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343B1 -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343B1
KR101875343B1 KR1020170163154A KR20170163154A KR101875343B1 KR 101875343 B1 KR101875343 B1 KR 101875343B1 KR 1020170163154 A KR1020170163154 A KR 1020170163154A KR 20170163154 A KR20170163154 A KR 20170163154A KR 101875343 B1 KR101875343 B1 KR 10187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sheet layer
layer
weight
edg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수
문경준
Original Assignee
이흥수
문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수, 문경준 filed Critical 이흥수
Priority to KR102017016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7/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7/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7/04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9J1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2201/3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엣지밴드는 베이스시트층; 상기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시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은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시트층 및 상기 인쇄시트층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접하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실리카(silica)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EDGE BA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구는 합판 또는 목재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가구 엣지(edge) 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하기 위해, 소정의 무늬가 인쇄된 마감재인, 엣지밴드(edge band)를 사용하여 마감하고 있다.
기존 엣지밴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일표면에 전사지를 통해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기재의 타면에 프라이머액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시트층을 형성하여 제조되었으며, 상기 엣지밴드의 프라이머시트층을 가구 엣지 부위에 열을 이용하여 부착하였다.
그러나, 상기 프라이머액의 도포시, 농도를 조절하기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되었으며, 프라이머액에 함유되는 유기용제 등으로 인해 작업장이 오염되며, 작업자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9507호(2006.06.14 공개, 발명의 명칭: 패널용 표면마감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층간 부착력, 내구성, 내수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엣지밴드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엣지밴드는 베이스시트층; 상기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시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은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시트층 및 상기 인쇄시트층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접하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실리카(silica)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시트층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비닐크롤라이드(PVC)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시트층 상부에 형성되는 데코레이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엣지밴드는, 제2 접착층 하부에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60,000~80,000g/mol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쇄시트층은 아크릴-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잉크, 니트로셀룰로오스-폴리아미드 수지 잉크, 아크릴-비닐 수지 잉크, 알키드(alkyd) 수지 잉크, 비닐-폴리에스테르 수지 잉크, 비닐 수지 잉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잉크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잉크 중 하나 이상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접착층은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카는 비표면적(BET 법)이 150 ㎡/g 내지 500 ㎡/g이고, 평균입자크기가 5 nm 내지 3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엣지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엣지밴드 제조방법은 베이스시트의 하부에 프라이머시트를 열전사하여, 프라이머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은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시트층 및 상기 인쇄시트층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접하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실리카(silica)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시트층 상부에는 데코레이션층이 열전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은, 상기 베이스시트의 하부에 50~250℃ 및 1~15 kgf/cm2의 조건으로 열전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인쇄시트층의 하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실리카 0.1~10 중량부 및 용제 50~2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용제는 케톤계, 에테르계, 피롤리돈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및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엣지밴드는 베이스시트층 및 프라이머시트층 사이의 부착력과, 내구성, 내수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엣지밴드 제조시 열전사를 통해 프라이머시트층을 형성하여, 프라이머액을 도포 및 건조하던 종래 기술에 비해 프라이머시트층의 경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프라이머액 성분 조절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하며, 작업장에서 프라이머액에 사용되는 용제로 인한 작업장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엣지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엣지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엣지밴드를 가구에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엣지밴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엣지밴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엣지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엣지밴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엣지밴드(1000)는 베이스시트층(100); 베이스시트층(100) 하부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시트층(200);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프라이머시트층(200)은 제1 접착층(210), 제1 접착층(210)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시트층(220) 및 인쇄시트층(220)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접착층(230)을 포함하며, 제1 접착층(210)은 베이스시트층(100) 하부에 접하며, 제1 접착층(210) 및 제2 접착층(230) 중 하나 이상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실리카(silica)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엣지밴드(200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라이머시트층(200) 하부에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층(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2 접착층(230)은 핫멜트접착층의 상부(300)와 접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엣지밴드를 가구에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2 접착층(230)은 가구의 엣지부(100)에 접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베이스시트층(100) 상부에 형성되는 데코레이션층(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데코레이션층(110)은 베이스시트층 상부의 표면에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이 인쇄된 필름 시트를 열전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시트층(100)은 상기 베이스시트층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비닐크롤라이드(PVC)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후술할 제1 접착층(210)의 열전사시,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제1 접착층(210) 및 제2 접착층(230) 중 하나 이상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실리카(silica)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열전사를 통한 접합시, 엣지밴드의 층간 접착성과 함께 부착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60,000~8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제1 접착층(210) 및 제2 접착층(230)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는 본 발명의 엣지밴드 제조시, 폴리에틸렌테레부탈레이트(PET) 등의 재질의 이형시트층과, 상기 접착층의 저마찰성, 이형성 및 평활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카는 비표면적(BET 법)이 150 ㎡/g 내지 500 ㎡/g이고, 평균입자크기가 5 nm 내지 