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132B1 - 그래디언트 촉매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전극 - Google Patents

그래디언트 촉매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132B1
KR101867132B1 KR1020147023213A KR20147023213A KR101867132B1 KR 101867132 B1 KR101867132 B1 KR 101867132B1 KR 1020147023213 A KR1020147023213 A KR 1020147023213A KR 20147023213 A KR20147023213 A KR 20147023213A KR 101867132 B1 KR101867132 B1 KR 10186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platinum
electrode
cell electrode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358A (ko
Inventor
레시아 브이. 프로트사일로
라우라 로엔 스톨라
제스 엠. 마르줄로
말리카 구말라
세르게이 에프. 부를라트스키
Original Assignee
아우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디 아게 filed Critical 아우디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143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3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with a gradient in another property than 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3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with a gradient in another property than porosity
    • H01M4/8642Gradient in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2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as mix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laye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41Metals or alloys
    • H01M4/905Metals or alloy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 H01M4/9058Metals or alloy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of noble metals or noble-metal based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75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083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1Alloys or mixtures with metall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6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07Gas diffusion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1Electrolytic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25Methods fo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6Powder spraying, e.g. wet or dry powder spraying, plasma spra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Fuel Cell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안정적인 전극 구조의 예시는 종래의 카본 상에 지지된 막에 아주 근접한 곳에 큰 플래티넘 입자 촉매 및 안정화된 카본 상에 지지된 GDL에 근접한 전극의 섹션에 작은 플래티넘 입자들을 이용하는 그래디언트 전극을 이용하는 것이다. 전극 성능 안정성 및 ECA의 감소된 변화에 기여하는 일부 전극 파라미터들은 플래티넘 대 카본의 비율, 전극의 다양한 부분들에서의 플래티넘 입자들의 크기, 큰 입자 크기의 플래티넘(합금, 기타) 대신에 다른 안정한 촉매들의 사용, 각각의 그래디언트 서브 층의 깊이이다. 안정적인 전극 구조의 다른 예시는 6㎚ 및 3㎚ 일 수 있는 플래티넘 입자들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카본 지지체 상에 플래티넘 입자 크기들의 혼합을 이용하는 것이다. 전도성 지지체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카본 블랙들이다.

Description

그래디언트 촉매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전극 {FUEL CELL ELECTRODE WITH GRADIENT CATALYST STRUCTURE}
본 개시 내용은 안정적인 전극 구조들 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전지들에 사용하기 위한 안정적인 고 활성 촉매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들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전력을 생성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연료 전지는 일반적으로 애노드 촉매를 포함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애노드 촉매는 일반적으로 카본(carbon)과 같은 지지체 재료 상에 지지된다. 캐소드 전극은 지지된 캐소드 촉매를 포함한다. 전해액은 일반적으로 막 표면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전극 표면을 대면하는, 가스 확산 층들(Gas Diffusion Layers;GDL)을 통한 연료 및 산화제 공급에 의해 지속되는 전기 화학 반응에서 전류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애노드 전극과 상기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다. 하나의 전해액 예시는 양자 교환 막(Proton Exchange Membrane;PEM)이다.
연료 전지들에 관련된 하나의 문제는 전극 촉매들의 전기 화학적 표면적(Electrochemical Surface Area;ECA)의 손실 및 그에 상응하는 연료 전지 성능의 손실이다. 이러한 ECA 손실은 몇몇 핵심 요인들, 오스트발트 숙성(Ostwald Ripening), 카본 부식과 관련된 플래티넘(platinum) 응집 및 플래티넘 용해/적층과 관계 있다. 또한, ECA에서의 이러한 손실은 일반적인 차량 및 버스 주행 싸이클들에서 직면하는 연료 전지의 전위 싸이클링(potential cycling)의 작동 효과들에 의해 악화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문제에 가장 유익한 해결책은 기동 및 정지뿐만 아니라 작동 중에 전지 내의 반응물 환경 및 연료 전지 전위 한계들을 제어하는 것이었다[예를 들어, 제6,835,479호 “연료 전지 발전소를 정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SHUTTING DOWN A FUEL CELL POWER PLANT)”참조]. 필요한 것은 안정적인 전극 구조 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전지들에 사용되는 안정적인 고 활성 촉매이다.
