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781A - 인쇄 소재 - Google Patents

인쇄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781A
KR20120126781A KR1020110044824A KR20110044824A KR20120126781A KR 20120126781 A KR20120126781 A KR 20120126781A KR 1020110044824 A KR1020110044824 A KR 1020110044824A KR 20110044824 A KR20110044824 A KR 20110044824A KR 20120126781 A KR20120126781 A KR 2012012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layer
absorbing layer
weight
in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춘
주명희
김창수
최민수
Original Assignee
(주)해은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은켐텍 filed Critical (주)해은켐텍
Priority to KR1020110044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6781A/ko
Priority to PCT/KR2012/003717 priority patent/WO2012154007A2/ko
Publication of KR2012012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층, 기재층, 및 잉크흡수층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트 소재로서, 출력 후 금속성의 느낌을 가지는 UV 및 솔벤트 잉크(Solvent ink) 전용 인쇄시트 소재에 관한 것으로, UV 소재로 사용되는 PET 및 기타 필름류, 평판 프린터용으로 사용되는 하드보드(hardboard)지, 알루미늄(aluminum)판, 아크릴 판, 유리판 등 다양한 소재에 응용 가능하며, 솔벤트(Solvent) 소재로 배너(banner) 제품 및 점착제품으로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UV 및 솔벤트 잉크(solvent ink)용 특수 소재에 관한 것으로 인쇄 코팅층에 일정한 수준의 불투명도를 가지게 하여 인쇄 후 금속성의 느낌을 표현하는 소재 및 그 소재를 응용하여 다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 소재{PRINTING MATERIAL}
본 발명은 인쇄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인쇄 후 금속성의 느낌을 표현하는 UV 잉크 및 솔벤트 잉크(solvent ink) 전용소재에 관한 것으로 점착제품과 비점착 제품 및 이 제품을 이용한 응용제품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프린팅 장비의 발전으로 잉크젯 프린터의 보급이 확산되고 수성 잉크젯, 유성 잉크젯, 오일 잉크젯, UV 잉크젯 등의 프린터 종류가 각각 그 영역을 달리하면서 사용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수성 잉크는 자외선, 바람, 비, 눈 등의 외부 환경에 큰 영향을 받아 출력물을 사용하는 장소가 제한되고, 또한 출력물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오버 라미네이션(over lamination )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최근에는 솔벤트 잉크용 잉크젯 프린터가 출력 속도나 출력물의 발색, 출력물의 내구성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오히려 수성 잉크용 프린터의 증가를 능가하고 있다.
솔벤트 잉크젯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잉크는 잉크 자체에 포함된 유기용제 종류에 따라 강 솔벤트와 에코 솔벤트로 나누어지며 주로 케톤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강 솔벤트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 출력할 때 잉크에서 휘발되는 용제로 인하여 환경이 오염되고 출력 작업자들의 건강에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환경에 송풍 시설 등의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출력 후 심한 솔벤트 냄새로 인하여 출력물의 옥내 사용도 어려운 점이 있다. 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약 솔벤트 또는 에코(eco) 솔벤트 잉크가 개발되어 출력환경이나 출력 후 출력물의 냄새가 거의 나지 않게 되는 친환경적인 잉크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약 솔벤트 또는 에코(eco) 솔벤트 잉크의 경우 잉크의 소재 침투력이 낮아 사용할 수 있는 소재가 한정되어 있으며 잉크 출력 후 완전히 건조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출력소재로서의 다양화를 위하여 수성 아크릴 및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전용 조액의 개발이 이루어 졌다. 또한 최근에 널리 보급이 이루어 지고 있는 UV 잉크젯의 경우 솔벤트 잉크젯에 비하여 유해 물질 배출이 이루어 지지 않으며 출력 소재에 제한이 거의 없는 잉크젯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실제로 그렇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출력 후 내스크래치성 및 내수성 내후성 등의 물성에서도 솔벤트 및 수성 잉크젯에 비하여 월등히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수성이나 솔벤트 잉크젯에 비하여 장비가 고가라는 단점이 있으나 친환경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그 사용량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특수 전용소재의 개발로 UV 및 Solvent 전용 소재의 출력 시장의 소재 다변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인쇄 후 금속성의 느낌을 표현하는 UV 및 solvent ink 전용 인쇄시트인 인쇄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층; 기재층; 및 수지와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잉크흡수층을 포함하는 것인 인쇄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수 전용소재의 개발을 통해 UV 및 Solvent 전용 소재의 출력 시장의 소재 다변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금속 증착된 필름을 사용하여 일정 수준의 불투명도 및 광택도를 가지는 잉크흡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인쇄 후 금속성 표현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시트인 인쇄소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소재는, 금속층; 기재층; 및 수지와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잉크흡수층을 포함한다.
