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768Y1 -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768Y1
KR200456768Y1 KR2020110005832U KR20110005832U KR200456768Y1 KR 200456768 Y1 KR200456768 Y1 KR 200456768Y1 KR 2020110005832 U KR2020110005832 U KR 2020110005832U KR 20110005832 U KR20110005832 U KR 20110005832U KR 200456768 Y1 KR200456768 Y1 KR 200456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ling
air conditioner
connecting body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천
Original Assignee
성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천 filed Critical 성기천
Priority to KR2020110005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7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는, 끝단에 확관부가 형성된 에어컨용 배관을 에어컨의 실내기나 실외기의 연결체에 연결하는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과 상기 연결체의 연결 부분을 밀봉하는 실링체로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관부의 경사진 내주면에 대응되게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관이 상기 연결체에 연결될 때 상기 확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경사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관과 상기 연결체 내부의 냉매 유로를 밀폐시키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다양한 크기의 상기 확관부가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의 끝단이 상기 경사면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공간 형성을 위해 상기 경사면에서부터 소정의 길이로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스페이스면을 감싸도록 슬리브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의 내면과 상기 스페이스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게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스페이스면을 감싸는 고정부가 구비되어 고정부의 내면과 스페이스면 사이의 마찰력으로써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실링체가 구비됨으로써, 확관부에 불안정하게 안착시킨 형태로 배관 연결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종래의 실링체에 비해,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 고정시킨 상태로 배관 연결 작업을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연결체에 고정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커버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실링부가 확관부의 내주면과 연결체의 경사면 사이에 정확히 개재되어 냉매 유로를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 연결 부분의 밀폐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링부가 충분한 탄성을 갖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두껍게 구비될 수 있어, 배관에서 연결체로, 또는 연결체에서 배관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크게 완화함으로써 배관 연결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SEAL FOR PIPE CONNECT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PIPE CONNECT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연결 작업을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고, 배관 연결 부분을 더욱 안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 연결 부분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냉방을 위해 설치되는 에어컨은 에어 컨디셔너(air conditioner, 공기조화기)의 준말로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냉각 순환을 구현함으로써, 실내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의 구성요소는 냉매가 이송될 수 있는 배관으로 연결되는데, 이 냉매가 실내의 열을 흡수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중간 매개체의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분리형 에어컨의 경우, 증발기와 송풍팬 등을 포함하여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 및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포함하여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되며, 냉매가 이 실내기와 실외기 간을 오가며 열을 운반할 수 있도록 실내기와 실외기는 배관으로 연결된다.
한편, 이 같은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배관으로 연결하는 배관 연결 작업은, 배관에 확관부를 형성한 후, 배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실내기와 실외기에 구비된 연결체에 확관부를 형성한 배관을 각각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배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동관 배관(30)이 확관부(31)가 형성된 상태로 연결체(10)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관 연결장치는 연결체(10)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확관부(31)의 내주면과 경사면(11)의 사이에 개재되어 냉매 유로(RP)를 밀폐시키는 플라스틱 재질의 실링체(21), 및 배관(30)이 삽입되는 관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연결체(10)에 체결됨에 따라 확관부(31)를 연결체(10)의 단부 측으로 가압하는 체결부(22)로 구성된다.
이 같은 종래의 배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배관(30)을 연결체(10)에 연결할 때에는, 우선 배관(30)을 체결구(22)의 관로에 삽입하고 확관부(31)를 형성한 후, 실링체(21)를 확관부(31)의 내주면에 안착시키거나 연결체(10)의 경사면(11)에 적절히 안착시킨다.