안정적인 전극 구조의 예시는 종래의 카본 상에 지지된 막에 아주 근접한 곳에는 큰 플래티넘 입자 촉매를 이용하고, 안정화된 카본 상에 지지된 GDL에 더 근접한 전극의 섹션에는 작은 플래티넘 입자들을 이용하는 그래디언트(gradient) 전극을 이용하는 것이다. 전극 성능 안정성 및 ECA의 감소된 변화에 기여하는 일부 전극 파라미터들은 플래티넘 대 카본의 비율, 전극의 다양한 부분들에서의 플래티넘 입자들 크기, 큰 입자 크기의 플래티넘(합금, 기타) 대신에 다른 안정적인 촉매들의 사용, 각각의 그래디언트 서브 층의 깊이이다.
안정적인 전극 구조의 다른 예시는 6㎚ 및 3㎚일 수 있는 플래티넘 입자들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카본 지지체 상에 플래티넘 입자 크기들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개시 내용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도성 지지체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카본 블랙들이다. 그것들은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아세틸렌 블랙, 채널 블랙, 서멀(thermal) 블랙,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본 지지체는 일반적인 표면적이 ~ 240 meters2/gram인 Vulcan®XC72(캐봇 코포레이션)과 같은 종래의 카본 또는 표면적이 ~ 80㎡/g인 흑연화 Vulcan®(Vulcite®)과 같은 안정화된 카본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연료전지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예시적인 전극 어셈블리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다른 예시적인 전극 어셈블리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습식 조건들에서 그래디언트 촉매를 이용하는 연료 전지에 대한 내구성 싸이클링의 150시간 후의 성능 손실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4는 내구성 싸이클링의 150시간 후에 균질하게 충전된 상태의 촉매와 비교해서 그래디언트 촉매를 이용하는 연료 전지의 성능 손실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1은 결합된(unitized) 전극 어셈블리(24)의 양쪽에 배열된 애노드 플레이트(12) 및 캐소드 플레이트(14)를 갖는 연료 전지(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결합된 전극 어셈블리(24)는 애노드 촉매(22)와 캐소드 촉매(23) 사이에 배열된 양자 교환 막(20)을 갖는 막 전극 어셈블리(18)를 포함하고 또한 애노드 가스 확산 층(26) 및 캐소드 가스 확산 층(27)을 포함한다.
수소와 같은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반응물 소스(30)는 애노드 플레이트(12)에 반응물을 공급한다. 공기와 같은, 산화제 소스(32)는 캐소드 플레이트(14)에 공급된다. 상기 막 전극 어셈블리(18) 내의 전기화학 반응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부하(28)를 통해 전류를 공급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애노드 촉매(22)가 도시되어 있다. 캐소드 촉매(23)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애노드 촉매(22)는 적어도 제1 및 제2 층(34,36)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들에 의해 제공된다. 각각의 층은 이오노머(ionomer), 전도성 지지체 재료 및 촉매 입자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이오노머는 일 예시에서 Nafion®이다. 상기 촉매 입자 크기는 각각의 층에서 상이하다. 상기 예시에서, 제1 층(34)은 상기 양자 교환 막(20)에 인접하여 배열되고, 제2 층(36)은 가스 확산 층(26)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층들(34,36)은 각각 제1 및 제2 지지체 재료들(42,4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체 재료들(42,44)은 서로 다를 수 있고 카본 블랙(예를 들어,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아세틸렌 블랙, 채널 블랙, 또는 서멀 블랙)과 같은 카본 재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지지체 재료(42)는 예를 들어, 대략 80㎡/g의 표면적을 갖는 Vulcite®인 흑연화 탄소(graphitized carbon)와 같은 안정화된 카본이다. 상기 제2 지지체 재료(44)는 예를 들어, 대략 240㎡/g의 일반적인 표면적을 갖는 Vulcan®XC72(캐봇 코포레이션)과 같은 종래의 카본으로부터 구성된다. 상기 도시된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체 재료들(42,44)은 또한 상기 제1 지지체 재료(42)가 상기 제2 지지체 재료(44)의 제2 두께(40)보다 더 작은 제1 두께(38)를 갖는다는 점에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촉매 입자들(46,48)은 제1 촉매 입자들(46)이 제2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제2 지지체 재료(44) 상의 촉매 입자들보다 더 큰 제1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촉매 입자들(46,48)은 플래티넘 블랙(platinum black)과 같은, 플래티넘이다. 상기 제1 및 제2 촉매 입자들(46,48)은 다른 전이 금속들 및 이들의 합금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평균 입자 크기는 4 내지 10㎚이고, 일 예시에서는 6㎚이다. 상기 제2 평균 입자 크기는 예를 들어, 2 내지 5㎚이고, 일 예시에서 3㎚이다.
