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552B1 - 차량 충격감소용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충격감소용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552B1
KR101868552B1 KR1020170151635A KR20170151635A KR101868552B1 KR 101868552 B1 KR101868552 B1 KR 101868552B1 KR 1020170151635 A KR1020170151635 A KR 1020170151635A KR 20170151635 A KR20170151635 A KR 20170151635A KR 101868552 B1 KR101868552 B1 KR 101868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m
rail assembly
sliding
unit
slid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근
박재홍
성정곤
이석기
문재필
양충헌
고만기
김기동
한기장
노민형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8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mobil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초기에는 지주 자체의 관성을 이용하여 충돌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킨 후, 기초부재에 구비된 충돌에너지 흡수부재(EAM)의 충돌에너지 및 운동에너지 흡수능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정지시켜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되는 기능과 작동성능을 발휘함은 물론이고 충돌에너지 흡수부재(EAM)를 교체 가능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차량 충돌이 발생한 후 EAM 유닛을 분리하여 손상된 EAM을 새것으로 교체하여 다시 설치할 수 있어서, 구조적 안정성, 용이한 교체 및 재사용 가능성, 그리고 최적 EAM 설치 등의 장점이 발휘되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와, 이러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를 포함하는 "감충지주"와, 이러한 감충지주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충격감소용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Crashworthy Post, Sliding Rail Assembly therefor, and Method for Reducing Car Impact using such Crashworthy Post}
본 발명은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발생하는 충돌에너지를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감소시킬 수 있는 감충지주(堪衝支柱/Crashworthy Post)와, 이러한 감충지주의 설치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sliding rail) 조립체와, 이러한 감충지주를 이용하여 충격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감충지주의 지주 본체가 차량과 함께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부재에 해당하며, 변형 또는 파쇄에 의해 차량 충돌에너지를 소산시키게 되는 충돌에너지 흡수부재(Energy Absorbing Module/이하,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 전체적으로 "EAM"라고 약칭한다)를 교체 가능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와, 이러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를 포함하는 "감충지주"와, 이러한 감충지주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신주, 조명을 설치하기 위한 조명주(조명 기둥), 도로표지판을 설치하기 위한 도로표지주 등과 같이 수직한 기둥부재로 이루어져서 도로변에 설치되는 감충지주(堪衝支柱)로서, 차량충돌 초기에는 지주 본체 자체의 관성을 이용하여 충돌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킨 후, 기초부재에 매입된 설치된 EAM의 충격흡수능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정지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되는 감충지주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개발되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7752호로 특허출원(특허출원 제10-2016-0006316호)되어 있다.
도 1에는 상기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7752호에 개시된 감충지주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감충지주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0)가 하단에 일체로 구비된 지주 본체(1), 및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상면에 놓이게 되어 지주 본체(1)가 연직하게 설치되는 기초부재(2)를 구비하고 있으며, 기초부재(2)에는 가이드 통로(3)가 후방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통로(3)에 EAM(4)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7752호에 개시된 감충지주는 우수한 차량 충격 흡수 및 감소 효과를 발휘하게 되지만, 차량 충격으로 EAM(4)이 변형 내지 파쇄된 후에는 EAM(4)의 교체 및 감충지주 자체의 재사용이 다소 불편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7752호(2017.07.06.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감충지주에서 차량 충돌 후 지주 본체가 견고하고 원활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만들면서도, EAM이 변형 내지 파손되었을 때 EAM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충지주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복원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 충격감소용 감충지주(100)의 지주 본체(1)의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감충지주의 콘크리트 부재(20)로 이루어진 기초부재(2)에 매립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로서, 바닥부재(52);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2개가 횡방향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지주 본체(1)의 하단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부재(50); 및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이 바닥부재(52)로부터 연직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각각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연직지지부재(51)를 포함하며;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의한 가이드 통로에는, 충돌에 의해 변형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EAM(4)이 구비되어 있는 EAM 유닛(40)이 교체 가능하도록 종방향으로 끼워져 배치되어 있되, EAM 유닛(40)이 가이드 통로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EAM 유닛(40)의 위쪽 일부가 슬라이딩 지지부재(50)로 덮여져서 EAM 유닛(40)이 연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지 않으며; 기초부재(2)의 콘크리트 부재(20)에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가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횡방향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차량 충돌에 의해 지주 본체(1)와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이동하면서 지주 본체 자체의 관성에 의해 충돌 차량의 속도가 저감된 후,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에 돌출 구비된 타격부재(11)가 EAM(4)과 충돌하게 되면 EAM(4)이 파손되면서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돌에너지의 흡수 및 소산 작동이 일어나며, 차량 충돌 종료 후에는 EAM 유닛(40)을 분리하여 EAM(4)을 교체한 후 EAM 유닛(40)이 다시 상기 가이드 통로에 삽입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가 기초부재에 구비된 감충지주가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 기초부재(2) 및 연직하게 세워져서 기초부재(2)에 설치되는 지주 본체(1)를 구비하되, 지주 본체(1)의 하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구비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타격부재(11)가 하향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기초부재(2)는 