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890Y1 - 에어컨용 배관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890Y1
KR200404890Y1 KR20-2005-0028499U KR20050028499U KR200404890Y1 KR 200404890 Y1 KR200404890 Y1 KR 200404890Y1 KR 20050028499 U KR20050028499 U KR 20050028499U KR 200404890 Y1 KR200404890 Y1 KR 200404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ic wire
air conditioner
pipe
refriger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천
Original Assignee
성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천 filed Critical 성기천
Priority to KR20-2005-0028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8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시키는 에어컨용 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해서도 전선이 냉매관과 접촉되지 않도록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보호관을 구비하여, 전선의 손상이 방지되며, 전선만의 교체하기가 용이하고, 전선이 냉매관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누전이 방지되며, 열수축튜브를 사용하여 냉매관과 전선을 일체화시키는 제작공정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에어컨용 배관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에어컨의 실내기(A)와 실외기(B) 사이를 연결하며, 액상으로 응축된 냉매가 이송되는 고압냉매관(20)과, 가스상으로 증발된 냉매가 이송되는 저압냉매관(21)과, 전선(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 및 저압냉매관(20, 21)이 매입되는 단열재(23)와 전선(22)이 외피(25)에 의해 일체화된 에어컨용 배관에 있어서, 상기 외피(25) 내부에는 전선보호관(24)이 매입되고, 상기 전선(22)은 전선보호관(24)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배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에어컨용 배관{A piping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시키는 에어컨용 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해서도 전선이 냉매관과 접촉되지 않도록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보호관을 구비하여, 전선의 손상이 방지되며, 전선만의 교체가 용이하고, 전선이 금속재의 냉매관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누전이 방지되며, 또한 난연성이 부가된 소재가 사용되어 화재의 위험이 감소되고, 열수축튜브를 사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작 가능한 에어컨용 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냉각장치가 내장된 실내기와 방열장치가 내장된 실외기로 이루어지며, 실내기와 실외기는 배관에 의해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에어컨용 배관을 도시한 것으로, 실내기(A)와 실외기(B) 사이에 연결되는 고압 및 저압냉매관(10, 11) 및 전선(12)과, 냉매관(10, 11)과 전선(12)이 매입되는 단열재(13)와, 이 단열재(13)를 감싸고 있는 외피(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피(14)는 스폰지 등으로 형성된 단열재(13)를 보호하기 위해 테이핑한 것이다.
그런데, 에어컨의 종류에 따라 전선(12)이 각기 다르게 구비되는데, 상기의 배관은 전선(12)이 냉매관(10, 11)과 일체로 단열재(13)에 매입되어 테이핑된 것이므로, 전선(12)만 별도로 교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선(12)이 종류별로 구비된 배관을 미리 제작해두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전선(12)이 손상되고, 손상된 전선(12)과 금속재의 냉매관(10, 11)이 접촉되어 누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손상된 전선(12)을 교체해야 하는데, 전선(12)만 교체하기는 어려우므로 배관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냉매관(10, 11)과 전선(12)이 매입된 단열재(13)를 테이핑해야 하므로, 에어컨 설치 시에 냉매관(10, 11)과 전선(12)이 매입된 단열재(13)를 보호하기 위한 제작공정이 번거롭고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시키는 에어컨용 배관에 있어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외력에 의해서도 전선이 냉매관과 접촉되지 않도록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보호관을 구비하여, 전선의 손상이 방지되며, 전선만의 교체가 용이하고, 전선이 금속재의 냉매관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누전이 방지되는 에어컨용 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외피로 열수축튜브를 사용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작 가능한 에어컨용 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외피와 단열재 및 전선보호관에 난연성을 부가하여 화재의 위험이 감소된 에어컨용 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르면, 에어컨의 실내기(A)와 실외기(B) 사이를 연결하며, 액상으로 응축된 냉매가 이송되는 고압냉매관(20)과, 가스상으로 증발된 냉매가 이송되는 저압냉매관(21)과, 전선(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 및 저압냉매관(20, 21)이 매입되는 단열재(23)와 전선(22)이 외피(25)에 의해 일체화된 에어컨용 배관에 있어서, 상기 외피(25) 내부에는 전선보호관(24)이 매입되고, 상기 전선(22)은 전선보호관(24)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배관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두 번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피(25)가 열수축튜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배관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용 배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에어컨용 배관은 에어컨의 실내기(A)와 실외기(B) 사이에 연결되는 고압냉매관(20), 저압냉매관(21) 및 전선(22)과, 상기 고압 및 저압냉매관(20, 21)의 둘레부를 감싸는 단열재(23)와, 상기 전선(22)이 삽입되는 전선보호관(24)과, 상기 단열재(23)와 전선보호관(24)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외피(25)를 주된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기 냉매관(20, 21)은 실내기(A)에 구비된 냉각장치 즉, 증발기와 실외기(B)에 구비된 방열장치 즉, 응축기에 연결되는 것으로, 증발기에서 고온고압의 가스상으로 증발된 냉매가 이송되는 고압냉매관(20)과, 응축기에서 열교환되어 저온저압의 액상으로 응축된 냉매가 이송되는 저압냉매관(21)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냉매관(20, 21)은 동파이프로 이루어지며, 고압냉매관(20)은 저압냉매관(21)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단열재(23)는 난연성이 부가되며 튜브형상으로 성형된 합성수지발포체, 즉, 스폰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압 및 저압냉매관(20, 21)의 둘레부를 감싼다. 따라서, 이 단열재(23)에 의해 고압 및 저압냉매관(20, 21)이 외부와 단열되어 냉매효율이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 전선보호관(24)은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관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로 전선(22)이 통과된다. 또한, 상기 전선보호관(24)은 절연체이며 난연성이 부가된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의 직경이 전선(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컨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전선(22)을 사용하고자할 때, 전선(22)을 교체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외피(25)로 열수축튜브가 사용되는데, 이 열수축튜브는 가열 후에 경화시키면 직경 또는 길이가 수축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가열된 열수축튜브에 상기 냉매관(20, 21)이 끼워진 단열재(23)와 전선(22)이 삽입된 전선보호관(24)을 삽입시키고, 열수축튜브를 경화시키면 열수축튜브의 직경이 수축되면서 단열재(23)와 전선보호관(24)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냉매관(20, 21)과 전선(22)이 삽입된 전선보호관(24)이 일체화된다. 한편, 열수축튜브의 외부표면에는 난연제가 코팅된다.
이와 같이, 외피(25) 내부에 냉매관(20, 21)이 삽입된 단열재(23)와 전선보호관(24)을 구비하여, 이 전선보호관(24)에 전선(22)을 삽입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해 전선(22)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전선(22)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설령 전선(22)이 손상되더라도 외력에 의해서도 금속재의 냉매관(20, 21)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누전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냉매관(20, 21)이 삽입된 단열재(23)와 전선보호관(24)을 열수축튜브를 사용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제작공정이 간편하고 신속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외피(25), 단열재(23) 및 전선보호관(24)이 모두 난연성을 지니므로, 화재의 위험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외피의 내부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보호관을 구비함으로써, 전선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에어컨의 종류에 따라 전선의 교체가 용이하고, 외력에 의해서도 전선이 금속재의 냉매관과 접촉되지 않아서 누전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로 열수축튜브를 사용함으로써, 가열되어 있으며 단열재와 전선보호관을 포함하는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열수축튜브에 단열재와 전선보호관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으며, 가열된 열수축튜브를 경화시키면 그 직경이 수축되어 단열재와 전선보호관에 밀착되어, 제작공정이 간편하고 신속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열재와 전선보호관 및 외피가 모두 난연성을 지니므로, 화재의 위험이 감소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컨용 배관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용 배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21 : 고압 및 저압냉매관 22 : 전선
23 : 단열재 24 : 전선보호관
25 : 외피