제1 및 제2 층들(34,36)은 이오노머/지지체 재료/촉매 입자들 혼합물을 서로 인접한 구조에 스프레이함에 의한다. 다른 예시에서, 층들이 전사 필름에 적층되고, 그 다음 상기 층은 상기 필름으로부터 구조물로 전사(transfer)되는, 필름 전사 방법(film transfer method)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층(34)은 PEM(20)에 적층되고 제2 층(36)은 제1 층(34)에 적층된다. 다른 예시에서, 제2 층(36)은 GDL(26)에 적층되고, 제1 층(36)은 제2 층(36) 또는 PEM(20)에 적층된다.
더 큰 촉매 입자들은 더 공격적인 용해의 영역-PEM 부근에 배열된다. GDL에 위치한, 더 작은 촉매 입자들은 성능 이점을 제공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층들(34,36)은 대략 50%의 공극률을 갖는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층(34)은 제1 촉매 입자들(46)을 대략 6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층(36)은 제2 촉매 입자들(48)을 대략 50 중량%로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층들(34,36)의 촉매 입자 충전은 대략 0.1 내지 0.2㎎/㎠이다.
안정적인 전극 구조의 다른 예시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애노드 촉매(122)는 PEM(20)과 GDL(126) 사이에 제공된다. 플래티넘 입자들(146,148)의 혼합물은 (이오노머와 함께) 카본 지지체(142)에 제공된다. 상기 플래티넘 입자들(146,148)은 공기 전달 손실들을 완화할 수 있는, 도 2a에 도시된 불연속 층들이기보다는, 각각 서로 혼합된 상태의 6㎚ 및 3㎚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시된 촉매 예시의 내구성 싸이클링의 150시간 후에 성능 손실을 도시하는 도표들이 종래 방식으로 충전된 촉매와 비교하여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표에 도시된 결과는 촉매의 단위 부피당 전기화학 면적이 대략 1.8㎛의 깊이에 대해 대략 250,000을 갖는 제1 층 및 2.4㎛의 깊이에 대해 400,000인 제2 층을 갖는 0.2㎎/㎠ 플래티넘을 갖는 연료 전지 예시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내구성 싸이클링의 150시간 후에 성능 손실이 습식 조건들(100% RH)에서 그래디언트 촉매에 대해 무시할 만하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는 4040kPa의 작동 압력 및 60°C의 냉각수와 함께 37 건조 이슬점을 포함하는 조건들 하에서 테스트되는 촉매를 도시한다. 테스트된 상기 그래디언트 촉매는 150시간 후에 1000㎃/㎠에서 오직 8%인, 무시할만한 성능 손실을 보였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가 개시되었지만,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특정 변형들이 본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다음의 청구항들은 진정한 범위 및 내용을 결정하기 위해 연구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연료 전지 전극 어셈블리이며,
    양자 교환 막에 인접한 제1 평균 입자 크기의 제1 촉매 입자들을 갖는 제1 지지체 재료를 포함하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에 인접하고 가스 확산 층에 인접한 제2 평균 입자 크기의 제2 촉매 입자들을 갖는 제2 지지체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평균 입자 크기는 상기 제2 평균 입자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1 및 제2 촉매 입자들은 전이 금속들이고,
    상기 전이 금속은 플래티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 및 제2 층은 50%의 공극률을 갖는,
    연료 전지 전극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평균 입자 크기들은 각각 4 내지 10㎚ 및 2 내지 5㎚인,
    연료 전지 전극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평균 입자 크기들은 각각 6㎚ 및 3㎚인,
    연료 전지 전극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체 재료들은 서로 다른,
    연료 전지 전극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체 재료들은 각각 안정화된 카본 및 종래의 카본인,
    연료 전지 전극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 재료 및 제2 지지체 재료는 서로 다른 제1 두께 및 제2 두께를 각각 포함하는,
    연료 전지 전극 어셈블리.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 제2 층은 상기 제1 층 및 제2층 각각에 대해 60 중량% 및 50 중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촉매 입자들을 각각 포함하는,
    연료 전지 전극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 제2 층 상의 상기 플래티넘 충전은 0.1 내지 0.2 ㎎/㎠ 인,
    연료 전지 전극 어셈블리.
  12. 삭제
  13. 삭제
KR1020147023213A 2012-01-20 2012-01-20 그래디언트 촉매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전극 KR101867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21972 WO2013109283A1 (en) 2012-01-20 2012-01-20 Fuel cell electrode with gradient catalys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358A KR20140143358A (ko) 2014-12-16
