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555A -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 Google Patents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555A
KR20120129555A KR1020110047888A KR20110047888A KR20120129555A KR 20120129555 A KR20120129555 A KR 20120129555A KR 1020110047888 A KR1020110047888 A KR 1020110047888A KR 20110047888 A KR20110047888 A KR 20110047888A KR 20120129555 A KR20120129555 A KR 20120129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verization
lid
net
wall
pulv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진
Original Assignee
강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진 filed Critical 강석진
Priority to KR102011004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9555A/ko
Publication of KR2012012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concentric circles of intermeshing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7/182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with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7/188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된 식품재료를 분쇄하는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기의 전방공간에 벽체가 각형으로 형성된 분쇄통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그 분쇄통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회전카타가 설치된 회전판을 회전되게 설치하며, 분쇄통의 벽체에는 개구부를 형성한 뒤에 그 벽체에 망을 교체 가능하게 설치하고, 전방공간의 전방에는 분쇄통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고정카타가 설치된 뚜껑을 개폐되게 설치함으로서, 분쇄통의 내부에서 회전카타와 고정카타에 의해 분쇄물체가 분쇄될 때 각형 벽체에 부딪치면서 튕겨 나오는 분쇄물체가 회전카타와 고정카타에 반복되게 충돌하여 분쇄효율이 향상되고,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손상되는 각각의 망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쇄기 본체(20)의 전방공간(5) 내부에 전방이 개방된 분쇄통(10)이 설치되고, 이 분쇄통의 내벽면에는 전면에 다수개의 회전카타(17)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판(16)이 모터(4)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방공간(5)의 전방에는 회전카타(17)의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카타(26)가 내향 설치되고 일측에 분쇄물체를 투입시킬 수 있는 유입구(24)가 구비된 뚜껑(23)이 개폐되게 설치되며, 전방공간(5)의 일측에는 분쇄된 입자가 배출되는 배출구(21)가 구비된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통(10)은 전방이 개방된 각형으로 형성되며, 이 각형 분쇄통(10)의 각각의 벽체 변(邊)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이들 벽체 변에는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망(14)이 교체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The powdering machine for possible change the net}
본 발명은 건조된 식품재료를 분쇄하는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기의 전방공간에 벽체가 각형으로 형성된 분쇄통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그 분쇄통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회전카타가 설치된 회전판을 회전되게 설치하며, 분쇄통의 벽체에는 개구부를 형성한 뒤에 그 벽체에 망을 교체 가능하게 설치하고, 전방공간의 전방에는 분쇄통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고정카타가 설치된 뚜껑을 개폐되게 설치함으로서, 분쇄통의 내부에서 회전카타와 고정카타에 의해 분쇄물체가 분쇄될 때 각형 벽체에 부딪치면서 튕겨 나오는 분쇄물체가 회전카타와 고정카타에 반복되게 충돌하여 분쇄효율이 향상되고,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손상되는 각각의 망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건조된 곡물이나, 건조된 해산물, 건조된 한약재 등의 식품재료를 분쇄하는 종래의 분쇄기에는 여러 가지형태의 것들이 존재하고 있는데, 본 발명과 유사한 형태의 종래분쇄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즉, 본 발명과 대응되는 종래의 분쇄기는 분쇄기 본체의 전방공간 내부에 전방이 개방되며 외주연에 무수히 많은 통공을 구비한 분쇄통이 설치되고, 이 분쇄통의 내부에는 전면에 다수개의 회전카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판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이 분쇄기 본체의 전방에는 회전카타의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카타를 내향 설치한 뚜껑이 개폐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에는 분쇄통의 내부로 분쇄물체를 투입시킬 수 있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전방공간의 하방에는 분쇄통의 통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분쇄입자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쇄기의 작용관계는 유입구를 통하여 분쇄통의 내부로 분쇄물체가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뚜껑의 내부에 내향 돌출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고정카타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에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회전카타에 의해 상기 분쇄통의 내부로 투입된 분쇄물체가 분쇄되게 된다.
