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921B1 -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921B1
KR101866921B1 KR1020170149562A KR20170149562A KR101866921B1 KR 101866921 B1 KR101866921 B1 KR 101866921B1 KR 1020170149562 A KR1020170149562 A KR 1020170149562A KR 20170149562 A KR20170149562 A KR 20170149562A KR 101866921 B1 KR101866921 B1 KR 101866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hotographing
fixing
fasten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민욱
Original Assignee
동아항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항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항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이 가능하며, 지피에스 위치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통합 수집할 수 있는 한편, 지지부재로부터 촬영기구설치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외력이나 촬영기구의 하중 등에 따른 촬영기구설치부재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image information changing in real time}
본 발명은 영상처리 기술 분야 중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이 가능하며, 지피에스(GPS) 위치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통합 수집할 수 있는 한편, 지지부재로부터 촬영기구설치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외력이나 촬영기구의 하중 등에 따른 촬영기구설치부재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전자지도는 항공촬영과 지상촬영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로부터 제작되고,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는 이웃하는 이미지들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완전한 일체의 이미지로 완성되어 온라인 전용 3차원 영상정보 전자지도로 완성되고, 이러한 전자지도에는 다양한 GIS정보가 저장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다양한 곳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개별적으로 수집하였다. 이는 다양한 곳에서의 영상이미지를 통합관리하는 데 많은 소요시간을 발생시켰고, 이로 인해 전자지도의 제작 시간이 오래 걸렸다.
또한 종래에는 촬영 각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는 위치에서 촬영이 이루어져 부득이하게 물에 들어가야 할 경우, 카메라의 촬영자세 및 카메라 보호가 쉽지 않아 촬영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물가에서도 지형지물을 안정적으로 촬영하며, 다양한 곳에서 수집된 영상이미지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보다 정확한 영상이미지를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23126호(2013.01.10.)에는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지도 제작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지도 제작 시스템은 카메라를 지지하는 촬영기구설치부재가 카메라의 하중이나 외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처지면서 휘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지형지물에 대한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은 물론, 영상이미지의 품질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23126호(2013.01.17.)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지도 제작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이 가능하며, 지피에스(GPS) 위치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통합 수집할 수 있는 한편, 지지부재로부터 촬영기구설치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외력이나 촬영기구의 하중 등에 따른 촬영기구설치부재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PS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100)과: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제1관통홀(211a)과, 상하로 형성되며 제1관통홀(211a)의 좌우측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이드홈(211b,211c)과, 좌우측방에 각각 형성되며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1,2체결홈(211d,211e)과,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내측면과 연통되며 제1,2체결홈(211d,211e)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4체결홈(211f,211g)과, 제1관통홀(211a)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2,3관통홀(211h,211i)을 갖춘 설치기구바디부(211), 상하로 형성되어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제1관통홀(211a)과 연통되는 지지부재삽입홀(212a)과, 측방으로 형성되는 고정홀(212b)을 갖추고서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상방에 구비되는 고정부(212)를 갖춘 설치기구(210); 중심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설치기구삽입홀(221a)과, 내부에 형성된 부력체수용공간(221b)을 구비한 부력기구바디(221), 제1,2체결홀(222a,223a)을 각각 구비하고 부력기구바디(221)의 내측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설치기구삽입홀(221a)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하방에 배치되며 설치기구의 제1,2가이드홈(211b,211c)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가이드플레이트(224,225), 부력기구바디(221)의 부력체수용공간(221b)에 수용되는 부력체(226),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1,2체결홈(211d,211e) 또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3,4체결홈(211f,211g)에 삽입되어,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를 설치기구바디(211)에 각각 고정하는 제1,2체결부재(227,228)를 갖춘 부력기구(220); 설치기구(210)의 제2,3관통홀(211h,211i)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닻부재(231,232), 제1,2닻부재(231,232)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와이어(233,234), 설치기구바디(211)의 전후방에 배치되며 제1,2와이어(233,234)를 각각 감거나 푸는 제1,2윈치(235,236)를 갖춘 닻기구(230); 부력기구바디(22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240);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251a1)이 형성되는 지지부(251a)와,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251b1)이 형성되며 지지부(251a)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251b)를 갖추고서,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지지부재삽입홀(21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부재(251), 지지부재(251)의 연결부(25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252a)을 구비한 촬영기구설치부재(252), 지지부재(251)의 고정홀(251a1) 및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고정홀(212b)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5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53)를 갖춘 촬영기구고정기구(250); 