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467B1 -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467B1
KR101868467B1 KR1020160081618A KR20160081618A KR101868467B1 KR 101868467 B1 KR101868467 B1 KR 101868467B1 KR 1020160081618 A KR1020160081618 A KR 1020160081618A KR 20160081618 A KR20160081618 A KR 20160081618A KR 101868467 B1 KR101868467 B1 KR 101868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
soybeans
soybean
fermented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295A (ko
Inventor
정규화
쯔카모토 찌겡
한상호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1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4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5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국내에 자생하는 야생콩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젓갈양념에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야생콩의 유효성분이 가지는 약리작용으로 인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는 고품질의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젓갈양념 내 야생콩 추출물 내 유효성분으로 인하여 항암 및 항산화 활성 등의 우수한 건강기능성 효과를 갖는 젓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Fermented condiments with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and a method for mamufacturing salted-seafood using them}
본 발명은 국내에 자생하는 야생콩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젓갈양념에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야생콩의 유효성분이 가지는 약리작용으로 인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는 고품질의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젓갈은 어패류의 살, 내장, 알 등을 소금에 절여 일정 기간 동안 발효시켜 만든 것으로, 넓은 의미에서 식해와 액젓(어간장)을 포함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수산발효식품이다. 젓갈은 어육 조직의 자가소화효소, 내장에 포함된 효소 및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분해되기 때문에 소화 및 흡수가 잘 되고,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고유한 감칠맛과 독특한 풍미를 내며, 비타민 B₁·B₂·칼슘과 같은 영양분이 풍부하다. 젓갈은 주로 밥과 함께 반찬으로 먹거나 음식의 간을 낼 때 또는 김치를 담글 때 쓰이며, 젓갈을 담글 때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 제조방법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젓갈은 다량의 소금으로 염장을 하기 때문에 짠맛이 강하고, 다량의 소금 섭취를 야기하여 소비자에 따른 기호성이 갈린다. 따라서, 근래에는 젓갈 제조시 소금의 양을 줄이거나 각종 첨가물,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첨가물을 더 포함시켜 우수한 건강기능성 및 관능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조리법이 연구되고 있다.
야생콩 (Glycine soja)은 콩과 (Zingiberaceae)에 속하는 덩굴성 1년초로 길이는 2m이며 전체에 갈색의 거친 털이 난다. 잎은 호생이고 잎자루는 길며 3출엽이다. 작은잎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끝이 둔하고 길이는 3-8cm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턱잎은 넓은 피침형이다. 꽃은 7~8월에 홍자색으로 피는데 총상꽃차례[總狀花序]는 길이 2~5cm이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털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나비모양이다. 수술은 10개로서 각각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2~3cm로 털이 많고 콩꼬투리와 비슷하며, 종자는 타원형이거나 신장형 비슷하며 약간 편평하다 (이영노. 원색한국식물도감, (주)교학사, 403p, 1998). 야생콩은 이명으로 돌콩, 갱미두, 녹곽으로 불리며, 생약명으로는 야대두등(野大豆藤), 야료두(野料豆)로 불리운다 (안덕균,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728p, 2000). 야생콩은 콩(Glycine max)의 기원종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현재 식용 가능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실제 식용으로 이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자연계에서 자생하고 있고 강한 유전자를 지니고 있어 콩의 유전적 개량 연구 등을 위해 일부 재배되기도 한다.