상기 잉크 흡수층은, 실제적으로 잉크 조성물이 인쇄되는 피인쇄면으로서, 여기에 잉크 조성물이 인쇄된 후, 잉크조성물이 인쇄된 영역에 금속성(metallic)을 강조시키고, 잉크조성물이 인쇄되지 않은 영역에 상대적으로 금속성이 강조되지 않게 하는 기능층이다. 이에 잉크 흡수층의 전체 면적 중 잉크조성물이 인쇄된 영역은 메탈릭한 표현이 강조되고, 잉크조성물이 인쇄되지 않은 영역은 상대적으로 메탈릭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잉크 조성물로 인쇄한 인쇄패턴의 메탈릭한 느낌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잉크흡수층의 불투명도가 10~25%이고, 광택도가 10~25%인 경우, 그 위에 UV 잉크를 인쇄하게 되면, UV 잉크로 인쇄한 인쇄패턴의 메탈릭한 느낌이 강조되고 인쇄되지 않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메탈릭한 느낌이 적게 나게 된다.
상기 잉크흡수층은 불투명도가 1~10%이고, 광택도가 30~50%인 경우, 그 위에 솔벤트(solvent) 잉크를 인쇄하게 되면, UV 잉크로 인쇄한 인쇄패턴의 메탈릭한 느낌이 강조되고 인쇄되지 않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메탈릭한 느낌이 적게 나게 된다.
상기 잉크 흡수층의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 아크릴공중합체, PVC, PVC 공중합체, 우레탄, 우레탄 공중합체, PVB, 및 EVA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잉크 흡수층의 무기 필러로는, 실리카, 탈크, 아크릴 비드, 우레탄비드, 실리콘 비드, 티타늄디옥사이드,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및 알루미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잉크층이 UV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한 UV 잉크층인 경우, 상기 잉크흡수층은 상기 수지와 상기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잉크흡수층 코팅액으로 형성되되, 상기 무기필러가 상기 잉크흡수층 코팅액 전체 100중량% 중 5~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잉크층이 UV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한 UV 잉크층인 경우, 상기 잉크 흡수층은, 상기 수지 20~40중량%; 상기 무기 필러 5~15중량%; 용제 50~70중량%; 및 첨가제 0.1~2중량%를 포함하는 UV 잉크용 잉크 흡수층 코팅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 아크릴공중합체, PVC, PVC 공중합체, 우레탄, 우레탄 공중합체, PVB, 및 EVA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로는, 실리카, 탈크, 아크릴 비드, 우레탄비드, 실리콘 비드, 티타늄디옥사이드,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및 알루미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및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계면활성제, 레벨링제, 소포제, 및 분산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 상기 레벨링제, 상기 소포제, 및 상기 분산제로는 당업계에서 알려진 것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벨링제로는 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소포제로는 실록산계 및/또는 실리콘 폴리에스터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산제로는, 고분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저분자 불포화 카르복실산, 폴리 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잉크 흡수층은, 상기 UV 잉크용 잉크 흡수층 코팅액을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및 리버스 그라비아 중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잉크흡수층의 두께는 3~10㎛일 수 있다.
상기 잉크흡수층의 코팅 두께는 건조 전 5 ~ 20(g/m2)일 수 있으며, 건조 후 3~10㎛일 수 있다. 건조 후 두께가 3㎛ 미만인 경우 표면 광택도가 증가하여 인쇄 표면에서의 눈부심이 발생하여 증착면이 그대로 표현 될 수도 있고 10㎛을 초과하는 경우 불투명도의 증가로 인하여 인쇄면이 matte하게 되어 원하는 금속성 의 표현이 저하될 수도 있다.