촬영기구설치부재(25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바디(261), 고정바디(2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262)를 갖춘 촬영기구(260); 촬영기구(260)의 고정바디(261)에 설치되는 한편, 기준국(A)으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고, GPS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신호를 수신하며, 카메라(262)로부터의 영상이미지를 송출하는 송수신장치(270);를 갖춘 촬영장치(200)와: 촬영장치(200)의 송수신장치(270)로부터 영상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기(310); 기존의 영상이미지를 촬영장치(200)의 카메라(262)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로 업그레이드하는 영상이미지DB(321),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322),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323),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324),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325)를 구비한 전자지도제작기(320); 를 갖춘 전자지도제작센터(300):로 구성되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51)로부터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400)는, 양단부가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바(410); 상기 다수의 고정홀(251a1)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410)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바(41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조절부재(420); 및 상기 지지바(410)로부터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를 지지하는 지지수단(4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430)은, 상단부가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에 상기 지지바(4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바(431); 하단부는 상기 지지바(4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상부바(431)의 하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432); 상기 상,하부바(431,4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433); 및 상기 스프링(43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바(43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가압판(434)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434)은,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바(431)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스프링(43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변화된 지형지물을 촬영할 시, 촬영 각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할 경우 수중에 진입하여 충분한 촬영 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때 안정적인 자세로 지형지물을 촬영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촬영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촬영장치를 지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지상에서의 이동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전자지도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업데이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카메라의 영상이미지 촬영시 외력이나 촬영기구의 하중 등에 따른 촬영기구설치부재의 처짐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변화된 지형지물에 대한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촬영기구설치부재가 파손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카메라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촬영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설치기구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4는 도 2에서 촬영기구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설치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5는 도 2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도 15에서 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223126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223126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223126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서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지도 제작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으로 대체하고, 지지부재로부터 촬영기구설치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223126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은 기준국(100)과, 촬영장치(200) 및, 전자지도제작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국(100)은, GPS안테나(111)를 갖추고서, GPS인공위성(G)로부터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110)와, GPS수신기(110)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 연산하여 GPS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DGPS안테나(131)를 갖추고서, 제어부(120)로부터 GPS보정값을 전달받아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DGPS송신기(13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준국(100)의 제어부(120)를 통해 연산된 GPS보정 값(즉 위치값)은 DGPS송신기(130)로 전달되고, DGPS송신기(130)와 연결된 DGPS안테나(131)를 통해 이후에 설명되는 촬영장치(200)의 DGPS안테나(271a)로 무선송출하게 된다.
상기 촬영장치(200)는 설치기구(210)와, 부력기구(220)와, 닻기구(230)와, 바퀴(240)와, 촬영기구고정기구(250)와, 촬영기구(260) 및 송수신장치(270)를 갖춘다.
상기 설치기구(210)는 설치기구바디부(211)와, 고정부(212)를 갖춘다.
상기 설치기구바디부(211)는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제1관통홀(211a)과, 상하로 형성되며 제1관통홀(211a)의 좌우측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이드홈(211b,211c)과, 좌우측방에 각각 형성되며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1,2체결홈(211d,211e)과,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내측면과 연통되며 제1,2체결홈(211d,211e)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4체결홈(211f,211g)과,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제1관통홀(211a)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2,3관통홀(211h,211i)을 갖춘다.
상기 고정부(212)는 상하로 형성되어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제1관통홀(211a)과 연통되는 지지부재삽입홀(212a)과, 측방으로 형성되는 고정홀(212b)를 갖추고서,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상방에 구비된다.
상기 부력기구(220)는 부력기구바디(221)와,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와, 제1,2가이드플레이트(224,225)와, 부력체(226)와, 제1,2체결부재(227,228)를 갖춘다.
