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475B1 -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해질 - Google Patents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해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475B1
KR101872475B1 KR1020160092193A KR20160092193A KR101872475B1 KR 101872475 B1 KR101872475 B1 KR 101872475B1 KR 1020160092193 A KR1020160092193 A KR 1020160092193A KR 20160092193 A KR20160092193 A KR 20160092193A KR 101872475 B1 KR101872475 B1 KR 101872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ing
nitrate
electrolyte
sintered body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075A (ko
Inventor
윤경중
이승환
박만수
홍종섭
김형철
손지원
이종호
김병국
이해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9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475B1/ko
Priority to US15/346,105 priority patent/US9966624B2/en
Publication of KR2018001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7/00Compounds of rare earth metals
    • C01F17/30Compound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at least one element other than a rare earth metal, oxygen or hydrogen, e.g. La4S3Br6
    • C01F17/32Compound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at least one element other than a rare earth metal, oxygen or hydrogen, e.g. La4S3Br6 oxide or hydroxide being the only anion, e.g. NaCeO2 or MgxCayEuO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006Compounds containing, besides cobalt,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or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rare-earth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02Powder coating materials
    • C04B35/62805Oxide ceramics
    • C04B35/6281Alkaline earth metal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02Powder coating materials
    • C04B35/62805Oxide ceramics
    • C04B35/62815Rare earth metal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02Powder coating materials
    • C04B35/62805Oxide ceramics
    • C04B35/62818Refractory metal oxides
    • C04B35/62823Zirconium or haf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86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by wet chemical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92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with a coating layer consisting of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 H01M8/124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 H01M8/125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the electrolyte containing zirconium 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 H01M8/124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 H01M8/12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the electrolyte containing cer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4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TEM, STEM, STM or AF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1Alkali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03Lithi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5Alkaline earth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eryllium oxide
    • C04B2235/3208Calci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l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24Rare earth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cand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24Rare earth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candium oxide
    • C04B2235/3225Yttri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24Rare earth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candium oxide
    • C04B2235/3227Lanthan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24Rare earth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candium oxide
    • C04B2235/3229Cerium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62Manganese oxides, manganates, rhenium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MnO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7Iron group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72Iron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hematite, magnet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7Iron group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75Cobalt oxides, cobaltates or cobaltit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ismuth cobaltate, zinc cobalt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81Copper oxides, cuprat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uO or Cu2O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84Zinc oxides, zincates, cadmium oxides, cadmiates, mercury oxides, mercurat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4Metal salt constituents or additives chosen for the nature of the anions, e.g. hydrides or acetylacetonate