3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분산 및 작업성이 용이하고, 상기 제1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의 형성시, 상기 실리카의 침강을 방지하면서 유동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이형성을 확보하면서, 후술할 열전사시 엣지밴드의 층간 접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실리카의 입자 “크기”는, 상기 실리카 입자의 “최대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조건의 실리카를 포함시, 본 발명의 점착층에 실리카가 침전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어 이형성과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열전사시 층간 부착력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카는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실리카를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본 발명의 이형성과, 열전사시 층간 부착성이 저하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본 발명의 제1 접착층(210) 및 제2 접착층(230)의 내구성 및 층간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5~8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1~6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제1 접착층(210)은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수지를 적용하여 제1 접착층(210)을 형성시, 상기 베이스시트층과의 부착성과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제1 접착층(210)은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하며, 제2 접착층(230)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실리카 0.1~10 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인쇄시트층(220)은 시트 기재에 잉크를 이용하여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트 기재에 그라비아 인쇄하여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잉크는 아크릴-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잉크, 니트로셀룰로오스-폴리아미드 수지 잉크, 아크릴-비닐 수지 잉크, 알키드(alkyd) 수지 잉크, 비닐-폴리에스테르 수지 잉크, 비닐 수지 잉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잉크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잉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기재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핫멜트 접착층(300)은 가구의 엣지부(10) 표면에 접착시키는 목적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핫멜트 접착층(300)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올레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수지를 포함시, 가구와의 부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엣지밴드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엣지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엣지밴드의 제조방법은 베이스시트의 하부에 프라이머시트를 열전사하여, 프라이머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은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시트층 및 상기 인쇄시트층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접하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실리카(silica)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시트층 상부 표면에는 데코레이션층이 열전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데코레이션층은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이 인쇄된 필름 시트를 상기 베이스시트층의 상부 표면에 50~250℃ 및 1~15 kgf/cm2의 조건으로 열전사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은, 상기 제1 접착층을 상기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50~250℃ 및 1~15 kgf/cm2의 조건으로 열전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제1 접착층이 용이하게 베이스시트층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접착층이 형성된 프라이머시트를, 50~80℃로 예열된 실리콘 재질의 롤러를 통해 이송하여, 상기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50~250℃ 및 1~15 kgf/cm2의 조건으로 열전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은 150~250℃ 및 5~15kgf/cm2의 조건으로 열전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엣지밴드 제조방법은, 프라이머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의 하부에 핫멜트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핫멜트접착층의 상부와 접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인쇄시트층의 상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실리카 및 용제를 포함하는 제1 접착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접착조성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실리카 0.1~10 중량부 및 용제 50~2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제1 접착조성물의 흐름성 및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접착층은, 인쇄시트층의 상부에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시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수지를 포함시, 층간 부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제는,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를 용해 및 혼합하여 상기 제1 접착조성물을 인쇄시트층의 상부 및 하부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제는 케톤계, 에테르계, 피롤리돈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및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2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에서 분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톤계 용제로는 1-옥탄온, 2-옥탄온, 1-노난온, 2-노난온, 4-헵탄온, 2-헥산온,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메틸시클로헥산온, 페닐아세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테르계 용제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롤리돈계 용제로는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 NMP), 1,3-디메틸-2-피롤리돈(1,3-dimethyl-2-pyrrolidone, DMP) 및 N-헥실피롤리돈(N-hexyl pyrrolidone, NHP)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로는 톨루엔 및 크실렌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로는 펜탄, 헥산, 옥탄 및 데칸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용제를 적용시,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를 상기 인쇄시트층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및 N-메틸피롤리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메틸에틸케톤 30~50 중량%,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10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25~35 중량%, 톨루엔 20~30 중량% 및 N-메틸피롤리돈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의 용제를 적용시,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를 상기 인쇄시트층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를 경화하여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을 형성시, 공중합체에 잔류되지 않고 용이하게 휘발되어, 열전사시 부착강도 저하 등 물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인쇄시트층의 상부에 제1 접착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접착층의 상부에 제1 이형시트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하부에 제2 접착층을 형성한 다음, 제2 접착층 하부에 제2 이형시트층을 형성하여, 프라이머시트층을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에 형성된 상기 제1 이형시트층을 제거한 다음, 상기 제1 접착층을 상기 베이스시트의 하부에 열전사하고, 제2 이형시트층을 제거한 다음, 상기 제2 접착층의 하부에 핫멜트 접착층을 형성하여 엣지밴드를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이형시트층 및 제2 이형시트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쇄시트층은 시트 기재에 잉크를 이용하여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트 기재에 그라비아 인쇄하여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잉크는 아크릴 수지 잉크, 아크릴-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잉크, 니트로셀룰로오스-폴리아미드 수지 잉크, 아크릴-비닐 수지 잉크, 알키드(alkyd) 수지 잉크, 비닐-폴리에스테르 수지 잉크, 비닐 수지 잉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잉크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잉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멜트 접착층은 상기 제2 접착층 하부에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올레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층용 조성물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ABS 재질의 베이스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상부 표면에 소정의 무늬가 인쇄된 데코레이션 층을 열전사하여 데코레이션 층을 형성하였다.