상기 부력기구바디(221)는 중심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설치기구삽입홀(221a)과, 내부에 형성된 부력체수용공간(221b)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력기구바디(221)는 부력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설치기구삽입홀(221a)은 사각홀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는 제1,2체결홀(222a,223a)을 각각 구비하고 부력기구바디(221)의 내측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설치기구삽입홀(221a)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1,2가이드플레이트(224,225)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하방에 배치되며 설치기구의 제1,2가이드홈(211b,211c)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부력체(226)는 부력기구바디(221)의 부력체수용공간(221b)에 수용된다.본 실시예에서 부력체(226)는 스티로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물에 뜰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1,2체결부재(227,228)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1,2체결홈(211d,211e) 또는 제1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3,4체결홈(211f,211g)에 각각 삽입 체결되어,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를 설치기구바디(211)에 각각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방식은 나사산 체결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닻기구(230)는 일정 하중을 가지며 설치기구(210)의 제2,3관통홀(211h,211i)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닻부재(231,232)와, 일단이 제1,2닻부재(231,232)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와이어(233,234)와, 설치기구바디(211)의 전후방에 배치되며 제1,2와이어(233,234)를 각각 감거나 푸는 제1,2윈치(235,236)를 갖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치기구바디(211)에는 제2관통홀(211h) 및 제3관통홀(211i)를 개폐하며, 제1닻부재(231) 및 제2닻부재(232)가 안착되는 도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240)는 부력기구바디(221)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퀴(240)는 네 개가 구비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기구고정기구(250)는 지지부재(251)와, 촬영기구설치부재(252) 및, 고정부재(253)를 갖춘다.
상기 지지부재(251)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251a1)이 형성되는 지지부(251a)와,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251b1)이 형성되며 지지부(251a)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251b)를 갖추고서,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지지부재삽입홀(21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는 지지부재(251)의 연결부(25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252a)을 구비하여, 지지부재(251)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253)는 지지부재(251)의 고정홀(251a1) 및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고정홀(212b)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51)를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방식은 나사산 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촬영기구(260)는 촬영기구설치부재(25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바디(261)와, 고정바디(2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262)를 갖춘다. 카메라(262)는 전자지도 제작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바디(261)는 상방으로 개구된 'ㄷ' 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수신장치(270)는 촬영기구(260)의 고정바디(261)에 설치되는 한편, 기준국(A)으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고, GPS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신호를 수신하며, 카메라(262)로부터의 영상이미지를 송출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장치(270)는 DGPS안테나(271a)를 갖추고서 기준국(100)의 DGPS송신기(130)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받는 DGPS수신기(271)와, GPS안테나(272a)를 갖추고서 GPS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 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272)와, 카메라(262)로부터의 영상 및 현재 위치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273)를 갖춘다. 이때 송신기(273)는 기준국(100)으로부터의 GPS보정 값 및 GPS위성(G)으로부터의 현재 위치 값을 비교하여 정밀 현재 위치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전자지도제작센터(300)는 촬영장치(200)로부터 촬영 영상이미지 및 촬영장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310)와, 수신기(310)로부터의 촬영영상을 통해 전자지도를 업그레이드하는 전자지도제작기(320)를 갖춘다.
상기 전자지도제작기(320)는 카메라(262)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321)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322)와,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323)과,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324)과,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325)과, 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가 출력되고 전자지도제작기(320)의 동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 및 입력시키는 입출력모듈(327)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한 구체적인 지리 및 지형정보를 도화이미지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전자지도의 해당 정보 클릭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전자지도가 되도록 제작하는 정보링크모듈(326)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이미지DB(321)는 기존의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며, 기존의 영상이미지를 촬영장치(200)의 카메라(262)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로 업그레이드한다.