콘크리트 부재(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콘크리트 부재(20)에는 상기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가 매립 설치되어 있되,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는 콘크리트 부재(20)의 상면에서부터 연직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횡방향 양측에는 ㄷ자 형태로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횡방향 가장자리를 감싸는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부(12)의 ㄷ자 형태의 간격에,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가 기초부재(2)의 전방 측면에서부터 끼워져서 결합되어, 지주 본체(1)가 기초부재(2)에 세워져 설치되고 타격부재(11)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구비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가이드 통로 내에 위치하게 되며; 차량이 지주 본체(1)에 충돌하게 되면 차량과 지주 본체(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지주 본체 자체의 관성에 의해 1차적인 차량 속도의 감속이 일어난 후, 타격부재(11)가 EAM(4)을 충격하여 EAM(4)이 변형됨으로써,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돌에너지의 흡수 및 소산을 통해서 2차적인 차량 속도의 감속이 일어나서 차량을 정지시키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충지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감충지주를 이용하여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에서, EAM 유닛(40)은, 종방향의 단면 형상이 ㄷ형태를 가지면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EAM 고정부재(41)와, 상기 한 쌍의 EAM 고정부재(41) 사이에서 교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EAM(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 때, EAM 유닛(40)에 구비된 EAM(4)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져서 횡방향 양단이 EAM 고정부재(41)의 ㄷ자형 오목한 부분에 위치한 상태로 한 쌍의 EAM 고정부재(4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복수개가 수평하게 배치되어 연직하게 적층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횡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의 통형상 부재가, 횡방향 양단이 EAM 고정부재(41)의 ㄷ자형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도록, 종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 지지부재(50)는 평평한 판재로 이루어지고, 연직지지부재(51)는 판부재로 이루어져서 연직지지부재(51)의 상단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하면과 일체 결합되고,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은, 슬라이딩 지지부재(50) 사이의 횡방향 간격보다 더 커서, EAM 유닛(40)이 가이드 통로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EAM 유닛(40)의 횡방향 가장자리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에 의해 덮여 있게 될 수 있는데, 이 때, EAM 유닛(40)은,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전방단부에서부터 EAM 유닛(40)이 후방을 향하여 연직지지부재(51) 사이로 삽입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전방에서 슬라이딩 지지부재(50)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는 EAM 유닛(40)이 연직방향으로부터 하강하여 삽입될 수 있는 확폭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EAM 유닛(40)은 연직방향으로 하강되어 확폭부를 통해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위치된 후, 후방으로 밀어져서 가이드 통로에 삽입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충돌 초기에는 지주 자체의 관성을 이용하여 충돌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킨 후, 기초부재에 구비된 충돌에너지 흡수부재(EAM)의 충돌에너지 및 운동에너지 흡수능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정지시켜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되는 기본적인 감충지주로서의 우수한 기능과 작동성능을 발휘함은 물론이고 아래와 같이 구조적 안정성, 용이한 교체 및 재사용 가능성, 그리고 최적 EAM 설치 등의 장점이 발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지주 본체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레일(sliding rail)로서 기능하는 슬라이딩 지지부재를 감싸면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차량 충돌시 지주 본체가 원활하게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풍하중 등과 같이 지주 본체를 전도시키려는 힘에 대해서는 강한 인발저항력을 발휘하게 되어 매우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발휘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차량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EAM이 구비된 EAM 유닛을 매우 용이하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차량 충돌이 발생한 후 EAM 유닛을 분리하여 손상된 EAM을 새것으로 교체하여 다시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손상된 EAM을 새것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충돌 사고가 발생한 후에도, 빠르게 감충지주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복원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한 도로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EAM 유닛을 조립 제작할 때, 다양한 형태의 차량 충돌조건에 맞추어서 EAM의 형상, 두께, 재질, 적층 개수 등을 변경하여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감충지주에서 가이드 통로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지 않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차량 충돌조건에 맞추어서 최적의 EAM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감충지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충지주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에서 EAM 유닛이 삽입되어 조립 결합되는 상태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 B-B 위치에서의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후방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구비되는 EAM 유닛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 C-C에 따른 EAM 유닛의 개략적인 후방으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선 A-A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후방으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에서 EAM 유닛이 삽입되어 조립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후방으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EAM 유닛이 연직지지부재 사이의 횡방향 간격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구비되는 EAM 유닛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EAM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는 각각 도 14에 도시된 EAM 유닛이 삽입되어 조립 결합되는 상태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EAM 유닛이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에 삽입 조립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EAM이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진 EAM 유닛이 연직하강하여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1는 도 20에 도시된 과정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에 