이렇게 분쇄되는 분쇄물체는 미분화되면서 분쇄통에 형성된 무수히 많은 통공을 통하여 분쇄통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되고, 뒤이어 분쇄통 외측의 전방공간 하방에 크게 형성된 배출구로 미분화된 분쇄입자가 배출되게 되며, 이 배출구에는 자루의 입구가 연결되어서 상기 미분화된 분쇄입자가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쇄기는 분쇄통이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면서 둥근 외주면에 얇은 스텐레스판으로 제작된 타공망이 설치되어 있는데, 분쇄통이 원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회전카타가 회전하면서 분쇄물체를 타격할 때 분쇄물체가 회전카타에 얹혀서 밀리듯이 함께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분쇄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분쇄입자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망은 미분화된 분쇄입자가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얇은 스텐레스판으로 타공망을 제작하게 되는데, 분쇄통의 내부에서 분쇄물체가 분쇄될 때 회전카타와 고정카타에 강하게 타격당하는 분쇄물체가 얇은 스텐레스판으로 제작된 타공망의 내벽면에 충돌하면서 그 얇은 타공망이 변형되게 되고, 이와 같은 변형이 계속되면서 타공망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시기가 도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타공망은 분쇄통의 외주연 전둘레와 동일한 길이나, 또는 반원 길이만큼 길게 제작 형성하게 되어 타공망의 손상이 빨리되고, 그렇게 길이가 긴 타공망에서 손상부위가 어느 일측에 부분적으로 있는 경우라도 그 타공망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타공망의 교체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쇄통을 육각이나 팔각과 같은 각형으로 형성하면서 그 각형 분쇄통의 각각의 벽체 변(邊)에 개구부를 형성한 뒤에 그 각각의 벽체 변에 망을 교체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분쇄통 내의 분쇄물체가 회전카타를 따라 도는 현상이 최소화되면서 각형 분쇄통의 내벽체에 부딪쳤다가 회전카타 측으로 튕겨 나옴에 따라 분쇄효율이 향상되게 되고, 각각의 망 중에서 손상된 망만 교체하게 되므로 망 교체로 인한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쇄기 본체의 전방공간내부에 전방이 개방된 분쇄통이 설치되고, 이 분쇄통의 내벽면에는 전면에 다수개의 회전카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판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방공간의 전방에는 회전카타의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카타가 내향 설치되고 일측에 분쇄물체를 투입시킬 수 있는 유입구가 구비된 뚜껑이 개폐되게 설치되며, 전방공간의 일측에는 분쇄된 입자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통은 전방이 개방된 각형으로 형성되며, 이 각형 분쇄통의 각각의 벽체 변(邊)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들 벽체 변에는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망이 교체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는, 분쇄통을 육각이나 팔각과 같은 각형으로 형성하면서 그 각형 분쇄통의 각각의 벽체 변(邊)에 개구부를 형성한 뒤에 그 각각의 벽체 변에 망을 교체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분쇄통 내의 분쇄물체가 회전카타를 따라 도는 현상이 최소화되면서 각형 분쇄통의 내벽체에 부딪쳤다가 회전카타측으로 튕겨 나옴에 따라 분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와, 각각의 망 중에서 손상된 망만 교체하게 되므로 망 교체로 인한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가"부를 확대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쇄기 본체(20)의 전방공간(5) 내부에 전방이 개방되며 외주연에 무수히 많은 통공을 구비한 분쇄통(10)이 설치되고, 이 분쇄통의 내부에는 전면에 다수개의 회전카타(17)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판(16)이 전방공간(5)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4)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방공간(5)의 전방에는 회전카타(17)의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카타(26)를 내향 설치한 뚜껑(23)이 개폐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23)에는 분쇄통(10)의 내부로 분쇄물체를 투입시킬 수 있는 유입구(24)가 구비되고, 전방공간(5)의 하방에는 분쇄통(10)의 통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분쇄입자가 배출되는 배출구(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21)에는 분쇄입자가 담겨지는 자루(3)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상기 분쇄통(10)은 도 1 및 도 2,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이 개방된 육각형과 같은 각형으로 형성되며, 이 각형 분쇄통(10)의 본체(11)를 형성하는 각각의 벽체 변(邊)은 두 겹으로 형성되어 두 겹의 벽체 변 사이에 망끼움부(13)가 형성되고, 이들 두 겹의 벽체 변에는 벽체 변의 내외가 통하는 개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벽체 변에 형성된 각각의 망끼움부(13)에는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망(14)이 교체가능하게 설치된다.