다음, 이 상태에서 실링체(21)가 확관부(31)의 내주면이나 연결체(10)의 경사면(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체결구(22)를 연결체(10)에 체결하고, 실링체(21)가 확관부(31)의 내주면과 경사면(11)의 사이에서 가압되도록 체결구(22)를 강하게 조여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 연결장치를 이용할 경우,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작은 크기의 실링체(21)는 확관부(31)의 내주면이나 연결체(10)의 경사면(11)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져 이탈되며, 특히 설치 기사가 주로 장갑을 끼고 배관 연결 작업을 진행함을 고려할 때에 손끝의 감각이 장갑으로 인해 무뎌져 이러한 실링체(21)의 이탈 현상은 생각보다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링체(21)를 실링체(21)가 확관부(31)의 내주면이나 연결체(10)의 경사면(11)에 안착시킬 수 없는 연결체(10)가 수평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실링체(21)를 확관부(31)에 얹은 상태에서 실링체(21)가 이탈되지 않게 재빨리 체결구(22)를 수평으로 기울여 연결체(10)에 체결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더욱 빈번하게 실링체(21)가 이탈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배관 연결 작업에 있어서 실링체(21)는 확관부(31)의 내주면이나 연결체(10)의 경사면(11)에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얹혀 있는 상태에 불과하므로, 체결구(22)를 연결체(1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실링체(21)의 위치는 쉽게 틀어져 확관부(31)의 내주면과 연결체(10)의 경사면(11) 사이에 정확히 개재되지 못하여 냉매 유로(RP)에 대한 밀봉 상태가 불량해지는 심각한 문제점도 있다.
이렇게 냉매 유로(RP)의 밀봉 상태가 불량해지면, 배관 연결 부분을 통해 냉매가 새어나와 에어컨은 제 기능을 잃게 되고, 새로이 냉매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내기의 연결에 사용되는 배관은 열전도율, 강도 및 내식성이 높은 구리로 이루어진 동관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이 동관은 그 단가가 매우 비싸 배관 작업에 대한 비용 부담이 큰 단점이 있어서, 최근에는 동관에 비해 절반 이하로 저렴하면서도 가볍고 열전도율도 비교적 높은 알루미늄관을 배관으로서 사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관은 공기 및 수분과의 접촉시에 부식이 심하고 동관에 비해 강도가 약해 에어컨의 배관으로 적용하기 쉽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루미늄관을 에어컨의 배관으로 사용할 때에는 표면에 피복을 입힌 피복관의 형태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이 같은 피복 입힌 알루미늄관을 배관으로써 연결체(10)에 연결하게 되면, 체결구(22)가 연결체(10)에 체결되며 큰 가압력이 인가되는 체결구(200)의 내측면에 피복이 접촉 손상되면서 연결 부분의 밀폐 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체(10)에 연결되는 단부만 피복을 벗겨내어 연결할 경우에는, 밀폐 상태는 양호하게 알루미늄 배관이 연결체(10)에 연결되더라도 피복이 벗겨져 공기와 수분에 노출된 부분이 빠르게 부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배관은 동관 배관(30)에 비해 강도도 약해, 종래의 배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한 경우, 에어컨의 갑작스런 작동 등으로 인한 충격과 진동이 배관(30)에서 연결체(10)로, 또는 연결체(10)에서 배관(30)으로 그대로 전달되면서 배관(30)의 확관부(31)가 손상되어 냉매가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배관 연결 작업 시에 연결체의 단부에 위치 고정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연결체 단부의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배관에서 연결체로, 또는 연결체에서 배관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크게 완화할 수 있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는, 끝단에 확관부가 형성된 에어컨용 배관을 에어컨의 실내기나 실외기의 연결체에 연결하는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과 상기 연결체의 연결 부분을 밀봉하는 실링체로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관부의 경사진 내주면에 대응되게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관이 상기 연결체에 연결될 때 상기 확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경사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관과 상기 연결체 내부의 냉매 유로를 밀폐시키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다양한 크기의 상기 확관부가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의 끝단이 상기 경사면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공간 형성을 위해 상기 경사면에서부터 소정의 길이로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스페이스면을 감싸도록 슬리브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의 내면과 상기 스페이스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는, 일단에 상기 고정부가 구비된 상기 실링부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위치를 안내하도록 상기 경사면의 끝단에 형성된 모따기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와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실링부와 동일한 탄성을 갖는 소재로써 상기 실링부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페이스면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게 형성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스페이스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는, 끝단에 확관부가 형성된 에어컨용 배관을 에어컨의 실내기나 실외기의 연결체에 