공개특허 제2011-0105896호(2010.03.21 공개)에서는 종래의 장류에 비해서 냄새가 나지 않으면서 맛과 향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용한 폴리감마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의 함량이 높은 야생의 들콩을 사용하여 낫토, 청국장 및 된장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경우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야생콩을 콩을 이용한 장류를 제외한 다른 음식에 접목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성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2011-0105896호(2010.03.21 공개)
본 발명은, 수산물 고유의 감칠맛과 독특한 풍미를 갖는 젓갈을 제조하기 위한 양념소스에 야생콩 추출물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야생콩 추출물 내 유효성분으로 인해 우수한 건강증진 효과뿐만 아니라 관능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 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어획된 수산물의 이물질 제거 및 세척하는 손질단계; 야생콩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야생콩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단계; 상기 야생콩 추출물과 양념소스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젓갈양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손질단계에서 손질된 수산물과 젓갈양념을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수산물은, 쥐치류, 넙치류, 명태류, 가오리류, 다랑어류, 조기류, 돔류, 새우류, 오징어류, 문어류, 어패류 및 해초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단계는, 야생콩을 자숙시키는 자숙단계; 자숙된 야생콩을 물에 불리는 침지단계; 불려진 야생콩을 분쇄시켜 콜로이드화된 야생콩 두유와 찌꺼기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야생콩 두유를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숙단계는, 야생콩을 1.5 ~ 3분 동안 자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침지단계는, 자숙된 야생콩을 2 ~ 5시간동안 물에 침지시켜 불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단계는, 야생콩 두유를 냉동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젓갈양념을 제조하는 단계는, 식염, 고추가루, 물엿, 설탕, 마늘, 생강, 양파, 맛술, 간장 및 조미료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양념소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야생콩 추출물 0.5 ~ 1 중량부를 포함시켜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언급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이거나, 수산물로 오징어류를 사용하여 상기 언급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항산화 효과가 있는 오징어 젓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젓갈양념 내 야생콩 추출물을 혼합하여 젓갈을 제조함으로써, 젓갈양념 내 야생콩 추출물 내 유효성분으로 인하여 항암 및 항산화 활성 등의 우수한 건강기능성 효과를 갖는 젓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농가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콩과 식물에 비하여 영양학적, 기능적 및 품질 측면에서 우수한 야생콩의 가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양한 식품에 활용도가 증가되어 농가의 소비 촉진 및 야생콩 보급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에서 사용된 야생콩 포장생육과 수확한 야생콩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야생콩의 종피 유무에 다른 불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를 통해 물에 불려진 야생콩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를 통해 제조된 야생콩 두유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오징어 젓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를 통해 제조된 오징어 젓갈의 항암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를 통해 제조된 오징어 젓갈의 ABTS+ 소거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를 통해 제조된 오징어 젓갈의 DHHP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예를 통해 제조된 오징어 젓갈의 환원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 언급하고 있는 일반콩은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재배되어 널리 유통중인 콩과 식물로서, 강낭콩, 완두콩, 검은콩, 쥐눈이콩, 호랑이콩, 렌틸콩, 동부콩, 서리태, 청태, 백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야생콩(Glycine soja)은 야생에서 자생하는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 1년초로 식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반적으로 실제 식용으로 이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앞에 언급된 일반 콩과는 명확히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은, 일반적으로 수산물을 발효시켜 젓갈을 제조할 수 있는 양념소스에 야생콩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식염, 고춧가루, 물엿, 설탕, 마늘, 생강, 양파, 맛술, 식초, 간장 및 