상기 이미지편집모듈(323)은 카메라(262)에서 수집한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연결 및 편집해서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영상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해 크기 및 해상도 등의 조정처리가 진행된다. 이미지편집모듈(323)은 일반적인 그래픽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이미지의 출력 및 편집을 위해 공지,공용의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좌표합성모듈(324)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표시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합성한다. 상기 기준점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며, 표시방법은 촬영을 통한 자연표시방법 또는 도화를 통한 인위적인 표시방법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영상도화모듈(325)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전자지도의 배경이 되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것으로서, 서면에 직접 도화하는 도화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온라인 전자지도 제작을 위해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기록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한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영상도화모듈은 전자지도 제작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정보링크모듈(326)은 GIS시스템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상기 도화이미지의 해당 지점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상기 해당 지점을 클릭할 경우 링크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작업자는 도화이미지 작성과정에서 GIS시스템의 특정 정보에 링크될 대상물을 대상물이미지로 상기 도화이미지에 표시한다.
이렇게 완성된 전자지도는 입출력모듈(327)을 통해 출력된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촬영 각이 보장되지 않아, 주변을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수집하기 어려운 강가 또는 해변 가에 촬영장치(200)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촬영장치(200)는 작업자에 의해 직접 수면으로 옮겨지거나, 인양장치 등을 통해 수면으로 옮겨진다.
그러면 상기 작업자는 수면에 뜬 촬영장치(200)를 도 8과 같이 촬영 위치로 옮긴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닻기구(230)의 제1윈치(235) 및 제2윈치(236)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제1닻부재(231) 및 제2닻부재(232)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 9와 같이 수저에 안착된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자는 부력기구(220)의 제1체결부재(227)를 제1고정플레이트(222)와 설치기구바디(211)로부터 분리하고, 부력기구(220)의 제2체결부재(228)를 제2고정플레이트(223)와 설치기구바디(211)로부터 분리하면, 설치기구바디(211)는 자중에 의해 도 10과 같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작업자는 다시 제1체결부재(227) 및 제2체결부재(228)를 통해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을 설치기구바디(221)에 결합한다. 그러면 촬영장치(200)가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제1,2윈치(235,236)을 작동하여 제1,2와이어(233,234)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는 촬영기구고정기구(250)의 지지부재(251)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1관통홀(211a)에 삽입한다. 이후 작업자는 도 11과 같이 고정부재(253)을 통해 지지부재(251)를 설치기구바디(211)에 고정한다. 이때, 고정부재(253)는 지지부재(251)의 가장 하방에 위치한 고정홀(251a1)에 체결되어 구비되거나, 별도의 보관함에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도 12와 같이 촬영기구(260)의 고정바디(261)를 촬영기구고정기구(250)의 촬영기구설치부재(252)에 설치하고, 카메라(262)를 이용해 도 13과 같이 주변을 촬영한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262)로 촬영이 이루어지면, 카메라(262)로부터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송수신장치(270)를 통해 촬영된 위치의 좌표데이터와 함께 송출된다.
그러면 상기 전자지도제작센터(300)는 수신기(310)를 통해 영상이미지와 영상이미지가 촬영된 위치의 좌표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전자지도제작기(320)는 수신된 영상이미지 및 좌표데이터를 매개로 해당 지역에 대한 영상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보다 정밀한 전자지도를 제작한다.
상기 촬영장치(200)는 노면을 이동할 시, 이동성 향상을 위해 도 14와 같이 바퀴(240)가 노면에 닿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지형지물을 촬영할 시, 촬영 각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할 경우, 수중에 진입하여 충분한 촬영 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때 안정적인 자세로 지형지물을 촬영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촬영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장치를 지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지상에서의 이동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 다양한 위치에서 작업 중인 촬영장치로부터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영상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51)로부터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이는,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2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 상측에 상기 촬영기구(260)가 구비되면서 외력이나 상기 촬영기구(260)의 하중 등에 의해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의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카메라(262)의 영상이미지 촬영시 외력이나 상기 촬영기구(260)의 하중 등에 따른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의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변화된 지형지물에 대한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가 파손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카메라(262)의 손상 등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400)는 양단부가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바(410), 상기 다수의 고정홀(251a1)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410)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바(41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조절부재(420) 및 상기 지지바(410)로부터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를 지지하는 지지수단(43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410)는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수단(430)이 구비되는 제1지지바(411) 및 타단부가 상기 제1지지바(411)에 연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조절부재(420)에 결합되는 제2지지바(4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바(411)는 상기 제2지지바(412)보다 전후 폭이 넓게 형성되면서 사각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수단(430)의 배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에 대한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지지바(41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조절부재(42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조절부재(420)는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고정홀(251a1)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조절부재(420)는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고정홀(251a1) 중 상기 지지부재(251)의 상측 두번째 고정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재(420)는 베어링(421) 등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바(41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421)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251)의 상측 두번째 고정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51)에 매립된다.
