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588B1 - 추력 발생 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및 스태빌라이저 - Google Patents
추력 발생 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및 스태빌라이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3588B1 KR101873588B1 KR1020110095881A KR20110095881A KR101873588B1 KR 101873588 B1 KR101873588 B1 KR 101873588B1 KR 1020110095881 A KR1020110095881 A KR 1020110095881A KR 20110095881 A KR20110095881 A KR 20110095881A KR 101873588 B1 KR101873588 B1 KR 1018735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vature
- radius
- lamp
- inclined grooves
-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7—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on a disc bra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18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with reciprocation along the axis of oscil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36—Helical cams, Ball-rotating ra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07—Auxiliary mechanisms for non-linear ope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앤드 램프 기구의 한 쌍의 램프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추력 발생 장치 및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추력 발생 장치(1a)의 볼 앤드 램프 기구(3a)는,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지고, 직경 방향 단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경사홈(6a, 7a)을 복수 갖는 한 쌍의 회전 램프 부재(4a) 및 직동 램프 부재(5a)와, 각 램프 부재(4a, 5a)의 경사홈(6a, 7a) 사이에 개재되고, 회전 램프 부재(4a)로부터 직동 램프 부재(5a)에 힘을 전달하는 구 부재(10)를 가지며, 경사홈(6a, 7a)에서의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의 범위 내에서, 경사홈(6a, 7a)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Ra, Rb, Rc)이 상이한 부위를 갖기 때문에, 회전 램프 부재(4a) 및 직동 램프 부재(5a)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추력 발생 장치(1a)의 볼 앤드 램프 기구(3a)는,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지고, 직경 방향 단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경사홈(6a, 7a)을 복수 갖는 한 쌍의 회전 램프 부재(4a) 및 직동 램프 부재(5a)와, 각 램프 부재(4a, 5a)의 경사홈(6a, 7a) 사이에 개재되고, 회전 램프 부재(4a)로부터 직동 램프 부재(5a)에 힘을 전달하는 구 부재(10)를 가지며, 경사홈(6a, 7a)에서의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의 범위 내에서, 경사홈(6a, 7a)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Ra, Rb, Rc)이 상이한 부위를 갖기 때문에, 회전 램프 부재(4a) 및 직동 램프 부재(5a)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추력 발생 장치 및 상기 추력 발생 장치를 적용한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스태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동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한 회전력을 볼 앤드 램프 기구에 의해 직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추력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추진하고 브레이크 패드를 압박하여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디스크 브레이크에서는, 볼 앤드 램프 기구의 한 쌍의 램프 부재의 경사홈에서의 구(球) 부재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에서,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을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경사홈의 특정 부위에서 내구성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볼 앤드 램프 기구의 램프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추력 발생 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및 스태빌라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추력 발생 장치는, 축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는 압박 부재와, 회전력을 직동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압박 부재를 추진하는 볼 앤드 램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볼 앤드 램프 기구는,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지며, 직경 방향 단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경사홈을 복수 갖는 한 쌍의 램프 부재와, 각 램프 부재의 경사홈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한 쌍의 램프 부재 중 한쪽 램프 부재로부터 다른쪽 램프 부재에 힘을 전달하는 구름 부재(rolling member)를 가지며, 상기 경사홈은, 상기 구름 부재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를 갖고, 상기 궤적 범위 내에서, 상기 경사홈은 상기 구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변화하는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력 발생 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및 스태빌라이저에 의하면, 볼 앤드 램프 기구의 램프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간의 중앙 단면으로부터 양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을 각각 본 평면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구성인 볼 앤드 램프 기구의 둘레 방향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경사홈의 곡률 반경 및 통과 빈도와 전달력의 상관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의 곡률 반경과 전달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가 채용된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에 채용된 볼 앤드 램프 기구의 사시도.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경사홈의 곡률 반경 및 통과 빈도와 전달력의 상관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의 곡률 반경과 전달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경사홈의 곡률 반경 및 통과 빈도와 전달력의 상관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의 곡률 반경과 전달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경사홈의 곡률 반경 및 통과 빈도와 전달력의 상관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의 곡률 반경과 전달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의 둘레 방향 단면도.
도 1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평면도.
도 16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가 채용된 스태빌라이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스태빌라이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간의 중앙 단면으로부터 양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을 각각 본 평면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구성인 볼 앤드 램프 기구의 둘레 방향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경사홈의 곡률 반경 및 통과 빈도와 전달력의 상관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의 곡률 반경과 전달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가 채용된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에 채용된 볼 앤드 램프 기구의 사시도.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경사홈의 곡률 반경 및 통과 빈도와 전달력의 상관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의 곡률 반경과 전달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경사홈의 곡률 반경 및 통과 빈도와 전달력의 상관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의 곡률 반경과 전달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경사홈의 곡률 반경 및 통과 빈도와 전달력의 상관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의 곡률 반경과 전달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각 경사홈의 둘레 방향 단면도.
도 1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의 볼 앤드 램프 기구에서, 회전 램프 부재 및 직동 램프 부재의 평면도.
도 16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가 채용된 스태빌라이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스태빌라이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 1∼도 17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a)를 도 1∼도 5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a)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는 압박 부재(2)와, 회전력을 직동 운동으로 변환하여 압박 부재(2)를 추진하는 볼 앤드 램프 기구(3a)를 구비하고 있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 앤드 램프 기구(3a)는,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지고, 직경 방향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된 경사홈을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지점) 갖는 한 쌍의 램프 부재(4a, 5a)와, 상기 각 램프 부재(4a, 5a)의 경사홈(6a, 7a) 사이에 개재되며, 한 쌍의 램프 부재(4a, 5a) 중 회전 램프 부재(4a)(한쪽 램프 부재)로부터 직동 램프 부재(5a)(다른쪽 램프 부재)에 추력을 전달하는 구 부재(10)(구름 부재, 볼)를 구비한다.