조미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양념소스에 상기 야생콩 추출물이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에 포함되는 야생콩(Glycine soja)은, 콩과 (Zingiberaceae)에 속하는 덩굴성 1년초로 콩(Glycine max)의 기원종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식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식용으로 이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자연계에서 자생하고 있으므로 식용되는 재배되는 일반콩과는 달리 강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생리할성물질이 고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예로, 상기 야생콩은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널리 재배되어 유통되는 일반콩에 비하여 암, 심장질환, 동맥경화, 골다공증 외 각종 성인병예방에 약리효과가 있는 이소플라본(Isoflavone),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및 α-리놀렌산(α-linolenic acid) 등의 고기능성 생리활성성분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페놀계 화합물의 배당체인 이소플라본은 에스트로겐의 유사물질 또는 길항물질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질환,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폐경기 여성의 유방암과 난소암의 예방효과와 전립선암, 대장암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야생콩 추출물을 상기 양념소스에 포함시켜 젓갈을 제조시 상기 야생콩 내 포함된 고기능성 생리 활성 성분으로 인해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야생콩은 자연 생태계에서 자생되고 있는 콩과 (Zingiberaceae)에 속하는 덩굴성 1년초인 야생콩(Glycine soja)이면 그 종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국내에서 자생되는 야생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야생콩을 분쇄시킴으로써 콜로이드화된 두유와 찌꺼기로 분리한 다음, 상기 콜로이드화된 두유를 건조시켜 제조된 야생콩 추출물을 상기 젓갈양념에 포함시킴으로써, 야생콩 추출물 내 유효성분이 젓갈양념에 포함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념소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야생콩 추출물은 0.5 ~ 1 중량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야생콩 추출물의 0.5 중량부 미만을 포함될 경우 상기 양념소스 내 야생콩 추출물의 함량이 미미하여 얻고자 하는 약리 효과 및 건강증진 효과를 얻기 어렵고, 1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초과에 따른 약리효과 및 건강증진 효과의 이익이 없어 경제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양념소스가 가지고 있는 감칠맛 및 풍미가 저감되어, 소비자의 기호성이 낮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어획된 수산물의 이물질 제거 및 세척하는 손질단계; 야생콩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야생콩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단계; 상기 야생콩 추출물과 양념소스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젓갈양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손질단계에서 손질된 수산물과 젓갈양념을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손질단계는, 어획된 수산물의 이물질 및 불식용 부위를 제거한 뒤, 세척하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어획된 수산물의 불식용 부위 및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소금이 포함된 물 또는 바닷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탈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젓갈을 제조시 주 원료로 사용되는 수산물은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어획되는 식용 가능한 다양한 수생물이면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산물은, 쥐치류, 넙치류, 명태류, 가오리류, 다랑어류, 조기류, 돔류, 새우류, 오징어류, 문어류, 어패류 및 해초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산물이 오징어류인 경우, 오징어류 중 하나인 오징어를 염지하고 세척한 뒤, 수분 및 염용성 단백질을 제거하고 당장하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오징어에 식염을 첨가하여 염지하는 염지단계; 염지된 오징어를 수세 및 탈수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에서 탈수된 오징어를 당장하는 당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징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염 2 ~ 4 중량부를 투입하여 염지하는 염지단계 후, 상기 염지된 오징어를 흐르는 물에 침지시켜 이물질 및 식용불가능한 부분을 제거한 뒤, 건조시켜 탈수시키는 세척단계를 거쳐 탈수된 오징어를 올리고당, 물엿 또는 설탕 시럽 내 당침시킬 수 있다. 이때, 당침시, 탈수된 오징어 100 중량부에 대하여 7 ~ 21 중량부 올리고당, 물엿 또는 설탕 시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올리고당, 물엿 또는 설탕 시럽에 솔비톨 또는 글루탐산나트륨을 더 포함시켜 오징어 특유의 맛에 감칠맛을 북돋아 줄 수 있다.