연결하는 장치로서, 상기 연결체의 단부와 상기 확관부의 연결 부분을 밀봉하는 실링체; 및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관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체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확관부를 상기 연결체의 단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면이 상기 관로의 일단부에 구비된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체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관부의 경사진 내주면에 대응되게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관이 상기 연결체에 연결될 때 상기 확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경사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관과 상기 연결체 내부의 냉매 유로를 밀폐시키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다양한 크기의 상기 확관부가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의 끝단이 상기 경사면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공간 형성을 위해 상기 경사면에서부터 소정의 길이로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스페이스면을 감싸도록 슬리브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의 내면과 상기 스페이스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실링체는, 상기 실링부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위치를 안내하도록 상기 경사면의 끝단에 형성된 모따기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에는 상기 관로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상기 배관의 표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장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배관의 피복까지 덮게 구비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는 씌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씌움부재는, 상기 배관이 상기 관로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배관에 끼워져 상기 체결구가 상기 연결체에 체결된 후에 가열됨에 따라 수축하여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열수축튜브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스페이스면을 감싸는 슬리브 형상의 고정부가 구비되어 고정부의 내면과 스페이스면 사이의 마찰력으로써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실링체가 구비됨으로써, 확관부에 불안정하게 안착시킨 형태로 배관 연결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종래의 실링체에 비해,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 고정시킨 상태로 배관 연결 작업을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체에는 연결체에 고정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커버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커버부의 안내에 따라 실링체를 연결체의 단부에 고정한 상태로 체결구를 연결체에 체결하면, 실링부가 확관부의 내주면과 연결체의 경사면 사이에 정확히 개재되어 냉매 유로를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 연결 부분을 손쉽게 더 안정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가 연결체에 체결되면서 실링부가 연결체의 경사면에서 확관부의 내주면에 의해 강하게 가압될 때, 실링부가 그 가압력으로 인해 경사면의 외측으로 밀려 정확한 위치에서 이탈될 수 있는데, 모따기면을 감싸도록 실링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된 커버부는 해당 걸림부로 인해 고정되어 실링부가 경사면의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차단하고, 설사 실링부가 경사면의 외측으로 밀리더라도 경사면의 자리를 메우면서 밀폐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러한 커버부에 의해 배관 연결 부분은 더욱 더 안정적으로 밀봉될 수 있다.
게다가, 연결체의 단부에 끼울 수 있도록 구현되어 실링부가 충분한 탄성을 갖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두껍게 구비될 수도 있어, 배관에서 연결체로, 또는 연결체에서 배관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크게 완화함으로써 확관부 등의 파손을 방지하여 배관 연결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관로에 삽입된 배관의 표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장부가 체결구에 구비되고, 이 연장부로부터 배관의 피복까지 덮게 구비되는 씌움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됨으로써, 노출된 배관의 외주면을 부식되지 않게 안전하게 감싸 보호함으로써 배관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 고정부, 및 커버부가 동일한 탄성 재질로써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제조가 저렴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의해 동관 배관이 연결체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를 연결체와 함께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가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져 위치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의해 알루미늄 피복 배관이 연결체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에 의해 알루미늄 피복 배관이 연결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는, 배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냉매가 충진되는 에어컨용 배관의 끝단에 확관부를 형성하여, 그 확관부를 에어컨의 실내기나 실외기에 