상기 조절부재(420)는 일단부가 상기 베어링(4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251)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420)는 사용자 등의 인위적인 조작에 따른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바(41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지지수단(430)의 적정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51)는 상기 지지바(410)가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251)의 상측 세번째 고정홀과 상기 지지바(410) 사이가 분기되면서 베어링(254) 등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조절부재(420)의 회전을 잠금하기 위한 잠금수단(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440)은 일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조절부재(420)가 수용되는 공간부(442)를 형성하는 한편, 타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410)로 나사결합되는 커버(44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커버(441)는 상기 지지바(410)로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420)를 덮어 상기 조절부재(4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절부재(420)의 회전을 잠금하는 한편, 상기 조절부재(4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절부재(420)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때, 상기 지지바(410)는 일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턱(4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턱(413)은 상기 커버(441)가 싱기 지지바(4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지지바(410)가 상기 베어링(4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수단(430)은 상단부가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에 상기 지지바(4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바(431), 하단부는 상기 지지바(4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상부바(431)의 하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432) 및 상기 상,하부바(431,4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43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바(431)은 원형봉 형태를 이루고, 상기 하부바(432)는 원통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는 하부에 상기 상부바(431)의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255)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433)은 상기 지지바(410)로부터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외력에 의해 수축,이완되면서 충격 등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수단(430)은 상기 스프링(43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바(4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가압판(4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4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434)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바(43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판(434)은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바(431)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스프링(433)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43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바(431)가 상기 가이드홈(255)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조절부재(4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바(410)와 함께 상기 지지바(4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33)은 상부가 상기 가압판(434)과 접촉되면서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와의 접촉이 방지되면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433)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410) 및 상기 지지수단(430)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433)을 인위적으로 가압하여 수축되도록 한 상태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400)는 외력이나 상기 촬영기구(260)의 하중 등에 따른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의 처짐현상 등을 방지함으로써 변화된 지형지물에 대한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촬영기구설치부재가 파손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카메라(262)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100; 기준국 110; GPS수신기
120; 제어부 130; DGPS송신기
200; 촬영장치 210; 설치기구
220; 부력기구 230; 닻기구
240; 바퀴 250; 촬영기구고정기구
260; 촬영기구 270; 송수신장치
300; 전자지도제작센터 310; 수신기
320; 전자지도제작기 400 : 지지부
410 : 지지바 411 : 제1지지바
412 : 제2지지바 420 : 조절부재
421 : 베어링 430 : 지지수단
431 : 상부바 432 : 하부바
433 : 스프링 434 : 가압판
440 : 잠금수단 441 : 커버

Claims (1)

  1. GPS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100)과: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제1관통홀(211a)과, 상하로 형성되며 제1관통홀(211a)의 좌우측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이드홈(211b,211c)과, 좌우측방에 각각 형성되며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1,2체결홈(211d,211e)과,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내측면과 연통되며 제1,2체결홈(211d,211e)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4체결홈(211f,211g)과, 제1관통홀(211a)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2,3관통홀(211h,211i)을 갖춘 설치기구바디부(211), 상하로 형성되어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제1관통홀(211a)과 연통되는 지지부재삽입홀(212a)과, 측방으로 형성되는 고정홀(212b)을 갖추고서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상방에 구비되는 고정부(212)를 갖춘 설치기구(210);