상기 손질단계를 통해 손질된 수산물은 젓갈양념과 버무리는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젓갈양념은 야생콩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야생콩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단계를 통해 제조된 야생콩 추출물과 양념소스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젓갈양념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버무리는 단계에서 손질된 오징어에 야생콩 추출물 및 양념을 투입하여 혼합시, 오징어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으로 인하여 상기 야생콩 추출물이 쉽게 뭉쳐져 양념 내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게 되므로, 양념과 야생콩 추출물을 혼합하여 젓갈양념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양념과 야생콩 추출물이 충분히 혼합된 후, 버무리는 단계를 통해 손질된 오징어와 젓갈양념을 버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단계는, 야생콩 내에서 상기 언급한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고기능성 생리활성성분을 추출하여 야생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야생콩을 자숙시키는 자숙단계; 자숙된 야생콩을 물에 불리는 침지단계; 불려진 야생콩을 분쇄시켜 콜로이드화된 두유와 찌꺼기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두유를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야생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콩은 영양분이 많고 소화하기가 쉬우면서, 단백질이 풍부하고 독성이 없는 반면, 특유의 비릿한 콩취(콩비린내)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콩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반콩은 물에 불린 후, 물에 삶아 자숙시킨 다음, 분쇄하여 두유를 제조하나, 상기 일반콩에 비하여 고기능성 생리활성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야생콩의 경우에는 종피의 두께가 일반콩에 비하여 두꺼워, 상기 일반콩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랜시간 물에 침지시켜 방치해도 전혀 불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야생콩 특성으로 인하여 가공이 힘들어 다양한 식품군으로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일반 콩에 비하여 고영양분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실제 식재료로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언급된 가공성이 떨어지는 야생콩을 상기 추출단계를 통하여 자숙시킴으로써, 종피의 일부 제거 또는 박리한 후 물에 침지시켜 일정시간동안 방치하여 물에 불림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자숙공정으로 인하여 야생콩 내 함유된 다양한 건강 기능성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콩 껍질인 종피의 제거 및 상기 콩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수확된 야생콩을 1.5 ~ 3분 동안 물에 침지시켜 가열하거나 증기를 이용하여 쪄 자숙시키는 자숙단계를 통해 야생콩의 종피를 제거하였으며, 상기 자숙시 1.5 분 미만으로 가열하게 되면 콩이 충분히 자숙되지 않아 후단의 침지 단계시 야생콩이 충분히 불려지지 않거나 특유의 비릿한 콩취(콩비린내)가 제거되지 않아 소비자의 기호도가 낮아질 수 있고, 3 분을 초과하여 야생콩을 자숙시, 갈변현상이 발생되거나, 야생콩이 너무 물러져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자숙단계를 통해 자숙된 야생콩을 2 ~ 5시간동안 물에 침지시켜 불리는 침지단계를 통해 야생콩을 불릴 수 있다. 상기 침지단계에서 2시간 미만으로 자숙된 야생콩을 침지시킬 경우 콩이 충분히 불려지지 않아 두유를 제조하기 어렵고, 5시간을 초과하여 침지시킬 경우 시간 초과에 따른 이익이 없어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자숙단계 및 침지단계를 통해 불려진 야생콩은, 분쇄시켜 콜로이드화된 두유와 찌꺼기로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두유를 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야생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단계를 통해 제조된 야생콩 추출물과 양념소스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젓갈양념을 제조하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수산물을 장기간 저장 및 발효시키기 한 양념소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식염, 고춧가루, 물엿, 설탕, 마늘, 생강, 양파, 맛술, 식초, 간장 및 조미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양념소스에 야생콩 추출물을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젓갈양념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젓갈양념은, 상기 손질단계를 통해 손질된 수산물과 버무리는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수산물로 오징어류를 선택하여 제조할 경우 항산화 효과가 있는 오징어 젓갈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산물로 오징어류를 선택하여 오징어 젓갈을 제조할 경우, 상기 손질된 오징어와 젓갈양념은 2 : 1 ~ 4: 1 비율로 버무려서 제조할 수 있으나 상기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젖갈을 제조하고자 하는 수산물의 종류 및 소비자의 기호도, 젓갈을 제조하는 시기에 따라 젓갈의 양념의 함량은 바람직한 양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실험예 1]
야생콩의 불림변화
콜로이드화된 두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시간의 경과 및 종피의 유무에 따른 야생콩의 불림상태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때, 사용된 야생콩은 하기 표 1과 같은 작물학적 특성을 가지는 CW13351의 야생콩 종자로부터 수확한 도 1과 같은 형태를 가진 야생콩(Glycine soja)을 사용하였다.
