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499B1 - 커튼월의 환기 구조 - Google Patents

커튼월의 환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499B1
KR101874499B1 KR1020170014051A KR20170014051A KR101874499B1 KR 101874499 B1 KR101874499 B1 KR 101874499B1 KR 1020170014051 A KR1020170014051 A KR 1020170014051A KR 20170014051 A KR20170014051 A KR 20170014051A KR 101874499 B1 KR101874499 B1 KR 10187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urtain wall
glass plate
ventila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성
Original Assignee
강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성 filed Critical 강민성
Priority to KR102017001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면에 유리판 받침턱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유리판 받침턱의 상부와 하부에 끼워져 실리콘에 의해 이탈방지토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커튼월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흡기공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후방에는 배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리판 받침턱의 하단과 유리판의 상단 사이에 다수개의 통기관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통기관을 제외한 다른 모든 부분은 실리콘으로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커튼월의 환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프레임에 통풍이 가능한 환기구조를 형성하여 건물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창을 형성하지 않고도 환기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커튼월의 환기 구조{Ventila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frame}
본 발명은 커튼월의 환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월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통풍이 가능한 환기구조를 형성하여 건물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창을 형성하지 않고도 환기될 수 있도록 하는 커튼월의 환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축구조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기 위해 커튼 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튼월(curtain wall)이라 함은 건물의 주체 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 상에 외부로부터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수평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체로서, 유리벽체와 같은 패널마감재를 탈부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체를 말하며, 통상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들 프레임에 장착되는 어댑터(adapter) 부재를 매개로 해서 복층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벽체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커튼월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구조물(A)과, 상기 건축구조물(A)에 설치되는 브래킷 부재(B)와, 상기 브래킷 부재(B)에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종래의 프레임(10)과; 상기 종래의 프레임(10)에 결합되고 중간프레임을 구비하는 종래의 어댑터(30)와; 상기 종래의 어댑터(30)에 의해 지지되는 유리벽체(C)와, 상기 종래의 어댑터(30)에 결합된 중간프레임의 외관을 마감하기 위해 중간프레임에 체결구(50)로 결합되는 종래의 장식프레임(60)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튼월은 동일 규격의 프레임 및 유리벽체 등을 공장에서 대량 생산하여 현장에서 시공함으로써 건물의 하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긴 하나, 주로 커튼월은 고층의 건축구조물에 사용되므로 환기를 위해서는 별도의 환기창을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는 프레임과 유리만으로 형성되는 커튼월의 구조 상 별도의 환기창을 형성하기란 쉽지 않다. 또한 환기창을 열었을 때 먼지 및 벌레 등의 유입에 대한 별도의 대책을 강구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 제10-2008-0014719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월에 별도의 환기창을 형성하지 않고도 환기를 가능하게 하고, 또 집진과 방충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일측면에 유리판 받침턱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유리판 받침턱의 상부와 하부에 끼워져 실리콘에 의해 이탈방지토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커튼월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흡기공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후방에는 배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리판 받침턱의 하단과 유리판의 상단 사이에 다수개의 통기관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통기관을 제외한 다른 모든 부분은 실리콘으로 밀폐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통기관은 직각으로 절곡되되 흡기부는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고 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배기부는 프레임의 전방부에 형성된 흡기공과 연통되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통기관이 노출되지 않도록 유리판 받침턱의 전방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는 다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덮개에 의해 결합되어 은폐되도록 하되, 상기 커버와 덮개 하단에는 통기관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전방부에 형성된 흡기공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되 흡기공의 양단에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에는 연결대가 결합되되 상기 연결대에 의해 통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배기공에는 통풍을 차단할 수 있는 개폐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개폐장치에는 먼지와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의 환기 구조의 효과로는 커튼월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통풍이 가능한 환기구조를 형성하여 건물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창을 형성하지 않고도 환기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튼월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커튼월의 프레임과 유리벽체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의 환기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V-V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W-W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통기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의 환기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의 환기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V-V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W-W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통기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의 환기 구조는,
일측면(건물의 전방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에 유리판 받침턱(120)을 구비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유리판 받침턱(120)의 상부와 하부에 끼워져 실리콘(B)에 의해 이탈방지토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유리판(A)으로 이루어지는 커튼월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흡기공(111)이 형성되고 프레임(110)의 후방에는 배기공(113)이 형성되며, 상기 유리판 받침턱(120)의 하단과 유리판(A)의 상단 사이에 다수개의 통기관(140)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한다.
상기 통기관(140)은 직각으로 절곡되되 흡기부(140a)는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고 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배기부(140b)는 프레임(110)의 전방부에 형성된 흡기공(111)과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통기관(140)을 제외한 다른 모든 부분은 실리콘(B)으로 밀폐하여 외부의 공기는 통기관(140)을 통해서만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흡기공(111)은 유리판 받침턱(120)의 높이보다 하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유리판 받침턱(120)의 상단에는 유리판(A)이 얹혀 상당한 무게가 가해지기 때문이고, 따라서 통기관(140)은 유리판(A)의 무게가 가해지지 않고 약간의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유리판 받침턱(120)의 하단과 유리판(A)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즉 통기관(140)이 유리판 받침턱(120)보다 낮은 곳에 설치되므로 상기 통기관(140)과 수평으로 연통되기 위해서는 흡기공(111)도 유리판 받침턱(120)의 높이보다 하부에 형성되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통기관(140)이 노출되지 않도록 유리판 받침턱(120)의 전방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121)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121)는 다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덮개(122)에 의해 결합되어 은폐되도록 하되, 상기 커버(121)와 덮개(122) 하단에는 통기관(14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개부(121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121) 및 덮개(122)와 절개부(121a)는 통기관(140)을 감싸서 유리판(A) 보다 앞쪽으로 돌출되는 통기관(140)을 보호하면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이때 유리판 받침턱(120)에 커버(121)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120a)은 나사가 바람직하나, 공지의 체결수단인 볼트 또는 리벳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커버(121)와 덮개(122)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122a)는 걸림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접착제 또는 공지의 체결수단으로도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부에 형성된 흡기공(111)은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되 흡기공(111)의 양단에는 결합홈(112)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112)에는 연결대(130)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130a)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흡기공(111)이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프레임(110)을 압출해서 제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흡기공(111)에 결합되는 연결대(130)를 일정간격 간헐적으로 끼워서 결합하거나 연결대(130)에 다수개의 통공(130b)을 형성함으로써 연결대가 흡기공(111)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공기의 흐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10)의 흡기공(111)의 타측에는 흡기공(111)을 통해 유입된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기공(113)이 형성되어져야 한다. 이때 배기공(113)의 위치는 크기와 공기의 흐름을 감안하여 프레임(110)의 저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기공(113)에는 통풍을 차단할 수 있는 개폐장치(15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할 때 환기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장치(150)는 걸림턱(151a)과 통기구(152)을 구비하는 몸체(151)와, 상기 몸체(151)의 일측에 형성된 개폐구(153a)를 구비하는 손잡이(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153)는 회전가능한 구조여서 손잡이(153)을 회전시키면 개폐구(153a)도 따라서 회전하면서 통기구(152)를 차단하거나 오픈시키게 된다.
상기 몸체(151)는 프레임(110)의 배기공(113)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며, 또 몸체(151)의 일측에는 필터(160)를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먼지와 벌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프레임 111: 흡기공
113: 배기공
120: 유리판 받침턱
121: 커버 122: 덮개
130: 연결대 140: 통기관
150: 개폐수단 160: 필터
A: 유리판 B: 실리콘