따른 감충지주에서 지주 본체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형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초부재에 도 22의 지주 본체를 조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충지주에서 지주 본체에 구비된 또다른 실시예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형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초부재에 도 24의 지주 본체를 조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상태에 후속하여 기초부재와 지주 본체의 조립 완료를 통해서 본 발명의 감충지주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도 2의 상태에 후속하여 타격부재가 EAM을 충격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도 26에 후속하여 타격부재가 EAM을 충격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후방"은 차량이 지주 본체를 향하여 충돌해오는 방향 즉, 차량이 지주를 향하여 접근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도 2에서 화살표 K가 향하는 방향이 "후방"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차량이 지주 본체를 향하여 충돌해 올 때 지주 본체에서 차량을 바라보는 방향 즉, 상기한 후방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하게 된다. 그리고 "종방향"은 전-후방으로 이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횡방향"은 평면에서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충지주(100)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감충지주(100)는, 기초부재(2), 및 상기 기초부재(2)에 연직하게 세워져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가능하게 상태로 설치되는 지주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충지주(100)에서 기초부재(2)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와, 콘크리트 부재(20)로 이루어지는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는 대부분이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어 일체화된 상태로 구비된다. 기초부재(2)를 이루는 콘크리트 부재(20)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슬래브 형태를 가질 수도 있는데,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프리캐스트(precast) 방식으로 공장 제작되어 현장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를 기초부재(2)의 콘크리트 부재(20)에 매립되지 않은 상태로 온전하게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서 충돌에너지 흡수부재 유닛("EAM 유닛")(40)이 조립 장착되는 상태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EAM 유닛(40)이 아직 삽입 장착되지 않은 위치에 해당하는 도 4의 선 B-B 위치에서의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대한 개략적인 후방으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는, 슬라이딩 지지부재(50), 연직지지부재(51) 및 바닥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지지부재(50)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지며, 2개가 한 쌍을 이루어서 횡방향의 간격을 두고 동일한 평면상에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지지부재(50)는 평평한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지지부재(50)는 후술하는 것처럼 지주 본체(1)의 하단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지지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레일(sliding rail)로서 기능한다.
연직지지부재(51)는 슬라이딩 지지부재(50)가 바닥부재(52)로부터 연직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부재로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2개가 한 쌍을 이루어서 횡방향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연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바닥부재(52)의 상면에 일체로 설치된다. 2개의 연직지지부재(51)는 2개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를 각각 지지하며, 이를 위하여 연직지지부재(51)의 상단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하면과 일체 결합되어 있는데,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이 2개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 사이의 횡방향 간격보다 더 크다. 각각의 연직지지부재(51)는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공간은, 위에서 언급한 특허출원 제10-2016-0006316호에서의 가이드 통로(Guide Trough)(3)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공간에 의해 가이드 통로(3)가 형성되며, 이러한 2개의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간격은 후술하는 것처럼 EAM(4)과 충돌하게 되는 타격부재(11)의 형상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즉, 2개의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공간에 의해 가이드 통로(3)가 형성되기 때문에 타격부재(11)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후술하는 것처럼 EAM(4)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구성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닥부재(52)는 연직지지부재(51)의 하단에 결합 배치되는 부재로서 평평한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부재(52)와 연직지지부재(51)의 외측면 사이에는 보강리브(53)가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보강리브(53)는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는 EAM 유닛(40)이 삽입 배치되는데, EAM 유닛(40) 자체가 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서 후방단부에는 EAM 유닛(40)의 후방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마감부재(54)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마감부재(54)는 판부재로 이루어져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완전히 막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EAM 유닛(40)의 EAM 고정부재(41)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만 저지할 수 있는 형태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부분적으로 가로막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EAM 유닛(40)은 EAM(4)이 구비되어 있는 부재로서, 전술하였듯이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삽입 배치된다. 도 7의 (a) 및 (b)에는 각각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구비된 EAM 유닛(40)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EAM 유닛(40)에는 한 쌍의 EAM 고정부재(41)가 구비되어 있는데, EAM 고정부재(41)는 종방향의 단면 형상이 ㄷ형태를 가지면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부재로서, 이러한 EAM 고정부재(41)의 한 쌍이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ㄷ자의 오목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거울대칭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EAM 고정부재(41) 사이에는 EAM(4)이 배치되어 있다. 