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047B1 -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047B1
KR102592047B1 KR1020230012042A KR20230012042A KR102592047B1 KR 102592047 B1 KR102592047 B1 KR 102592047B1 KR 1020230012042 A KR1020230012042 A KR 1020230012042A KR 20230012042 A KR20230012042 A KR 20230012042A KR 102592047 B1 KR102592047 B1 KR 102592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sheet
pattern
printing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종
Original Assignee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filed Critical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to KR102023001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47B95/043Protecting rims, buff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0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laying up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4Ablative recording, e.g. by burning marks; Spark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32B2307/7145Rot proof, resistant to bacteria, mildew, mould, fung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55/00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index codes B32B2323/00 - B32B2333/00
    • B32B23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사지를 융착하여 폐기물이 발생하던 기존의 무늬 인쇄방식과는 달리, 별도의 시트에 레이저 프린팅으로 직접 인쇄하는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폐기물의 발생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더불어 무늬가 인쇄되는 필름을 항균성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바이러스의 차단 내지 박멸에 적극 기여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마감재는 장 길이의 띠 형태이거나 또는 재단 가능한 판지의 형태로 이루어져 가구나 인테리어 제품의 테두리 또는 모서리에 부착되는 ABS 소재의 메인시트(10);와, 프라이머를 매개로 메인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되어 무늬를 제공하고, 항균 기능을 발휘하여 설치 주변의 바이러스를 차단 및 박멸하는 항균시트(20);로 구성되고, 상기 마감재의 제조방법으로는 ABS 소재를 이용하여 설정 형상의 메인시트(10)를 성형하는 메인시트 준비단계(S100);와,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메인시트(10) 양면에 항균시트(20)를 접합하는 항균시트 부착단계(S2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e for safety finishing materials}
본 발명은 가구의 테두리나 모서리 등에 부착되어 충격 시 완충 효과에 기인한 가구의 훼손방지 및 사용자의 안전에 기여하는 가구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사지를 융착하여 폐기물이 발생하던 기존의 무늬 인쇄방식과는 달리, 별도의 시트에 레이저 프린팅으로 직접 인쇄하는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폐기물의 발생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더불어 무늬가 인쇄되는 필름을 항균성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바이러스의 차단 내지 박멸에 적극 기여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구의 구성이 핵가족화되면서 어린아이의 육아를 온전히 부모가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집안 내에서도 어린아이의 행동을 완벽히 주시할 수 없고, 결국에는 가구에 부딪혀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가구는 브랜드별로 가격에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목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가격이 높게 책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구의 훼손은 수리에 대한 가격 부담이 큰 편이다.
따라서, 가구의 테두리나 모서리 등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가구와의 충격 시 완충 효과를 발휘되게 함으로써 가구의 훼손방지 및 어린아이의 안전을 보장하는 가구 세이프 마감재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가구 세이프 마감재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581234호 "엣지밴드 및 그 제조방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코어시트 및 코어시트와 어느 일면이 열압착되어 결합되고, 열압착된 일면과 대향되는 다른 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프라이머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시트의 다른 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후 프라이머시트의 일면과 코어시트가 열압착되어 결합되고, 프라이머시트는 코어시트와 동일 재질로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기술은 프라이머시트와 코어시트의 열압착에 기인하여 소재 간 부착력과 대상체와의 접착력이 향상되고, 소재의 구성요소가 극히 간편하여 제조의 용이함은 물론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구 세이프 마감재와 관련된 기술 중 다른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75343호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베이스시트층 및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시트층을 포함하며, 프라이머시트층은 제1접착층과 제1접착층 하부에 형성되는 인쇄시트층 및 인쇄시트층 하부에 형성되는 제2접착층을 포함하고, 제1접착층은 베이스시트층 하부에 접하며, 제1접착층 및 제2접착층 중 하나 이상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및 실리카(silic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술은 베이스시트층 및 프라이머시트층 사이의 부착력과 내구성, 