Claims (6)

  1. 일측면에 유리판 받침턱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유리판 받침턱의 상부와 하부에 끼워져 실리콘에 의해 이탈방지토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유리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흡기공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후방에는 배기공이 형성되는 커튼월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 받침턱의 하단과 유리판의 상단 사이에 직각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통기관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통기관을 제외한 다른 모든 부분은 실리콘으로 밀폐되도록 하되,
    상기 통기관의 흡기부는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배기부는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전방부에 형성된 흡기공과 연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의 환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이 노출되지 않도록 유리판 받침턱의 전방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는 다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덮개에 의해 결합되어 은폐되도록 하되, 상기 커버와 덮개 하단에는 통기관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의 환기 구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부에 형성된 흡기공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되 흡기공의 양단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연결대가 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대에 의해 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의 환기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배기공에는 통풍을 차단할 수 있는 개폐장치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의 환기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에는 먼지와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의 환기 구조.
KR1020170014051A 2017-01-31 2017-01-31 커튼월의 환기 구조 KR10187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51A KR101874499B1 (ko) 2017-01-31 2017-01-31 커튼월의 환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51A KR101874499B1 (ko) 2017-01-31 2017-01-31 커튼월의 환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499B1 true KR101874499B1 (ko) 2018-07-04

Family

ID=6291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051A KR101874499B1 (ko) 2017-01-31 2017-01-31 커튼월의 환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4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76B1 (ko) * 2014-11-07 2015-06-25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지지력이 보강된 커튼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76B1 (ko) * 2014-11-07 2015-06-25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지지력이 보강된 커튼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404B1 (ko) 착탈식 방충망이 구성되는 에어컨 실외기용 환기창
JP6168920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用無目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TWM529723U (zh) 屋頂之通風構造
KR101874499B1 (ko) 커튼월의 환기 구조
JP5290736B2 (ja) 建具
JP539276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JP529995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795578B1 (ko) 시선 차단기능을 갖는 도어용 방충망
KR100675621B1 (ko)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JPS5931906Y2 (ja) ヤネツキデマド
KR20180078667A (ko) 범용성을 구비하는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JP3405705B2 (ja) 換気ガラリ
JP6353358B2 (ja) 面格子の取付構造
JP2005232745A (ja) 多角形窓用コーナー部品、コーナー部品を備えた多角形窓
KR101963719B1 (ko) 환기용 루버 설치구조
JP7057185B2 (ja) 室内建具
JP5385621B2 (ja) 床用ガラリ
KR101566931B1 (ko) 커튼월 공틀일체형 구조
JPH072948Y2 (ja) 外付サッシ
JPH0537151Y2 (ko)
JP3166824U (ja) ルーバー付障子
RU49876U1 (ru) Рамный пвх-профиль
JPS597991Y2 (ja) 組子付小窓の組立構造
KR20230156640A (ko) 장착 가이드가 구비된 창호형 환기장치
JP3277322B2 (ja) 障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