도 8에는 EAM 유닛(40)에 대한 종방향 단면구성을 보여주는 도 7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EAM(4)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져서 복수개가 연직하게 적층되고 횡방향 양단이 EAM 고정부재(41)의 ㄷ자 형 오목한 부분에 위치한 상태로 한 쌍의 EAM 고정부재(4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판부재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EAM(4)이 연직하게 적층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EAM(4) 사이에는 간격재(44)를 배치하여 복수개의 EAM(4)이 서로 연직 간격을 두고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간격재(44)는 EAM(4)의 횡방향 양단에 위치하여 EAM 고정부재(41)의 ㄷ자의 오목한 부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EAM 유닛(40)은 EAM 고정부재(41), 간격재(44) 및 EAM(4)의 조립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EAM(4)이 파손되었을 때, EAM(4)과 간격재(44)를 EAM 고정부재(41)로부터 빼낸 후, 손상된 EAM을 새것으로 교체하여 다시 간격재(44)와 함께 EAM 고정부재(41)에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손상된 EAM(4)을 매우 용이하게 교체하여 EAM 유닛(40)을 다시 사용가능한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판형의 EAM(4)을 이용하는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차량 충돌조건에 맞추어서, 판형(板形)으로 이루어진 EAM(4)의 두께, 재질, 적층 개수 등을 변경하여 최적의 충돌감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즉, 가이드 통로에서의 이격거리(L)를 변화시키지 않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차량 충돌조건에 맞추어서 최적의 EAM(4)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판형의 EAM(4)과 간격재(44)를 EAM 고정부재(41)에 조립 설치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 등의 관통고정부재(46)를 EAM 고정부재(41), 간격재(44) 및 EAM(4)의 횡방향 양측에서 연직하게 관통시킴으로써, EAM 고정부재(41), 간격재(44) 및 EAM(4)를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판형으로 이루어진 EAM(4)의 전방단부 즉, EAM(4)에 해당하는 판형상 부재의 전방단부에는, 후술하는 타격부재(11)의 화살촉 형태의 후방 형상에 맞추어서 삼각형 형태로 오목하게 파인 절취부를 형성해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절취부는 생략이 가능하다. 판형의 EAM(4)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섬유판, 합성수지판 등 파쇄나 변형에 의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판형의 EAM(4)으로 이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EAM 유닛(40)은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삽입 배치되는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전방단부에서부터 EAM 유닛(40)이 후방을 향하여 연직지지부재(51) 사이로 삽입된다. 이렇게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삽입된 EAM 유닛(40)은,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연직지지부재(51)의 후방단부가 마감부재(54)에 닿도록 위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9에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EAM 유닛(40)이 삽입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선 A-A 위치에서의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대한 개략적인 후방으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EAM 유닛(40)이 가이드 통로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는 EAM 유닛(40)의 위쪽 일부가 슬라이딩 지지부재(50)로 덮여져서 EAM 유닛(40)이 연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이 슬라이딩 지지부재(50) 사이의 횡방향 간격보다 더 크므로, EAM 유닛(40)이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으로 만들어진 가이드 통로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는 EAM 유닛(40)의 횡방향 가장자리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에 의해 덮여 있게 되고, 그에 따라 EAM 유닛(40)이 연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처럼 차량의 충격이 EAM 유닛(40)에 가해질 때, EAM 유닛(40)이 연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EAM(4)의 파쇄 내지 변형에 의한 충격 감소 및 지주본체(1)의 정지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지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0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충지주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가 도시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충지주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대한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10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서 EAM 유닛(40)이 삽입되어 조립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도 11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후방으로의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EAM 유닛(40)이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의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가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9의 제1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은,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전방에서 슬라이딩 지지부재(50)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EAM 유닛(40)이 연직방향으로부터 하강하여 삽입될 수 있는 확폭부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전방에서부터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구간에서 한 쌍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가 절취되어 있으며, 따라서 슬라이딩 지지부재(50)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는 확폭부가 소정 길이의 구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확폭부를 통해서 EAM 유닛(40)을 연직방향으로 하강시켜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위치시킨 후,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EAM 유닛(40)을 후방으로(도 13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EAM 유닛(40)이 연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질 수 없는 위치까지 삽입 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경우, EAM 유닛(40)이 연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조립되므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전방에 여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EAM 유닛(40)을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EAM 유닛(40)에 구비된 EAM(4)은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졌으나, EAM(4)은 후술하는 것처럼 복수개의 통형상(파이프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구비되는 EAM 유닛(40)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EAM 유닛(4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EAM 유닛(40)은,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종방향의 단면 형상이 ㄷ형태를 가지면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EAM 고정부재(41)와, 그 사이에 배치되는 EAM(4)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14 및 도 15에 EAM(4)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의 통형상 부재가 종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즉, 강관 등과 같이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통형상 부재의 연장된 양단이 EAM 고정부재(41)의 ㄷ자 형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면서 종방향으로는 복수개가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EAM(4)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통형상 부재의 EAM(4)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그리고 간편한 작업을 통해서 설치된다. 