회전 램프 부재(4a)에는 회전축(11)이 연결되어 있다. 회전 램프 부재(4a)는, 하우징(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직동 램프 부재(5a)는, 하우징(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램프 부재(4a)를 직동 램프 부재(5a)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면, 경사진 경사홈(6a, 7a) 사이를 구 부재(10)가 구르는 것에 의해, 직동 램프 부재(5a)가 회전 램프 부재(4a)의 회전 각도에 따라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직동)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램프 부재(4a) 및 직동 램프 부재(5a)의 각 경사홈(6a, 7a)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각 경사홈(6a, 7a) 중 대표적으로 경사홈(6a)을 도시하고 있지만, 경사홈(7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각 경사홈(6a, 7a)은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홈(6a, 7a)은, 그 직경 방향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홈(6a, 7a)은, 상기 경사홈을 구르는 구 부재(10)가, 상기 경사홈과 접촉하는 궤적 범위를 갖고 있다. 그리고, 궤적 범위에서의 시단부(도 5의 A-A 부분), 중간부(도 5의 B-B 부분), 및 종단부(도 5의 C-C 부분)에서, 각각의 경사홈의 곡률 반경(Ra, Rb, Rc)이 상이하다.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램프 부재(4a) 및 직동 램프 부재(5a)의 각 경사홈(6a, 7a)은,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홈의 깊이가 둘레 방향을 따라 얕아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구 부재(10)에 의한 회전 램프 부재(4a)로부터 직동 램프 부재(5a)로의 추진 전달력(Fa, Fb, Fc)이, 각 경사홈(6a, 7a)의,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점차 커진다.
각 경사홈(6a, 7a)의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전체 범위에서, 구 부재(10)가 통과하는 통과 빈도가 대략 동일한 경우에는, 각 경사홈(6a, 7a)의 곡률 반경(Ra, Rb, Rc)은 상기 궤적 범위의 시단부에서 가장 크고, 상기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점차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즉, 제1 실시형태에서는, 시단부에서의 곡률 반경(Ra)>중간부에서의 곡률 반경(Rb)>종단부에서의 곡률 반경(Rc)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경사홈(6a, 7a)의 전달력(Fa)이 작은 부위(시단부)의 곡률 반경(Ra)보다, 전달력(Fc)이 큰 부위(종단부)의 곡률 반경(Rc)이 작게 설정된다. 더 상술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달력(Fa)이 작은 부위(도 4의 소의 범위)에서는 곡률 반경(Ra)이 작아지는 변화율이 커져 있다. 한편, 전달력(Fb)이 중간인 부위(도 4의 중의 범위)로부터 전달력(Fc)이 큰 부위(도 4의 대의 범위)에 이르는 범위에서는, 곡률 반경(Rb, Rc)이 작아지는 변화율이 대략 일정하고 전달력(Fa)이 작은 부위보다 각별히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각 경사홈(6a, 7a)의 곡률 반경이 작아질수록, 구 부재(10)가 각 경사홈(6a, 7a)에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경사홈(6a, 7a)의 곡률 반경(Ra, Rb, Rc)을 상기 궤적 범위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점차 작아지도록 설정하고, 구 부재(10)에 의한 회전 램프 부재(4a)로부터 직동 램프 부재(5a)로의 추진 전달력(Fa, Fb, Fc)이 각 경사홈(6a, 7a)의 상기 궤적 범위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점차 커진다. 따라서, 추진 전달력(Fa, Fb, Fc)의 증가분에 맞춰 구 부재(10)와 각 경사홈(6a, 7a)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곡률 반경(Ra, Rb, Rc)을 설정함으로써, 각 경사홈(6a, 7a)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에 이르는 전체 범위에서 구 부재(10)와의 접촉면압(Herts 응력)을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램프 부재(4a) 및 직동 램프 부재(5a)의 내구성의 향상에는, 박리 수명 및 마모 수명의 향상이 요구된다. 박리 수명의 관점에서는, 구 부재(10)가 경사홈(6a, 7a)을 큰 하중으로 압박하여 접촉면압이 커지면, 경사홈(6a, 7a)의 재료 내부의 전단 응력이 커져 내부로부터 박리가 발생한다. 이것으로부터, 각 경사홈(6a, 7a)과 구 부재(10)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고 접촉면압을 작게 하여, 박리의 원인인 내부의 전단 응력을 작게 해야 한다.
한편, 마모 수명의 관점에서는, 구 부재(10)가 원호형 경사홈(6a, 7a)을 구를 때에, 원호형의 경사홈(6a, 7a) 내에서의 외주측의 둘레 길이와 내주측의 둘레 길이 사이의 차에 의해, 구 부재(10)와 원호형 경사홈(6a, 7a)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이 미끄러짐에 의해 마모가 발생한다. 이 미끄러짐은, 구 부재(10)의 구름 속도가 빠를수록, 그리고 구 부재(10)와 경사홈(6a, 7a)의 접촉 면적이 클수록 커지기 때문에, 각 경사홈(6a, 7a)과 구 부재(10)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해야 한다.