내수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엣지밴드 제조 시 열전사를 통해 프라이머시트층을 형성하여 프라이머액을 도포 및 건조하던 방식에 비해 프라이머시트층의 경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프라이머액 성분 조절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하며, 작업장에서 프라이머액에 사용되는 용제로 인한 작업장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가구 세이프 마감재는 표면에 색상이나 무늬를 표현하기 위하여 열전사지를 열 융착하는 과정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열전사지의 자재비와 열전사지를 융착하기 위한 가공비 및 인건비가 상당하므로 생산단가의 상승은 물론, 열전사지를 보호하는 필름이 고스란히 폐기물이 되므로 환경오염에 악영향을 주는 등 다양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마감재의 표면에 무늬를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 제공이 절실하고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81234호 "엣지밴드 및 그 제조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875343호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성형성, 내구성, 신축성, 형태 복원력 등 가구 세이프 마감재로써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장 얇은 두께로 제작하여 경량성을 확보하며, 나아가 소재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생산 단가를 현저하게 절감하는 등 기존 대비 생산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가구 세이프 마감재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사지를 이용하여 무늬를 인쇄함에 따라 자재비 증가는 물론 대량의 폐기물이 발생하여 환경오염에 악영향을 끼쳤던 기존의 기술에서 벗어나, 레이저 프린팅 방식을 통해 보다 저렴하고 안전하게 무늬를 적용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구와 어린아이들의 보호뿐만 아니라 주변의 바이러스나 세균들을 차단 내지 박멸하여 인체의 안전에 적극 기여할 수 있도록 항균성을 보유한 가구 세이프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마감재는 장 길이의 띠 형태이거나 또는 재단 가능한 판지의 형태로 이루어져 가구나 인테리어 제품의 테두리 또는 모서리에 부착되는 ABS 소재의 메인시트(10);와, 프라이머를 매개로 메인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되어 무늬를 제공하고, 항균 기능을 발휘하여 설치 주변의 바이러스를 차단 및 박멸하는 항균시트(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10)는 0.8 내지 1.4mm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항균시트(20)는 0.1 내지 0.3mm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감재 제조방법은 ABS 소재를 이용하여 설정 형상의 메인시트(10)를 성형하는 메인시트 준비단계(S100);와,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메인시트(10) 양면에 항균시트(20)를 접합하는 항균시트 부착단계(S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균시트 부착단계(S200)는 항균 필름을 이용하여 시트를 성형하는 항균시트 성형단계(S210);와, 레이저 프린팅을 이용하여 항균시트(20)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 인쇄단계(S220);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마감재의 두께를 1 내지 2mm로 제작함에 따라 자재 소모를 줄여 생산 단가를 현저하게 낮추고, 더불어 얇은 두께에 기인한 경량성이 확보되어 제품의 생산, 납품, 보관, 관리, 설치 등이 극히 용이하여지는 등 생산 및 사용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사지를 이용한 무늬 인쇄로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하였던 기존의 제조법과는 달리, 레이져 프린팅을 이용하여 직접 인쇄함에 따라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나아가 열전사지의 자재비, 융착비, 인건비, 폐기물 처리비 등 인쇄 작업에 큰 비용이 들지 않아 생산자의 부담을 적극적으로 줄일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필름으로 하여금 주변의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박멸함에 따라 바이러스 확산이 원천적으로 방지되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가구 세이프 마감재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플로차트.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항균시트의 제조과정을 순차 나열한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구 세이프 마감재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가구의 테두리나 모서리 등에 부착되어 충격 시 완충 효과에 기인한 가구의 훼손방지 및 사용자의 안전에 기여하는 가구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열전사지를 융착하여 폐기물이 발생하던 기존의 무늬 인쇄방식과는 달리, 별도의 시트에 레이저 프린팅으로 직접 인쇄하는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폐기물의 발생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더불어 무늬가 인쇄되는 필름을 항균성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바이러스의 차단 내지 박멸에 적극 기여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가구 세이프 마감재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플로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항균시트의 제조과정을 순차 나열한 플로차트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구 세이프 마감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마감재는 장 길이의 띠 형태이거나 또는 재단 가능한 판지의 형태로 이루어져 가구나 인테리어 제품의 테두리 또는 모서리에 부착되는 ABS 소재의 메인시트(10);와, 프라이머를 매개로 메인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되어 무늬를 제공하고, 항균 기능을 발휘하여 설치 주변의 바이러스를 차단 및 박멸하는 항균시트(20);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마감재에 무늬를 적용하기 위해 침지법이나 열전사지를 활용한 기존의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 프린팅 방식을 활용하고자 한다.