    중심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설치기구삽입홀(221a)과, 내부에 형성된 부력체수용공간(221b)을 구비한 부력기구바디(221), 제1,2체결홀(222a,223a)을 각각 구비하고 부력기구바디(221)의 내측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설치기구삽입홀(221a)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하방에 배치되며 설치기구의 제1,2가이드홈(211b,211c)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가이드플레이트(224,225), 부력기구바디(221)의 부력체수용공간(221b)에 수용되는 부력체(226),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1,2체결홈(211d,211e) 또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3,4체결홈(211f,211g)에 삽입되어,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를 설치기구바디(211)에 각각 고정하는 제1,2체결부재(227,228)를 갖춘 부력기구(220);
    설치기구(210)의 제2,3관통홀(211h,211i)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닻부재(231,232), 제1,2닻부재(231,232)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와이어(233,234), 설치기구바디(211)의 전후방에 배치되며 제1,2와이어(233,234)를 각각 감거나 푸는 제1,2윈치(235,236)를 갖춘 닻기구(230);
    부력기구바디(22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240);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251a1)이 형성되는 지지부(251a)와,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251b1)이 형성되며 지지부(251a)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251b)를 갖추고서,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지지부재삽입홀(21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부재(251), 지지부재(251)의 연결부(25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252a)을 구비한 촬영기구설치부재(252), 지지부재(251)의 고정홀(251a1) 및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고정홀(212b)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5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53)를 갖춘 촬영기구고정기구(250);
    촬영기구설치부재(25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바디(261), 고정바디(2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262)를 갖춘 촬영기구(260);
    촬영기구(260)의 고정바디(261)에 설치되는 한편, 기준국(A)으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고, GPS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신호를 수신하며, 카메라(262)로부터의 영상이미지를 송출하는 송수신장치(270);
    를 갖춘 촬영장치(200)와:
    촬영장치(200)의 송수신장치(270)로부터 영상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기(310); 기존의 영상이미지를 촬영장치(200)의 카메라(262)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로 업그레이드하는 영상이미지DB(321),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322),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323),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324),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325)를 구비한 전자지도제작기(320); 를 갖춘 전자지도제작센터(300):
    로 구성되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51)로부터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400)는,
    양단부가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바(410);
    상기 다수의 고정홀(251a1)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410)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바(41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조절부재(420); 및
    상기 지지바(410)로부터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를 지지하는 지지수단(4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430)은,
    상단부가 상기 촬영기구설치부재(252)에 상기 지지바(4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바(431);
    하단부는 상기 지지바(4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상부바(431)의 하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432);
    상기 상,하부바(431,4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433); 및
    상기 스프링(43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바(43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가압판(434)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434)은,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바(431)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스프링(43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0170149562A 2017-11-10 2017-11-10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866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62A KR101866921B1 (ko) 2017-11-10 2017-11-10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62A KR101866921B1 (ko) 2017-11-10 2017-11-10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921B1 true KR101866921B1 (ko) 2018-06-15

Family

ID=6262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562A KR101866921B1 (ko) 2017-11-10 2017-11-10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459B1 (ko) * 2019-04-11 2019-09-02 천우항측 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따른 지피에스와 아이앤에스 수치정보를 적용한 수치지도 정보의 수정시스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394Y1 (ko) * 2005-05-04 2005-07-21 이수호 신체 지지형 촬영장치 거치대