상기 잉크층이 솔벤트(solvent)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한 솔벤트 잉크층인 경우, 상기 잉크흡수층은 상기 수지와 상기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잉크흡수층 코팅액으로 형성되되, 상기 무기필러가 상기 잉크흡수층 코팅액 전체 100중량% 중 0.5~4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잉크층이 솔벤트(solvent)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한 솔벤트 잉크층인 경우, 상기 잉크흡수층은, 수지 10~60중량%; 무기 필러 0.5~4중량%; 용제 10~80중량%; 가교제 0.1~13중량% 및 첨가제 0.1~13중량%를 포함하는 솔벤트(solvent) 잉크용 잉크 흡수층 코팅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 아크릴공중합체, PVC, PVC 공중합체, 우레탄, 우레탄 공중합체, PVB, 및 EVA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우레탄, PVC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물,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및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는 카보디아마이드, 멜라민, 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지리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계면활성제, 레벨링제, 소포제, 및 분산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 상기 레벨링제, 상기 소포제, 및 상기 분산제로는 당업계에서 알려진 것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벨링제로는 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소포제로는 실록산계 및/또는 실리콘 폴리에스터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산제로는, 고분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저분자 불포화 카르복실산, 폴리 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잉크흡수층은, 상기 솔벤트 잉크용 잉크 흡수층 코팅액을 콤마, 롤 코터, 및 슬롯다이(Slot Die) 중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후막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잉크흡수층의 두께는 20~40㎛일 수 있다. 이 경우 원하는 불투명도 및 금속성의 느낌을 얻을 수 있고 솔벤트 잉크로 출력 후 양호한 건조속도 및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코팅 두께는, 건조 전 80 ~ 200(g/m2)일 수 있으며, 건조 후 20~ 40㎛일 수 있다. 건조 후 코팅 두께가 20㎛ 미만인 경우 솔벤트 프린터(solvent printer)로 출력 시 잉크 건조시간이 늦고 표면 광택이 증가하여 눈부심이 발생 할 수도 있으며 40㎛를 초과하는 경우 솔벤트(solvent) 잉크 흡수성은 증가하나 불투명도가 증가하여 인쇄 후 인쇄물의 금속성 표현력이 저하되고 금속성의 느낌을 얻기가 어려울 수도 있으며 제조 후 생산 단가도 상승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층일 수 있으며, 이러한 층은 증착법(metalizing)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알루미늄 증착은, 알루미늄괴를 진공 챔버에 넣어 감압(720 ~ 740mmHg)하에서 끓이면 진공 상태에서 알루미늄 입자상태로 되면서 증기화되어 진공 챔버의 공간으로 유리 되는데, 이때 기재층으로서 플라스틱 필름을 챔버의 상단부로 통과시키면 알루미늄 입자가 플라스틱 필름에 증착되어 미세한 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기재층은, (투명) PET 필름, PP 필름, 및 PVC 필름 중에서 선택된 필름 단독 또는 2장 이상을 합지한 합지필름일 수 있다. 예컨대, 각 필름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합성지로서 PET와 PP를 합지한 필름, PET 와 PVC를 합지한 필름, PET 와 PET를 합지한 필름, 및 PET 와 종이를 합지한 필름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한 예로서 기재층은 8~18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의 하측에 구비되는, 점착층, 이형필름, 이형지, 접착층, 및 추가 기재층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층의 하부면에 구비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하부면에 구비된 이형필름층, 상기 점착층의 하부면에 구비된 추가 기재층, 상기 추가 기재층의 하부면에 구비된 추가 점착층, 및 상기 추가 점착층의 하부면에 구비된 추가 이형필름층 중 1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기재층은 8~180㎛의 투명 PET, 불투명 PET, PP, PC 등의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쇄소재는 아크릴 보드(acryl board), 폼보드, 유리, 철판, 또는 포맥스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UV 인쇄 시 사용하기도 하는 고가의 sus plate를 대체 할 수 있다.