예컨대 침지법은 제품의 표면에 색상 및 무늬를 신속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상기 침지법은 단일 색상만을 표현할 수밖에 없거나 균일 내지 동일한 무늬를 표현하기에 많은 한계가 있다. 한편, 열전사 방법은 무늬를 정밀하게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열전사기 보유 및 구동 비용 부담, 고도한 기술력 요구, 제조시간 대비 효율 저하, 이형지 발생에 의한 폐기물 처리 비용 부담, 자원낭비, 환경오염, 품질저하 등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팅 방식을 활용하여 마감재의 표면에 무늬를 적용시키고자 한다. 상기 레이저 프린팅이란 레이저 프린터를 활용한 인쇄방법으로써, 상기 레이저 프린터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분말 형태의 잉크를 레이저 광선으로 회전하는 원통 위에 주사한 후 가열된 롤러를 사용하여 대상물에 고착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레이저 프린팅 방식으로 무늬를 적용시킬 경우 신속 간편하게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가 절감, 각종 폐기물 발생 방지, 정밀 인쇄 등 다양한 효과를 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의 특수 제어를 통해 프린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재의 오염을 적극적으로 방지하여 고품질의 마감재를 제조 및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ABS 소재를 이용하여 설정 형상의 메인시트(10)를 성형하는 메인시트 준비단계(S100);와,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메인시트(10) 양면에 항균시트(20)를 접합하는 항균시트 부착단계(S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시트 준비단계(S100)는 ABS 소재를 이용하여 메인시트(10)를 성형 및 메인시트 양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ABS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을 의미하며, 상세하게는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뷰타다이엔(Butadiene), 스타이렌(Styrene)의 약자로 3가지 중 스타이렌이 주원료다. 상기 ABS는 제조법에 따라 크게 2종류로 구분되며, 하나는 Acrylonitrile-Styrene 공중합체 수지와 Acrylonitrile-Butadiene 탄성중합체를 블렌드(Blend)하여 만들어지며, 다른 하나는 Styrene-Acrylonitrile 고분자에서 Polybutadiene을 Graft onto로 합성한 수지를 메인으로, 그라프트 되지 않은 Butadiene과 Acrylonitrile-Styrene 사슬을 포함하여 만들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비닐시안 단량체로부터 유화중합을 이용하여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예컨대 중합 개시과정에서 단량체 일부를 일괄 투여 및 특정의 유기 과산화물 개시제를 일괄 투여하며, 중합 반응과정에서 나머지 단량체와 상기 유기 과산화물 개시제를 연속투여하고, 이때 정해진 시점에 말단에 비닐계 작용기를 2개 이상 가진 반응성 물질을 가교제로 사용함으로써, 높은 고무 함량에서 그라프팅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며 중합 안정성은 물론 ABS 수지 제조 시 외관물성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획득한 ABS 소재는 다시 용융한 후 얇은 두께의 판지 형태로 성형하며, 이렇게 획득한 성형물을 본 발명에서는 메인시트(10)라 한다. 상기 메인시트(10)는 약 0.8 내지 1.4mm의 두께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시트의 양면에는 프라이머를 얇게 도포함으로써 항균시트(20)의 접합을 유도한다.
상기 항균시트 부착단계(S200)는 항균필름(21)을 제조하는 공정;과, 항균필름에 무늬를 형성시키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단계로써, 상세하게는 항균시트(20)를 획득하는 항균시트 성형단계(S210);와, 항균시트에 무늬를 인쇄하는 무늬 인쇄단계(S220);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항균시트 성형단계(S210)는 항균필름(21)을 제조하는 단계로써, 여기에서 항균필름이란 성형성이 우수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장수명이 보장되며, 특히 우수한 수준의 항균성을 발휘하여 주변의 바이러스 차단 및 박멸시키는 특수 필름을 말한다.