    • C04B2235/443Nitrates or nitr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18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 C04B2235/5436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micrometer sized, i.e. from 1 to 100 mic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18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 C04B2235/5445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submicron sized, i.e. from 0,1 to 1 mic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18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 C04B2235/54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nanometer sized, i.e. below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8Grain sizes and shapes, product microstructures, e.g. acicular grains, equiaxed grains, platelet-structures
    • C04B2235/785Submicron sized grains, i.e. from 0,1 to 1 mic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8Grain sizes and shapes, product microstructures, e.g. acicular grains, equiaxed grains, platelet-structures
    • C04B2235/786Micrometer sized grains, i.e. from 1 to 100 mic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04B2235/9607Thermal properties, e.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C04B2235/9615Linear firing shrin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H01M2300/0074Ion conductive at high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H01M2300/0074Ion conductive at high temperature
    • H01M2300/0077Ion conductive at high temperature based on zirconium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해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결 특성이 제어된 소결체를 이용하여 견고한 박막층이 형성된 전해질을 제조하고, 이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조대 입자와 미세 입자의 함량을 조절하는 등의 간단한 방법을 통해 소결체의 소결 특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렇게 소결 특성이 제어된 소결체를 이용한 전해질은 견고한 박막 층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견고한 박막 층이 형성된 전해질은 연료전지에 적용할 경우 연료와 산소의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어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도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해질{Manufacturing method of sintered body for electrolyte and electrolyte for fuel ce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해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결 특성이 제어된 소결체를 이용하여 견고한 박막층이 형성된 전해질을 제조하고, 이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는 약 1 ㎜ 두께의 음극지지체 위에 수십 ㎛ 두께의 전해질, 반응방지층 및 양극이 순서대로 적층된 세라믹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세라믹 다층 구조체로 이루어진 연료전지의 전해질 박막 층을 보다 치밀하고 견고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원료 분말의 소결 특성을 제어하여 최적화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만일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동시 소결시 음극과 전해질의 소결 차이가 존재하게 되면 셀의 휨이 발생하고, 이는 다양한 형태의 공정 결함 또는 셀의 파괴까지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후소결로 박막 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소결도가 낮아지면 막의 밀도를 충분히 높일 수 없고, 반대로 소결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하부 기판과의 계면 결합이 형성되기 전에 막의 수축이 과도하게 일어나므로 계면에서 층간이 박리되는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후소결을 통하여 전해질 박막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공정 결함의 발생을 억제하며 박막 층의 치밀화를 이루기 위해서 전해질의 소결 특성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전해질의 분말로는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ttria-stabilized zirconia),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scandia-stabilized zirconia), 가돌리니아 도핑된 산화 세륨(gadolinia-doped ceria) 및 사마리아 도핑된 산화 세륨(samaria-doped ceria) 등이 있으며, 상기 분말은 분말 자체의 스펙이 정해져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여 소결 특성을 특정한 용도에 맞도록 조절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에, 세라믹 분말과 같은 소결체의 소결도를 제어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분말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소결조제를 첨가하는 것이다. 비표면적이 큰 나노 입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소결도를 높일 수 있지만, 입자의 크기를 나노미터에서 마이크로미터 스케일까지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합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입자 크기 자체를 제어하여 특정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소결 특성을 정확히 얻어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소결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조대한 입자와 미세한 입자를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미세한 나노스케일의 분말은 응집력이 강하기 때문에 조대한 입자 사이에서 완벽하게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나노 분말이 응집체를 이루게 되면 소결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나노 분말이 응집되어 있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결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소결 특성의 차이로 인한 공정 결함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소결체의 소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한가지 방법은 소결조제를 첨가하는 것인데, 상기 방법은 국부적인 소결 속도의 차이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치밀한 막을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소결조제는 산화물(oxide) 또는 질산염(nitrate)의 형태로 첨가하게 되는데, 상기 소결조제의 분포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면, 많은 양의 소결조제가 존재하는 부분에서는 빠르게 치밀화가 이루어지지만 그렇지 못한 부분에서는 수직방향의 기공과 같은 공정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나노분말과 소결조제의 효과를 