즉, 제1 실시형태와 같이 구 부재(10)가 원호형의 경사홈(6a, 7a)을 구르는 경우, 박리 수명을 길게 하기 위해서는 각 경사홈(6a, 7a)과 구 부재(10)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수록 좋고, 또한 마모 수명을 길게 하기 위해서는 각 경사홈(6a, 7a)과 구 부재(10)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수록 좋기 때문에, 박리 수명과 마모 수명은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궤적 범위의 전체 범위에서 각 경사홈(6a, 7a)과 구 부재(10)의 접촉면압을 대략 일정하게 함으로써, 박리 수명을 확보하면서, 마모 수명도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도 4는, 박리 수명의 수명 횟수와 통과 빈도(횟수)의 관계와, 이 수명 횟수를 얻기 위한 곡률 반경과 전달력[구 부재(10)가 경사홈(6a, 7a)에 작용하는 발생 축력]의 관계를, 하나의 그래프로 표시한 것이다. 이 도 4에서는, 구 부재(10)가 각 경사홈(6a, 7a)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까지의 전역을 통과하는 빈도(횟수)가 일정한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경사홈(6a, 7a)의 박리 수명의 수명 횟수를 나타내는 꺽은선도 통과 빈도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박리 수명의 수명 횟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달력의 크기에 따라 접촉면압이 대략 일정해지도록 곡률 반경의 꺽은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률 반경을 작게 하면 좋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에서는, 통과 빈도에 대응하여 박리 수명의 수명 횟수를 결정하고 있고, 그 의미로, 통과 빈도와 박리 수명의 수명 횟수는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며, 설명상 양자를 동의로 하고 있다.
또한, 경사홈(6a, 7a)의 원호의 곡률 반경이 작아질수록, 내외주 길이의 차가 커지고, 마모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그래서, 경사홈(6a, 7a)의 원호의 곡률 반경이 작은 경우 등에는, 마모 수명에 중점을 둘 수도 있다. 즉, 각 경사홈(6a, 7a)의 곡률 반경(Ra, Rb, Rc)이 상기 궤적 범위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점차 작아지는 비율을 상기한 실시형태로부터 완만하게 설정함으로써, 접촉면압이 점차 상승하게 되지만, 각 경사홈(6a, 7a)의 곡률 반경(Ra, Rb, Rc)이 작아지는 비율도 완만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박리 수명을 고려하면서, 마모 수명을 보다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경사홈(6a, 7a)의 곡률 반경(Ra, Rb, Rc)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박리 수명과 마모 수명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b)가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15)에 채용된 형태를 도 6∼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b)를 구비하고, 캘리퍼 부동(浮動)형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구성된다. 상기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15)는,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 로터(16)와, 서스펜션 부재 등 차체측의 비회전 부위(도시 생략)에 고정되는 캐리어(17)와, 디스크 로터(16)의 양측에 배치되고 캐리어(17)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18, 19)와, 디스크 로터(16)를 걸치도록 배치되고 캐리어(17)에 대하여 디스크 로터(16)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캘리퍼 본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캘리퍼 본체(20)에는, 디스크 로터(16)의 일측에 대향하여 개구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원통형 실린더부(21)와, 상기 실린더부(21)로부터 디스크 로터(16)를 걸쳐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클로부(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캘리퍼 본체(20)의 실린더부(21) 안에는, 피스톤 유닛(23) 및 모터 유닛(24)이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 유닛(23)은, 실린더부(21) 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고, 본 추력 발생 장치(1b)의 압박 부재로서 기능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피스톤(25)과, 피스톤(25)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력을 직동 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25)을 추진하는 볼 앤드 램프 기구(3b)와, 피스톤(25)의 내부에 수용되는 차동 감속 기구(26)와, 패드 마모 보상 기구(27)를 일체화한 것이다.
본 추력 발생 장치(1b)의 볼 앤드 램프 기구(3b)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 램프 부재(4b)(한쪽 램프 부재)와, 피스톤(25)의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되어 피스톤(25)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직동 램프 부재(5b)(다른쪽 램프 부재)와, 이들 서로의 대향면에 형성된 경사홈(6b, 7b) 사이에 개재된 구 부재(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구 부재(10)는 리테이너(28)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램프 부재(4b)를 직동 램프 부재(5b)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면, 경사진 경사홈(6b, 7b) 사이에서 구 부재(10)가 구르는 것에 의해, 직동 램프 부재(5b)가 회전 램프 부재(4b)의 회전 각도에 따라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램프 부재(4b) 및 직동 램프 부재(5b)의 각 경사홈(6b, 7b)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도 4 및 도 5와 같은 내용·관계를 도시하는 것으로, 각 경사홈(6b, 7b)은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홈(6b, 7b)은, 직경 방향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에서의 시단부, 중간부 및 종단부에서 그 곡률 반경이 상이하다.
상세하게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15)에서는, 회전 램프 부재(4b) 및 직동 램프 부재(5b)의 각 경사홈(6b, 7b)은,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홈의 깊이가 둘레 방향을 따라 얕아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구 부재(10)에 의한 회전 램프 부재(4b)로부터 직동 램프 부재(5b)로의 추진 전달력(Fa, Fb, Fc)이 각 경사홈(6b, 7b)의,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점차 커진다.