KR101867132B1 true KR101867132B1 (ko) 2018-06-12

Family

ID=4879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213A KR101867132B1 (ko) 2012-01-20 2012-01-20 그래디언트 촉매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전극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61899B2 (ko)
EP (1) EP2805368B1 (ko)
JP (1) JP5900995B2 (ko)
KR (1) KR101867132B1 (ko)
CN (1) CN104247114B (ko)
CA (1) CA2862291C (ko)
WO (1) WO2013109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4583B2 (en) * 2013-10-14 2016-11-01 Nissan North America, Inc. Fuel cell electrode catalyst having graduated layers
US10205173B2 (en) 2014-07-08 2019-02-12 Bdf Ip Holdings Ltd. Cathode design for electrochemical cells
US20180198146A1 (en) * 2015-07-10 2018-07-12 Daimler Ag Multi-layer fuel cell electrodes with different loadings on the supported catalysts
US11909083B2 (en) 2018-12-28 2024-02-20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multilayer extrusion comprising component layers of an electrochemical cell
CN110993960A (zh) * 2019-11-11 2020-04-10 上海交通大学 一种强化催化剂耐久性的阴极催化层结构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191A (ja) * 2002-09-18 2004-04-08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の膜・電極触媒構造体
JP2006079917A (ja) * 2004-09-09 2006-03-23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mea、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6179463A (ja) * 2004-11-25 2006-07-06 Nissan Motor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33575A1 (en) 1995-10-06 1997-04-10 The Dow Chemical Company Flow field structures for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of fuel cells
US7098163B2 (en) * 1998-08-27 2006-08-29 Cabot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for use in proton exchange membrane and direct methanol fuel cells
US6277513B1 (en) 1999-04-12 2001-08-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Layered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cells
CA2390457C (en) * 2001-06-13 2010-03-2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de for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321474C (zh) 2001-11-30 2007-06-1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燃料电池用电极的制备方法和燃料电池用电极
US6835479B2 (en) 2002-06-26 2004-12-28 Utc Fuel Cells, Llc System and method for shutting down a fuel cell power plant
EP1701790B1 (en) * 2003-10-29 2009-09-16 Umicore AG & Co. KG Precious metal oxide catalyst for water electrolysis
JP2005141920A (ja) * 2003-11-04 2005-06-02 Nissan Motor Co Ltd 触媒担持電極
US7691780B2 (en) 2004-12-22 2010-04-06 Brookhaven Science Associates, Llc Platinum- and platinum alloy-coated palladium and palladium alloy particles and uses thereof
KR100658688B1 (ko) 2005-12-19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JP5204382B2 (ja) * 2006-05-11 2013-06-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ソード触媒層、およびそれを用いた膜触媒接合体、カソードガス拡散電極、膜電極接合体ならびに高分子電解質形燃料電池
KR101319377B1 (ko) * 2006-06-14 2013-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TWI347702B (en) * 2007-05-23 2011-08-21 Univ Yuan Ze A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thereof
EP2228857A1 (de) * 2009-03-06 2010-09-15 Basf Se Verbesserte Membran-Elektrodeneinheiten
US8735023B2 (en) 2009-12-14 2014-05-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cell with layered electrode