자원번호 CW13351
파종일
정식일
05/27
06/10
배축색 자색
백립중 2.7 g
초형 직립
초엽형 타원형
경장 52
화색 연자주
종피색 연노란
개화시
개화기
08/18
08/24
소엽수 3개
모용색 황갈색
모용다소
모용형태 포복형
성숙시
성숙기
09/28
10/04
종실 타원
엽형 장환엽
제색 황색
립장 4 mm
립폭 3.2 mm
립두께 2.2 mm
협당립 3개
협장 3 cm
야생콩의 불림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연상태의 야생콩을 2시간, 4시간, 6시간를 경과한 상태를 측정하였고, 자연상태의 야생콩, 종피를 부분적으로 마쇄한 야생콩 및 종피의 일부를 제거한 야생콩을 각각 20립씩을 2시간동안 물에 침지시킨 후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도 2를 보면, (a)는 자연상태의 야생콩을 물에 불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왼쪽부터 자연상태의 야생콩을 물에 2시간, 4시간, 6시간동안 침지한 후의 상태를 살펴보면 시간 경과에 따라 물에 전혀 불려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는 왼쪽부터 자연상태의 야생콩, 종피를 부분적으로 마쇄한 야생콩 및 종피의 일부를 제거한 야생콩을 물에 2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자연상태의 야생콩, 종피를 부분적으로 마쇄한 야생콩은 거의 물에 불려지지 않았고, 종피의 일부를 제거한 야생콩은 물에 불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야생콩을 가공하거나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종피를 일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물에 침지시켜 불려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자숙시간에 따른 야생콩의 물성변화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보면, 야생콩의 물에 불리기 위해서는 종피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야생콩 내 함유된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시키고, 종피를 박리시켜 제거하기 위하여 자숙시간에 따른 야생콩의 물성변화를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실험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야생콩인 상기 CW13351의 야생콩 종자를 15 g 씩 각각 0분, 1분 1.5(90초)분, 2 분, 3 분, 4 분, 5 분간 증기가열한 후, 콩 특유의 비린냄새의 유무, 가열 전 후의 불림에 따른 무게변화 및 물성변화를 측정하였다.
자숙시간(분) 종자무게(g) 자숙무게(g) 무게증가율(%) 비린냄새유무 자숙종자상태
1.0 15.04 21.11 140 양호
1.5 15.04 25.19 168 양호
2.0 15.01 26.50 177 양호
3.0 15.03 28.96 193 양호
4.0 15.03 30.50 203 갈변
5.0 15.04 30.48 203 갈변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야생콩을 자숙시간이 1분일 경우 야생콩에서 비린냄새가 남아 있어 자숙처리의 이유인 비린내를 제거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자숙 후 무게 증가율이 140 % 로 충분히 종피가 박리되지 않아 무게 증가율이 낮았고, 자숙시간이 4분이 경과한 후부터는 과도한 자숙으로 인하여 야생콩이 갈변되고 무른 상태를 보였다.
또한, 자숙시간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자숙 후 무게증가율은 점차 증가되었으나, 4분이 경과한 후부터는 더이상 무게증가율이 증가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험예 1 및 2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야생콩의 경우 물에 불리기 위해서는 야생콩 특유의 두꺼운 종피로 인하여 오랜시간 물에 침지시켜도 불려지지 않으므로, 먼저 두꺼운 종피를 박리시켜 제거하도록 상기 야생콩을 물에 침지시켜 1.5 ~ 3 분 동안 자숙시키는 것이 야생콩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야생콩 내 함유된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도 종피를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자숙을 통해 종피의 일부가 제거된 야생콩을 물에 침지시킴으로써, 불려진 야생콩을 사용함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조예 1]
야생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 사용한 CW13351의 야생콩 종자 20 g을 1.5분간 자숙시켜 34.35 g으로 172 % 무게가 증가된 자숙된 콩을 4시간동안 물에 침지시켜 48.35 g으로 무게가 242 % 증가된 불린 야생콩을 체에 받혀 도 3과 같이 물을 제거한 후, 초기의 종자 무게인 20 g의 8 배의 물 160 ml을 첨가하여 전기 녹즙기를 사용하여 분쇄시켜 도 4와 같이 콜로이드화된 두유 및 찌꺼기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야생콩 두유는 72 시간 동안 냉동건조한 뒤, 곱게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야생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콩 종류에 따른 두유분말의 수율
두유 내 분산된 성분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야생콩 두유, 상기 야생콩 두유를 미라클로스(Miracloth, Calbiochem Co, USA)로 2회 여과한 두유, 시판 중인 일반콩으로 제조된 두유를 72 시간동안 냉동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였다.