구비되는 연결체에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확관부와 연결체의 연결 부분을 밀봉하는 실링체 및 그 연결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100, 이하 줄여서 '실링체'라 한다)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링체(100)는 실링부(110), 고정부(120) 및 커버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링부(110)는 연결체(10)의 단부와 확관부(41-1)의 연결 부분을 밀봉하여 배관(41)과 연결체(10) 내부의 냉매가 새지 않도록 냉매 유로(RP)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링부(11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확관부(41-1)의 경사진 내주면에 대응되게 연결체(10)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11)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배관(41)이 연결체(10)에 연결될 때 확관부(41-1)의 내주면과 경사면(11)의 사이에 개재되어 배관(41)과 연결체(10) 내부의 냉매 유로(RP)를 밀폐시킨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10)의 단부에는 다양한 크기의 확관부(41-1)가 연결체(10)의 단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확관부(41-1)의 끝단이 경사면(11)의 외측으로 돌출되더라도 체결구(200)의 내주면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확관부(41-1)의 돌출된 끝단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로 스페이스면(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스페이스면(12)을 감싸도록 슬리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실링부(110)의 큰 외경을 갖는 일단에 연결 형성되어 실링체(100)가 연결체(10)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이탈되지 않게 그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120)는 실링체(100)가 연결체(10)의 단부에 끼워지면, 그 내면과 스페이스면(12)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실링체(100)가 연결체(10)의 단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0)는 실링체(100)가 연결체(10)의 단부에 끼워질 때 탄성 변형되면서 연결체(10) 단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스페이스면(12)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스페이스면(12)의 외경보다 다소 작은 외경을 갖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20)는 고무나 연성의 수지 등과 같이 마찰계수가 크면서도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130)는 실링부(110)의 작은 외경을 갖는 타단에 꺾인 형태로 연결 형성되어 연결체(10) 끝단의 모따기면(13)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커버부(130)의 중심부에는 연결체(10)와 배관(41) 내부의 냉매 유로(RP)가 연통될 수 있도록 연통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30)는 실링체(100)가 연결체(10)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될 때 모따기면(13)과 밀착되면서 연결체(10)의 단부에 대한 실링체(100)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함으로써, 밀폐성이 높은 정확한 배관 연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실링체(100)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위한 시간을 줄여 배관 연결 작업의 시간을 단축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30)는 이와 동시에, 체결구(200)가 연결체(10)에 체결되면서 실링부(110)가 연결체(10)의 경사면(11)에서 확관부(41-1)의 내주면에 의해 강하게 가압될 때 경사면(11)을 따라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부(130)는 설사 실링부(110)가 경사면(11)을 따라 외측으로 밀리더라도 실링부(110)의 자리를 대신 메우면서 밀폐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관 연결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불량 요소를 최소화한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실링체(100)에 있어서, 이와 같은 커버부(130)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며,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님을 밝혀둔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110), 고정부(120) 및 커버부(130)는 탄성을 갖는 하나의 재질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실링체(100)의 제조가 저렴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현되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반드시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실링체(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10)의 단부에 위치 고정될 수 있게 구현된 것이므로,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실링부(110)가 다소 두껍게 구비되더라도, 연결체(10)의 단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체결구(200)를 연결체(10)에 체결하면 되므로, 배관 연결 작업시에 어려움이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링체(100)는 배관(41)에서 연결체(10)로, 또는 연결체(10)에서 배관(41)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는 고무나 연성의 수지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확관부(41-1)의 내주면과 연결체(10)의 경사면(11)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110)는 