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573B1 -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573B1
KR101868573B1 KR1020170021758A KR20170021758A KR101868573B1 KR 101868573 B1 KR101868573 B1 KR 101868573B1 KR 1020170021758 A KR1020170021758 A KR 1020170021758A KR 20170021758 A KR20170021758 A KR 20170021758A KR 101868573 B1 KR101868573 B1 KR 101868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cutter
hinge
rotary
grinding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진
강수민
Original Assignee
강석진
강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진, 강수민 filed Critical 강석진
Priority to KR102017002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이 끼워지는 허브의 상하측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측 회전커터 사이의 공간에 힌지날개의 일측 단부를 힌지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상하측 회전커터 사이의 공간으로 지나가려는 분쇄물체가 힌지날개에 부딪치면서 고정절삭날과 회전커터에 의해 분쇄되어 분쇄효율을 상승시키게 하고, 그와 더불어 수개의 힌지날개가 분쇄실 내부에서 임펠러 형태로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켜서 분쇄되는 입자가 흙먼지 형태로 분산되면서 분쇄되어 분쇄 효율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입구(2)를 통하여 분쇄통(10)으로 투입되는 분쇄물체를 회전체(26)에 포함되는 회전커터(13)로서 분쇄하는 건조식용물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6)는 상하측 외주연에 회전날개(21)와 회전커터(13)가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도록 허브플랜지(25)가 형성된 허브(24)가 설치되고, 상하측 허브플랜지(25)의 사이에 수개의 힌지핀(2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며, 이들 각각의 힌지핀(23)에는 회전커터(13)의 끝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하측 허브플랜지(25) 사이의 상하측에 2개의 회전커터(13)를 간격을 두고 힌지식으로 설치하되, 상하측 회전커터(13) 사이의 힌지핀(23)에는 힌지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간격유지관(22)의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힌지날개(21)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커터(13)는 힌지핀(23)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까닥거리도록 힌지핀(23)의 중심부에서 회전커터(13)의 끝단부 측 가운데까지의 거리보다 힌지핀(23)의 중심부에서 회전커터(13)의 끝단부 양측 모서리 걸림부(13a)까지의 간격이 길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Apparatus for powdering edible materials having hinge type blades}
본 발명은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이 끼워지는 허브의 상하측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측 회전커터 사이의 공간에 힌지날개의 일측 단부를 힌지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상하측 회전커터 사이의 공간으로 지나가려는 분쇄물체가 힌지날개에 부딪치면서 고정절삭날과 회전커터에 의해 분쇄되어 분쇄효율을 상승시키게 하고, 그와 더불어 수개의 힌지날개가 분쇄실 내부에서 임펠러 형태로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켜서 분쇄되는 입자가 흙먼지 형태로 분산되면서 분쇄되어 분쇄 효율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발명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납작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분쇄통(10)이 설치되며, 이 분쇄통(10)의 분쇄실(9) 가운데에 허브(24)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이 허브(24)의 외주연에는 수개의 회전커터(13)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커터(13)의 내측 단부는 허브(24)의 상하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하측 허브플랜지(25)의 사이에 힌지핀(23)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하되, 일예로 6개 방향으로 회전커터(13)를 설치할 때, 상하측에 2개의 회전커터(13)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과, 힌지핀(23)이 끼워지는 회전커터(13)의 단부에 간격유지관(26)을 삽입시켜서 각각의 회전커터(13)가 상하측과 중간에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하였다.
