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810B1 - 치아 모형 거치유닛 - Google Patents

치아 모형 거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810B1
KR101874810B1 KR1020170065777A KR20170065777A KR101874810B1 KR 101874810 B1 KR101874810 B1 KR 101874810B1 KR 1020170065777 A KR1020170065777 A KR 1020170065777A KR 20170065777 A KR20170065777 A KR 20170065777A KR 101874810 B1 KR101874810 B1 KR 101874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groove
intermediate block
mounting plate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호
Original Assignee
이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호 filed Critical 이헌호
Priority to KR102017006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7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합기에 장착되어 인공 치아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치아 모형 거치유닛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교합기에 분리 가능하게 안치되며, 상면에 끼움편이 돌출되어 있는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끼움편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 위에 결합되는 중간블록을 포함하는 치아 모형 거치유닛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치아 모형 거치유닛{Tooth model mounting unit}
본 발명은 교합기에 장착되어 인공 치아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치아 모형 거치유닛과 관련된다.
치과기공물은 금니, 도재 치아 등 원래의 치아를 대체하여 이식되는 치과 보철물을 말하는 데, 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6080호는 환자의 구강과 동일한 음형의 인상체를 획득하는 단계로부터 석고를 이용하여 양형의 치아모형을 제작하는 단계, 치아모형의 베이스석고부를 형성하는 단계, 치과기공물의 제작이 필요한 부분치아모형을 분리하는 소잉단계 등을 나열하고 있다.
치과기공물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 부분치아모형 또는 치아모형의 교합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교합상태의 점검은 왁싱 단계, 메탈코핑 단계 등 거의 모든 기공 과정에서 환자의 턱관절 운동을 따라 구현하는 교합기에서 수차례에 걸쳐 이루어진다.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의 음형모형으로부터 제작되는 상, 하의 치형 모형을 형성하는 데에는 종래의 기술에서 석고를 주로 사용하여 왔는데, 치과기공물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 부분적으로 치아 모형을 잘라 분리하고 이를 재조립하는 과정 중에 원래의 위치로 정확히 조립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 완성된 인공 치아는 주변 정상치아와의 결합 위치 관계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치아 모형에 장착한 상태로, 치아 모형의 의뢰인에게 보내지는데, 이때 치아 모형 거치유닛 전부가 함께 발송됨으로써 재활용할 수 있었던 부분까지 모두 버려지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5180호 (2009.08.07)
본 발명은 치아 모형 거치유닛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리와 재조립이 가능한 조립식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때 부품들간의 조립 위치가 반복된 분리와 재조립에 의해 달라지지 않도록 하며, 치과 기공술자가 다루기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교합기에 분리 가능하게 안치되며, 상면에 끼움편이 돌출되어 있는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끼움편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 위에 결합되는 중간블록을 포함하는 치아 모형 거치유닛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편은 상기 중간블록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마운팅플레이트 위에 솟아있으며, 상기 끼움편의 측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블록에는 상기 오목홈에 끼워지는 볼록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간블록에는 상부로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는 끼움부를 통해 상기 중간블록 위에 끼움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의 내벽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의 바닥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끼움홈에 형성된 주름의 중간 높이에서 상기 주름의 돌출된 부분마다 오목한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에는 각 상기 장착홈에 끼워지는 볼록한 장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형 모형 거치유닛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마운팅플레이트의 회수를 통한 재활용이 가능해진다. 마운팅플레이트 위에 결합되는 중간블록과 상부플레이트의 조립성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견고한 조립을 통해 조립된 거치유닛은 하나의 부재로 취급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모형 거치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마운팅플레이트에 관련되며, (a)는 사시도이고, (b)는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채용된 중간블록에 관련되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저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중간블록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 채용된 상부플레이트와 관련되며, (a)는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b)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실시예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모형 거치유닛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는 앞니 부분에 해당하는 치아 모형 거치유닛이고, 도 8에 도시한 실시예는 좌측 또는 우측 치열에 해당하는 치아 모형 거치유닛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 치형을 위한 치아 모형 거치유닛 등 다앙한 형상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모형 거치유닛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유닛(100)은 마운팅플레이트(10)와 중간블록(20)을 포함한다. 