구 부재(10)가 통과하는 통과 빈도는, 통상 브레이크의 영역인 각 경사홈(6b, 7b)의 시단부측일수록 통과 횟수가 많고, 급브레이크가 되는 종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통과 횟수가 적어지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8의 박리 수명 횟수도, 통과 빈도에 맞춰 전달력(Fa)이 작은 부위(도 8의 소의 범위)로부터 전달력(Fc)이 큰 부위(도 8의 대의 범위)에 걸쳐 아래로 볼록한 곡선형으로 점차 적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박리 수명 횟수를 얻기 위해, 각 경사홈(6b, 7b)의 곡률 반경(Ra, Rb, Rc)을 나타내는 꺽은선은 상기 궤적 범위의 시단부[전달력(Fa)이 작은 부위]에서 가장 크고, 상기 시단부로부터 종단부[전달력(Fc)이 큰 부위]를 향해 통과 빈도의 감소 추이에 중첩되는 변화율로 점차 작아지며, 종단부에서 가장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도 8에서의 곡률 반경의 꺽은선을 전술한 도 4의 꺽은선과 비교한다. 각 경사홈(6b, 7b)의 궤적 범위의 시단부[전달력(Fa)이 작은 부위]에서는, 도 8쪽이 박리 수명 횟수를 보다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곡률 반경의 꺽은선이 작은 곡률 반경이 되어 접촉면압을 작게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각 경사홈(6b, 7b)의 궤적 범위의 중간부[전달력(Fa)이 중간인 부위]부터 종단부[전달력(Fc)이 큰 부위]에 걸쳐서는, 도 8쪽이, 박리 수명 횟수가 적어도 좋기 때문에, 곡률 반경의 꺽은선이 상대적으로 큰 곡률 반경으로서 접촉면압을 어느 정도 크게 함으로써 박리 수명에 적합한 것으로 하고,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는 마모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시단부[전달력(Fa)이 작은 부위]에서는, 통과 빈도가 많지만 전달력(Fa)이 작기 때문에, 박리 수명을 만족하면서 마모 수명을 고려하여, 각 경사홈(6b, 7b)과 구 부재(10)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홈(6b, 7b)의 곡률 반경(Ra)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 한편,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종단부[전달력(Fc)이 큰 부위]에서는, 통과 빈도가 적지만 전달력이 크기 때문에, 박리 수명을 중시하여, 각 경사홈(6b, 7b)과 구 부재(10)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접촉면압이 작아지도록 경사홈(6b, 7b)의 곡률 반경(Rc)을 작게 설정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회전 램프 부재(4b) 및 직동 램프 부재(5b)의 각 경사홈(6b, 7b)은, 전달력(Fb)이 중간인 부위에서의 구 부재(10)의 통과 빈도가, 전달력(Fa)이 작은 부위와 전달력(Fc)이 큰 부위의 대수적 중앙값 근방일 때에, 전달력(Fa)이 작은 부위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Ra)보다, 전달력(Fc)이 큰 부위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Rc)이 작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볼 앤드 램프 기구(3b)의 회전 램프 부재(4b) 및 직동 램프 부재(5b)의 박리 수명을 확보하면서, 마모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동 감속 기구(26)는, 볼 앤드 램프 기구(3b)와 모터 유닛(24)의 전동 모터(29) 사이에 개재되고, 전동 모터(29)의 로터(30)의 회전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하여 볼 앤드 램프 기구(3b)의 회전 램프 부재(4b)에 전달하는 것이다. 패드 마모 보상 기구(27)는, 브레이크 패드(18, 19)의 마모[디스크 로터(16)와의 접촉 위치의 변화]에 대하여, 조정 스크류(31)를 전진시켜, 볼 앤드 램프 기구(3b)를 추종시키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유닛(24)에는, 전동 모터(29) 및 리졸버(32)가 내장되어 있다. 전동 모터(29)의 스테이터(33)의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로터(30)를 회전시키고, 차동 감속 기구(26)를 통해 볼 앤드 램프 기구(3b)를 구동하며, 이 때, 리졸버(32)에 의해 로터(3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하는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15)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동시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 예컨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또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파킹 조작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도시 생략)로부터 전동 모터(29)에 제어 전류를 공급하여 로터(30)를 제동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에, 로터(30)의 회전은, 차동 감속 기구(26)에 의해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되고 전동 모터(29)의 회전력이 증력되어 볼 앤드 램프 기구(3b)에 전달된다. 이 회전력이 전달된 볼 앤드 램프 기구(3b)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피스톤(25)을 전진시킨다.
다음에, 피스톤(25)의 전진에 의해, 한쪽 브레이크 패드(18)가 디스크 로터(16)에 압박되고, 그 반력에 의해 캘리퍼 본체(20)가 이동하여, 클로부(22)가 다른쪽 브레이크 패드(19)를 디스크 로터(16)에 압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18, 19)의 마모에 대해서는, 패드 마모 보상 기구(27)의 조정 스크류(31)가 전진하여 볼 앤드 램프 기구(3b)를 마모에 추종시키는 것에 의해 보상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b)를 채용한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15)에서는, 볼 앤드 램프 기구(3b)의 회전 램프 부재(4b) 및 직동 램프 부재(5b)의 각 경사홈(6b, 7b)을 구 부재(10)가 통과하는 통과 빈도가, 경사홈(6b, 7b)의 시단부[전달력(Fa)이 작은 부위]부터 종단부[전달력(Fc)이 큰 부위]에 걸쳐, 도 8의 박리 수명 횟수의 꺽은선과 같이 아래로 볼록한 곡선형으로 점차 적어지도록 추이한다. 이 때문에, 각 경사홈(6b, 7b)의 곡률 반경(Ra, Rb, Rc)(직경 방향 단면이 원호형)은, 박리 수명 횟수의 꺽은선에 맞도록, 상기 궤적 범위의 시단부[전달력(Fa)이 작은 부위]에서 가장 크고, 상기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통과 빈도의 감소율에 중첩되도록 점차 작아지며, 종단부[전달력(Fc)이 큰 부위]에서 가장 작아지도록 설정된다(도 8의 곡률 반경의 꺽은선을 참조).