이는 상하측에 회전커터(13)가 설치된 부분에서 상하측 회전커터(13) 사이의 공간으로 분쇄물체가 있는 경우에 그 분쇄물체를 상하측에 설치된 회전커터(13)를가 타격하지 못하므로 다음의 중간에 설치된 회전커터(13)가 타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회전커터(13)를 한 번은 상하측에 설치하고 그 다음은 중간에 설치하는 교대로 회전커터(13)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 중, 하측에 위치하고 있을 회전커터(13)들의 사이로 지나가는 분쇄물체는 타격하지 못하여 분쇄작업시간이 지연되게 되었으며, 고속으로 수개의 회전커터(13)와 허브(24)가 장시간동안 회전하므로 전력사용량이 증가되고 회전부분에서 열이 발생하고, 분쇄물체에 당성분이 포함된 경우에는 그들 분쇄물들이 엉겨 붙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571873호(발명의 명칭 곡물분쇄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축이 끼워지는 허브의 상하측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측 회전커터 사이의 공간에 힌지날개의 일측 단부를 힌지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상하측 회전커터 사이의 공간으로 지나가려는 분쇄물체가 힌지날개에 부딪치면서 고정절삭날과 회전커터에 의해 분쇄되어 분쇄효율을 상승시키게 하고, 그와 더불어 수개의 힌지날개가 분쇄실 내부에서 임펠러 형태로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켜서 분쇄되는 입자가 흙먼지 형태로 분산되면서 분쇄되어 분쇄 효율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구를 통하여 분쇄통으로 투입되는 분쇄물체를 회전체에 포함되는 회전커터로서 분쇄하는 건조식용물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하측 외주연에 회전날개와 회전커터가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도록 허브플랜지가 형성된 허브가 설치되고, 상하측 허브플랜지의 사이에 수개의 힌지핀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며, 이들 각각의 힌지핀에는 회전커터의 끝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하측 허브플랜지 사이의 상하측에 2개의 회전커터를 간격을 두고 힌지식으로 설치하되, 상하측 회전커터 사이의 힌지핀에는 힌지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간격유지관의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힌지날개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커터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까닥거리도록 힌지핀의 중심부에서 회전커터의 끝단부 측 가운데까지의 거리보다 힌지핀의 중심부에서 회전커터의 끝단부 양측 모서리 걸림부까지의 간격이 길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축이 끼워지는 허브의 상하측 외주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측 회전커터 사이의 공간에 힌지날개의 일측 단부를 힌지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상하측 회전커터 사이의 공간으로 지나가려는 분쇄물체가 힌지날개에 부딪치면서 고정절삭날과 회전커터에 의해 분쇄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분쇄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고, 그와 더불어 수개의 힌지날개가 분쇄실 내부에서 임펠러 형태로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켜서 분쇄되는 입자가 흙먼지 형태로 분산되면서 분쇄되게 하여 더욱더 미분화되는 분체가 걸름망으로의 배출이 원활해지는 효과와, 회전커터를 포함하는 회전체의 회전저항을 감소시켜 분쇄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힌지날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힌지날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힌지날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종래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식용물 분쇄장치(100)는, 도 1 및 도 2 a,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납작한 원통형 분쇄통(10)이 설치되고, 이 분쇄통(10)의 상부에는 상부에 분쇄물체가 투입되는 투입구(2)를 구비한 덮개(3)가 잠금구(4)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게 설치되고, 분쇄통(10)의 배출구 측에는 개방도어(17)가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며, 이 개방도어(17)의 힌지(5) 반대편에는 개방도어(17)를 잠금 및 해제하는 잠금구(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쇄통(10)은 배출 측에 분쇄되는 분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되며 배출구(11)를 제외한 분쇄통(10)의 내주면에 톱니형 고정절삭날(12)이 형성되고, 이 분쇄통(10)의 분쇄실(9) 가운데에 회전체(26)가 본체프레임(1)의 하측에 설치된 모터(7)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쇄통(10)의 배출구(11)쪽 양측에는 걸름망(14)과 걸름망지지테(15)를 겹친 양측 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삽탈하는 끼움부(16)가 형성되고, 끼움부(16) 후방 배출구(11)에는 분쇄실(9)에서 분쇄된 분체가 배출되는 배출관(20)이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게 