활용하여 소결 거동을 조절하며 공정결함 발생을 억제하여 원하는 구조의 막을 얻기 위해서는 나노분말과 소결조제를 매우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90556호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공정을 통해 소결 특성이 제어된 소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결 특성이 제어된 소결체를 이용하여 견고한 박막 층이 형성된 전해질을 제조하고, 이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응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ⅰ) 기존에 합성된 조대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용액과 미세 입자 합성을 위한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ⅱ) 상기 혼합물로부터 조대 입자 표면에 미세 입자를 합성하는 연소 단계, 및 (ⅲ) 상기 연소된 생성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하소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대 입자는 가돌리늄(Gd), 사마륨(Sm) 및 란탄(L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 세륨과, 이트리움(Y), 스캔디움(Sc) 및 칼슘(C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 지르코니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미세 입자는 질산 세륨, 질산 가돌리늄, 질산 사마륨, 질산 란탄, 질산 지르코니움, 질산 이트리움, 질산 스캔디움 및 질산 칼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전구체로 사용하여 연소공정을 통하여 조대 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ⅱ) 단계는 100 내지 50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ⅲ) 단계는 400 내지 1000 ℃의 온도에서 하소시킨 후에 볼 밀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 세륨은 가돌리니아 도핑된 산화 세륨(gadolinia-doped ceria, GDC), 사마리아 도핑된 산화 세륨(samaria-doped ceria, SDC), 란탄늄 도핑된 산화세륨(lanthanum-doped ceria, LDC), 또는 이들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 지르코니움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ttria-stabilized zirconia, YSZ),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scandia-stabilized zirconia, ScSZ), 칼슘 안정화 지르코니아(calcium-stabilized zirconia, CSZ), 또는 이들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대 입자와 미세 입자는 7:3 내지 3:7의 몰(M)비율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은 미세 입자 전구체, 용매, 첨가제, 및 소결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결조제는 코발트, 구리, 아연, 니켈, 철, 망간 및 리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가제는 글리신(glycine), 시트르산(citric acid) 및 우레아(ure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미세 입자 전구체와 첨가제는 0.5 내지 0.8 : 1의 몰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매는 증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소결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소결체를 포함하는 전해질 및, 상기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미세 입자가 조대 입자의 표면에 강하게 부착된 형태의 혼합 분말이 제조되므로 미세 입자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고, 조대입자와 미세입자의 함량을 조절하는 등의 간단한 방법을 통해 소결체의 소결 특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소결 조제를 첨가하는 경우 소결조제가 미세입자 합성 시 분말 전 영역에 매우 균일하게 주입되므로 국부적인 소결 속도 차이로 인한 공정결함 발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렇게 소결 특성이 제어된 소결체를 이용한 전해질은 견고한 박막 층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견고한 박막 층이 형성된 전해질은 연료전지에 적용할 경우 연료와 산소의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어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도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상용 GDC(gadolinic-doped ceria) 분말과 실시예 1의 소결체 분말을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분석한 결과로 (a)는 상용 GDC 분말을 나타내고, (b)는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6의 소결체 분말을 성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3은 실시예 6의 소결체 분말을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는 실시예 6의 소결체 분말을 1100 ℃의 온도에서 소결시킨 후에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는 상용 GDC 분말과 실시예 3의 소결체 분말을 각각 1150, 1250 ℃에서 소결시킨 후에 전자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 (b)는 GDC 상용 분말을 각각 1150, 1250 ℃에서 소결시킨 것을 나타내며, (c), (d)는 실시예 3을 각각 1150, 1250 ℃에서 소결시킨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상용 GDC 분말과 실시예 1의 소결체 분말을 X-선 회절 분석기(X-ray Diffraction Analyzer, XRD)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상용 GDC 분말과 실시예 1 내지 4의 전해질 분말에 대한 소결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상용 GDC 분말과 실시예 3, 4의 소결체 분말에 대한 소결 속도를 온도의 함수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3, 5의 글리신(glycine)과 질산염 양이온(cation nitrate)의 몰 비율을 0.55에서 0.8로 증가시켰을 때 변화하는 직선 수축 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 3과 실시예 6의 직선 수축 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ⅰ) 기존에 합성된 조대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용액과 미세 입자 합성을 위한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ⅱ) 상기 혼합물로부터 조대 입자 표면에 미세 입자를 합성하는 연소 단계, 및 (ⅲ) 상기 연소된 생성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하소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대 입자는 가돌리늄(Gd), 사마륨(Sm) 및 란탄(L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 세륨과, 이트리움(Y), 스캔디움(Sc) 및 칼슘(C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 지르코니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미세 입자는 질산 세륨, 질산 가돌리늄, 질산 사마륨, 질산 란탄, 질산 지르코니움, 질산 이트리움, 질산 스캔디움 및 질산 칼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전구체로 사용하여 연소공정을 통하여 조대 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ⅰ) 단계는 조대 입자 용액과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로, 먼저, 상기 조대 입자를 분산제와 