상기 항균필름(21)은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로 구분 제공되며, 메인시트(10)와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별도의 재단 작업 없이 항균시트(20)에 간편히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필름(21)은 코팅과정에서 찌그러지는 상황을 방지하고, 가구에 부착된 마감재를 떼어낼 시 초기 형태로 복구되도록 신축성과 형태 복원력을 보유한다.
상기 항균필름(21)은 바이러스 침투를 방지하는 필름층(21-1);과, 필름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점착성을 발휘하는 접착층(21-2);과, 접착층을 매개로 필름층에 접합되어 필름층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메쉬층(21-3);과, 필름층에 침투 중인 바이러스를 박멸하는 항균층(2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착층(21-2)은 필름층(21-1)의 어느 일면에 도포되며, 친환경 접착제 또는 천연 접착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종류에 제약을 두지는 않는다. 다만, 접착제로 하여금 항균필름(21)의 투명성 내지 항균시트(20)의 무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야 하는 조건이 있다.
상기 메쉬층(21-3)은 마감재의 형태를 보존하면서 신축성을 부여함에 따라 가구 대비 마감재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도 마감재를 인장시켜 부착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상기 메쉬층(21-3)은 마감재의 내구성을 적극적으로 향상시켜 장기간동안 최고의 품질로 유지되게 한다.
상기 항균층(21-4)은 항바이러스제가 필름층(21-1)의 일면에 도포된 것으로, 필름층에 흡착된 바이러스를 신속하게 박멸시켜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시킨다.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213)는 필름층(21-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성을 부여한 후 메쉬층(21-3)을 부착하는 공정이다. 상기 접착제는 항균필름(21)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친환경 접착제 또는 천연 접착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종류에 제약을 두지는 않는다. 다만, 접착제로 하여금 항균필름(21)의 투명성 내지 항균시트(20)의 무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야 하는 조건이 있다.
상기 항균제 도포단계(S214)는 기능성 항균제를 필름층(21-1)에 라미네이팅하는 공정이다.
예컨대, 항바이러스제는 면역글로불린 또는 인터페론 또는 핵산 유사물질로 이루어진 3대 축으로 구성된다. 상기 면역글로불린은 중화항체라고 불리는 것으로 바이러스와 결합하여 바이러스의 독성을 제거하며, 주로 B형 감염 발병을 예방한다. 상기 인터페론은 cytokine의 하나로서 원래는 생체내에 존재하는 단백질로써 α, β, γ의 3종류로 구성되어 있어, 주로 B형 감염 발병 예방과 C형 감연 발병을 예방하고, 각종 항종양 작용을 발휘한다. 상기 핵산 유사물질은 Acyclovir, vidarabine, Ganciclovir,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항바이러스제는 면역글로불린 또는 인터페론 또는 핵산 유사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혼합한 것이다.
상기 무늬 인쇄단계(S220)는 레이저 프린팅을 이용하여 항균시트(20)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현재 시중에 판매 중인 마감재는 모두 침지식 염색으로 색상을 부여하거나 또는 무색의 ABS 소재에 열전사지를 전사하여 무늬를 부여하고 있다. 여기에서 열전사지를 이용한 무늬 부여 방식은 열전사 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고가의 비용이 소모되고, 열전사지에서 나오는 이형지 폐기물로 인해 별도의 처리비용이 추가되며, 주로 PET로 이루어진 폐기물은 환경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는 등 다양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열전사지 사용의 대체안으로 레이저 프린팅 무늬 적용방식을 채택하였다. 여기에서 레이저 프린팅이란 레이저 프린터를 활용한 인쇄방법으로써, 상기 레이저 프린터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분말 형태의 잉크를 레이저 광선으로 회전하는 원통 위에 주사한 후 가열된 롤러를 사용하여 대상물에 고착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레이저 프린터는 비디오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에 의거하여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다이오드;와,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에 조사시키기 위해 빔의 경로를 조절하는 회전다면경; 및 반사미러;와, 한 쌍의 포커스 렌즈를 구비하는 경로 조절파트;와, 경로 조절파트를 통해 주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조사된 부분에 정전잠상을 만드는 감광드럼;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프린터는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빔이 회전다면경에 의해 반사되어 한 쌍의 포커스 렌즈를 통해 포커싱된 후 최종 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감광드럼에 조사된다. 