이것에 의해, 볼 앤드 램프 기구(3b)의 회전 램프 부재(4b) 및 직동 램프 부재(5b)의 박리 수명 및 마모 수명을 적절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b)가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15)에 채용되어 있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추력 발생 장치(1b)를 전동식의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나 수동식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채용하여도 좋다. 수동식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채용하는 경우에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파킹 조작자인 파킹 레버 또는 파킹 페달의 조작에 기초하여, 그 조작력이 볼 앤드 램프 기구의 회전 램프 부재에의 회전력으로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c)를 도 10 및 도 11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c)를 설명할 때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a)와의 상위점만을 설명한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c)에서는, 볼 앤드 램프 기구(3c)의 각 램프 부재(4c, 5c)의 경사홈(6c, 7c)은 직경 방향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도 4 및 도 5와 같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램프 부재(4c) 및 직동 램프 부재(5c)의 각 경사홈(6c, 7c)은,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홈의 깊이가 둘레 방향을 따라 얕아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구 부재(10)에 의한 회전 램프 부재(4c)로부터 직동 램프 부재(5c)로의 추진 전달력(Fa, Fb, Fc)이 각 경사홈(6c, 7c)의,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점차 커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 부재(10)가 통과하는 통과 빈도는, 도 10의 박리 수명 횟수의 꺽은선과 같이, 전달력(Fa)이 작은 부위(도 10의 소의 범위)에서 통과 횟수가 매우 많고, 여기서부터 전달력(Fb)이 중간인 부위(도 10의 중의 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에 걸쳐 급격히 적어지며(감소율이 크며), 상기 위치로부터 전달력(Fc)이 큰 부위(도 10의 대의 범위)에 걸쳐 전단계보다 순조롭게 적어지도록(감소율이 작도록) 사용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0 및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홈(6c, 7c)의 곡률 반경(Ra, Rb, Rc)은,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시단부[전달력(Fa)이 작은 부위: 도 10의 소의 범위]에서는, 전달력과 통과 빈도(박리 수명 횟수)의 관계로부터, 각 경사홈(6c, 7c)과 구 부재(10)의 접촉 면적이 커지도록 경사홈(6c, 7c)의 곡률 반경(Ra)(상기 범위의 평균값)을 작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이 범위(도 10의 소의 범위)로 한정하면, 도 10의 곡률 반경을 나타내는 꺽은선은, 아래로 볼록한 곡선형으로 변화한다. 한편, 상기 궤적 범위의 중간 부위[전달력(Fb)의 크기가 중간값: 도 10의 중의 범위]에서는, 전달력과 통과 빈도(박리 수명 횟수)의 관계로부터, 각 경사홈(6c, 7c)과 구 부재(10)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홈(6c, 7c)의 곡률 반경(Rb)(상기 범위의 평균값)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 이 범위(도 10의 중의 범위)에서는, 도 10의 곡률 반경을 나타내는 꺽은선은, 대략 중간값에서 최대가 되는 위로 볼록한 곡선형으로 변화된다. 바꿔 말하면, 이 범위(도 10의 중의 범위)의 전반에서는, 통과 빈도에 대하여 곡률 반경(Rb)의 크기가 반비례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상기 궤적 범위의 종단부[전달력(Fc)이 큰 부위: 도 10의 대의 범위]에서는, 전달력과 통과 빈도의 관계로부터, 각 경사홈(6c, 7c)의 곡률 반경(Rc)을 시단부(도 10의 소의 범위)의 곡률 반경(Ra)(평균값)과, 중간부(도 10의 중의 범위)의 곡률 반경(Rb)(평균값) 사이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고, 이 범위로 한정하면, 도 10의 곡률 반경을 나타내는 꺽은선은, 대략 일정하게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볼 앤드 램프 기구(3c)의 회전 램프 부재(4c) 및 직동 램프 부재(5c)의 박리 수명 및 마모 수명 양쪽 모두 적절하게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d)를 도 12 및 도 13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d)를 설명할 때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a)와의 상위점만을 설명한다.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d)에서는, 볼 앤드 램프 기구(3d)의 각 램프 부재(4d, 5d)의 경사홈(6d, 7d)은 직경 방향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도 4 및 도 5와 같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 부재(10)에 의한 회전 램프 부재(4d)로부터 직동 램프 부재(5d)로의 추진 전달력(Fa, Fb, Fc)이 경사홈(6d, 7d)의,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시단부로부터 종단부를 향해 점차 커진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서, 구 부재(10)가 통과하는 통과 빈도는, 도 12의 박리 수명 횟수의 꺽은선과 같이, 전달력(Fa)이 작은 부위(도 12의 소의 범위)에서는 통과 횟수가 꽤 많고, 위로 볼록한 곡선형으로 점차 적어지며, 전달력(Fb)이 중간인 부위(도 12의 중의 범위)에서는 통과 횟수가 비교적 많은 상태로 대략 동일하게 추이하고, 전달력(Fc)이 큰 부위(도 12의 대의 범위)에서는 재차 통과 횟수가 적어지도록 추이한다.