같은 첨가물과 함께 용매에 분산시키고, 미세 입자 전구체를 첨가제와 함께 용매에 용해시켜 각각의 용액으로 따로 제조한 후, 용액 상태에서 각 조성물을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대 입자는 결정이 성장하거나 재결정이 일어나면서 입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입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세 입자보다 크기가 큰 조대한 입자를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대 입자는 가돌리늄(Gd), 사마륨(Sm) 및 란탄(L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 세륨과, 이트리움(Y), 스캔디움(Sc) 및 칼슘(C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 지르코니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세 입자는 상기 조대 입자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가리키며, 질산 세륨, 질산 가돌리늄, 질산 사마륨, 질산 란탄, 질산 지르코니움, 질산 이트리움, 질산 스캔디움, 질산 칼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전구체로 사용하여 연소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조대 입자의 직경 크기는 0.1 내지 3 ㎛ 이고, 상기 미세 입자의 직경 크기는 10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대 입자의 직경 크기가 0.1 μm 미만이면, 미세 입자의 빠른 소결 속도를 제어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3 μm를 초과하면, 전해질 박막 공정에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미세 입자의 직경은 하소 공정을 거친 후 10 n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80 nm를 초과할 경우 조대 입자에 비하여 소결을 가속화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
상기 조대 입자와 미세 입자는 7:3 내지 3:7의 몰(M)비율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몰비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소결체의 소결 특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즉, 상기 조대 입자 및 상기 미세 입자의 각 함량은 소결체의 소결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어, 결과적으로 소결체의 소결 특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은 미세 입자 전구체, 용매, 첨가제, 및 소결조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첨가제는 글리신(glycine), 시트르산(citric acid) 및 우레아(ure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 입자와 첨가제는 0.5 내지 0.8 : 1의 몰(M)비율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첨가제는 연소 반응의 연료 역할을 하므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을 조절하여 소결체의 소결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미세 입자와 첨가제의 몰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연소 반응의 온도가 급격히 변화하여 미세 입자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용매는 증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결조제는 초기 수축을 느리게 하거나, 후기 수축을 빠르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최종 소결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소결조제는 코발트, 구리, 아연, 니켈, 철, 망간 및 리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발트이다.
또한, 용매에 분산시킨 상기 조대 입자 용액과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은 혼합하기 전에 볼 밀링 공정을 수행한 후, 각 용액을 혼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각 입자가 용액 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종래에는 기존에 합성되어 있는 분말에 산화물 또는 질산염 형태인 소결조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소결조제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없어 필연적으로 불균일성이 존재하게 된다. 이는 소결 시, 소결조제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은 빠르게 수축이 일어나 소결 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결함을 발생시킨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에 소결조제의 전구체를 함께 용해시키고 연소 반응 시 미세 입자의 합성과 동시에 소결조제가 주입되도록 하여 소결조제의 분포 균일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는 소결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ⅱ) 단계는 상기 (ⅰ) 단계를 통해 혼합된 혼합물을 연소 반응시키는 단계로, 결정 구조를 갖는 소결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반응 온도는 100 내지 500 ℃의 온도에서 유지하여 용매의 증발, 젤 형성 및 자발적 연소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반응 온도가 100 ℃ 미만이면 연소 반응이 발생하지 않으며, 500 ℃를 초과하면 공정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 (ⅲ) 단계는 상기 (ⅱ) 단계를 통해 연소된 생성물을 후처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연소된 생성물을 재소결하여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반응 온도는 400 내지 1000 ℃의 온도에서 1 내지 10 시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반응 온도가 400 ℃ 미만이면 일부 탄소 화합물이 제거되지 않고, 1000 ℃를 초과하면 미세입자의 입성장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미세입자 고유의 특성을 잃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ⅲ) 단계 이후에는 볼밀링 공정과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 공정을 마무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소결체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소결체를 포함하는 전해질 및 상기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 실시예 1 내지 4: 소결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소결체의 제조)
(ⅰ) 조대 입자 용액(a)과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b)의 제조
증류수에 가돌리니아가 도핑된 세륨(gadolinia-doped ceria, GDC)(LSA, Rhodia)과 분산제(KD-6, Hypermer)를 투입하고 5 φ의 지르코니아 볼을 사용하여 24 시간 동안 볼 밀링하여 조대 입자 용액(a)을 제조하였다.
질산세륨(cerium nitrate hexahydrate)(Cerium (III) Nitrate Hexahydrate, Kanto Chemical)과 질산 가돌리늄(gadolinium nitrate hexahydrate)(Gadolinium (III) Nitrate Hexahydrate, Aldrich)에 증류수를 넣고 교반한 후, 글리세린을 투입하고 12 시간 이상 교반하여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b)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반응기에 상기 조대 입자 용액(a)과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b)을 투입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준비하였다.