특히, 이러한 구성에서는 EAM(4)을 이루는 통형상 부재의 설치개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통형상 부재의 강성(두께, 재질 등)을 필요에 맞게 선정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차량 충격흡수를 위한 최적의 성능이 발휘될 수 있는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의 EAM(4)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구비된 타격부재(11)가 EAM(4)을 이루는 통형상 부재를 순차적으로 변형 및 파쇄하면서 충격흡수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EAM(4)이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충격흡수작용이 진행된 후 파손된 통형상 부재만을 새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EAM 유닛(40)을 용이하게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위의 실시예의 경우, 차량 충돌에 의해 지주본체가 후방으로 이동한 거리 내에서만 통형상 부재가 파손될 것이므로, 파손된 통형상 부재만을 제거하고 새로운 통형상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쉽게 EAM 유닛(40)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6 및 도 17에는 각각 도 14에 도시된 EAM 유닛(40)이 삽입되어 조립 결합되는 상태를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8에는 이에 후속하여 EAM 유닛(40)의 삽입 장착이 완료된 상태의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EAM 유닛(40)의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삽입 배치된다. 즉,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전방단부에서부터 EAM 유닛(40)이 후방을 향하여 연직지지부재(51) 사이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후방에 위치하는 형태로 조립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EAM(4)이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진 EAM 유닛(40)의 경우에도, 앞서 살펴본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직하강 방식으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조립 설치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는 각각 EAM(4)이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진 EAM 유닛(40)이 연직하강하여 조립되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이에 후속하여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EAM(4)이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진 EAM 유닛(40)의 경우에도,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 사이에 형성된 확폭부에 연직방향으로 하강시켜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에 위치시킨 후, EAM 유닛(40)을 후방으로 밀어서 EAM 유닛(40)이 연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질 수 없는 위치까지 삽입 배치함으로써 EAM 유닛(40)을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조립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EAM 유닛(40)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조립하는 과정을 역(逆)으로 수행함으로써 EAM 유닛(40)을 쉽게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즉, EAM 유닛(40)을 전방으로 당겨서 연직지지부재(51) 사이로부터 빼내므로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로부터 매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확폭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EAM 유닛(40)을 확폭부까지 전방으로 당긴 후, 확폭부에서 연직 상방으로 EAM 유닛(40)을 들어 올림으로써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로부터 EAM 유닛(40)을 매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위와 같은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를 구비한 기초부재(2)와 지주본체(1)의 조립 구성 및 차량 충돌시의 충격흡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가 콘크리트 부재(20)에 매립되어 일체화된 상태로 기초부재(2)가 제작되는데, 현장에서 또는 공장에서 거푸집 내에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를 배치하고, 슬라이딩 지지부재(50)와 연직지지부재(51)의 상부가 노출될 수 있는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재(2)를 제작할 수 있다. 기초부재(2)에는 지주 본체(1)를 조립하여 설치하게 된다.
도 2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감충지주에 구비되는 지주 본체(1)를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형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지주 본체(1)는 도로표지판 등이 설치되는 기둥 형태의 부재로서, 그 하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횡방향 양측에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가 끼워질 수 있는 간격을 가지도록 ㄷ자 형태로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횡방향 가장자리를 감싸는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타격부재(11)가 하향 돌출되도록 일체 구비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예의 EAM 유닛 즉, 판형상의 EAM(4)을 구비한 EAM 유닛(40)을 사용할 때 적합한 것으로서, 타격부재(11)가 판형상의 EAM(4)을 찢어서 파쇄할 수 있도록 연직하게 세워져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격부재(11)의 후방 단부는 화살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초부재(2)에 지주 본체(1)를 조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의 상태에 후속하여 기초부재(2)와 지주 본체(1)의 조립 완료를 통해서 본 발명의 감충지주(100)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가 콘크리트 부재(20)에 매립되어 일체화된 형태로 기초부재(2)가 제작되는데, 이 때,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는 콘크리트 부재(20)의 상면에서부터 소정 연직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기초부재(2)에, 베이스 플레이트(10)와 타격부재(11)를 가지는 지주 본체(1)를 조립 설치하게 되는데, 이 때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횡방향 양측에 구비된 결합부(12)의 ㄷ자 형태의 간격에,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가 기초부재(2)의 전방 측면에서부터 끼워지게 되며, 그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면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상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가 되어, 지주 본체(1)가 세워져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타격부재(11)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구비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가이드 통로 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지주 본체(1)의 하단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가장자리를 감싼 상태에 있게 되므로, 풍하중 등이 지주 본체(1)에 작용하여 휨모멘트 등으로 인하여 지주 본체(1)를 연직 상향으로 뽑아내려는 인발력이 작용하더라도 결합부(12)와 슬라이딩 지지부재(50)간의 위와 같은 결합에 의해 강한 인발저항력이 작용하게 되며 그에 따라 지주 본체(1)는 풍하중 등으로 인한 전도에 대해 강한 저항력을 발휘하게 되어 매우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게 된다.