이 때문에, 도 12 및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경사홈(6d, 7d)의 곡률 반경은 구 부재(10)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중간 부위[전달력(Fb)의 크기가 중간값: 도 12의 중의 범위]에서는, 전달력과 통과 빈도의 관계로부터, 각 경사홈(6d, 7d)과 구 부재(10)의 접촉 면적이 커지도록 곡률 반경(Rb)을 작게 설정하고 있고, 이 범위로 한정하면, 도 12의 곡률 반경의 꺽은선은, 대략 일정하게 설정된다.
한편, 궤적 범위의 종단부[전달력(Fc)이 큰 부위: 도 12의 대의 범위]에서는, 전달력과 통과 빈도의 관계로부터, 박리 수명을 만족하면서 마모 수명을 고려하여, 각 경사홈(6d, 7d)과 구 부재(10)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도록 곡률 반경(Rc)(상기 범위의 평균값)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 이 범위로 한정하면, 도 12의 곡률 반경의 꺽은선은, 전달력이 커짐에 따라 곡률 반경(Rc)도 커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궤적 범위의 시단부[전달력(Fa)이 작은 부위: 도 12의 소의 범위]에서는, 전달력과 통과 빈도의 관계로부터, 각 경사홈(6d, 7d)의 곡률 반경(Ra)(상기 범위의 평균값)은, 중간부의 곡률 반경(Rb)과 거의 마찬가지로 설정되고, 이 범위로 한정하면, 도 12의 곡률 반경의 꺽은선은, 밑으로 볼록한 곡선형으로 변화한다.
바꿔 말하면, 회전 램프 부재(4d) 및 직동 램프 부재(5d)의 각 경사홈(6d, 7d)은, 전달력(Fb)이 중간인 부위에서의 구 부재(10)의 통과 빈도가, 전달력(Fa)이 작은 부위의 통과 빈도와 전달력(Fc)이 큰 부위의 통과 빈도의 대수적 중앙값에 대하여 작은 부위의 통과 빈도에 가까울 때에는, 전달력(Fc)이 큰 부위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Rc)이, 전달력(Fb)이 중간인 부위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Rb) 및 전달력(Fa)이 작은 부위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Ra)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볼 앤드 램프 기구(3d)의 회전 램프 부재(4d) 및 직동 램프 부재(5d)의 박리 수명 및 마모 수명 양쪽 모두 적절하게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e)를 도 14 및 도 15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e)를 설명할 때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a)와의 상위점만을 설명한다.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e)에서는, 볼 앤드 램프 기구(3e)의 각 램프 부재(4e, 5e)의 경사홈(6e, 7e)은, 중앙에 있는 오목형 홈부(42)로부터 도면중 좌측 방향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면(40)과, 상기 제1 경사면(40)과 동일한 경사 각도로, 오목형 홈부(42)로부터 도면중 우측 방향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면(4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경사면(40) 및 제2 경사면(41)과 오목형 홈부(42)의 교점에 변곡점(43)(경사 각도가 변화되는 점)이 형성된다. 또한 각 경사홈(6e, 7e)은, 그 궤적 범위의 전체 범위에 걸쳐 직경 방향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지만, 제1 경사면(40)과 제2 경사면(41)의 변곡점(43) 및 그 부근은, 직경 방향 단면 원호형에 따른 곡률 반경이 다른 부위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종래에서는, 경사홈(6e, 7e)에서의 경사 각도가 변화되는 변곡점에서는 접촉 응력이 크고 박리 수명이 우려되었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경사면(40)과 제2 경사면(41)의 변곡점(43) 및 그 부근에서 그 직경 방향 단면 원호형에 따른 곡률 반경을 다른 부위보다 작게 했기 때문에, 구 부재(10)와의 접촉 면적이 크고 접촉면압이 저감되어, 박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e)가 채용된 스태빌라이저(50)를 도 16 및 도 17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스태빌라이저(50)는 토션바이며, 압박 부재로서의 압축 스프링(51)과, 상기 압축 스프링(51)이 접촉되고 내주에 암나사를 갖는 통형상체(52)와, 상기 통형상체(52)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를 외주에 갖는 기둥형상체(53)와, 회전력을 직동 운동으로 변환하여 압축 스프링(51)을 압박하는 볼 앤드 램프 기구(3e)와, 기둥형상체(53)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전동 모터(54)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 스프링(51), 통형상체(52), 기둥형상체(53) 및 볼 앤드 램프 기구(3e)는, 한쪽이 개방된 하우징(56)에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56)의 개구 단부는, 볼 앤드 램프 기구(3e)의 회전 램프 부재(4e)에 일체적으로 접속된 제2 축형상체(5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드 가이드(58)에 의해 폐색된다. 회전 램프 부재(4e)는, 하우징(5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직동 램프 부재(5e)는, 하우징(56) 내주의 2 내지 4 지점으로부터 돌출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방지 돌기(56A)(도 16에서는 그 하나를 도시)에 감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통형상체(52)도 하우징(56)의 회전 방지 돌기(56A)에 감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직동 램프 부재(5e)와 통형상체(52)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51)이 배치되어, 직동 램프 부재(5e)를 회전 램프 부재(4e)에 압박하고 있다. 하우징(56) 바닥부의 중앙에는 개구부(6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60)에 기둥형상체(53)의 단부에 설치한 돌출부(61)가 삽입된다. 하우징(56) 밖에서 바닥부측에는, 제1 축형상체(55)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축형상체(55)의 단부에 있는 중공의 수용부(62)를 통해 제1 축형상체(55)와 하우징(56)이 일체적으로 접속된다. 수용부(62) 안에는 전동 모터(54)가 수용되고, 상기 전동 모터(54)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축(54a)이 기둥형상체(53)의 돌출부(61)에 마련한 오목부(63)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둥형상체(53)를 정/역회전한다. 한편, 전동 모터(54)의 타단부의 돌출부(54b)는 전동 모터(54)의 모터 케이스와 일체로, 제1 축형상체(55)의 수용부(62)의 바닥부에 마련한 오목부(64)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본 스태빌라이저(50)에서는, 구 부재(10)가 각 경사홈(6e, 7e) 각각의 오목형 홈부(42) 안에 위치한 도 16의 상태에서, 제1 축형상체(55)와 제2 축형상체(57)가 상대적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볼 앤드 램프 기구(3e) 및 압축 스프링(51)에 의해 그 회전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부여된다. 이 회전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전동 모터(54)에 통전하고, 기둥형상체(53)를 정회전하여 통형상체(52)를 볼 앤드 램프 기구(3e)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축 스프링(51)을 압축한다. 이것에 의해, 볼 앤드 램프 기구(3e)는 압축 스프링(51)의 압박력이 증대하는 것에 의해 회전을 규제하는 방향의 회전력이 강화된다.