진동이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다소 두껍게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는 실링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 실링체(100)는 전술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링체(1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는, 일반적인 동관 배관뿐만 아니라 배경기술 항목에 기재된 최근 적용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배관(41)의 외주면을 피복(42)으로 감싼 피복관(40)도 안정적으로 연결체(10)에 연결할 수 있는 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는 이러한 피복관(40)을 연결체(10)의 단부에 연결하도록 구현된 형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피복(42)이 없는 일반적인 배관을 연결하는 형태로 변형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는, 실링체(100), 체결구(200) 및 씌움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구(200)는 배관(41)의 확관부(41-1)를 연결체(10)의 경사면(11) 측으로 가압하여 실링체(100)의 실링부(110)에 의한 밀폐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배관연결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구(20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41)이 삽입되는 관로(210)가 내부에 형성되고, 연결체(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체(10)의 수나사부(10')에 대응되는 암나사부(220)가 관로(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연결체(10)에 체결될 때에 확관부(41-1)의 외주면을 연결체(10)의 단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면(211)이 암나부(220)가 형성된 반대측의 관로(210) 내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200)는 그 가압면(211)이 배관(41)의 확관부(41-1) 외주면과 직접 접촉되면서 연결체(10)에 체결됨에 따른 가압력을 전달하므로 배관(41)이 알루미늄관으로 구비될 경우 알루미늄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구리 재질보다는 같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피복관(40)을 연결체(10)의 단부에 연결할 때에는 체결구(200)의 가압면(211)과 확관부(41-1)의 외주면 사이에 피복(42)이 개재되지 않도록 피복관(40) 끝단부의 피복(42)을 벗겨 배관(41)을 노출시킨 상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피복(42)을 벗기지 않고 피복관(40)을 연결한 경우에는 주야 또는 계절에 따른 큰 폭의 반복적인 온도 변화 및 에어컨 작동에 따른 진동과 충격으로 체결구(200)의 가압면(211)과 접촉한 피복(42)이 손상되면서 연결체(10)와 피복관(40)의 연결 및 밀봉이 약해져 냉매가 유출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피복관(40)이 연결체(10)로부터 분리되어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피복관(40)의 경우 배관(41)의 재질은 주로 알루미늄인데 피복(42)을 벗겨 노출된 부분은 공기와 수분에 노출되어 빠르게 부식될 우려가 있는 바, 상기 체결구(200)에는 가압면(211)이 형성된 관로(210)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관로(210)에 삽입 설치된 배관(41)의 표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장부(212)가 더 구비되어 배관(41)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후술되는 씌움부재(300)를 이 연장부(212)로부터 배관(41)의 피복(42)까지 덮을 수 있게 구현된다.
상기 씌움부재(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구(200)의 연장부(212)로부터 배관(41)의 남아 있는 피복(42) 끝단부까지 덮게 구비되어, 배관 연결 작업을 위해 노출된 배관(41)의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씌움부재(300)는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열되면 수축하는 열수축튜브로 바람직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이렇게 열수축튜브로 구비된 경우, 씌움부재(300)는 노출된 배관(41)이 체결구(200)의 관로(210)에 삽입되기 전에 피복관(40)에 끼워지며, 배관(41)의 끝단부에 확관부(41-1)가 형성되고 체결구(200)가 연결체(10)에 체결된 후에 가열됨에 따라 수축하여, 노출된 상태로 남아 있는 배관(41)의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씌움부재(300)가 이 같은 열수축튜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구(200)가 연결체(10)에 체결된 후에 노출된 상태로 남아 있는 배관(41)의 외주면을 감싸는 테이핑 부재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는, 피복관(40)을 연결체(10)에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200)의 연장부(212)와 씌움부재(30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피복(42)이 없는 일반적인 배관(41)을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이러한 구성요소는 생략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배관(41)의 외주면에 피복(42)이 형성된 피복관(40)을 에어컨의 실내기나 실외기에 구비된 연결체(10)에 연결하는 작업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피복관(40)의 끝단부에 대해, 소정의 길이만큼 피복(42)을 벗겨 배관(41)을 노출시킨다. 이렇게 피복(42)이 벗겨진 배관(41) 부분에 체결구(200)를 직접 설치하게 되므로, 내구성이 약한 피복(42)의 손상에 따른 피복관(40)과 연결체(10)의 연결 약화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음, 열수축튜브로 구비되는 씌움부재(300)를 피복관(40)에 끼우고, 이어서 체결구(300)의 관로(210)에 노출된 배관(41)이 삽입되게 체결구(300)를 배관(41)에 끼운 후, 노출된 배관(41)의 끝단에 확관부(41-1)를 형성한다.