Claims (2)

  1. 에어컨의 실내기(A)와 실외기(B) 사이를 연결하며, 액상으로 응축된 냉매가 이송되는 고압냉매관(20)과, 가스상으로 증발된 냉매가 이송되는 저압냉매관(21)과, 전선(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 및 저압냉매관(20, 21)이 매입되는 단열재(23)와 전선(22)이 외피(25)에 의해 일체화된 에어컨용 배관에 있어서, 상기 외피(25) 내부에는 전선보호관(24)이 매입되고, 상기 전선(22)은 전선보호관(24)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25)가 열수축튜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배관.
KR20-2005-0028499U 2005-10-06 2005-10-06 에어컨용 배관 KR200404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99U KR200404890Y1 (ko) 2005-10-06 2005-10-06 에어컨용 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99U KR200404890Y1 (ko) 2005-10-06 2005-10-06 에어컨용 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890Y1 true KR200404890Y1 (ko) 2005-12-29

Family

ID=4929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499U KR200404890Y1 (ko) 2005-10-06 2005-10-06 에어컨용 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8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930B1 (ko) 2007-12-12 2008-03-31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방화 보호관
KR101891684B1 (ko) 2017-12-15 2018-08-24 (주)엠에스코리아 접착제 도포를 이용한 다중관체 및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930B1 (ko) 2007-12-12 2008-03-31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방화 보호관
KR101891684B1 (ko) 2017-12-15 2018-08-24 (주)엠에스코리아 접착제 도포를 이용한 다중관체 및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3674A1 (en) Sheathed fiberglass heater wire
KR200404890Y1 (ko) 에어컨용 배관
US20080011001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20110214445A1 (en) Pipe connection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752167B1 (ko) 에어컨 증발기 핀 설치용 온도 감지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56768Y1 (ko)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CN107490162A (zh) 电加热管和空调器
KR20090001384U (ko) 냉난방 유체파이프의 결로방지용 보온블럭
CN115085108B (zh) 复合耐高温线缆保护结构及通讯线缆
KR200411561Y1 (ko)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
CN208042453U (zh) 新型空调用集成管线
KR20060011137A (ko)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공조기기용 배관
JP2007032660A (ja) 温水暖房用ペアチューブ
KR200362424Y1 (ko) 에어컨용 배관
JP2003235140A (ja) 難燃性複合長尺体
JP2008267770A (ja) 毛細管抱合熱交換器
KR101812614B1 (ko) 에어컨용 관 온도 감지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CN208042454U (zh) 新型空调用集成管线
CN204574298U (zh) 管路连接结构和具有其的空调器
KR101570414B1 (ko) 절연 피복된 스텐 주름관 난방파이프
CN204518311U (zh) 一种带绝缘导热垫片的散热装置
KR200294736Y1 (ko) 에어컨용 배관장치
KR102483144B1 (ko) 냉·난방 배관용 멀티 튜브
KR20160109089A (ko) 냉동유닛의 제상용 히터
WO2011116665A1 (zh) 分体式房间空调器室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