그 후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과 전사 및 정착 과정을 순서대로 거쳐 항균필름(21)에 프린트되어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무늬 인쇄단계(S220)는 항균필름(21)을 레이저 프린터에 공급하는 과정;과, PC를 이용하여 원하는 무늬를 제작 및 선정하는 과정;과, 레이저 프린터를 가동시켜 선정된 무늬를 항균필름에 적용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다이오드가 예열될 때 발생한 레이저 빔은 감광드럼에 조사되어 프린트 시작 전에 이미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게 되어 프린트 시 항균필름(21) 선단을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이오드가 안정영역에서 동작될 때까지 다이오드를 예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레이저 빔이 감광드럼에 조사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레이저 프린터를 활용함으로써 고품질의 마감재를 제조한다. 상기 레이저 프린터는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하며, 제어부는 다이오드와 회전다면경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빔을 회전다면경으로부터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캠구동부 및 소형캠이 구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캠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해 캠구동부와 연결된 소형캠을 구동시켜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어 회전다면경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차단 내지 통과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를 통해 소형캠의 작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다이오드가 예열될 때 발생되는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에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프린트 시 항균필름 선단이 오염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무늬가 적용된 항균시트(20) 전체적으로 약 0.1 내지 0.3mm의 두께를 갖게 되고, 프라이머에 의해 메인시트(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구 세이프 마감재는 1T형 마감재와, 1.5T형 마감재와, 2T형 마감재로 구분하여 제공된다.
상기 1T형 마감재는 메인시트(10)의 두께가 0.8mm이고, 메인시트 양면에 부착되는 항균시트(20)의 두께는 각 0.1mm임에 따라 마감재의 총 두께는 1mm가 된다.
상기 1.5T형 마감재는 메인시트(10)의 두께가 1mm이고, 메인시트 양면에 부착되는 항균시트(20)의 두께는 각 0.25mm임에 따라 마감재의 총 두께는 1.5mm가 된다.
상기 2T형 마감재는 메인시트(10)의 두께가 1.4mm이고, 메인시트 양면에 부착되는 항균시트(20)의 두께는 각 0.3mm임에 따라 마감재의 총 두께는 2mm가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시트(10)는 약 0.8 내지 1.4mm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항균시트는 약 0.1 내지 0.3mm의 두께로 이루어져 마감재의 총 두께는 약 1 내지 2mm가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가구 마감재는 장 길이의 띠 형태이거나 또는 재단 가능한 판지의 형태로 이루어져 가구나 인테리어 제품의 테두리 또는 모서리에 부착되는 0.8 내지 1.4mm의 두께의 ABS 소재로 이루어진 메인시트(10);와, 프라이머를 매개로 메인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되어 무늬를 제공하고, 항균 기능을 발휘하여 바이러스를 차단 및 박멸하는 0.1 내지 0.3mm 두께의 항균시트(20);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항균시트(20)는 바이러스 침투를 방지하는 필름층(21-1);과, 필름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점착성을 발휘하는 접착층(21-2);과, 접착층을 매개로 필름층에 접합되어 필름층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메쉬층(21-3);과, 필름층에 침투 중인 바이러스를 박멸하는 항균층(21-4);으로 이루어진 항균필름(21)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층(21-4)은 면역글로불린 또는 인터페론 또는 핵산 유사물질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항바이러스제인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구 마감재 제조방법으로는 ABS 소재를 이용하여 설정 형상의 메인시트(10)를 성형하는 메인시트 준비단계(S100);와,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메인시트(10) 양면에 항균시트(20)를 접합하는 항균시트 부착단계(S200);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항균시트 부착단계(S200)는 항균 필름을 이용하여 시트를 성형하는 항균시트 성형단계(S210);와, 레이저 프린팅 방식으로 항균시트(20)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 인쇄단계(S220);를 포함하고, 상기 무늬 인쇄단계(S220)는 비디오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에 의거하여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다이오드;와,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에 조사시키기 위해 빔의 경로를 조절하는 회전다면경; 및 반사미러;와, 한 쌍의 포커스 렌즈를 구비하는 경로 조절파트;와, 경로 조절파트를 통해 주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조사된 부분에 정전잠상을 만드는 감광드럼;으로 이루어진 레이저 프린터에 항균필름(21)을 레이저 프린터에 공급하는 과정;과, PC를 이용하여 설정 무늬를 제작 및 선정하는 과정;과, 레이저 프린터를 가동시켜 선정된 무늬를 항균필름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거쳐 무늬를 인쇄하되, 상기 레이저 프린터는 다이오드와 회전다면경 사이에 설치된 제어부를 통해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빔을 회전다면경으로부터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캠구동부 및 소형캠이 