도 2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감충지주에서 구비되는 지주 본체(1)의 또다른 실시예를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형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4에 도시된 지주 본체(1)는 앞서 설명한 제3 및 제4실시예의 EAM 유닛 즉,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EAM(4)을 구비한 EAM 유닛(40)을 사용할 때 적합한 것으로서, 타격부재(11)가 통형상의 EAM(4)을 파쇄할 수 있도록 연직하게 세워져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격부재(11)의 후방 단부는 넓은 면적으로 통형상의 EAM(4)에 접촉할 수 있도록 면적이 증가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타격부재(11)의 후방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평평한 타격판(110)이 구비되어 있다.
도 2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초부재(2)에 도 24에 도시된 지주 본체(1)를 조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6에는 도 26의 상태에 후속하여 기초부재(2)와 지주 본체(1)의 조립 완료를 통해서 본 발명의 감충지주(100)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감충지주(100)의 경우도, 앞서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결합부(12)에 형성된 ㄷ자 형태의 간격에 슬라이딩 지지부재(50)가 끼워지며, 그에 따라 타격부재(11)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구비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공간 즉, 가이드 통로에 위치하게 된다.
기초부재(2)와 지주 본체(1)의 조립이 완료된 감충지주(100)의 지주 본체(1)에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차량과 지주 본체(1),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는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0)는 그 하면이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후방으로 밀려가게 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서는, 차량 충돌전 지주 본체(1)가 세워져 있는 위치와 EAM(4)이 채워져 있기 시작하는 위치 사이에 이격거리(L)만큼의 빈 공간이 존재하는데, 차량 충돌 후 차량과 지주 본체(1)가 이격거리(L)의 구간을 함께 이동한 후, 타격부재(11)가 EAM(4)에 닿으면서 EAM(4)을 충격하게 된다. 도 27에는 제1실시예에서 도 2의 상태에 후속하여 타격부재(11)가 EAM(4)을 충격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8에는 제3실시예에서 도 26에 후속하여 타격부재(11)가 EAM(4)을 충격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이 충돌하였을 초기에는 이격거리(L) 구간에서는 지주 본체 자체의 관성을 이용하여 충돌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키고, 이후에는 EAM(4)의 충격흡수능력을 이용하여 충돌에너지 및 운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소산시켜서 차량을 정지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판형상의 EAM(4)을 구비한 제1 및 제2실시예의 경우, 타격부재(11)가 EAM(4)에 닿으면서 판형상의 EAM(4)을 찢는 형태로 파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차량 충돌에너지가 소산되어 지주 본체(1)와 차량의 후방 이동속도가 감소되며, 종국에는 지주 본체(1)와 차량이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타격부재(11)가 EAM(4)을 찢으면서 파쇄하여 충돌에너지를 소산시키기 때문에, EAM(4)가 파쇄된 상태에서는 EAM(4)가 찢어져서 만들어진 공간을 통해서 지주 본체(1)가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지주 본체(1)가 찢어진 EAM(4) 사이로 후방 이동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충돌에너지의 소산이 일어나는 장점이 발휘된다.
통형상의 EAM(4)을 구비한 제3 및 제4실시예의 경우, 타격부재(11)가 EAM(4)에 닿으면서 통형상의 EAM(4)을 순차적으로 변형 및 파쇄시키면서 차량 충돌에너지의 소산이 일어나고 그에 따라 지주 본체(1)와 차량의 후방 이동속도를 감소시켜서 그 이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통형상의 EAM(4)의 경우에도, 타격부재(11)의 충돌에 의해 통형상의 EAM(4)이 절단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판형의 EAM(4)가 찢어질 때와 마찬가지로 EAM(4)이 절단되어 만들어진 공간을 통해서 지주 본체(1)가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지주 본체(1)의 계속되는 후방 이동에 의한 추가적인 충돌에너지 소산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EAM 유닛(40)을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쉽게 분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차량 충돌로 인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한 후에는,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EAM 유닛(40)을 전방으로 당겨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가이드 통로로부터 완전히 빼내거나 또는 EAM 유닛(40)을 확폭부까지 전방으로 당긴 후 연직 상방으로 EAM 유닛(40)을 들어 올림으로써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로부터 EAM 유닛(40)을 분리시킨다. 이렇게 분리된 EAM 유닛(40)에서 손상된 EAM(4)을 새것으로 교체한 후, 다시 EAM 유닛(40)을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재조립한 후, 새로운 지주 본체(1)를 다시 설치하는 형태로 감충지주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복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손상된 EAM을 새것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 충돌 사고가 발생한 후에도, 빠르게 감충지주를 재설치하여 안전한 도로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지주 본체
2: 기초부재
3: 가이드 통로
4: EAM
5: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10: 베이스 플레이트
11: 타격부재
40: EAM 유닛
100: 감충지주

Claims (8)

  1. 차량 충격감소용 감충지주(100)의 지주 본체(1)의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감충지주의 콘크리트 부재(20)로 이루어진 기초부재(2)에 매립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로서,