시료 시료량(ml) 냉동건조분말(g)
야생콩 두유 200 15.63
여과된 야생콩 두유 200 9.4
시판 중인 두유 200 26.1
상기 표 3의 결과를 살펴보면,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야생콩 두유의 자체에는 건강이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당량의 섬유소 등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판 중인 두유는 각종 첨가물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
오징어 젓갈의 제조
오징어의 내장과 외피(색소층) 및 연골 부분을 제거한 뒤, 깨끗이 세척한 다음, 7 ~ 10 mm 정도의 크기로 일정하게 절단하였다. 절단된 오징어에 과잉의 수분과 염용성 단백질이 용출될 수 있도록 식염을 뿌려준 뒤, 3시간 동안 방치한 뒤, 이를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탈수하고 물엿을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당장하였다. 당장된 오징어를 탈수시켜서 오징어를 손질하였다.
고춧가루, 소금, 설탕, 마늘, 전분, 생강, 참깨, D-솔비톨 및 글루탐산 나트륨이 혼합된 양념소스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분말화된 야생콩 추출물을 하기 표 4와 같이 균일하게 혼합하여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3의 젓갈양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젓갈양념에 손질된 오징어를 버무려 병포장용기에 200 g 씩 계량한 후 밀봉하여 도 5와 같이 오징어 젓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3
오징어 750 750 750 750 750
양념소스 고춧가루 50 50 50 50 50
소금 20 20 20 20 20
설탕 90 90 90 90 90
마늘 25 25 25 25 25
전분 5 5 5 5 5
생강 15 15 15 15 15
참깨 5 5 5 5 5
솔비톨 30 30 30 30 30
글루탐산나트륨 10 10 10 10 10
야생콩 추출물 - 0.5 1.25 2.5 3
(단위 : g)
[실험예]
1.항암활성평가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3의 젓갈양념을 사용하여 제조된 오징어 젓갈의 항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GST-pi 활성의 활성 측정 방법인 용매와 기질, 글루타티온(GSH) 효소를 혼합한 뒤 340 nm에서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서 1 분 동안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을 통해 항암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1 mL vial에 500 ㎕의 0.2 M KPB(pH 7.0)와 420 ㎕의 증류수를 넣고 잘 혼합시킨 후에 20 ㎕의 50 mM GSH와 20 ㎕의 GST를 넣고 강하게 혼합시켰다. 잘 혼합된 용액에 20 ㎕의 50 mM CDNB를 넣고 강하게 혼합시킨 후에 340 nm에서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서 1분 동안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기본 포합반응으로 하였다.
효소 활성 단위는 1 분당 1 μmol의 생성물 형성을 촉진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기질에 대한 활성도 측정 조건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효소의 최적 pH와 최적 온도는 각각 9.0과 55°C인 것으로 나타났고(Cho & Kong 2005), GST 효소 활성 저해와 관련한 실험 조건은 Cho HY (2007)가 밝힌 기질 농도의 영향, pH 영향, 온도의 영향 등을 참조하였다.
하기 표 5의 GSHa 와 기질(substrate)의 농도는 최종 농도를 의미하며, εb 은 분자계수, KPBc 은 인산 칼륨 완충액을 의미한다.