이와 같이,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추력 발생 장치(1e)는, 스태빌라이저(50)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형태는, 박리 수명(또는 통과 빈도)을 기준으로 이것을 만족하면서 마모 수명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도록, 경사홈의 시단부부터 종단부까지의 각 부위의 곡률 반경을, 각 부위의 특성에 따라 적절해지도록 상이하게 한 것이며, 상기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각 경사홈의 시단부부터 종단부까지의 각 부위의 곡률 반경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예컨대 전달력의 크기에 따라 대·소의 2영역이나 대·중·소의 3영역으로 구분하고, 그 영역 내에서는, 박리 수명과 마모 수명을 고려하여 경사홈의 곡률 반경을 일정하게 하며, 각 영역의 경계 부위에서 곡률 반경이 상이한 지점을 완만하게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1a∼1e: 추력 발생 장치, 2: 압박 부재, 3a∼3e: 볼 앤드 램프 기구, 4a∼4e: 회전 램프 부재(한쪽 램프 부재), 5a∼5e: 직동 램프 부재(다른쪽 램프 부재), 6a∼6e, 7a∼7e: 경사홈, 10: 구 부재, 15: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 25: 피스톤(압박 부재), 40: 제1 경사면, 42: 제2 경사면, 50: 스태빌라이저
Claims (10)
- 추력 발생 장치로서,
축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는 압박 부재와,
회전력을 직동 운동으로 변환하고 상기 압박 부재를 추진하는 볼 앤드 램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볼 앤드 램프 기구는, 회전 축선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지고, 직경 방향 단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경사홈을 복수 갖는 한 쌍의 램프 부재와,
각 램프 부재의 경사홈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한 쌍의 램프 부재 중 한쪽의 램프 부재로부터 다른 쪽의 램프 부재에 힘을 전달하는 구름 부재를 가지며,
상기 경사홈은, 상기 구름 부재가 접촉하는 궤적의 범위를 갖고, 상기 궤적의 범위 내에서,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이 상이하고, 상기 구름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변화되는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은, 상기 구름 부재에 의한 전달력이 작은 부위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상기 구름 부재에 의한 전달력이 큰 부위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발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구름 부재가 접촉하는 상기 궤적에 있어서, 상기 곡률 반경의 작아지는 변화율이, 상기 전달력이 작은 부위로부터 큰 부위로 향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발생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은, 각 램프 부재 사이에 개재된 구름 부재가 접촉하는 궤적을 따라, 전달력이 작은 부위로부터 큰 부위로 변화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 앤드 램프 기구에 회전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한쪽 램프 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구름 부재가 전달력이 작은 부위로부터 큰 부위로 이동하며, 상기 한쪽 램프 부재의 회동에 따르는 상기 경사홈에서의 상기 구름 부재가 접촉하는 궤적 범위의 통과 빈도가, 전달력이 큰 부위보다 전달력이 작은 부위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한쪽 램프 부재의 회동에 따르는 상기 궤적 범위의 통과 빈도가 적은 부위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궤적 범위의 통과 빈도가 많은 부위의 직경 방향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은, 상기 궤적 중 전달력이 작은 부위와 큰 부위 사이에서 경사 각도가 변화하는 점을 가지며, 상기 변화하는 점의 부위의 곡률 반경이 다른 부위의 곡률 반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발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은, 상기 구름 부재에 의한 전달력이 작은 부위에서의 상기 구름 부재와의 접촉 면적보다, 상기 구름 부재에 의한 전달력이 큰 부위에서의 상기 구름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발생 장치.