구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캠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해 캠구동부와 연결된 소형캠 구동시켜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어 회전다면경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차단 내지 통과시키며, 제어부를 통해 소형캠의 작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다이오드가 예열될 때 발생되는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에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항균필름의 선단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인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구용 세이프 마감재는 총 두께를 1 내지 2mm로 제작함에 따라 자재 소모를 줄여 생산 단가를 현저하게 낮추고, 더불어 얇은 두께에 기인한 경량성이 확보되어 제품의 생산, 납품, 보관, 관리, 설치 등이 극히 용이하여지는 등 생산 및 사용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
또한, 열전사지를 이용한 무늬 인쇄로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하였던 기존의 제조법과는 달리, 레이져 프린팅을 이용하여 직접 인쇄함에 따라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나아가 열전사지의 자재비, 융착비, 인건비, 폐기물 처리비 등 인쇄 작업에 큰 비용이 들지 않아 생산자의 부담을 적극적으로 줄일 수 있다. 덧붙여 항균 기능이 보유되어 주변의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박멸함에 따라 바이러스 확산이 원천적으로 방지되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메인시트 준비단계 S200. 항균시트 부착단계
S210. 항균시트 성형단계 S211. 필름층 생성단계
S212. 메쉬층 생성단계 S213. 접착제 도포단계
S214. 항균제 도포단계 S220. 무늬 인쇄단계
10. 메인시트 20. 항균시트.
21. 항균필름 21-1. 필름층
21-2. 접착층 21-3. 메쉬층
21-4. 항균층

Claims (5)

  1. 장 길이의 띠 형태이거나 또는 재단 가능한 판지의 형태로 이루어져 가구나 인테리어 제품의 테두리 또는 모서리에 부착되는 0.8 내지 1.4mm의 두께의 ABS 소재로 이루어진 메인시트(10);와, 프라이머를 매개로 메인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되어 무늬를 제공하고, 항균 기능을 발휘하여 바이러스를 차단 및 박멸하는 0.1 내지 0.3mm 두께의 항균시트(20);로 이루어지는 가구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항균시트(20)는 바이러스 침투를 방지하는 필름층(21-1);과, 필름층의 일면에 도포되어 점착성을 발휘하는 접착층(21-2);과, 접착층을 매개로 필름층에 접합되어 필름층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메쉬층(21-3);과, 필름층에 침투 중인 바이러스를 박멸하는 항균층(21-4);으로 이루어진 항균필름(21)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층(21-4)은 면역글로불린 또는 인터페론 또는 핵산 유사물질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항바이러스제인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2. 삭제
  3. 삭제
  4. ABS 소재를 이용하여 설정 형상의 메인시트(10)를 성형하는 메인시트 준비단계(S100);와,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메인시트(10) 양면에 항균시트(20)를 접합하는 항균시트 부착단계(S200);로 이루어지는 가구 마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항균시트 부착단계(S200)는 항균 필름을 이용하여 시트를 성형하는 항균시트 성형단계(S210);와, 레이저 프린팅 방식으로 항균시트(20)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 인쇄단계(S220);를 포함하고,
    상기 무늬 인쇄단계(S220)는 비디오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에 의거하여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다이오드;와,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에 조사시키기 위해 빔의 경로를 조절하는 회전다면경; 및 반사미러;와, 한 쌍의 포커스 렌즈를 구비하는 경로 조절파트;와, 경로 조절파트를 통해 주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조사된 부분에 정전잠상을 만드는 감광드럼;으로 이루어진 레이저 프린터에 항균필름(21)을 레이저 프린터에 공급하는 과정;과, PC를 이용하여 설정 무늬를 제작 및 선정하는 과정;과, 레이저 프린터를 가동시켜 선정된 무늬를 항균필름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거쳐 무늬를 인쇄하되, 상기 레이저 프린터는 다이오드와 회전다면경 사이에 설치된 제어부를 통해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빔을 회전다면경으로부터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캠구동부 및 소형캠이 구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캠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해 캠구동부와 연결된 소형캠 구동시켜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어 회전다면경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차단 내지 통과시키며, 제어부를 통해 소형캠의 작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다이오드가 예열될 때 발생되는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에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항균필름의 선단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인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230012042A 2023-01-30 2023-01-30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2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042A KR102592047B1 (ko) 2023-01-30 2023-01-30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042A KR102592047B1 (ko) 2023-01-30 2023-01-30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047B1 true KR102592047B1 (ko) 2023-10-20

