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561Y1 -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 - Google Patents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561Y1
KR200411561Y1 KR2020060000240U KR20060000240U KR200411561Y1 KR 200411561 Y1 KR200411561 Y1 KR 200411561Y1 KR 2020060000240 U KR2020060000240 U KR 2020060000240U KR 20060000240 U KR20060000240 U KR 20060000240U KR 200411561 Y1 KR200411561 Y1 KR 200411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insulating
heat
insulation
cov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영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보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0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5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5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with a single sl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는,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용 동관을 감싸는 커버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 중공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보온성, 내열성 및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내측단열재층; 및 상기 내측단열재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열적층되며, 보온성 및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단열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동관의 외주면에 내측단열재층 및 외측단열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를 감싸서 설치함으로써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동관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낭비되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며, 화재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동관, 커버 구조체, 파이프 구조체, 폴리프로필렌 폼, 폴리에틸렌 폼, 난연성, 내열성, 보온성

Description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Adiabatic cover structure of pipe and adiabatic pipe structur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열 파이프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내측단열재층 : 40 외측단열재층 : 60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 100
본 고안은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온성,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된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파이프는 건축물의 시스템에어콘 배관 등에 사용된다. 여기에서, 유체를 필요로 하는 곳까지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파이프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특히,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의 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주면에 단열 파이프 커버가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감싸지는 파이프 커버는 파이프의 외경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 중앙에는 파이프가 위치하는 중공부가 마련된다. 상기 파이프 커버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후, 파이프 커버의 둘레를 보통 비닐필름 등으로 감싸서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이프 커버는 보통 한 겹으로 형성되며, 보온성 및 단열성이 우수하지 않아서 파이프의 단열이 잘 되지 않음으로써 열손실이 발생함과 동시에 에너지 비용도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커버는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이 양호하지 않음으로써 건물 내부에 배관되는 파이프에 설치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을 지닌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부의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의 열손실의 방지 및 이로 인하여 낭비되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화재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는,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용 동관을 감싸는 커버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 중공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난연성, 내열성 및 보온성 재질로 이루어진 내측단열재층; 및 상기 내측단열재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열적층되며, 난연성 및 보온성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단열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단열재층은 폴리프로필렌(PP) 폼으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외측단열재층은 폴리에틸렌(PE) 폼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열 파이프 구조체는,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용 파이프 구조체에 있어서, 중공된 내부를 갖는 원통형의 동관; 상기 동관 외주면에 밀착되며, 난연성, 내열성 및 보온성 재질로 이루어진 내측단열재층; 및 상기 내측단열재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열적층되며, 난연성 및 보온성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단열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단열재층은 폴리프로필렌(PP) 폼으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외측단열재층은 폴리에틸렌(PE) 폼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용 파이프 중 동관은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스템에어콘 배관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동관은 그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경우에, 상기 고온의 유체가 사용되기 위한 곳까지 연장된 동관의 긴 길이로 인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외주면에서 열손실이 발생한다. 상기 동관의 외주면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동관의 외주면에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를 감싸서 설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를 도 1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100)는 내부 중공된 원통형의 내측단열재층(40), 및 상기 내측단열재층(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열적 층된 외측단열재층(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단열재층(40)은 동관의 외주면에 설치되기 위해 그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내측단열재층(40)은 외부와 접촉하는 동관의 외면으로부터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동관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내측단열재층(40)은 내열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됨으로써 동관을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내측단열재층(40)은 열에 강한 내열성 재질로 제조되어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동관의 외주면에 직접 접하더라도 이에 잘 견디도록 한다. 아울러, 내측단열재층(40)은 난연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조됨으로써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동관의 주변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단열재층(40)은 폴리프로필렌 폼으로 제조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은 투명하면서도 연화점이 높고 반복 굽힘에 잘 견딘다. 이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폴리프로필렌 폼은 열에 강한 내열성과 열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보온성이 우수하며,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의 물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보온성,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내측단열재층(40)의 재질인 상기 폴리프로필렌 폼의 대체물질은 글래스울(glass wool), 부직포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측단열재층(60)은 상기 내측단열재층(40)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열적층된다. 상기 외측단열재층(60)은 내측단열재층(40)의 외주면을 감싸기 위해 상기 내측단열재층(40)의 외주면에 형합하도록 형성된다. 외측단열재층(60)은 내측단열재층(40)의 외주면으로부터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단열재층(40)의 외주면 에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외측단열재층(60)은 보온 및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됨으로써 내측단열재층(40)이 감싸진 동관을 단열한다. 또한, 외측단열재층(60)은 난연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조됨으로써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동관의 주위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단열재층(60)은 폴리에틸렌 폼으로 제조된 것이다. 폴리에틸렌은 가볍고, 유연하다.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 재질의 폴리에틸렌 폼은 열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보온성 및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이 우수하다. 또한, 폴리에틸렌 폼은 전기절연성, 내약품성 및 내수성이 양호한 물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보온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외측단열재층(60)의 재질인 상기 폴리에틸렌 폼의 대체물질은 폴리우레탄 폼, 폴리염화비닐 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내측단열재층(40)과 내측단열재층(40)의 외주면에 열적층된 외측단열재층(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100)는 보온 및 단열 효과가 뛰어나서 동관의 외주면에 감싸서 설치됨으로써,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동관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낭비되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며, 화재의 위험성 또한 낮추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100)는 이미 배관된 동관에 보온, 내열 및 난연을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100)의 일단 내부에 배관된 동관의 일단을 끼운 다음,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100)의 일단을 동관의 타단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100)가 동관에 설치된다. 또 다른 설치 방법으로는, 상기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100)의 측부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벌린 후, 상기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100)의 벌린 틈으로 동관을 삽입함으로써 동관에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100)가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열 파이프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열 파이프 구조체(200)는 중공된 내부를 갖는 원통형의 동관(120), 상기 동관 외주면에 밀착되며, 난연성, 내열성 및 보온성 재질로 이루어진 내측단열재층(40) 및 상기 내측단열재층(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열적층되며, 난연성 및 보온성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단열재층(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상기 단열 파이프 구조체(200)는 내측단열재층(40)의 내부에 동관(120)이 구비된다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와 설치 구조는 상기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도 1의 100)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측단열재층(40)은 폴리프로필렌 폼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외측단열재층(60)은 폴리에틸렌 폼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온성,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내측단열재층(40)의 재질인 상기 폴리프로필렌 폼의 대체물질은 글래스울, 부직포 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온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외측단열재층(60)의 재질인 상기 폴리에틸렌 폼의 대체물질은 폴리우레탄 폼, 폴리염화비닐 폼 등이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에 따르면, 동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내측단열재층 및 외측단열재층은 보온성, 내열성 및 난연성을 지님으로써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동관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낭비되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며, 화재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6)