위에서 상기 분쇄통(10)은 위에서 설명한 육각형은 물론이고 오각형, 칠각형, 팔각형, 구각형, 십각, 십일각, 십이각 등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분쇄통(10)의 전방측 입구는 뚜껑(23)을 닫았을 때, 뚜껑(23)의 내벽면이 분쇄통(10)의 개방된 입구를 폐쇄하게 되며, 분쇄통(10)의 전방이 접촉되는 뚜껑(23)의 내벽면에는 분쇄물체가 접촉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키는 회전카타(17)가 부착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쇄통(10) 내주연에는 분쇄통(10) 내측에서 분쇄되는 분쇄물체가 분쇄통(10)의 각진 내측모서리부와 원판형 회전판(16)의 외주연사이로 끼는 것을 차단하는 틈새메움판(15)이 회전판(16)의 내주연과 근접한 상태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공간(5)의 후방에 설치되는 모터(4)의 그 모터축(4a)은 분쇄통(10)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판(16)과 직결되어 모터축이 짧게 되며, 모터축이 짧음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카타(17)와 고정카타(26)의 타격면에는 공지된 분쇄기용 카타와 동일하게 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한 초경합금을 결합 설치하였음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9"는 본쇄물체를 보관하는 재료보관부이고, "25"는 분쇄물체를 분쇄통(10)의 내측으로 투입하는 유입관(25)으로서 하단부가 유입구(24)와 통하게 뚜껑(23)의 외부측 전면에 설치되고, "22"는 뚜껑(23)을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손잡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1)에서 건조된 곡물이나, 건조된 해산물, 건조된 한약재 등의 식품재료를 분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0)의 전방에 개폐되게 설치된 뚜껑(23)을 닫으면, 뚜껑(23)의 내부면에 부착 설치된 (27)가 분쇄통(10)의 개방된 전방을 막게 된다.
이때, 상기 쿠션패드(27)는 합성수지를 발포시킨 시트형이나 또는 고무판을 채택하여 설치함에 따라 뚜껑(23)을 닫았을 때는 쿠션패드(27)가 분쇄통(10)의 벽체변의 선단부가 눌린 형태로 접촉되어 분쇄통(10)의 개방된 전방이 밀봉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뚜껑(23) 외측의 유입관(25)을 통하여 분쇄물체를 투입시키면, 이 분쇄물체는 뚜껑(23)의 가운데에 관통된 유입구(24)를 통하여 분쇄통(1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분쇄통(10)의 내부로 분쇄물체가 삽입된 뒤에 모터(4)를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축(4a)에 설치된 회전판(16)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 회전판(16)에는 다수개의 회전카타(17)가 돌출되게 설치되어서 그들 다수개의 회전카타(17)가 분쇄통(10)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판(16)에 외향 돌출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회전카타(17)가 2줄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뚜껑(23)의 내면에 내향 돌출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고정카타(26)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카타(17)의 사이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위치함에 따라 고정된 고정카타(26)와 회전하는 회전카타(17)에 의해 분쇄물체가 절단, 또는 파쇄되게 된다.