(단, 각 성분의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대 입자:미세 입자)
실시예1
*(7:3)
실시예2
*(6:4)
실시예3
*(5:5)
실시예4
*(4:6)
실시예5
*(5:5)
(a) GDC 14g 12g 10g 8g 10g
증류수 100ml 100ml 100ml 100ml 100ml
분산제 0.42g 0.36g 0.3g 0.24g 0.3g
(b) cerium nitrate hexahydrate 13.625g 18.167g 22.709g 27.250g 22.709g
gadolium nitrate hexahydrate 1.575g 2.100g 2.625g 3.150g 2.625g
glycine 4.318g 5.757g 7.196g 8.636g 10.467g
증류수 60ml 60ml 60ml 60ml 60ml
glycine:nitrate의 몰비 0.55:1 0.55:1 0.55:1 0.55:1 0.8:1
(단, 상기 표 1에서 *(조대 입자:미세 입자)는 몰 비율을 나타낸다.)
(ⅱ) 연소 반응
강화 유리 용기를 핫 플레이트에서 250 ℃의 온도로 가열한 후, 상기 (ⅰ)의 용액을 붓고 용기를 100 ㎛ 정도의 간격을 갖는 망으로 덮어준다. 그리고, 증류수가 모두 증발하여 연소 반응이 완료되고 분말을 수득하였다.
(ⅲ) 후처리 공정
상기 (ⅱ)를 통해 수득된 분말을 150 mesh의 체로 거르고 600 ℃의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하소하여 잔류물을 제거한 후, 5 φ의 지르코니아 볼을 사용하여 24 시간 동안 드라이 볼 밀링 공정을 통해 소결체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소결조제를 첨가한 소결체의 제조)
(ⅰ) 조대 입자 용액(a)과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b)의 제조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가로 질산 코발트 0.504 g를 더 첨가하였으며, 글리세린은 7.768 g을 투입하여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b)을 제조하였다.
(ⅱ) 연소 반응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ⅲ) 후처리 공정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 시험예 1: SEM , TEM 분석)
상용 GDC(gadolinic-doped ceria) 분말과 실시예 1의 소결체 분말을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과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먼저, 도 1은 GDC 분말과 실시예 1의 소결체 분말을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로, (a)는 상용 GDC 분말이고, (b)는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조대한 분말 표면에 나노 분말인 미세 분말이 균일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미세 분말의 응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 6의 소결체 분말을 성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3은 실시예 6의 전해질 분말을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는 실시예 6의 소결체 분말을 1100 ℃의 온도에서 소결시킨 후에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로, 소결체 분말을 소결시킨 결과, 거의 완벽하게 치밀한 구조로 컴팩트(compact)하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조대 입자의 표면에 미세 입자가 균일하게 부착되어 소결조제인 코발트 역시 응집 없이 매우 균일하게 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소결조제를 첨가하더라도, 종래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국부적인 소결 속도의 차이로 인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 5는 상용 GDC 분말과 실시예 3의 소결체 분말을 각각 1150, 1250 ℃에서 소결시킨 후에 전자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 (b)는 GDC 상용 분말을 각각 1150, 1250 ℃에서 소결시킨 것을 나타내며, (c), (d)는 실시예 3을 각각 1150, 1250 ℃에서 소결시킨 것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a)의 경우 치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상당히 많은 기공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소결 온도가 향상된 (b)의 경우에는 치밀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나, 심한 입성장으로 인하여 grain 크기가 크게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막의 grain 크기가 커지게 되면 기계적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grain 성장을 적정한 선에서 억제하면서 치밀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실시예 3을 나타낸 (c), (d)는 치밀한 구조를 형성하며, 매우 미세한 grain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소결 온도를 향상시킨 (d)의 경우에는 더욱 치밀한 구조를 형성하고 훨씬 작은 grain 크기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2: XRD 분석)
상용 GDC 분말과 실시예 1의 소결체 분말을 X-선 회절 분석기(X-ray Diffraction Analyzer, XRD)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살펴보면, 기존의 상용 GDC 분말과 실시예 1의 소결체 분말은 동일한 cubic fluorite 구조의 상을 형성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결체 분말이 상용 분말과 결정 구조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3: 소결 특성 분석)