US20110159403A1 (en) 2010-03-02 2011-06-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yered Catalyst Assembly and Electrode Assembly Employing the Same
JP5660603B2 (ja) 2010-03-19 2015-01-28 学校法人同志社 白金コアシェル触媒の製造方法
US8524405B2 (en) * 2010-05-20 2013-09-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etection of small anode leaks in fuel cell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191A (ja) * 2002-09-18 2004-04-08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の膜・電極触媒構造体
JP2006079917A (ja) * 2004-09-09 2006-03-23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mea、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6179463A (ja) * 2004-11-25 2006-07-06 Nissan Motor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358A (ko) 2014-12-16
EP2805368B1 (en) 2020-03-11
JP2015508216A (ja) 2015-03-16
JP5900995B2 (ja) 2016-04-06
CA2862291C (en) 2017-09-05
CN104247114B (zh) 2017-09-29
CA2862291A1 (en) 2013-07-25
WO2013109283A1 (en) 2013-07-25
EP2805368A1 (en) 2014-11-26
EP2805368A4 (en) 2016-02-10
US20140356757A1 (en) 2014-12-04
CN104247114A (zh) 2014-12-24
US9761899B2 (en)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Effects of anode flooding on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Kumar et al. An overview of unsolved deficiencies of direct methanol fuel cell technology: factors and parameters affecting its widespread use
Kim et al. The effects of relative humidity on the performances of PEMFC MEAs with various Nafion® ionomer contents
KR100982645B1 (ko) 연료 전지 촉매용 지지체
US7226689B2 (en) Method of mak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electrochemical fuel cells
US8617770B2 (en) Electrodes containing oxygen evolution reaction catalysts
JP2006054165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Sugawara et al. Performance decay of proton-exchange membrane fuel cells under open circuit conditions induced by membrane decomposition
KR101867132B1 (ko) 그래디언트 촉매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전극
CN101127406A (zh) 利用牺牲材料以减轻燃料电池电极中催化剂载体的腐蚀
JP5766401B2 (ja) 燃料電池アセンブリー
JP5101564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膜電極構造体
JP2006318707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電極構造体
Seselj et al. Catalyst Development for High‐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HT‐PEMFC) Applications
JP4693442B2 (ja) ガス拡散電極、その製造方法及び電極−電解質膜積層体
US8278012B2 (e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07128665A (ja) 燃料電池用電極触媒層、および、それを用いた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Intakhuen et al. Carbon catalysts, ionomer contents and operating conditions of an aqueous organic flow battery fabricated by a catalyst-coated membrane
JP2006134648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電極構造体
JP2006140107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電極構造体
JP2006134629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電極構造体
Popov VD 13 Development of Ultra-Low Platinum Alloy Cathode Catalysts for PEM Fuel Cells
JP2006040633A (ja) 燃料電池用電極、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Tashima et al. Estimating the optimal number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atalyst layer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by considering open circuit voltage and polarization
JP2003077481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