이하에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알루미늄이 증착된 기재에 출력을 진행 했을 때 금속성의 느낌을 나타나기도 하나, 잉크가 인쇄된 부분뿐만 아니라 잉크가 뿌려지지 않은 부분의 광택으로 인하여 인쇄물 전반에서는 금속성 느낌이 많이 사라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흡수층의 불투명도 및 광택도를 조절하여, 잉크가 뿌려지는 부분에서의 금속성 느낌을 강조하고 잉크가 뿌려지지 않은 부분에서의 광택을 줄임으로서 금속성 느낌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쇄소재에 잉크를 출력 후 다른 기재에 부착 할 수 있는 점착 소재를 적용하게 되면 유리, 아크릴, 폼보드, 포맥스등의 평판기재에 부착하여 현재 SUS등 metal plate를 사용하는 고가의 인쇄물을 대체할 수도 있는 금속성의 느낌을 표현하는 소재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 솔벤트 또는 에코 솔벤트 잉크젯 프린터로 출력 후 잉크 번짐, 발색 및 건조속도가 우수한 잉크 흡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액을 제조하여,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RC지(resin coated paper) 등 다양한 기재에 코팅함으로써 현재 PVC 시트로 한정되어 있는 소재 이외에 친 환경적이면서 다양한 솔벤트 잉크젯 프린터용 출력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증착 처리된 PET 기재를 이용하여 polyester, acryl, PVC, polyurethane 등을 주 바인더로 하고 표면 광택을 줄이기 위하여 필러를 첨가하여 제조된 코팅액을 코팅하는 공정으로 이를 사용하여 banner로 사용하거나 배면 점착 처리 작업을 진행 하여 유리, 아크릴판, 포맥스, 폴리카보네이트등의 소재에 부착이 가능한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잉크 흡수층 코팅액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은 경우 모두 중량%를 의미한다.
수지를 주 바인더로 사용하는데 팰렛, 파우더, 액상 형태의 수지를 고형분 20 ~ 40 %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의 Tg 가 0도 이상이면 바람직한데, Tg 가 너무 낮으면 코팅 후 표면 끈적임이 남아 있어 배면에 붙을 우려가 있으며 Tg가 너무 높을 경우 코팅 건조 후 표면 갈라짐이 발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무기 필러는 표면 광택 및 차폐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 되었으며 필러의 종류는 실리카, 탈크, 아크릴 비드, 우레탄비드, 실리콘 비드, 티타늄디옥사이드,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알루미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필러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 표면 차폐력 및 광택도 저하가 많이 되어 금속성 느낌을 표현이 감소하게 되고 무기 필러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표면 광택이 상승하여 금속성 느낌 표현을 극대화 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첨가제는 무기 필러 분산을 위한 분산제, 코팅 시 생기는 기포 발생 억제를 위한 소포제, 코팅 시 표면 레벨링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이 증착되는 기재로는 PET film이나 PP film에 알루미늄을 증착한 기재 또는 증착 기재를 다른 소재와 합지한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이 증착된 필름 자체의 광택도는 (60°각도) 700 ~ 800 일 수 있으며, 이러한 광택을 줄이기 위하여 잉크 흡수층을 형성하게 되면 UV 전용 코팅 층의 경우 10~25%의 광택도를 유지할 수 있고, solvent 잉크젯용 코팅층의 경우 30~50%의 광택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것이라면 제한 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고형분 30 % Tg 가 (-)20 ~ 30 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코팅 두께가 20 ~ 25㎛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터수지 13.5중량%(SK chemical사 SKYBON ES106), 폴리에스터수지 13.5중량%(SK chemical사 SKYBON ES110), 용제로서 MEK 63중량%, Silica 8.5중량%(Grace사 ED5), 티타늄디옥사이드 0.5중량%(Dupont R902), 분산제 0.5 중량%(BYK사 DISPERBYK161), 레벨링제 0.5중량%(BYK사 BYK323)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1시간 교반기를 이용하여 고루 혼합하여 UV잉크용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기재층 및 금속층으로 구성된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기재(도레이 MG210)의 PET 표면에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그라비아 코팅법으로 코팅하고, 건조 후 잉크흡수층의 두께가 8㎛ 가 되도록 섭씨 80℃ 에서 열풍식으로 30초간 건조하였다.
이렇게 알루미늄층/PET층/잉크흡수층의 적층구조를 가지며, 표면 광택도가 15 인 반광 표면을 갖는 인쇄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스터수지 11.25중량%(SK chemical사 SKYBON ES106), 폴리에스터수지 11.25 중량%(SK chemical사 SKYBON ES110), 용제로서 MEK 67.5중량%, Silica 8.5중량%(Grace사 ED5), 티타늄디옥사이드 0.5중량%(Dupont R902), 분산제 0.5중량%(BYK사 DISPERBYK161), 레벨링제 0.5중량%(BYK사 BYK323)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1시간 교반기를 이용하여 고루 혼합하여 UV잉크용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기재층 및 금속층으로 구성된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기재(도레이 MG210)의 PET 표면에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그라비아 코팅법으로 코팅하고, 건조 후 잉크흡수층의 두께가 8㎛ 가 되도록 섭씨 80℃ 에서 열풍식으로 30초간 건조하였다.