Substrate Buffer(500 ㎕) pH GSHa(mM) Substaratea(mM) εb (mM-1·cm-1)
CDNB(340㎚) 200 mM KPBc 6.5 50 50 9.6
2. 항산화 활성 평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3의 젓갈양념을 사용하여 제조된 오징어 젓갈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ABTS+ 소거 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시예1 ~ 2 및 비교예 1 ~ 3의 젓갈양념을 사용하여 제조된 오징어 젓갈을 곱게 분쇄한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화시킨 시료를 상기 시료의 10 배량(w/v)의 50 % 농도의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3 시간 동안 환류냉각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과정을 통해 수득된 추출액은 지름 11 ㎛의 여과지(N0.1; Whatman, Psicataway, NJ, USA)로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Ilshin Lab Co., Yangju, Korea)로 감압농축하고, 농축된 추출물은 - 20 ℃ 냉동고에 보관한 후, 각각의 항산화 활성 측정 실험을 실시하기 바로 직전에 필터(Pore size 0.45 ㎛ filter)에 여과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1) ABTS + 소거 활성 측정
ABTS+ 라디칼 양이온(ABTS+ radical cation) 소거작용 측정은 7.4 mM 2,2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와 2.4 mM potassiom persulfate를 3차 증류수에 용해하여 1:1로 혼합한 후 암실에서 실온으로 15시간 이상 동안 반응시켜 ABTS+를 형성시켰다. 734 nm에서 상기 언급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시료와 반응하기 전에 ABTS+ 용액의 흡광도는 0.700 ± 0.005로 에탄올로 희석하여 측정 한 뒤, 메탄올에 상기 시료를 용해시킨 시료용액 10 ㎕을 ABTS+ 용액 200 ㎕에 혼합한 후 실온에서 6분간 방치하여 반응시킨 다음, 734 nm (VersaMax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는 아래의 식1으로 계산하였으며, IC50으로 계산하였다.
ABTS+ 라디칼 (ABTS+ radical) 소거능 (%) = [(Ab-Aa]/Ab] × 100 (식1)
(Aa : 시료가 혼합된 ABTS+ 용액의 흡광도, Ab : 시료 무첨가 ABTS+ 용액)
2)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전자공여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언급된 방법으로 제조된 시료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3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igma-Aldrich, St. Louis, MO,USA) radical activity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는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시료를 메탄올에 용해시킨 시료 용액 10 ㎕에 0.2 mM의 DPPH 100 ㎕을 가하여 37 ℃ 인큐베이터 암실에서 30분 동안 방치시켜 반응시킨 후, 517 nm 흡광도(VersaMax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CA, USA)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하기 식2에 의해 계산하였으며, IC50 (DPPH radical 형성을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농도)으로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 = [(Ab-Aa)/Ab] × 100 (식2)
(Aa : 시료가 혼합된 DPPH 용액의 흡광도, Ab : 시료 무첨가 DPPH 용액)
3) 환원력 측정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3의 젓갈양념을 사용하여 제조된 오징어 젓갈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환원력(Reducing power)을 측정하였다.
환원력은 산화물질을 환원시키므로 시료의 환원력을 측정 하므로 항산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환원력 측정 방법은 Oyaizu M(1986)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상기 언급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1 ~ 2 및 비교예 1 ~ 3의 시료를 메탄올에 용해시킨 0.5 ㎖에 sodium phosphate buffer solution(pH 6.6, 0.2 M) 2.5 ㎖씩 1% potassium ferricyanide 2.5 ㎖씩 차례로 적하한 뒤, 교반하여 50 ℃에 20 분간 인큐베이션시켰다.
그 후, 10% TCA (trichloroacetic acid) 용액 2.5 ㎖ 가하여 1,790×g에 10 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등액 2.5 ㎖에 2.5 ㎖, ferric chloride 0.5 ㎖씩 x투입한 뒤,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사용하여 700 ㎚에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3 ~ 6은 상기 항암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항암활성평가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ABTS+ 소거 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환원력 측정실험 결과이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젓갈양념 250 g(100 중량부)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분말화된 야생콩 추출물이 0 g 또는 0.5 g(0.2 중량부) 포함된 비교예1 ~ 2에 비하여 분말화된 야생콩 추출물이 1.25 g(0.5 중량부) 또는 2.5 g(1중량부)가 포함된 실시예 1 ~ 2가 항암활성 및 항산화활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야생콩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는 비교예 1 에 비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오히려 야생콩 추출물이 0.5 g포함된 오징어 젓갈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야생콩 추출물이 3 g(1.2 중량부)포함된 비교예 3의 경우 야생콩 추출물이 2.5 g 포함된 실시예 2와 항암 및 항산화활성 측정결과와 큰 차이가 없어, 함량 초과에 따른 상승효과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어획된 수산물의 이물질 제거 및 세척하는 손질단계;