- 디스크에 브레이크 패드를 압박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캘리퍼 내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추력 발생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 토션바를 포함하고 한 쌍의 축형상체 사이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추력 발생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222008A JP5532246B2 (ja) | 2010-09-30 | 2010-09-30 | 推力発生装置、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スタビライザ |
JPJP-P-2010-222008 | 2010-09-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3988A KR20120033988A (ko) | 2012-04-09 |
KR101873588B1 true KR101873588B1 (ko) | 2018-07-02 |
Family
ID=4588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5881A KR101873588B1 (ko) | 2010-09-30 | 2011-09-22 | 추력 발생 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및 스태빌라이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770353B2 (ko) |
JP (1) | JP5532246B2 (ko) |
KR (1) | KR101873588B1 (ko) |
CN (1) | CN102444681B (ko) |
DE (1) | DE10201108311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1005812A1 (de) * | 2011-03-18 | 2012-09-20 | Robert Bosch Gmbh | Werkzeugmaschinenbremsvorrichtung |
US10266270B2 (en) * | 2015-08-21 | 2019-04-23 | Textron Innovations, Inc. | Locking system for articulating aircraft seat |
JP6632349B2 (ja) | 2015-11-27 | 2020-01-22 |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
CN206938983U (zh) * | 2016-07-20 | 2018-01-30 | 利奇机械工业股份有限公司 | 具有刹车片导位结构的碟式刹车器 |
CN107299947A (zh) * | 2017-06-28 | 2017-10-27 | 无锡英捷汽车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增程柱塞 |
CN107745704A (zh) * | 2017-09-28 | 2018-03-02 | 上海交通大学 | 线控制动系统执行器 |
CN111527001B (zh) * | 2018-01-25 | 2023-11-28 | 博格纳瑞典有限公司 | 机电致动器 |
KR101977322B1 (ko) * | 2018-10-22 | 2019-05-10 | 경창산업주식회사 | 자기 강화 브레이크 캘리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14015A (ja) * | 2001-07-04 | 2003-01-15 | Akebono Brake Ind Co Ltd | 電動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041002A1 (ko) * | 1969-04-22 | 1971-01-29 | Dba | |
GB1451327A (en) * | 1973-02-23 | 1976-09-29 | Girling Ltd | Brake actuator mechanisms provided with automatic slack adjusters |
US3991859A (en) * | 1976-02-27 | 1976-11-16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Adjusting mechanism for a disc brake caliper assembly |
EP0195533B1 (en) * | 1985-03-09 | 1989-04-12 |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 Improvements in self-energising disc brakes |
FR2689948B1 (fr) * | 1992-04-09 | 1994-05-27 | Bendix Europ Services Tech | Dispositif perfectionne de serrage a plateau tournant. |
JP4556153B2 (ja) | 2000-06-29 | 2010-10-06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
US6422354B1 (en) * | 2000-12-21 | 2002-07-23 | Delphi Technologies, Inc. | Disc brake caliper with integral parking brake |
FR2819031B1 (fr) * | 2001-01-02 | 2003-04-04 | Bosch Gmbh Robert | Frein de parc et son dispositif de commande |
GB2421061B (en) * | 2004-12-09 | 2009-05-06 | Akebono Brake Ind | Disc brake actuating apparatus with parking-brake operating mechanism |
US7735612B2 (en) * | 2005-12-22 | 2010-06-15 | Ausco Products, Inc. | Ball ramp brake |
JP2007170632A (ja) * | 2005-12-26 | 2007-07-05 | Hitachi Ltd | 回転軸の軸方向位置の変動に非干渉のクラッチ機構 |
JP5441245B2 (ja) | 2009-03-19 | 2014-03-12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ラベル貼付装置 |
-
2010
- 2010-09-30 JP JP2010222008A patent/JP553224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9-21 DE DE102011083114A patent/DE102011083114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1-09-21 US US13/238,487 patent/US877035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9-22 KR KR1020110095881A patent/KR1018735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9-28 CN CN201110297707.XA patent/CN10244468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14015A (ja) * | 2001-07-04 | 2003-01-15 | Akebono Brake Ind Co Ltd | 電動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080275A1 (en) | 2012-04-05 |
JP5532246B2 (ja) | 2014-06-25 |
CN102444681B (zh) | 2015-11-18 |
JP2012077807A (ja) | 2012-04-19 |
CN102444681A (zh) | 2012-05-09 |
DE102011083114A1 (de) | 2012-08-02 |
KR20120033988A (ko) | 2012-04-09 |
US8770353B2 (en) | 2014-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3588B1 (ko) | 추력 발생 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및 스태빌라이저 | |
JP4103619B2 (ja) | 車両用ブレーキ装置 | |
KR970700828A (ko) | 화물 운송 차량에 사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고정 장치(application device for a disc brake, especially for heavy commercial vehicles) | |
US20150323026A1 (en) | Ball ramp mechanism, linear motion actuator, and electric disc brake device | |
US10899332B2 (en) | Electric caliper brake | |
KR20180066776A (ko) | 볼 스크루 타입 전동식 브레이크 | |
KR20180060733A (ko) | 볼 스크루 타입 전동식 브레이크 | |
JP2021060092A (ja) | 電磁ブレーキ装置 | |
JP2006283811A (ja) | ディスクブレーキ | |
WO2011102313A1 (ja) | 電動式直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動式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 |
JP2012077807A5 (ja) | 推力発生装置、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スタビライザ | |
RU2656752C1 (ru) | Тормозная система | |
JP2011214647A (ja) | ディスクブレーキ | |
JP2011074946A (ja) | ディスクブレーキ | |
JP6929208B2 (ja) | ディスクブレーキ | |
JP4055037B2 (ja) |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 |
EP4098903B1 (en) | Brake apparatus and automobile | |
JP2021522451A (ja) | フローティングキャリパーブレーキ | |
JPH06137346A (ja) |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ブレーキモータサブアセンブリ | |
JP2011031734A (ja) | スタビライザ装置 | |
JP2007056917A (ja) | 電動式ディスクブレーキ | |
CN217381390U (zh) | 用于车辆的制动装置 | |
US20240247697A1 (en) | Ball and nut assembly | |
JP2000283195A (ja) |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 |
KR102015192B1 (ko) |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레버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