이렇게 절단되거나 파쇄되는 분쇄물체는 회전카타(17)와 고정카타(26)에 부딪치면서 카타(17,26)들의 사이로 들어가면서 파쇄되거나, 카타(17,26)의 외측으로 튕겨나가면서 각형으로 형성된 분쇄통(10)의 내벽면에 부딪치면서 카타(17,26)들 측으로 다시 튕겨 들어오면서 카타(17,26)들에 의해 부딪치면서 분쇄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분쇄되는 분쇄물체의 입자 중에 망(14)의 구멍보다 작은 입자는 망(14)의 외측으로 빠져나가고, 망(14)에 형성된 구멍보다 큰 입자는 다시 카타(17,26) 측으로 튕겨 들어가면서 계속적인 분쇄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회전카타(17)가 설치된 회전판(16)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카타(17)이 설치된 회전판(16)이 브로워 역할을 하면서 뚜껑(23)에 형성된 유입구(24)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면서 그렇게 흡입되는 공기가 망(14)을 통하여 분쇄통(10)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잘게 분쇄된 입자를 분쇄통(1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고, 그렇게 배출되는 분쇄입자는 전방공간(5) 하측에 개방된 배출구(21)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21)의 하방에는 자루(3)가 설치되어서 분쇄되어 배출되는 분쇄입자가 그 자루(3)에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분쇄통(10) 내에서 분쇄물체에 대한 분쇄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분쇄물체들이 방사상으로 튕겨나갈 때, 회전판(16)은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있고, 분쇄통(10)는 각형으로 형성되어서 분쇄통(10)의 내측 모서리부분으로 분쇄물체가 끼일 것으로 염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쇄통(10)의 내벽면에 틈새메움판(15)을 설치하되, 틈새메움판(15)의 내주연과 회전판(16)의 외주연이 1~2미리 정도의 작은 틈새를 두고 틈새메움판(15)을 분쇄통(10)의 내벽면에 설치함에 분쇄되던 분쇄물체가 분쇄통(10)의 내측 모서리부분에 모이면서 끼일 염려가 없게 된다.
이는 솔잎이나 인진쑥과 같은 얇고 뾰족한 마른 식물을 분쇄할 때, 솔잎이나 인진쑥의 얇은 부분이 상기 틈새메움판(15)과 회전판(16) 사이의 틈새에 일시적으로 끼일 수도 있으나, 상기 틈새에 끼인 분쇄물체는 분쇄통(10)의 내부에서 분쇄물체가 계속하여 회전하면서 파쇄 또는 분쇄가 되기 때문에 그들 분쇄물체 덩이에 부딪치고 밀리면서 다시 빠져나오면서 분쇄가 되어 상기 틈새로 분쇄물체가 끼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분쇄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튕겨나가던 분쇄물체가 망(14)에 부딛쳐서 망(14)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의 망은 각형 분쇄통(10)의 벽체변마다 1개씩 망이 설치되어서 그 망의 폭이 좁아 넓은 종래의 망이나 타공판 보다는 강도가 증대되어 손상의 정도가 덜하게 된다.