상용 GDC 분말과 실시예 1 내지 4의 소결체 분말을 온도에 따른 소결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 8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소결체의 소결 특성은 온도 변화에 따른 직선 수축(linear shrinkage) 값을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도 7을 참조하면, 상용 분말에 비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소결체 분말은 우수한 소결 특성을 보이며, 미세 입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소결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소결 속도를 온도의 함수로 보여준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상용 분말은 단일 온도에서 수축 속도의 정점을 보여주고 있으나, 실시예 3, 4는 두 단계에 걸쳐 수축 속도의 정점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저온에서 미세 입자의 소결이 먼저 일어나고, 일정 온도에 이르면 후속으로 조대 입자의 소결이 진행되기 때문인 것으로, 미세 입자의 함량이 높을수록 저온의 소결이 더욱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기 및 후기의 소결 거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실제 응용에서 필요로 하는 정확한 소결 거동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4: glycine 함량 변화 또는 소결조제 여부에 따른 소결 특성 분석)
실시예 3 및 5의 glycine과 cation nitrate의 몰 비율을 0.55에서 0.8로 증가시켰을 때 변화하는 소결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를 참조하면, glycine은 연소 반응의 연료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glycine의 함량에 따라 연소 온도가 달라지고, 이로 인하여 미세 입자의 크기 역시 영향을 받게 된다. 즉, 미세 입자 및 조대 입자의 함량을 조절하는 것 이외에도 상기 glycine의 함량을 조절하여 소결 특성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 10은 실시예 3과 실시예 6의 직선 수축(linear shrinkage) 값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소결조제가 첨가된 실시예 6의 경우에는 소결 초기에 미세 입자에 의한 빠른 수축 효과가 감소하나, 후기에는 오히려 수축 효과가 증가하여, 더 낮은 온도에서 소결이 완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초기 수축을 느리게 하거나, 후기 수축을 빠르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소량의 소결조제를 첨가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최종 소결 온도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조대 입자와 미세 입자의 함량을 조절하는 등의 간단한 방법을 통해 소결체의 소결 특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렇게 소결 특성이 제어된 소결체를 이용한 전해질은 견고한 박막 층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견고한 박막 층이 형성된 전해질은 연료전지에 적용할 경우 연료와 산소의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어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도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4)

  1. (ⅰ) 조대 입자 분산 용액과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는 단계;
    (ⅱ) 상기 혼합물로부터 미세 입자를 합성하여 연소된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연소된 생성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하소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대 입자는 가돌리늄(Gd), 사마륨(Sm) 및 란탄(L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 세륨과,
    이트리움(Y), 스캔디움(Sc) 및 칼슘(C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 지르코니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미세 입자는 질산 세륨, 질산 가돌리늄, 질산 사마륨, 질산 란탄, 질산 지르코니움, 질산 이트리움, 질산 스캔디움 및 질산 칼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전구체로 사용하여 연소공정을 통하여 조대 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형태로 제조되며,
    상기 조대 입자의 직경 크기는 0.1 내지 3 ㎛ 이고,
    상기 미세 입자의 직경 크기는 10 내지 100 ㎚ 이며,
    상기 조대 입자와 미세 입자는 7:3 내지 3:7의 몰(M)비율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세륨은 가돌리아 도핑된 산화 세륨, 사마리아 도핑된 산화 세륨, 란탄늄 도핑된 산화 세륨, 또는 이들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지르코니움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칼슘 안정화 지르코니아, 또는 이들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입자 전구체 용액은 미세 입자 전구체, 용매, 첨가제, 및 소결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글리신, 시트르산 및 우레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입자 전구체와 첨가제는 0.5 내지 0.8 : 1의 몰(M)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조제는 코발트, 구리, 아연, 니켈, 철, 망간 및 리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증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는 100 내지 50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ⅲ) 단계는 400 내지 1000 ℃의 온도에서 하소시킨 후에 볼 밀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13. 제1항,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소결체를 포함하는 전해질.