KR20070090148A (ko) * 2004-09-29 2007-09-05 나노모션 리미티드 카메라 모듈
KR20090048360A (ko) * 2007-11-09 2009-05-13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요소 위치 제어 기구
KR101217857B1 (ko) * 2012-05-25 2013-01-02 동아항업주식회사 토탈스테이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측지측량 데이터 수집 전용 통합관리시스템
KR101217596B1 (ko) * 2012-06-26 2013-01-03 (주)미도지리정보 지리정보 업데이트를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223126B1 (ko) 2012-10-10 2013-01-17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233104B1 (ko) * 2012-11-05 2013-02-14 서광항업 주식회사 지형지물 관리를 통한 수치지도 정확성 향상시스템
KR101238306B1 (ko) * 2012-11-06 2013-03-11 서광항업 주식회사 영상도화이미지의 비교 판단을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 업데이트 시스템
KR101590937B1 (ko) * 2015-09-23 2016-02-02 주식회사 지트 여러 공간정보 응용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다중 정밀 현장조사 위치정보가 통합된 수치지도 제작서비스 시스템
KR101639634B1 (ko) * 2016-04-15 2016-07-14 조은석 3차원 수치와 측지측량데이터의 합성에 의한 지형지물의 측지측량관리시스템
KR101711963B1 (ko) * 2016-08-29 2017-03-06 (주)에스지원정보기술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765866B1 (ko) * 2017-05-04 2017-08-10 뉴비전엔지니어링(주)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148A (ko) * 2004-09-29 2007-09-05 나노모션 리미티드 카메라 모듈
KR200390394Y1 (ko) * 2005-05-04 2005-07-21 이수호 신체 지지형 촬영장치 거치대
KR20090048360A (ko) * 2007-11-09 2009-05-13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요소 위치 제어 기구
KR101217857B1 (ko) * 2012-05-25 2013-01-02 동아항업주식회사 토탈스테이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측지측량 데이터 수집 전용 통합관리시스템
KR101217596B1 (ko) * 2012-06-26 2013-01-03 (주)미도지리정보 지리정보 업데이트를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223126B1 (ko) 2012-10-10 2013-01-17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233104B1 (ko) * 2012-11-05 2013-02-14 서광항업 주식회사 지형지물 관리를 통한 수치지도 정확성 향상시스템
KR101238306B1 (ko) * 2012-11-06 2013-03-11 서광항업 주식회사 영상도화이미지의 비교 판단을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 업데이트 시스템
KR101590937B1 (ko) * 2015-09-23 2016-02-02 주식회사 지트 여러 공간정보 응용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다중 정밀 현장조사 위치정보가 통합된 수치지도 제작서비스 시스템
KR101639634B1 (ko) * 2016-04-15 2016-07-14 조은석 3차원 수치와 측지측량데이터의 합성에 의한 지형지물의 측지측량관리시스템
KR101711963B1 (ko) * 2016-08-29 2017-03-06 (주)에스지원정보기술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765866B1 (ko) * 2017-05-04 2017-08-10 뉴비전엔지니어링(주)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459B1 (ko) * 2019-04-11 2019-09-02 천우항측 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따른 지피에스와 아이앤에스 수치정보를 적용한 수치지도 정보의 수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126B1 (ko)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0936287B1 (ko) 지피에스기준점 합성방식의 영상이미지 갱신용 도화시스템
KR101818131B1 (ko) 지형지물의 위치변화를 감시하여 수치지도에 적용하는 시스템
US2011005090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and orientation of vehicle trailers
KR101210543B1 (ko) 기존 지리정보 및 갱신 지리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
KR101765866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0923344B1 (ko) 지피에스정보를 적용한 항공영상의 도화시스템
KR101711963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200523B1 (ko) 주기적인 지형지물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809229B1 (ko)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인접건축물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장치
KR101818575B1 (ko) 수치지도에 반영할 지형변화를 검출하는 장치
KR102477382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349116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기존 촬영이미지의 실시간 편집을 위한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866921B1 (ko)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589928B1 (ko) 지피에스 확인을 통한 변경된 지형지물의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899363B1 (ko) 지하시설물과 지형지물 영상촬영 데이터의 3차원 정밀 처리를 위한 측량 시스템
NO20180499A1 (en) Construction machine guidance system
KR101166505B1 (ko) 지아이에스 정보 기반 수치지도의 구성 데이터 실시간 업그레이드시스템
KR101589925B1 (ko) 영상도화용 지형이미지의 기준점 확인 처리가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EP3280973B1 (en) Elevation angle estimating system and method for user terminal placement
JP2021117047A (ja) 無人飛行体を用いた写真測量方法および無人飛行体を用いた写真測量システム
KR101259921B1 (ko) 위치정보 및 촬영이미지 합성을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820122B1 (ko) 측지측량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수평유지장치
KR101992327B1 (ko) 수치지도에서 미확인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정확하게 확보하고 정밀하게 합성처리시키기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349147B1 (ko) 다수의 gps를 이용한 고정밀 영상이미지의 항공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