이후, 연결체(10)의 단부에 실링체(100)를 끼워 고정시킨다. 이때, 실링체(100)의 고정부(120)는 연결체(10)의 스페이스면(12)을 감싸면서 고정부(120)의 내면과 스페이스면(12)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실링체(100)의 위치가 고정되며, 실링체(100)의 커버부(130)는 그 내면이 연결체(10)의 모따기면(13) 전체와 면 접촉되면서 연결체(10)의 단부에 대한 실링체(100)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한다.
그 다음, 이와 같이 실링체(100)가 연결체(10)의 단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구(200)의 암나사부(10')가 연결체(10)의 수나사부(10')에 체결되게 체결구(200)를 연결체(10)의 단부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체결구(200)의 가압면(211)이 확관부(41-1)를 연결체(10)의 경사면(11) 측으로 가압하고, 실링체(100)의 실링부(110)는 경사면(11)과 확관부(41-1)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가압되어 냉매 유로(RP)를 밀폐시킨다.
이렇게 체결구(200)의 가압면(211)이 확관부(41-1)의 외주면을 가압할 때에 실링부(110)가 그 가압력으로 인해 경사면(11)의 외측으로 밀릴 수 있는데, 이때 실링체(100)의 커버부(130)가 모따기면(13)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실링부(11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설사 실링부(110)가 밀리더라도 커버부(130)가 경사면(11)과 확관부(41-1)의 내주면 사이로 들어가면서 실링부(110)의 역할을 대신 함으로서, 밀폐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열수축튜브로 구비되는 씌움부재(300)를 체결구(200)의 연장부(212)와 남아 있는 피복(42)의 끝단부를 덮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열함으로써, 노출된 배관(41)을 씌움부재(300)로 감싸는 형태로 배관 연결 작업을 마무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100)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연결체(10)의 단부에 형성된 스페이스면(12)을 감싸는 고정부(120)가 구비되어 고정부(120)의 내면과 스페이스면(12) 사이의 마찰력으로써 연결체(10)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실링체(100)가 구비됨으로써, 확관부(41-1)에 불안정하게 안착시킨 형태로 배관 연결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종래의 실링체에 비해, 연결체(10)의 단부에 끼워 고정시킨 상태로 배관 연결 작업을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연결체(10)에 고정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커버부(130)가 더 구비됨으로써 실링부(110)가 확관부(41-1)의 내주면과 연결체(10)의 경사면(11) 사이에 정확히 개재되어 냉매 유로(RP)를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 연결 부분의 밀폐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링부(110)가 충분한 탄성을 갖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두껍게 구비될 수 있어 배관(41)에서 연결체(10)로, 또는 연결체(10)에서 배관(41)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크게 완화함으로써 배관 연결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실링체 110 : 실링부
120 : 고정부 130 : 커버부
131 : 연통홀 200 : 체결구
210 : 관로 211 : 가압면
212 : 연장부 220 : 암나사부
300 : 씌움부재 10 : 연결체
10' : 수나사부 11 : 경사면
12 : 스페이스면 13 : 모따기면
40 : 피복관 41 : 배관
41-1 : 확관부 42 : 피복
RP : 냉매 유로

Claims (8)

  1. 끝단에 확관부가 형성된 에어컨용 배관을 에어컨의 실내기나 실외기의 연결체에 연결하는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과 상기 연결체의 연결 부분을 밀봉하는 실링체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관부의 경사진 내주면에 대응되게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관이 상기 연결체에 연결될 때 상기 확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경사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관과 상기 연결체 내부의 냉매 유로를 밀폐시키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다양한 크기의 상기 확관부가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의 끝단이 상기 경사면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공간 형성을 위해 상기 경사면에서부터 소정의 길이로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스페이스면을 감싸도록 슬리브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의 내면과 상기 스페이스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는,
    일단에 상기 고정부가 구비된 상기 실링부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위치를 안내하도록 상기 경사면의 끝단에 형성된 모따기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실링부와 동일한 탄성을 갖는 소재로써 상기 실링부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페이스면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게 형성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스페이스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5. 끝단에 확관부가 형성된 에어컨용 배관을 에어컨의 실내기나 실외기의 연결체에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의 단부와 상기 확관부의 연결 부분을 밀봉하는 실링체; 및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관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체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확관부를 상기 연결체의 단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면이 상기 관로의 일단부에 구비된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체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관부의 경사진 내주면에 대응되게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관이 상기 연결체에 연결될 때 상기 확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경사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관과 상기 연결체 내부의 냉매 유로를 밀폐시키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다양한 크기의 상기 확관부가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의 끝단이 상기 경사면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공간 형성을 위해 상기 경사면에서부터 소정의 길이로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형성된 스페이스면을 감싸도록 슬리브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의 내면과 상기 스페이스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체는,