아크릴-비닐 수지 잉크를 시트 기재에 인쇄하여 형성된 인쇄시트층의 상부 표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 수지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제1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인쇄시트층의 하부에 중량평균분자량: 60,000~80,000g/mol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비표면적(BET 법)이 300 ㎡/g, 평균 입자 크기가 2.2㎛인 실리카 1.01 중량부 및 용제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접착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제2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층의 상부에 25㎛ 두께의 제1 이형시트층(PET 필름)을 적층하고, 제2 접착층의 하부에 25㎛ 두께의 제2 이형시트층(PET 필름)을 적층하여, 프라이머시트를 준비하였다.
이때, 상기 제1 접착조성물의 상기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34 중량%,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헥산, 옥탄, 펜탄 및 데칸 중 하나 이상 포함) 34 중량%, 톨루엔 24 중량% 및 N-메틸피롤리돈 3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시트의 제1 이형시트층 및 제2 이형시트층을 제거하고, 60~80℃로 예열된 실리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시트의 하부에 상기 제1 접착층을 150~250℃ 및 5~15kgf/cm2 조건으로 열전사하여, 제1 접착층을 베이스시트의 하부에 열전사하여, 프라이머시트층을 형성하여, 하기 도 4와 같은 엣지밴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실리카 3.1 중량부 및 용제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접착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엣지밴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실리카 5.3 중량부 및 용제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접착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엣지밴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에, 각각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실리카 5.3 중량부 및 용제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접착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엣지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용제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접착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엣지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실리카 13 중량부 및 용제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접착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엣지밴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엣지밴드 제조시, 제2 접착층과 제2 이형필름 사이의 이형성과, 상기 제2 접착층과 핫멜트접착층 사이의 부착성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이형성 및 부착성은 3가지 기준(◎: 매우 우수 ○: 우수 X: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17119802788-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접착층을 적용한 실시예 1~4는, 이형성과 부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리카를 미적용하여 제2 접착층을 형성한 비교예 1은 제2 접착필름에 제2 접착층의 성분이 묻는 등, 이형성이 저하되었으며, 제2 접착층 및 핫멜트 접착층 사이의 부착성이 불량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리카 함량을 초과하는 비교예 2의 경우 부착성이 크게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가구 엣지부
100: 베이스시트층 110: 데코레이션층
200: 프라이머시트층 210: 제1 접착층
220: 인쇄시트층 230: 제2 접착층
300: 핫멜트접착층 1000: 엣지밴드
2000: 엣지밴드

Claims (12)

  1. 베이스시트층;
    상기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시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은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시트층 및 상기 인쇄시트층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접하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중 하나 이상은 중량평균분자량이 60,000~80,000g/mol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실리카(silica) 1~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층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비닐크롤라이드(PVC)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엣지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층 상부에 형성되는 데코레이션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핫멜트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시트층은 아크릴-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잉크, 니트로셀룰로오스-폴리아미드 수지 잉크, 아크릴-비닐 수지 잉크, 알키드(alkyd) 수지 잉크, 비닐-폴리에스테르 수지 잉크, 비닐 수지 잉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잉크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잉크 중 하나 이상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은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비표면적(BET 법)이 150 ㎡/g 내지 500 ㎡/g이고, 평균입자크기가 5 nm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드.
  9. 베이스시트의 하부에 프라이머시트를 열전사하여, 프라이머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은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시트층 및 상기 인쇄시트층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접하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중량평균분자량이 60,000~80,000g/mol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실리카(silica) 1~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드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층 상부에는 데코레이션층이 열전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드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시트층은, 상기 베이스시트의 하부에 50~250℃ 및 1~15 kgf/cm2의 조건으로 열전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드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인쇄시트층의 하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100 중량부, 실리카 1~6 중량부 및 용제 50~2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용제는 케톤계, 에테르계, 피롤리돈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및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밴드 제조방법.