  1.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용 동관을 감싸는 커버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 중공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보온성, 내열성 및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내측단열재층; 및
    상기 내측단열재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열적층되며, 보온성 및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단열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단열재층은 폴리프로필렌(PP) 폼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단열재층은 폴리에틸렌 폼(PE)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4.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용 파이프 구조체에 있어서,
    중공된 내부를 갖는 원통형의 동관;
    상기 동관 외주면에 밀착되며, 보온성, 내열성 및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내측단열재층; 및
    상기 내측단열재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열적층되며, 보온성 및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단열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파이프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단열재층은 폴리프로필렌(PP) 폼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파이프 구조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단열재층은 폴리에틸렌 폼(PE)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파이프 구조체.
KR2020060000240U 2006-01-04 2006-01-04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 KR200411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240U KR200411561Y1 (ko) 2006-01-04 2006-01-04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240U KR200411561Y1 (ko) 2006-01-04 2006-01-04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561Y1 true KR200411561Y1 (ko) 2006-03-15

Family

ID=4176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240U KR200411561Y1 (ko) 2006-01-04 2006-01-04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56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419B1 (ko) 2007-06-26 2008-07-0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난연성 배관커버
JP2020085364A (ja) * 2018-11-27 2020-06-04 株式会社リコー 送風装置、乾燥装置、印刷装置
KR102292688B1 (ko) * 2021-02-15 2021-08-25 (주)신명피피 난연 이중보온관, 난연성 이중 보온관의 외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54696B1 (ko) 2021-06-09 2022-01-21 김차진 동파방지용 탈부착식 보온단열커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419B1 (ko) 2007-06-26 2008-07-0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난연성 배관커버
JP2020085364A (ja) * 2018-11-27 2020-06-04 株式会社リコー 送風装置、乾燥装置、印刷装置
JP7172502B2 (ja) 2018-11-27 2022-11-16 株式会社リコー 送風装置、乾燥装置、印刷装置
KR102292688B1 (ko) * 2021-02-15 2021-08-25 (주)신명피피 난연 이중보온관, 난연성 이중 보온관의 외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54696B1 (ko) 2021-06-09 2022-01-21 김차진 동파방지용 탈부착식 보온단열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1561Y1 (ko)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
EA021278B1 (ru) Труба солнечной панели
KR20150028468A (ko) 전기 순간온수기용 가열장치
RU2008104150A (ru) Корпус для изолированных труб
BRPI1012977B1 (pt) Aparelho de pré-aquecimento de ar de gás de exaustão, e, luva guia de ar
JP2007032660A (ja) 温水暖房用ペアチューブ
JP2007205551A (ja) 温冷水配管
ES2292523T3 (es) Dispositivo para el aislamiento de conductos de tubos multiples.
KR101350711B1 (ko) 고무발포 단열재가 결합된 단열보온재
JP5498713B2 (ja) 接続継ぎ手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の施工方法
TWI788589B (zh) 管系統及其形成方法
CN209762473U (zh) 一种软管
KR100943461B1 (ko) 수도미터기 동파 방지용 보온덮개
GB2520178A (en) An improved insulation
KR101284352B1 (ko) 섬유를 이용한 축열식 난방관
CN213954697U (zh) 一种双层中空防冷凝水套管
CN219493496U (zh) 一种带有电伴热功能的保温管壳
KR101841146B1 (ko)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KR20090000438A (ko) 결로방지용 커버튜브 및 이를 갖는 공조기용 파이프 설비
KR200404890Y1 (ko) 에어컨용 배관
CN216715447U (zh) 一种防晒高寿命pe管
KR20010069455A (ko)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난방장치
JP2004250861A (ja) エコエアーシステム
JP2013162923A (ja) 鏡装置
FI129267B (fi) Hybridipatte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