나아가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 구성으로 상부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마운팅플레이트(10), 중간블록(20) 및 상부플레이트(30)를 구비한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거치유닛(100)은 마운팅플레이트(10)와 중간블록(20)의 조립 및 중간블록(20)과 상부플레이트(30)의 조립으로 완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마운팅플레이트(10)는 도시를 생략한 교합기의 위치세팅유닛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재이다. 마운팅플레이트는 판형으로 제공되며, 저면에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패턴의 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홈(11)은 교합기의 위치세팅유닛의 특정 형상 돌기에 대응하는 것으로, 위치세팅유닛에 장착되는 위치를 매번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바닥 홈(11)의 형상은 위치세팅유닛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 마운팅플레이트(10) 내부에는 위치세팅유닛에 자력으로 부착되기 위한 철편(12)이 구비되어 있다. 위치세팅유닛에 자석이 구비됨으로써, 위치세팅유닛에 오른 마운팅플레이트(10)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략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는 마운팅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끼움편(13)이 돌출되어 있다. 이 끼움편(13)은 중간블록(20)의 평면 형상과 대응하는 평면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끼움편(13)을 통해 마운팅플레이트(10) 위에 중간블록(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끼움편(13)은 중간블록(20)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여 휘어진 장홀의 형태로 마운팅플레이트(10) 상면 위에 세워져 있다. 끼움편(13)은 강성과 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끼움편(13)의 측면에는 오목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홈(131)은 마운팅플레이트(10)와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형성되며, 끼움편(13)의 길이 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오목홈(131)은 끼움편(13)의 굴곡이 심하게 변경되는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비교적 완만하게 휘어지는 부분에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오목홈은 폐곡선을 이루는 끼움면의 전체 측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끼움편(13)은 다수의 슬릿(132)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이 슬릿(132)은 끼움편(13)의 탄성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5는 중간블록과 관련된다.
중간블록(20)은 마운팅플레이트(10) 위에 조립되는 부재로, 종래의 기술에서 높이를 맞추기 위해 굳혀 성형한 석고층을 대체한다.
중간블록(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정한 두께를 가지며 속이 빈 구조로, 적당한 강성과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중간블록(20)의 좌우 벽의 폭은, 끼움편들(13)의 가깥쪽 폭에 대응함에 따라, 끼움 방식으로 마운팅플레이트 위에 중간블록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끼움편(13)의 평면 형상이 중간블록(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간블록(20)의 내측면 하단부가 끼움편(13)의 둘레와 모두 접촉하게 된다. 이로써 중간블록(20)을 오조립할 우려가 없어지고 끼움편에 의한 견고한 조립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중간블록(20)의 내측면에는 끼움편(13)의 오목홈(131) 위치에 대하여 솟은 볼록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돌기(21)의 단면은 상하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중간블록(20)이 마운팅플레이트 위에서 내려오며 꽂힐 때나 위로 들려 탈거될 때에, 볼록돌기(21)가 오목홈(131)을 쉽게 타고 들어가고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중간블록(20)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볼록돌기(21)가 끼움편(13)의 상단부에 접하면서 중간블록(20)이 하강하기에, 중간블록(20)의 좌우 측면부는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중간블록(20)이 하강하다가 볼록돌기(21)가 오목홈에 수용되면서 벌어졌던 중간블록(20)의 양 측면이 복원되기 때문에, 마운팅플레이트(10) 위에 중간블록(20)을 결합하는 사용자에게 장착되었음을 촉감과 소리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올바른 장착 시에 발생하는 촉감은 마운팅플레이트(10) 위에 중간블록(20)이 완전히 장착되었는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마운팅플레이트(10)의 끼움편(13)과 중간블록(20)의 결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양자가 제대로 조립된 것인지를 판별하는 중요한 힌트로써 의미가 있다.
마운팅플레이트(10)에 중간블록(20)이 완전히 장착됨으로써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후 설명하는 부재들간의 높이를 정확히 맞출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마운팅플레이트(10)와 중간블록(20)이 결합되면, 중간블록(20)에 의해 끼움편(13)이 가려지므로, 추가적인 작업 중에 끼움편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끼움편의 굴곡이 심한 부분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이 부분에 대응하는 중간블록의 내측면에도 볼록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여, 단순히 면접하면서 끼움결합되는데, 이는 중간블록의 굴곡이 심한 내측면에까지 볼록돌기를 형성할 경우에 해당 부분이 끼움편 상단부를 통과하면서 중간블록에 영구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중간블록의 재질을 보다 연질로 제작하여 해소할 수 있겠으나, 조립감을 크게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가급적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굴곡이 심한 부분에서는 오목홈과 볼록돌기의 결합방식을 채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중간블록(20)에는 상부로 개방된 끼움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움홈(22)은 상부플레이트(30)의 하부에 구비된 끼움부(31)가 끼움 결합하는 데에 사용된다.