이렇게 알루미늄층/PET층/잉크흡수층의 적층구조를 가지며, 표면 광택도가 12인 반광 표면을 갖는 인쇄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PVC파우더 27중량%(신에츠사 Solbin ME), 용제로서 MEK 63 중량%, Silica 8.5중량%(Grace사 ED5), 티타늄디옥사이드 0.5중량%(Dupont R902), 분산제 0.5중량%(BYK사 DISPERBYK161), 레벨링제 0.5중량%(BYK사 BYK323)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1시간 교반기를 이용하여 고루 혼합하여 UV잉크용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기재층 및 금속층으로 구성된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기재(도레이 MG210)의 PET 표면에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그라비아 코팅법으로 코팅하고, 건조 후 잉크흡수층의 두께가 8㎛ 가 되도록 섭씨 80℃ 에서 열풍식으로 30초간 건조하였다.
이렇게 알루미늄층/PET층/잉크흡수층의 적층구조를 가지며, 표면 광택도가 15인 반광 표면을 갖는 인쇄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Silica 대신 탈크(다원화학제품, PG600) 7중량% 및 티타늄디옥사이드 2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층/PET층/잉크흡수층의 적층구조를 가지며, 표면 광택도가 15인 반광 표면을 갖는 인쇄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아크릴 수지 10.5중량%로 고형분 35%의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30중량%(대원폴리머제 DA4050G), 우레탄 수지 3.5중량%로 고형분 35%의 수성 우레탄 수지 10중량%(워솔 제품 PU-170), PVC 수지 12중량%로 고형분 40%의 수성 PVC 에멀젼 수지(신에츠사 Vinblan 603) 30중량%, 용제로는 물과 IPA의 혼합용제 26중량%, 가교제 0.5중량%(제네카사제, 아지리딘), 소포제 0.5중량%(BYK사 BYK022), 레벨링제 0.5중량%(BYK사 BYK347), 분산제 0.5중량%(BYK사 BYK190), Silica 2 중량%(Grace사 ED5)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1시간 교반기를 이용하여 고루 혼합하여 솔벤트(solvent)잉크용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기재층 및 금속층으로 구성된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기재(도레이 MG210)의 PET 표면에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콤마 코팅법으로 후막 코팅하여, 건조 후 잉크흡수층의 두께가 30㎛가 되도록 섭씨 100℃ 에서 열풍식으로 3분간 건조하였다.
이렇게 알루미늄층/PET층/잉크흡수층의 적층구조를 가지며, 표면 광택도가 40인 반광 표면을 갖는 인쇄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아크릴 수지 17.5중량%로 고형분 35%의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50중량%(대원폴리머제 DA4050G), 우레탄 수지 8.75중량%로 고형분 35%의 수성 우레탄 수지 25중량%(워솔 제품 PU-170), 용제로는 물과 IPA의 혼합용제 21중량%, 가교제 0.5중량%(제네카사제, 아지리딘), 소포제 0.5중량%, 레벨링제 0.5중량%, 분산제 0.5중량%, Silica 2 중량%(Grace사 ED5)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1시간 교반기를 이용하여 고루 혼합하여 솔벤트(solvent)잉크용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기재층 및 금속층으로 구성된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기재(도레이 MG210)의 PET 표면에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콤마 코팅법으로 후막 코팅하여, 건조 후 잉크흡수층의 두께가 30㎛가 되도록 섭씨 100℃ 에서 열풍식으로 3분간 건조하였다.
이렇게 알루미늄층/PET층/잉크흡수층의 적층구조를 가지며, 표면 광택도가 40인 반광 표면을 갖는 인쇄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인쇄소재의 알루미늄층에 점착제(거명제품 GM4001)를 콤마 코팅법으로 코팅하여, 점착층의 두께가 25㎛ 가 되도록 섭씨 100℃ 에서 열풍식으로 3분간 건조한 후, 이형필름(도레이새한 XP3BR)을 합지하였다.
이에, 이형필름/점착층/알루미늄층/PET층/잉크흡수층의 적층구조를 갖는 인쇄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인쇄소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였다.