    야생콩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야생콩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단계;
    상기 야생콩 추출물과 양념소스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젓갈양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손질단계에서 손질된 수산물과 젓갈양념을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계는,
    야생콩을 자숙시키는 자숙단계;
    자숙된 야생콩을 물에 불리는 침지단계;
    불려진 야생콩을 분쇄시켜 콜로이드화된 야생콩 두유와 찌꺼기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야생콩 두유를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숙단계는, 야생콩을 1.5 ~ 3 분동안 자숙시키고,
    상기 침지단계는, 자숙된 야생콩을 2 ~ 5 시간동안 물에 침지시켜 불리고,
    상기 젓갈양념을 제조하는 단계는,
    식염, 고추가루, 물엿, 설탕, 마늘, 생강, 양파, 맛술, 간장 및 조미료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양념소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야생콩 추출물 0.5 ~ 1 중량부를 포함시켜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물은, 쥐치류, 넙치류, 명태류, 가오리류, 다랑어류, 조기류, 돔류, 새우류, 오징어류, 문어류, 어패류 및 해초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야생콩 두유를 냉동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5항, 제6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젓갈은, 수산물로 오징어류를 사용한 오징어 젓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
KR1020160081618A 2016-06-29 2016-06-29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KR101868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618A KR101868467B1 (ko) 2016-06-29 2016-06-29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618A KR101868467B1 (ko) 2016-06-29 2016-06-29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295A KR20180002295A (ko) 2018-01-08
KR101868467B1 true KR101868467B1 (ko) 2018-06-18

Family

ID=6100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618A KR101868467B1 (ko) 2016-06-29 2016-06-29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4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807B1 (ko) * 2010-01-27 2012-10-18 대경에프앤비 주식회사 해산물과 명란의 혼합젓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2959A (ja) * 1986-05-09 1987-11-16 Asahi Kogyo Kk 大豆の処理方法および連続処理装置
KR20110105896A (ko) 2010-03-21 2011-09-28 박귀조 야생의 들콩을 이용한 낫토, 청국장 및 된장을 만드는 방법
KR20140054620A (ko) * 2012-10-29 2014-05-09 정다운 야생초 식품첨가제
KR101892167B1 (ko) * 2013-10-16 2018-08-2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저장성이 우수한 프로폴리스 첨가 오징어식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807B1 (ko) * 2010-01-27 2012-10-18 대경에프앤비 주식회사 해산물과 명란의 혼합젓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295A (ko)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616B1 (ko) 양파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KR101753965B1 (ko) 모링가 된장과 이의 제조방법
KR101975827B1 (ko) 다복 고춧가루를 이용한 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KR20190142494A (ko)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20200017616A (ko) 멍게 껍질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멍게껍질 분말
KR20120061786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게장, 새우장, 전복장의 제조방법
KR102159675B1 (ko) 명란을 이용한 고추냉이 드레싱 소스 제조방법
CN108185396A (zh) 一种纯天然无添加剂的猪肉阳荷酱及其制备方法
KR101753964B1 (ko) 모링가 간장과 이의 제조방법
KR20060028826A (ko) 참죽나무와 가죽나무의 추출물 및 분말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하는 식품조성물
KR101868467B1 (ko)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KR101673400B1 (ko) 노근 추출물이 포함된 갈대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갈대김치
KR100921505B1 (ko) 곰취와 우렁이가 함유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1691A (ko) 모링가잎을 포함하는 김치양념과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3214A (ko)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20130065883A (ko)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KR20170090107A (ko) 모링가 떡국떡과 이의 제조방법
KR101668010B1 (ko) 아마란스 종실 함유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21386A (ko) 몰로키아가 함유된 조림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74229A (ko) 가공된 기능성 쌀의 제조 및 그 방법
KR101667740B1 (ko)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및 그 김치
KR20190127307A (ko) 블루베리를 첨가한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950B1 (ko) 돈가스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돈가스 소스
KR102056342B1 (ko) 굴비김치의 제조방법
KR102000842B1 (ko) 대나무통 숙성 모링가 장아찌와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