끼움홈(22)은 중간블록의 형상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끼움홈(22)의 마주보는 내벽에는 주름(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주름(23)의 패턴을 지그재그 형상을 취함으로써, 끼움홈(22)의 폭 변화를 최소로 하게 된다. 끼움홈(22)의 양 내벽에서 마주보는 주름(23)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하기 위해, 구심점(P)에 가까운 내벽에 형성된 주름(23)의 간격이, 구심점(P)에서 멀리 떨어진 내벽에 형성된 주름(23)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한 내벽에서 주름(23)의 마루(231)가 형성되면, 이에 마주보는 내벽의 주름(23)은 골(232)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도 4와 도 7을 참고하면, 평면상 완만하게 휘어진 끼움홈(22)의 구심점(P)을 통과하는 가상선들(L)을 따른 끼움홈(22)의 단면을 살펴보면, 어느 한 쪽에 주름의 마루(231)가 형성될 때에 타측에는 골(232)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주름은,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끼움부(31)의 횡 방향 두께 변화를 가능한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부플레이트(30)는 필요에 따라 다수로 절개하여 부분 모형(도 1의 40 참고)을 만들 수 있는데, 끼움부(31)의 횡 방향 두께 변화가 거의 없게 됨으로써, 톱질에 따른 끼움부(31)의 파단이나, 해당 부붐 모형(40)의 오조립의 우려를 덜게 된다.
또한 끼움홈(22)의 양 내벽은 아래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경사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끼움홈(22)으로 삽입되는 끼움부(31)를 끼움홈(22)의 위로 정확히 맞추지 아니하여도 손쉽게 끼움홈(22)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끼움홈(22)의 바닥에는 다수의 절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24)는 소정의 폭으로 끼움홈(22)의 바닥을 다수로 나누게 되는데, 이 절개부는 끼움홈의 탄성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일어나게 돕는다. 특히 아래로 갈수록 가까워지는 주름진 양 내벽의 하단부가 벌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끼움부(31)의 장착돌기(321)와 끼움홈(22) 내의 장착홈(233)의 결합을 돕는다.
또한 끼움홈(22)의 내벽에 형성된 주름(23)의 돌출된 부분(주름의 마루(231)에 해당함)마다 오목한 장착홈(233)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홈(233)의 높이는 모든 주름(23)에서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2 및 도 6은 상부플레이트와 관련된다.
상부플레이트(30)는 상면이 경사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된 판형 부재로, 중간블록(20)의 끼움홈(22)을 통해 중간블록(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부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복수의 핀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핀들은 음형의 인상에 석고를 부어 치아 모형을 형성할 때에 함께 석고 안에 매립되어 치아 모형을 단단히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핀을 대체하여 임의의 형상을 가진 구조물로 대체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30)의 하면에는 끼움홈(22)에 끼워지는 끼움부(31)가 돌출되어 있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끼움부(31)는 주름진 끼움홈에 대응하여 외측면이 주름진 형상이다. 끼움부(31)의 주름(32) 패턴은 끼움홈(22)과 동일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30)의 일부를 절개하여 부붐 모형(40)을 나누었을 때에, 이 부붐 모형(40)이 원래의 위치의 끼움홈(22)에만 맞아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끼움부(31)의 주름(32)의 골마다, 끼움홈(22) 주름(23)의 마루에 형성한 장착홈(233)에 대응하는 장착돌기(321)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홈(233)과 장착돌기(321)는, 상부플레이트(30)를 중간블록(20)에 정확히 안착하였을 때에 맞물려 들어가면서 사용자에 촉감과 소리를 전달하므로, 상부플레이트(30)가 중간블록(20)에 정확히 장착되었는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모든 끼움부(31)의 주름(32)마다 장착돌기(321)가 구비되고, 끼움홈(22)의 모든 주름(23) 마루마다 장착홈(233)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플레이트(30)를 부분으로 나눈 부붐 모형(40)에서도 이러한 장착 감각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유닛의 개략적인 단면으로, 시각적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를 과장하였으며, 또 일부는 생략한 것이다. 해당 단면도는 도 4의 A - A 선의 방향에 대응한다.