이에, 이형필름/점착층/알루미늄층/PET층/잉크흡수층의 적층구조를 갖는 인쇄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인쇄소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였다.
이에, 이형필름/점착층/알루미늄층/PET층/잉크흡수층의 적층구조를 갖는 인쇄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용제 55.5중량% 및 Silica 16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2]
용제 67.5중량% 및 Silica 4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3]
혼합용제 27중량% 및 Silica 1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4]
혼합용제 23중량% 및 Silica 5중량%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였다.
물성 평가예
실시예 1~6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잉크흡수층 코팅액 및 인쇄소재를 아래와 같은 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1. 불투명도 측정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별도의 투명 PET에 코팅한 후 GretagMacbeth Spectrolino 8mm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불투명도(%)를 측정하였다.
: 입사광(100%) 투과된 빛의 양(%)
2. 표면광택도 측정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기재(도레이 MG210) 위에 잉크흡수층 코팅액을 코팅 후, Glossmeter를 이용하여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 특정 각도(기준 60°) 에서 입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백분율
3. 금속성 표현
UV 잉크(잉크테크, IUS 잉크) 및 솔벤트 잉크(Mimaki, SS21 잉크)를 잉크흡수층 위에 프린터(잉크테크/Jetrix 프린터, Mimaki JU33-160S/프린터)로 인쇄한 후, 잉크가 인쇄된 영역과 인쇄되지 않은 영역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 우수 ○: 양호 △: 보통 X: 나쁨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1 및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잉크흡수층의 불투명도가 10~25%이고, 광택도가 10~25%인 경우, 그 위에 UV 잉크를 인쇄하게 되면, UV 잉크로 인쇄한 인쇄패턴의 메탈릭한 느낌이 강조되고 인쇄되지 않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메탈릭한 느낌이 적게 나게 된다.
또한, 상기 잉크흡수층은 불투명도가 1~10%이고, 광택도가 30~50%인 경우, 그 위에 솔벤트(solvent) 잉크를 인쇄하게 되면, UV 잉크로 인쇄한 인쇄패턴의 메탈릭한 느낌이 강조되고 인쇄되지 않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메탈릭한 느낌이 적게 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흡수층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불투명도 및 표면 광택도를 조정하여 금속성 표현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금속층; 기재층; 및 수지와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잉크흡수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잉크층이 코팅되는 인쇄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UV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한 UV 잉크층이고,
    상기 잉크흡수층은 불투명도가 10~25%이고, 광택도가 10~25%인 것인 인쇄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솔벤트(solvent)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한 솔벤트 잉크층이고,
    상기 잉크흡수층은 불투명도가 1~10%이고, 광택도가 30~50%인 것인 인쇄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UV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한 UV 잉크층이고,
    상기 잉크흡수층은 상기 수지와 상기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잉크흡수층 코팅액으로 형성되되, 상기 무기필러가 상기 잉크흡수층 코팅액 전체 100중량% 중 5~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인쇄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솔벤트(solvent)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한 솔벤트 잉크층이고,
    상기 잉크흡수층은 상기 수지와 상기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잉크흡수층 코팅액으로 형성되되, 상기 무기필러가 상기 잉크흡수층 코팅액 전체 100중량% 중 0.5~4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인쇄시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 아크릴공중합체, PVC, PVC 공중합체, 우레탄, 우레탄 공중합체, PVB, 및 EVA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인쇄시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로는, 실리카, 탈크, 아크릴 비드, 우레탄비드, 실리콘 비드, 티타늄디옥사이드,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및 알루미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인 인쇄시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 흡수층은, 상기 수지 20~40중량%; 상기 무기 필러 5~15중량%; 용제 50~70중량%; 및 첨가제 0.1~2중량%를 포함하는 UV 잉크용 잉크 흡수층 코팅액으로 형성되는 것인 인쇄시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잉크 흡수층은, 상기 UV 잉크용 잉크 흡수층 코팅액을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및 리버스 그라비아 중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것인 인쇄시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수층의 두께는 3~10㎛인 것인 인쇄시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수층은, 수지 10~60중량%; 무기 필러 0.5~4중량%; 용제 10~80중량%; 가교제 0.1~13중량% 및 첨가제 0.1~13중량%를 포함하는 솔벤트(solvent) 잉크용 잉크 흡수층 코팅액으로 형성되는 것인 인쇄시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수층은, 상기 솔벤트 잉크용 잉크 흡수층 코팅액을 콤마, 롤 코터, 및 슬롯다이 중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것인 인쇄시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수층의 두께는 20~40㎛인 것인 인쇄시트.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트.
