ko) 2016-07-01 2016-07-01 튜브 단열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408A KR101875745B1 (ko) 2016-07-01 2016-07-01 튜브 단열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811A KR20180003811A (ko) 2018-01-10
KR101875745B1 true KR101875745B1 (ko) 2018-08-02

Family

ID=6099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408A KR101875745B1 (ko) 2016-07-01 2016-07-01 튜브 단열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7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313B2 (ja) * 1991-12-20 2001-03-19 三洋電機株式会社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8208906A (ja) 2007-02-26 2008-09-11 Ishikawa Kogyo Kk 断熱パイプカバー
KR101481727B1 (ko) * 2014-06-05 2015-01-12 주식회사 파워마린 선박용 배관의 파이프커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870Y1 (ko) 1988-09-02 1991-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에어컨디셔너의 블로워 고정 장치
KR20050092673A (ko) * 2004-05-25 2005-09-22 (주)삼현케미칼 스티로풀을 이용한 배관커버
JP3148313U (ja) * 2008-11-25 2009-02-12 康憲 齊藤 配管用断熱保温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313B2 (ja) * 1991-12-20 2001-03-19 三洋電機株式会社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8208906A (ja) 2007-02-26 2008-09-11 Ishikawa Kogyo Kk 断熱パイプカバー
KR101481727B1 (ko) * 2014-06-05 2015-01-12 주식회사 파워마린 선박용 배관의 파이프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811A (ko)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3441B2 (ja) 管用のクランプ接続部
ES2929385T3 (es) Manguito térmico de sustitución
EP3514430B1 (en) Self-sealing membrane sleeve assembly
JP2016538516A (ja) 空気対空気熱交換器
KR101133914B1 (ko)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및 이의 조립방법
KR101875745B1 (ko) 튜브 단열유닛
BR112017011342B1 (pt) Elemento sanitário de inserção
RU2656202C2 (ru) Демпф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9634475B2 (en) Strain relief device for a harness or cable
JP2022008851A (ja) 耐火構造および耐火具
JP2008306787A (ja) 電線保護構造
KR200411561Y1 (ko)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
JP5059631B2 (ja) 管継手の加熱・保温カバー
JP2007205551A (ja) 温冷水配管
JP2017145971A (ja) 空調用ドレン管
US10199817B2 (en) Variable diameter core termination with variable diameter housing
JP2019065949A (ja) 継手、配管構造、及び、継手の製造方法
JP2009168120A (ja) 管継手の加熱・保温カバー
US10288197B2 (en) Conduit with latch system
KR102633392B1 (ko) 곡관 단열재의 제조를 위한 금형
KR200421892Y1 (ko) 에어컨 배관용 보온재의 구조
KR200482228Y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용 캡
US20140100511A1 (en) Novel pressure equalization tube
ITPN990030A1 (it) Passante per cavi o tubi
JP6176856B2 (ja) 外装保護材取付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