그래도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망(14)이 손상되게 되는데, 이때는 분쇄기(1)에 대한 가동을 정지하고 뚜껑(23)을 개방한 뒤에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상된 망을 벽체변에 형성된 망끼움부(13)에서 빼내고 그 자리에 새로운 망을 교체하여 다시 분쇄기(1)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손상된 망(14)만 교체할 수 있음에 따라 분쇄기(1)의 유지 및 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위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각진 분쇄통(10)의 내벽면에 분쇄물체가 부딪치고 그렇게 부딛친 분쇄물체가 카타(17,18)들 측으로 다시 튕겨 들어가면서 계속적으로 분쇄가 이루어져 분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분쇄기 2 : 프레임 3 : 자루
4 : 모터 5 : 전방공간 6 : 후방공간
10 : 분쇄통 11 : 본체 12 : 개구부
13 : 망끼움부 14 : 망 15 : 틈새메움판
16 : 회전판 17 : 회전카타 20 : 본체
21 : 배출구 22 : 손잡이 23 : 뚜껑
24 : 유입구 25 : 유입관 26 : 고정카타
27 : 쿠션패드

Claims (4)

  1. 분쇄기 본체(20)의 전방공간(5) 내부에 전방이 개방된 분쇄통(10)이 설치되고, 이 분쇄통의 내벽면에는 전면에 다수개의 회전카타(17)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판(16)이 모터(4)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방공간(5)의 전방에는 회전카타(17)의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카타(26)가 내향 설치되고 일측에 분쇄물체를 투입시킬 수 있는 유입구(24)가 구비된 뚜껑(23)이 개폐되게 설치되며, 전방공간(5)의 일측에는 분쇄된 입자가 배출되는 배출구(21)가 구비된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통(10)은 전방이 개방된 각형으로 형성되며, 이 각형 분쇄통(10)의 각각의 벽체 변(邊)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이들 벽체 변에는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망(14)이 교체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변은 두 겹으로 형성되어 두 겹의 벽체 변 사이에 망(14)이 삽탈되는 망끼움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통(10)의 폭은 뚜껑(23)을 닫았을 때, 뚜껑(23)의 내벽면이 분쇄통(10)의 개방된 입구를 폐쇄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뚜껑(23)의 내벽면에 회전카타(17)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통(10)의 내주연에는 분쇄물체가 분쇄통(10)의 각진 내측모서리부와 원판형 회전판(16)의 외주연사이로 끼는 것을 차단하는 틈새메움판(15)이 회전판(16)의 내주연과 근접한 상태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KR1020110047888A 2011-05-20 2011-05-20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KR20120129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888A KR20120129555A (ko) 2011-05-20 2011-05-20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888A KR20120129555A (ko) 2011-05-20 2011-05-20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555A true KR20120129555A (ko) 2012-11-28

Family

ID=4751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888A KR20120129555A (ko) 2011-05-20 2011-05-20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95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7371A (zh) * 2017-06-09 2018-01-19 霍山宝信园石斛开发有限公司 一种多功能石斛粉碎机
CN109433393A (zh) * 2018-11-09 2019-03-08 李雅丽 一种多功能医药材料预处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7371A (zh) * 2017-06-09 2018-01-19 霍山宝信园石斛开发有限公司 一种多功能石斛粉碎机
CN109433393A (zh) * 2018-11-09 2019-03-08 李雅丽 一种多功能医药材料预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853B2 (en) Reducing component for a comminution machine
CN206240546U (zh) 一种木屑粉碎传送装置
KR100944485B1 (ko) 곡물분쇄기
CN206304867U (zh) 药物粉碎机
KR20120129555A (ko) 망의 교체가 가능한 분쇄기
CN103599836A (zh) 一种高油脂物料粉碎装置
KR101571873B1 (ko) 곡물분쇄장치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CN209451955U (zh) 一种进料口可调整的高效粉碎机
KR101071656B1 (ko) 분쇄기
CN106956385A (zh) 一种塑料粉碎分尘一体机
CN103611611A (zh) 一种高糖类物料粉碎装置
KR101530421B1 (ko) 곡물분쇄장치용 임펠러
KR101291139B1 (ko) 고추분쇄기
CN210815545U (zh) 具有降尘功能的高速粉碎机
CN203663958U (zh) 一种高油脂物料粉碎装置
CN203663939U (zh) 一种高糖类物料粉碎装置
CN204159382U (zh) 锤式粉碎机
CN106508315A (zh) 多功能饲料粉碎机
KR101868573B1 (ko) 힌지날개가 구비된 건조식용물 분쇄장치
JP2012166168A (ja) 固形物粉砕機
CN207463359U (zh) 一种防堵塞粉碎机
CN207655220U (zh) 黄豆磨粉机
CN107088461A (zh) 家用大米粉碎机
KR101647681B1 (ko) 식품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