  14. 제13항에 따른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KR1020160092193A 2016-07-20 2016-07-20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해질 KR101872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93A KR101872475B1 (ko) 2016-07-20 2016-07-20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해질
US15/346,105 US9966624B2 (en) 2016-07-20 2016-11-08 Manufacturing method of sintered body for electrolyte and electrolyte for fuel cel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93A KR101872475B1 (ko) 2016-07-20 2016-07-20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해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075A KR20180010075A (ko) 2018-01-30
KR101872475B1 true KR101872475B1 (ko) 2018-06-28

Family

ID=6098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193A KR101872475B1 (ko) 2016-07-20 2016-07-20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해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66624B2 (ko)
KR (1) KR101872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8873B (zh) * 2019-11-19 2022-06-03 福州大学 一种氧离子传导的中温固体氧化物燃料电池电解质的制备方法
GB2591462B (en) * 2020-01-27 2022-04-20 Ceres Ip Co Ltd Interlayer for solid oxide cell
CN114380595A (zh) * 2020-10-16 2022-04-22 宜兴摩根热陶瓷有限公司 一种低烧结温度的氧离子导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668A (ja) * 2006-09-15 2008-03-2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複合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セル
JP2010510635A (ja) * 2006-11-23 2010-04-02 テクニカル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デンマーク 薄い固体酸化物電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9115B2 (ja) 2004-03-03 2012-06-2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ロトン伝導性電解質及び燃料電池
KR100904203B1 (ko) * 2007-07-04 2009-06-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 전지용 전극-전해질 복합체 분말의 제조 방법
KR101186929B1 (ko) * 2009-11-11 2012-09-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금속 산화물 박막의 저온 무수축 제조 방법
US9847545B2 (en) * 2014-03-06 2017-12-19 Kceracell Co., Ltd. Highly ionic conductive zirconia electrolyte for high-efficiency solid oxide fuel ce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668A (ja) * 2006-09-15 2008-03-2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複合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セル
JP2010510635A (ja) * 2006-11-23 2010-04-02 テクニカル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デンマーク 薄い固体酸化物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26292A1 (en) 2018-01-25
US9966624B2 (en) 2018-05-08
KR20180010075A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203B1 (ko) 연료 전지용 전극-전해질 복합체 분말의 제조 방법
Dutta et al. Combustion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SCF-based materials as cathode of intermediate 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JP4143938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セル及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セルの製造方法
Duran et al. Formation, sintering and thermal expansion behaviour of Sr-and Mg-doped LaCrO3 as SOFC interconnector prepared by the ethylene glycol polymerized complex solution synthesis method
AU2006280812B2 (en) Nickel oxide powder material for solid oxide fuel cell, production process thereof, raw material composition for use in the same, and anode material using the nickel oxide powder material
JP2006032132A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の空気極原料粉体、空気極及び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US11005120B2 (en) Electrochemical cell
WO2017104806A1 (ja) プロトン伝導体、セル構造体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燃料電池ならびに水電解装置
KR101892909B1 (ko) 프로톤 전도성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KR101963980B1 (ko) 중·저온형 고체산화물연료전지용 공기극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2475B1 (ko) 전해질용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해질
US20120328970A1 (en) Material for solid oxide fuel cell, cathode including the material and solid oxide fuel cell including the material
KR101657242B1 (ko) 반응방지막을 포함하는 고온 고체산화물 셀, 이의 제조방법
KR102420913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기능층 제조용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산화물, 이를 포함하는 연료극 기능층 조성물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KR101702217B1 (ko) 저온형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KR100898219B1 (ko) 다공성 나노 복합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고체산화물 연료극 및 연료전지
Oveisi et al. Processing study of gel-cast tubular porous NiO/SDC composite materials from gel-combustion synthesized nanopowder
JP2005139024A (ja) 混合導電性セラミックス材料およびこの材料を用いた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2007012498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燃料電極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
JPH09302438A (ja) Ni/YSZサーメ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5665B1 (ko) 고체산화물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코팅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52836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Lenser et al. Investigation of the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s in Solid Oxide Cells
DE102021133521A1 (de) Trägergestützter Elektroly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KR20240021351A (ko) 다공성 페로브스카이트 공기극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