마운팅플레이트(10)의 상면과 끼움홈(22)의 바닥과의 사이에 뜰뜬 공간(S1)이 형성되며, 상부플레이트(30)의 끼움부(31)와 끼움홈(22)의 바닥 사이에도 들뜬 공간(S2)이 형성된다. 이 들뜬 공간(S1, S2)은 마운팅플레이트의 바닥에 일부 이물질(예를 들어 석고 조각)이 있더라도 중간블록(20)의 온전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끼움홈(22)의 바닥에 다소의 이물질이 있더라도 상부플레이트(30)의 끼움부(31)가 의도한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플레이트(30)를 삽입하거나 탈거하는 과정 중에 끼움홈(22)의 양 내벽이 장착돌기(321)에 의해 다소간 벌어질 때에, 끼움홈 바닥의 탄성 변형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들뜬 공간(S1, S2)에도 불구하고 각 부재의 장착 높낮이는 매번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마운팅플레이트(10)와 중간블록(20)의 결합에 있어서는 끼움편(13)의 오목홈(131)과 중간블록(20)의 볼록돌기(21)의 맞물림 및 중간블록(20)의 벽면 하단이 마운팅플레이트(10) 위에 접촉함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중간블록(20)과 상부플레이트(30)의 결합에서는 끼움홈(22)에 형성된 장착홈(233)과 상부플레이트(30)의 끼움부(31)에 형성된 장착돌기(321)의 맞물림을 통해 이뤄진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모형 거치유닛과 관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유닛(100)은 마운팅플레이트(10)와 중간블록(20)을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마운팅플레이트(10)에는 끼움편(13)이 구비되며, 이 끼움편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블록(20)은 끼움편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면에는 오목홈에 대응하는 볼록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블록(20)은 측면들을 포함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단면이나 끼움홈을 형성하고 있지 아니하다.
중간블록의 측벽 하부에는 마운팅플레이트(10)의 끼움편(13)를 가리는 가름막(234)이 형성되어 있다. 가름막(234)는 중간블록에 부어지는 석고가 끼움편(13)과 볼록돌기의 결합부위에 이르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나중에 마운팅플레이트(10)에서 중간블록(20)의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중간블록(20)에 형성되는 석고층의 두께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가름막(234)의 중앙부분은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름막(234)은 중간블록의 측벽 두께보다 얇은 두께롤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중간블록(20)은 석고로 중간블록의 빈 내부 공간을 채워 사용한다. 부어진 석고의 상단에는 채득한 인상으로부터 양각으로 생성한 치형이 붙게 된다. 그 결과 상부플레이트 없이 치형 모형을 이루는 석고가 중간블록 내부를 모두 채우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치형 모형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과기공물 제작에 유용한 것으로, 모형 치아가 위치한 상부로부터 길이가 긴 임플란트 대용 부재들을 중간블록의 내부로 장착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유닛은 각 부재가 분리 가능함에 따라 완성된 치과기공물을 납품할 때에, 치형이 오른 상부플레이트(부분 모형 포함)와 중간블록을 보내고, 마운팅플레이트는 회수함으로써 마운팅플레이트의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마운팅플레이트 위에 중간블록과 상부플레이트의 조립이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반복된 조립과 분해 시에도 치아 모형의 장착 위치가 매번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에 따라 정밀한 치형 제작이 가능하므로 모형 치아의 품질이 향상되어 시술받는 환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또한 기공술사가 거치유닛을 조립함에 있어 정화기 조립되었는지를 촉감이나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잘못된 조립에 의한 생산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조립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100 : 거치유닛
10 : 마운팅플레이트
11 : 홈 12 : 철편 13 : 끼움편 131 : 오목홈 132 : 슬릿
20 : 중간블록
21 : 볼록돌기 22 : 끼움홈
23 : 주름 231 : 마루 232 : 골 233 : 장착홈 234 : 가름막
P : 구심점 L : 가상선 24 : 절개부
30 : 상부플레이트 31 : 끼움부 32 : 주름 321 : 장착돌기
40 : 부분 모형 S1, S2 : 공간

Claims (4)

  1. 교합기에 분리 가능하게 안치되며, 상면에 끼움편이 돌출되어 있는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끼움편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 위에 결합되며, 상부로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홈의 마주보는 내벽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블록 및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는 끼움부를 통해 상기 중간블록 위에 끼움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의 바닥에는 상기 바닥을 다수로 분할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홈에 형성된 주름의 중간 높이에서 상기 주름의 돌출된 부분마다 오목한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에는 각 상기 장착홈에 끼워지는 볼록한 장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치아 모형 거치유닛.