  15.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PET 필름, PP 필름, 및 PVC 필름 중에서 선택된 필름 단독 또는 2장 이상을 합지한 합지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트.
  16.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하측에 구비되는, 점착층, 이형필름, 이형지, 접착층, 및 추가 기재층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인쇄시트.
  17.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소재는 아크릴 보드(acryl board), 폼보드, 유리, 철판, 또는 포맥스에 부착되는 것인 인쇄시트.
KR1020110044824A 2011-05-12 2011-05-12 인쇄 소재 KR20120126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824A KR20120126781A (ko) 2011-05-12 2011-05-12 인쇄 소재
PCT/KR2012/003717 WO2012154007A2 (ko) 2011-05-12 2012-05-11 인쇄 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824A KR20120126781A (ko) 2011-05-12 2011-05-12 인쇄 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781A true KR20120126781A (ko) 2012-11-21

Family

ID=4713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824A KR20120126781A (ko) 2011-05-12 2011-05-12 인쇄 소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126781A (ko)
WO (1) WO2012154007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5204A (zh) * 2014-04-26 2015-11-04 广州晶点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板材数码印花加工工艺
US9242894B2 (en) 2013-09-04 2016-01-26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for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8422710A (zh) * 2018-03-25 2018-08-21 海南广鑫印务股份有限公司 一种防伪包装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00847T2 (de) * 1994-04-14 1998-04-09 Sihl Gmbh Aufzeichnungsmaterial
JP2000238410A (ja) * 1999-02-24 2000-09-05 Mitsubishi Paper Mills Ltd 記録シートおよびラベル
JP3881560B2 (ja) * 2002-02-08 2007-02-14 紀和化学工業株式会社 仮表示層付印刷用塗装金属板
KR20060057394A (ko) * 2004-11-23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 용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2894B2 (en) 2013-09-04 2016-01-26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for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015204A (zh) * 2014-04-26 2015-11-04 广州晶点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板材数码印花加工工艺
CN108422710A (zh) * 2018-03-25 2018-08-21 海南广鑫印务股份有限公司 一种防伪包装印刷方法
CN108422710B (zh) * 2018-03-25 2019-06-28 海南广鑫印务股份有限公司 一种防伪包装印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4007A3 (ko) 2013-01-17
WO2012154007A2 (ko) 201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6802A (zh) 用水基油墨在不透水衬底上印刷
CN107848317A (zh) 具有不透水衬底的多层结构
CN102658744A (zh) 水性环保的弱溶剂型喷墨载体材料
US20160355687A1 (en) Coating composition for glitter sheet, printable glitter sheet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9863032B (zh) 耐溶剂的光泽可印刷基材及其制造和使用方法
EP3271188A1 (en) Printed decorative surface coverings
WO2010017347A1 (en) Matte substrate
CN103820046B (zh) 一种适用于喷墨打印机的贴膜及其制造方法
KR20120126781A (ko) 인쇄 소재
CN102501675A (zh) 弱溶剂哑光聚丙烯喷绘写真纸
CN106987175A (zh) Pvc封边条用水性油墨、pvc封边条及其制备方法
KR101170728B1 (ko)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벽면 접착용 잉크젯 출력용 점착 또는 접착 원단과 그 제조방법
CN107325654A (zh) 一种适应Latex墨水的喷绘涂层及其制备方法
KR100933358B1 (ko) 솔벤트 잉크용 고광택 현수막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24844A (ko) 인쇄 소재
JP2017155387A (ja) 発泡壁紙、及び発泡壁紙の製造方法
US9796867B2 (en) Coating composition for hot sealable, inkjet printable image transfer material
KR20200073449A (ko) 개선된 블록킹 방지 특성을 갖는 발포 열전사 필름
EP3020771B1 (en) Coating composition for a heat sealable, inkjet printable image transfer material
CN104327755A (zh) 一种用于电子产品的贴膜及其制造方法
KR20090096117A (ko) 열전사필름과 이의 제작방법
CN104403416A (zh) 一种防反印油墨
CN103101346A (zh) 彩色打印相纸
JP200628976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JP3722471B2 (ja) 水性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