KR1020170163154A 2017-11-30 2017-11-30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154A KR101875343B1 (ko) 2017-11-30 2017-11-30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154A KR101875343B1 (ko) 2017-11-30 2017-11-30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343B1 true KR101875343B1 (ko) 2018-07-05

Family

ID=6292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154A KR101875343B1 (ko) 2017-11-30 2017-11-30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3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961B1 (ko) 2019-06-14 2020-02-14 이흥수 우수한 접착력과 열안정성을 겸비하는 가구 몰딩용 접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가구 몰딩용 자재
KR102120589B1 (ko) 2019-06-17 2020-06-08 이흥수 우수한 접착성과 산화방지성을 겸비하는 가구 몰딩용 접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가구 몰딩용 자재
KR102500571B1 (ko) 2022-07-08 2023-02-20 윤성필 생분해성 소재를 이용한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2047B1 (ko) 2023-01-30 2023-10-20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597A (ja) * 1998-09-25 2000-04-0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エッジ貼り用化粧シート
JP2003213055A (ja) * 2002-01-22 2003-07-30 Bando Chem Ind Ltd 木質板エッジ用化粧シート
JP2004002545A (ja) * 2002-05-31 2004-01-08 Nippon Nsc Ltd 接着剤組成物
KR20090020856A (ko) * 2007-08-24 2009-02-27 배정요 가구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90288B1 (ko) * 2013-10-10 2014-05-02 유공열 목재판의 엣지시트 접착장치
KR101581234B1 (ko) * 2015-07-13 2015-12-31 주식회사 위노스 엣지밴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597A (ja) * 1998-09-25 2000-04-0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エッジ貼り用化粧シート
JP2003213055A (ja) * 2002-01-22 2003-07-30 Bando Chem Ind Ltd 木質板エッジ用化粧シート
JP2004002545A (ja) * 2002-05-31 2004-01-08 Nippon Nsc Ltd 接着剤組成物
KR20090020856A (ko) * 2007-08-24 2009-02-27 배정요 가구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90288B1 (ko) * 2013-10-10 2014-05-02 유공열 목재판의 엣지시트 접착장치
KR101581234B1 (ko) * 2015-07-13 2015-12-31 주식회사 위노스 엣지밴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961B1 (ko) 2019-06-14 2020-02-14 이흥수 우수한 접착력과 열안정성을 겸비하는 가구 몰딩용 접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가구 몰딩용 자재
KR102120589B1 (ko) 2019-06-17 2020-06-08 이흥수 우수한 접착성과 산화방지성을 겸비하는 가구 몰딩용 접착 조성물 및 이에 의한 가구 몰딩용 자재
KR102500571B1 (ko) 2022-07-08 2023-02-20 윤성필 생분해성 소재를 이용한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2047B1 (ko) 2023-01-30 2023-10-20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343B1 (ko)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3928710A (en) Heat activated transfers
TW293115B (ko)
CN109863032A (zh) 耐溶剂的光泽可印刷基材及其制造和使用方法
CN106029391B (zh) 标记基底的方法
KR20170074123A (ko) 에코솔벤트 잉크용 인쇄 점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8508A (ko) 입체 패턴을 갖는 실리콘 디자인 전사지
JP2017065234A5 (ko)
KR101759167B1 (ko) 폴리에틸렌수지 표면 전사용 전사지
CA2355922C (en) Means of applying a printed image to a textile substrate
US10300736B2 (en) Method and device of transferring an impression from a substrate to a surface
AU2019290457B2 (en) Ink, transfers, methods of making transfers, and methods of using transfers to decorate plastic articles
JP7298191B2 (ja) 加飾成形用両面粘着シート、加飾成形用積層粘着シート及び加飾成形積層体
KR20120126781A (ko) 인쇄 소재
JP5961725B1 (ja) ヘッドライト用貼付シート、ヘッドライトユニット及びヘッドライトカバー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5502231B1 (ja) インキ組成物及び転写シート
JP3801599B2 (ja) 成形品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転写シート
KR102578404B1 (ko) 염료승화 인쇄용 건식 데칼필름
JP2594568B2 (ja) 転写印刷用フィルムと転写印刷方法
KR100486659B1 (ko) 피피엣지와 피피평판 압출을 이용한 전사필름의 전사방법
KR101636467B1 (ko) 복합 기능을 가진 하이브리드형 열 시트
KR20170038578A (ko) 금속 표면 전사용 전사지
CN117207695A (zh) 一种能够适应多种基材打印的彩色热转印片
JP2006056183A (ja) 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の製造方法
JP2016215625A (ja) ヘッド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