    상기 실링부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위치를 안내하도록 상기 경사면의 끝단에 형성된 모따기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에는 상기 관로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상기 배관의 표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장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배관의 피복까지 덮게 구비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는 씌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씌움부재는,
    상기 배관이 상기 관로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배관에 끼워져 상기 체결구가 상기 연결체에 체결된 후에 가열됨에 따라 수축하여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열수축튜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KR2020110005832U 2011-06-27 2011-06-27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KR200456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32U KR200456768Y1 (ko) 2011-06-27 2011-06-27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32U KR200456768Y1 (ko) 2011-06-27 2011-06-27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768Y1 true KR200456768Y1 (ko) 2011-11-21

Family

ID=4556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832U KR200456768Y1 (ko) 2011-06-27 2011-06-27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76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31B1 (ko) * 2012-01-27 2014-05-20 박애경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KR101673117B1 (ko) 2016-07-15 2016-11-16 천성민 에어컨 냉매파이프의 너트 체결장치
CN106403075A (zh) * 2016-09-30 2017-02-15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配管系统及空调室外机
KR20210153522A (ko) 2020-06-10 2021-12-17 김웅 커넥터 삽입고정형 냉매배관 연결용 개스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2928A (ja) 2005-11-17 2007-06-28 Daikin Ind Ltd 管継手の蓋構造、仕切り蓋、冷凍装置、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給水配管、配管の接続方法、及び現地配管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2928A (ja) 2005-11-17 2007-06-28 Daikin Ind Ltd 管継手の蓋構造、仕切り蓋、冷凍装置、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給水配管、配管の接続方法、及び現地配管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31B1 (ko) * 2012-01-27 2014-05-20 박애경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KR101673117B1 (ko) 2016-07-15 2016-11-16 천성민 에어컨 냉매파이프의 너트 체결장치
CN106403075A (zh) * 2016-09-30 2017-02-15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配管系统及空调室外机
KR20210153522A (ko) 2020-06-10 2021-12-17 김웅 커넥터 삽입고정형 냉매배관 연결용 개스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9947B1 (en) Method for connecting refrigerant pipe to a refrigerant pipe connection part
KR200456768Y1 (ko)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용 실링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KR101561257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KR20110031762A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RU2691206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KR20080102209A (ko) 플레어리스관 접속 구조, 플레어리스관 접속 방법, 및 현지배관 접속 방법
GB2510175A (en) Ventilation duct coupling
KR101397531B1 (ko)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US20100084860A1 (en) Pipe fitting, particularly for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TW201331497A (zh) 管體快速防漏之結構及方法
KR20090004036U (ko) 공기조화기
KR101065743B1 (ko) 에어컨용 알루미늄 피복관 연결방법
KR20110016557A (ko) 공기 조화기용 서비스밸브
US2704675A (en) Resilient and pressure retaining seat
JP2008121898A (ja) 空調室内機のドレンホース継手及びドレン配管設置方法
KR200493485Y1 (ko) 배관용 고무링
KR101949436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KR20110137759A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KR101170931B1 (ko) 난방용 엑셀파이프 연결구
CN214198945U (zh) 空调用连接管和空调器
CN205689965U (zh) 管路接头以及连接管路
CN205101738U (zh) 一种金属软管接头
KR102226048B1 (ko) 배관용 관이음구 어셈블리
JP2012127391A (ja) 配管用成型継手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施工方法
KR101539407B1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