    바닥부재(52);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2개가 횡방향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지주 본체(1)의 하단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부재(50); 및 슬라이딩 지지부재(50)가 바닥부재(52)로부터 연직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각각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연직지지부재(51)를 포함하며;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의한 가이드 통로에는, 충돌에 의해 변형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EAM(4)이 구비되어 있는 EAM 유닛(40)이 교체 가능하도록 종방향으로 끼워져 배치되어 있되, EAM 유닛(40)이 가이드 통로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EAM 유닛(40)의 위쪽 일부가 슬라이딩 지지부재(50)로 덮여져서 EAM 유닛(40)이 연직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지 않으며;
    기초부재(2)의 콘크리트 부재(20)에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가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횡방향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차량 충돌에 의해 지주 본체(1)와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이동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에 돌출 구비된 타격부재(11)가 EAM(4)과 충돌하게 되면 EAM(4)이 파손되면서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돌에너지의 흡수 및 소산 작동이 일어나며, 차량 충돌 종료 후에는 EAM 유닛(40)을 분리하여 EAM(4)을 교체한 후 EAM 유닛(40)이 다시 상기 가이드 통로에 삽입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는데;
    EAM 유닛(40)은, 종방향의 단면 형상이 ㄷ형태를 가지면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EAM 고정부재(41)와, 상기 한 쌍의 EAM 고정부재(41) 사이에서 교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EAM(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EAM 유닛(40)에 구비된 EAM(4)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판형 부재로 이루어져서 횡방향 양단이 EAM 고정부재(41)의 ㄷ자형 오목한 부분에 위치한 상태로 한 쌍의 EAM 고정부재(4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복수개가 수평하게 배치되어 연직하게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EAM 유닛(40)에 구비된 EAM(4)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의 통형상 부재가, 횡방향 양단이 EAM 고정부재(41)의 ㄷ자형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도록, 종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지지부재(50)는 평평한 판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직지지부재(51)는 판부재로 이루어져서 연직지지부재(51)의 상단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하면과 일체 결합되어 있고;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은, 슬라이딩 지지부재(50) 사이의 횡방향 간격보다 더 커서, EAM 유닛(40)이 가이드 통로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EAM 유닛(40)의 횡방향 가장자리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에 의해 덮여 있게 되며;
    EAM 유닛(40)은,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전방단부에서부터 EAM 유닛(40)이 후방을 향하여 연직지지부재(51) 사이로 삽입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지지부재(50)는 평평한 판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직지지부재(51)는 판부재로 이루어져서 연직지지부재(51)의 상단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하면과 일체 결합되어 있고;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은, 슬라이딩 지지부재(50) 사이의 횡방향 간격보다 더 커서, EAM 유닛(40)이 가이드 통로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EAM 유닛(40)의 횡방향 가장자리가 슬라이딩 지지부재(50)에 의해 덮여 있되;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전방에서 슬라이딩 지지부재(50)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는 EAM 유닛(40)이 연직방향으로부터 하강하여 삽입될 수 있는 확폭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EAM 유닛(40)은 연직방향으로 하강되어 확폭부를 통해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위치된 후, 후방으로 밀어져서 가이드 통로에 삽입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7. 기초부재(2) 및 연직하게 세워져서 기초부재(2)에 설치되는 지주 본체(1)를 구비하되, 지주 본체(1)의 하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구비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타격부재(11)가 하향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기초부재(2)는 콘크리트 부재(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콘크리트 부재(20)에는 청구항 1에 의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가 매립 설치되어 있되,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는 콘크리트 부재(20)의 상면에서부터 연직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횡방향 양측에는 ㄷ자 형태로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횡방향 가장자리를 감싸는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부(12)의 ㄷ자 형태의 간격에,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가 기초부재(2)의 전방 측면에서부터 끼워져서 결합되어, 지주 본체(1)가 기초부재(2)에 세워져 설치되고 타격부재(11)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구비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가이드 통로 내에 위치하게 되며;
    차량이 지주 본체(1)에 충돌하게 되면 차량과 지주 본체(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1차적인 차량 속도의 감속이 일어난 후, 타격부재(11)가 EAM(4)을 충격하여 EAM(4)이 변형됨으로써,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돌에너지의 흡수 및 소산을 통해서 2차적인 차량 속도의 감속이 일어나서 차량을 정지시키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충지주.