  2. 제1항에서,
    상기 끼움편은
    상기 중간블록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마운팅플레이트 위에 솟아있으며, 상기 끼움편의 측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블록에는 상기 오목홈에 끼워지는 볼록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치아 모형 거치유닛.
  3. 제1항에서,
    굽어진 상기 끼움홈의 구심점에 가까운 내벽에 형성된 주름의 간격이, 상기 구심점에서 멀리 떨어진 내벽에 형성된 주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며,
    평면상 완만하게 휘어진 상기 끼움홈의 구심점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따른 상기 끼움홈의 단면에서, 어느 한 쪽에 주름의 마루가 형성될 때에 타측에는 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모형 거치유닛.
  4. 삭제
KR1020170065777A 2017-05-29 2017-05-29 치아 모형 거치유닛 KR101874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777A KR101874810B1 (ko) 2017-05-29 2017-05-29 치아 모형 거치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777A KR101874810B1 (ko) 2017-05-29 2017-05-29 치아 모형 거치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810B1 true KR101874810B1 (ko) 2018-07-05

Family

ID=6292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777A KR101874810B1 (ko) 2017-05-29 2017-05-29 치아 모형 거치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690A (ko) * 2020-10-28 2022-05-06 박규태 발치 연습용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421A (ja) 2003-06-25 2005-01-20 Toraisu:Kk 歯科技工のための補綴物製作用可撤模型の基台
KR101381745B1 (ko) 2012-09-17 2014-04-07 김기수 치과 기공용 보철물의 모형 조립체
JP5486598B2 (ja) * 2009-06-16 2014-05-07 智恵美 寺本 歯科作業模型の基台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84010A (ja) 2013-03-23 2014-10-02 Yoshio Matsunaka 歯科補綴物作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421A (ja) 2003-06-25 2005-01-20 Toraisu:Kk 歯科技工のための補綴物製作用可撤模型の基台
JP5486598B2 (ja) * 2009-06-16 2014-05-07 智恵美 寺本 歯科作業模型の基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81745B1 (ko) 2012-09-17 2014-04-07 김기수 치과 기공용 보철물의 모형 조립체
JP2014184010A (ja) 2013-03-23 2014-10-02 Yoshio Matsunaka 歯科補綴物作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690A (ko) * 2020-10-28 2022-05-06 박규태 발치 연습용 기구
KR102415340B1 (ko) * 2020-10-28 2022-06-30 박규태 발치 연습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6297B2 (en) Dental model
KR19990087401A (ko) 단일 치아 복구 시스템
JP2007151767A (ja) 間接法作業模型
KR101518709B1 (ko) 투명 교정 장치 제조 방법
JP2001511681A (ja) 歯科鋳造用鋳型装置
EP3202367B1 (en) Dental prosthesis manufacture method
KR101538289B1 (ko)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을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용 임플란트 구조물
US20170304033A1 (en) Form for producing a pre-molded prosthesis-base blank
WO1998035629A9 (en) Dental casting mold device
KR101273394B1 (ko) 탈부착식 픽스쳐 레벨 및 어뷰트먼트 레벨 임플란트 아날로그
KR101874810B1 (ko) 치아 모형 거치유닛
KR101158545B1 (ko)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JP5486650B2 (ja) 歯科作業模型の嵌合装置
JP2006223693A (ja) 間接法作業模型
JP7007908B2 (ja) 歯科用交換部品のモデル作成方法
US20210161627A1 (en) Method for designing denture, method for producing denture and positioning means
JP6865482B1 (ja) 歯列矯正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340118B2 (ja) 間接法作業模型
KR101518711B1 (ko) 투명 교정 장치 제조 방법
KR101518710B1 (ko) 투명 교정 장치 제조 방법
KR101463422B1 (ko) 투명 교정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제조 방법
KR101013215B1 (ko) 치아보철 제작용 모형조립체
KR20120054962A (ko) 치모형 제작 장치
KR101337123B1 (ko) 기공 보철물 고정 판넬 건식 핀
US2247013A (en) Dental impression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