삽입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출관(20)의 전방은 끼움부(16)에 끼워진 걸름망(14)에 밀착되고, 후방은 개방도어(17)에 눌려지게 되며, 이 개방도어(17)는 배출관(10)이 노출될 만큼의 크기로 개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8)이 구비되어 도 2b와 같이 도어프레임(18)의 개방된 공간으로 자루형태로 일측이 개방된 포집망(8)의 입구부분을 개방도어(17)의 개방된 공간으로 삽입시키면서 쿠션패킹(18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감싸도록 덮은 상태에서 개방도어(17)를 잠가서 포집망(8)을 배출관(10)의 배출 측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상기 회전체(26)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측 외주연에 허브플랜지(25)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허브(24)가 분쇄실(9) 가운데로 상향 돌출되는 회전축(7a)에 끼워지게 설치되고, 상하측 허브플랜지(25)의 사이에 수개의 힌지핀(2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며, 이들 각각의 힌지핀(23)에는 회전커터(13)의 끝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회전커터(13)는 힌지핀(23)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까닥거리도록 힌지핀(23)의 중심부에서 회전커터(13)의 끝단부 측 가운데까지의 거리 보다 힌지핀(23)의 중심부에서 회전커터(13)의 끝단부 양측 모서리 걸림부(13a) 까지의 간격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허브플랜지(25) 사이의 상하측에 2개의 회전커터(13)를 간격을 두고 힌지식으로 설치하되, 상하측 회전커터(13) 사이의 힌지핀(23)에는 힌지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간격유지관(22)의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힌지날개(21)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시작품으로 제작하는 건조식용물 분쇄장치(100)에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허브(24)에 6방향으로 회전커터(13)를 각각 설치하되, 회전커터(13)를 한 번은 상하측에 설치하고 그 다음은 중간에 설치하는 교대 방식으로 회전커터(13)를 설치하였으며, 회전커터(13)을 상하에 설치하는 경우에 그 상하측 회전커터(13)의 사이에 힌지날개(21)를 설치하였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19"는 쇳가루 배출관(20)을 분쇄실(9)측으로 밀어주는 탄력누름구이고, "6a"는 개방도어(17)를 잠글 때 잠금구(6)가 걸리는 걸고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쇄통(10) 상부에 덮개(3)를 닫은 상태에서 투입구(2)로 분쇄물체를 투입하고 모터(7)를 구동시키면, 모터(7)의 구동에 의해 분쇄통(10)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체(26)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26)는 허브(24)의 외주연에 수개의 회전커터(13)가 까닥거리게 설치되어서 회전커터(13)는 제한된 각도범위 내에서 각운동하게 된다.
즉, 초기에 회전체(26)가 회전을 시작할 때 회전커터(13)는 힌지핀(23)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서 뒤로 젖혀진 상태로 회전하다가 원심력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힌지핀(23)에 회전커터(13)와 함께 힌지식으로 설치된 힌지날개(21)도 회전커터(13)와 동일하게 회전 초기에는 힌지날개(21)가 간격유지관(22)을 중심으로 뒤로 젖혀졌다가 회전속도가 정상속도에 도달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회전커터(13)와 동일하게 방사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커터(13)와 힌지날개(21)가 방사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크고 단단한 분쇄물체가 회전커터(13)에 부딪치게 되면, 그렇게 부딪치는 충격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회전커터(13)가 순간적으로 뒤로 젖혀지면서 순간적으로 충격이 완충되어 회전커터(13)가 파손되는 것과 진동을 완화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크고 단단한 분쇄물체에 부딪치는 순간, 순간적으로 뒤로 젖혀졌던 회전커터(13)는 다시 원심력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세워지면서 계속 회전하게 되고, 그렇게 회전하는 과정에서 계속적인 파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하측 회전커터(13) 사이로 지나려는 분쇄물체는 힌지날개(21)에 부딪쳐서 상하측 회전커터(13) 사이를 지나가지 못하고 힌지날개(21)에 부딪치면서 고정절삭날(12)에 부딪치고 뒤 따라오는 회전커터(13)에 부딪치면서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도 힌지날개(21)에 분쇄물체가 부딪치는 순간, 순간적으로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힌지날개(21)가 뒤로 젖혀지면서 충격을 완충시키고 진동도 최소화하게 되며, 곧바로 원심력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세워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수개의 힌지날개(21)가 분쇄실(9)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판형태로 형성된 힌지날개(21)가 임펠러 형태로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키면서 잘게 분쇄된 