  8. 차량이 지주를 충돌하였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지주는, 기초부재(2) 및 연직하게 세워져서 기초부재(2)에 설치되는 지주 본체(1)를 구비한 감충지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지주 본체(1)의 하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구비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타격부재(11)가 하향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기초부재(2)를 콘크리트 부재(20)로 제작할 때, 청구항 1에 의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를 콘크리트 부재(20)에 매립 설치하되,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가 콘크리트 부재(20)의 상면에서부터 연직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만들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횡방향 양측에는 ㄷ자 형태로 슬라이딩 지지부재(50)의 횡방향 가장자리를 감싸는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부(12)의 ㄷ자 형태의 간격에,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의 슬라이딩 지지부재(50)가 기초부재(2)의 전방 측면에서부터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지주 본체(1)를 기초부재(2)에 세워져 설치하고 타격부재(11)가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5)에 구비된 연직지지부재(51) 사이의 가이드 통로 내에 위치하게 만들며;
    차량이 지주 본체(1)에 충돌하게 되면 차량과 지주 본체(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차적인 차량 속도의 감속이 일어난 후, 타격부재(11)가 EAM(4)을 충격하여 EAM(4)이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돌에너지의 흡수 및 소산을 통해서 2차적인 차량 속도의 감속이 일어나서 차량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충지주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KR1020170151635A 2017-11-14 2017-11-14 차량 충격감소용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KR101868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635A KR101868552B1 (ko) 2017-11-14 2017-11-14 차량 충격감소용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635A KR101868552B1 (ko) 2017-11-14 2017-11-14 차량 충격감소용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552B1 true KR101868552B1 (ko) 2018-06-19

Family

ID=6279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635A KR101868552B1 (ko) 2017-11-14 2017-11-14 차량 충격감소용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5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361B1 (ko) 2018-06-08 2019-08-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외주면 압축변형 파이프에 의한 충돌에너지 감소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KR102082861B1 (ko) * 2019-07-03 2020-03-02 (주)미래로드셋 칸막이 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544513B1 (ko) 2022-11-18 2023-06-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충격분산과 차량 이탈방지를 위한 상승이동체와 레일부재의 후퇴상승 구조를 가지는 가드레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661B1 (ko) * 2007-02-21 2007-12-14 고삼석 휀스용 지주대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0944566B1 (ko) * 2008-12-12 2010-03-03 강진구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
KR20170077752A (ko) 2015-12-28 2017-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충지주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661B1 (ko) * 2007-02-21 2007-12-14 고삼석 휀스용 지주대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0944566B1 (ko) * 2008-12-12 2010-03-03 강진구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
KR20170077752A (ko) 2015-12-28 2017-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충지주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361B1 (ko) 2018-06-08 2019-08-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외주면 압축변형 파이프에 의한 충돌에너지 감소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US11021843B2 (en) 2018-12-18 2021-06-01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Energy absorbing post having sliding rail assembly
KR102082861B1 (ko) * 2019-07-03 2020-03-02 (주)미래로드셋 칸막이 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544513B1 (ko) 2022-11-18 2023-06-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충격분산과 차량 이탈방지를 위한 상승이동체와 레일부재의 후퇴상승 구조를 가지는 가드레일
KR102554035B1 (ko) 2022-11-18 2023-07-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레일의 후퇴상승 및 이웃한 지주 간의 충격력 전달 구조에 의한 충격 분산 효과를 발휘하는 가드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552B1 (ko) 차량 충격감소용 감충지주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JP6273032B2 (ja) 衝突衝撃吸収装置
KR100944566B1 (ko)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
KR102009361B1 (ko) 외주면 압축변형 파이프에 의한 충돌에너지 감소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를 구비한 감충지주 및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US20120207542A1 (en) Mechanism for Absorbing Kinetic Energy from Frontal Impacts of Vehicles Against Vehicle Restraining Systems, for Using on the Edges and Central Reservations of Roadways, Such as Shock Absorbers and Barrier Ends
EP2685003A2 (en) Crash cushion apparatus
KR20170077752A (ko) 감충지주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KR101265774B1 (ko) 가이드레일의 보강구조
KR101250343B1 (ko) 차량 방호책
KR101800416B1 (ko) 지지력과 전도안정성이 강화된 감충지주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KR101036550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200453404Y1 (ko) 충격흡수 및 가드레일판이 상승되는 가드레일
KR101273410B1 (ko) 차량용 충격흡수완화장치
KR20150051778A (ko) 충돌 충격 흡수장치
KR20120001028U (ko) 높이 조절식 보강 가드레일
KR102270229B1 (ko)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체
KR101253074B1 (ko) 차량충돌 완충가드레일
JP2012131449A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装置
KR101073874B1 (ko) 가로보의 설치구조
KR100556234B1 (ko)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흡수 완화장치
KR20070004375A (ko) 충격흡수기능이 우수한 중앙분리대의 설치공법
KR200384095Y1 (ko)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2378327B1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