Family

ID=8851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042A KR102592047B1 (ko) 2023-01-30 2023-01-30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04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2302A (ja) * 1995-03-15 1996-10-01 Lab:Kk 抗菌性シート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07052U (ko) * 1998-09-25 2000-04-25 최재철 폴리플로필렌과 비닐을 합지한 가구모서리마감재
JP2007211219A (ja) * 2006-02-13 2007-08-23 Techno Polymer Co Ltd 機能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07535A (ja) * 2007-01-31 2008-09-11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JP2009226869A (ja) * 2008-03-25 2009-10-08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ならびに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581234B1 (ko) 2015-07-13 2015-12-31 주식회사 위노스 엣지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875343B1 (ko) 2017-11-30 2018-07-05 이흥수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44350A (ja) * 2017-03-06 2018-09-2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化粧フィルム及び装飾構造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2302A (ja) * 1995-03-15 1996-10-01 Lab:Kk 抗菌性シート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07052U (ko) * 1998-09-25 2000-04-25 최재철 폴리플로필렌과 비닐을 합지한 가구모서리마감재
JP2007211219A (ja) * 2006-02-13 2007-08-23 Techno Polymer Co Ltd 機能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07535A (ja) * 2007-01-31 2008-09-11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JP2009226869A (ja) * 2008-03-25 2009-10-08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ならびに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581234B1 (ko) 2015-07-13 2015-12-31 주식회사 위노스 엣지밴드 및 그 제조방법
JP2018144350A (ja) * 2017-03-06 2018-09-2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化粧フィルム及び装飾構造体
KR101875343B1 (ko) 2017-11-30 2018-07-05 이흥수 엣지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6903B1 (en) Transfer printing process
CN113166541B (zh) 3d打印的有机硅双网络
KR20120068706A (ko)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과 그 제조법, 광학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592047B1 (ko) 항균성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34388A (ja) スポーツ用品の構成要素の接合方法およびそれによるスポーツ用品
JP5211616B2 (ja) 真空成形用化粧シート
GB1461255A (en) Laminating process
JP3045621B2 (ja) ラミナ型熱的画像形成媒体におけるバリヤ層
JP5747614B2 (ja) 真空成形用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用いてなる化粧材
JP4334665B2 (ja) 化粧材
US6217965B1 (en) Flexographic varnishing plates
JP4564209B2 (ja) 加熱成型用表面材
JPH04249148A (ja) 床材の製造方法
JP4549588B2 (ja) 床材の製造方法
KR100238344B1 (ko) 접착층이 있는 영상매체
JP6853919B1 (ja) シリコーンゴム基材へのインクジェット印刷
JP5339044B2 (ja) 真空成形用化粧シート
GB1588063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planographic printing plate
JP3353659B2 (ja) レンズシートへの遮光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H10278197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48649A (ja) 感圧接着性プリント用シートの硬化層の接着力の安定化法
JP2001226645A (ja) 紫外線硬化型感圧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圧接着性プリント用シート
JPH06263831A (ja) レンズシート
JPH11158445A (ja) 粘着フィルムシート
JP2001262077A (ja) 紫外線硬化型感圧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圧接着性プリント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