분체를 분쇄실(9)의 내부에서 먼지가 바람에 날리는 것처럼 분산되어 날리게 하여 회전체(26)의 회전에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분체를 더욱더 미세하게 분쇄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이는 바람에 의해 분쇄실(9)에서 미세하게 분쇄되는 분체는 걸름망의 배출구멍 보다 작은 입자로 분쇄되는 즉시 포집망측으로 배출되어 분쇄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미세하게 효율적으로 분쇄가 이루어지므로 분쇄시간이 단축되어 건조식용물 분쇄장치(100)의 가동시간이 단축되게 되고, 그로인하여 분쇄통(10)과 회전체(26)가 발열되는 시간이 지연되어 당(糖)성분을 포함한 분쇄물체를 분쇄하는 경우에도 그렇게 분쇄되는 분체가 서로 엉겨 붙거나, 분쇄통(10)과 회전체(26)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1 : 본체프레임 2 : 투입구 3 : 덮개
4 : 잠금구 5 : 힌지 6 : 잠금구
7 : 모터 8 : 포집망 9 : 분쇄실
10 : 분쇄통 11 : 배출구 12 : 고정절삭날
13 : 회전커터 14 : 걸름망 15 : 걸름망지지테
16 : 끼움부 17 : 개방도어 18 : 도어프레임
19 : 탄력누름구 20 : 배출관 21 : 힌지날개
22 : 힌지부 23 : 힌지핀 24 : 회전체몸체
25 : 플랜지부 26 : 회전체 100 : 건조식용물 분쇄장치

Claims (2)

  1. 투입구(2)를 통하여 분쇄통(10)으로 투입되는 분쇄물체를 회전체(26)에 포함되는 회전커터(13)로서 분쇄하는 건조식용물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6)는 상하측 외주연에 회전날개(21)와 회전커터(13)가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도록 허브플랜지(25)가 형성된 허브(24)가 설치되고, 상하측 허브플랜지(25)의 사이에 수개의 힌지핀(2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며, 이들 각각의 힌지핀(23)에는 회전커터(13)의 끝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하측 허브플랜지(25) 사이의 상하측에 2개의 회전커터(13)를 간격을 두고 힌지식으로 설치하되, 상하측 회전커터(13) 사이의 힌지핀(23)에는 힌지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간격유지관(22)의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힌지날개(21)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커터(13)는 힌지핀(23)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까닥거리도록 힌지핀(23)의 중심부에서 회전커터(13)의 끝단부 측 가운데까지의 거리보다 힌지핀(23)의 중심부에서 회전커터(13)의 끝단부 양측 모서리 걸림부(13a)까지의 간격이 길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
  2. 삭제
KR1020170021758A 2017-02-17 2017-02-17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 KR101868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758A KR101868573B1 (ko) 2017-02-17 2017-02-17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758A KR101868573B1 (ko) 2017-02-17 2017-02-17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573B1 true KR101868573B1 (ko) 2018-06-18

Family

ID=6276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758A KR101868573B1 (ko) 2017-02-17 2017-02-17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5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873B1 (ko) 2014-06-09 2015-11-25 강석진 곡물분쇄장치
KR101670448B1 (ko) * 2015-06-16 2016-10-28 안두혁 골재 및 광물 파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873B1 (ko) 2014-06-09 2015-11-25 강석진 곡물분쇄장치
KR101670448B1 (ko) * 2015-06-16 2016-10-28 안두혁 골재 및 광물 파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9189A (zh) 分级粉碎机
US3123312A (en) Palyi
KR20100053427A (ko) 입자선별부를 구비한 분쇄기
KR101868573B1 (ko)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CN103611611B (zh) 一种高糖类物料粉碎装置
CN203061226U (zh) 刮板式多用途结构破碎机
KR101571873B1 (ko) 곡물분쇄장치
KR101530421B1 (ko) 곡물분쇄장치용 임펠러
CN210148497U (zh) 一种泡沫塑料回收粉碎机
JP6407662B2 (ja) 微粉砕装置
KR101391860B1 (ko) 합성수지분쇄기
CN216149962U (zh) 一种餐厨垃圾粉碎装置及应用其的餐厨垃圾处理设备
CN203874828U (zh) 一种锤片式粉碎机
CN207025514U (zh) 一种物料破碎设备
CN204159382U (zh) 锤式粉碎机
US2298712A (en) Feed grinding machine
CN207463349U (zh) 一种粉碎机
KR20110116096A (ko) 음식물찌꺼기 분쇄기용 분쇄날
KR20120129555A (ko)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CN207446402U (zh) 一种便于切换刀片的粉碎机
KR101647681B1 (ko) 식품분쇄기
JP2007117975A (ja) 小型汎用回転衝撃式粉砕機
JPS6145885Y2 (ko)
CN204735271U (zh) 分级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