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302B1 - 테더클립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테더클립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302B1
KR101866302B1 KR1020160097582A KR20160097582A KR101866302B1 KR 101866302 B1 KR101866302 B1 KR 101866302B1 KR 1020160097582 A KR1020160097582 A KR 1020160097582A KR 20160097582 A KR20160097582 A KR 20160097582A KR 101866302 B1 KR101866302 B1 KR 101866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engaging
bracket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626A (ko
Inventor
유종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09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3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더클립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피결합체에 고정결합되고 결합홀을 구비한 결합브라켓, 상기 결합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브라켓의 결합홀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구비한 클립몸체, 상기 클립몸체의 삽입부에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브라켓의 결합홀 내측벽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결합체로부터 상기 클립몸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클립몸체의 삽입부에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의 파단후 상기 클립몸체가 상기 결합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브라켓의 결합홀 내측벽에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여,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테더클립 결합구조{ TETHER CLIP DEVICE }
본 발명은 테더클립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테더클립을 사용하여 결합체를 피결합체에 결합시키는 테더클립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시스템은 탑승자를 위한 안전장치로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와 차량 구조물의 사이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직접적으로 부딪혀 부상을 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은 충돌방향과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차량의 각 부위에 설치된다.
가령, 필러트림에 설치되는 에어백 장치의 경우, 필러트림에 에어쿠션이 테더클립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차량의 충돌시 가스가 에어쿠션을 팽창시키게 되면 에어쿠션과 함께 테더클립이 전개방향으로 이동하여 에어쿠션의 전개를 허용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테더클립 결합구조는, 피결합체(1)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브라켓(110), 결합브라켓(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130), 플러그(13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120), 소켓(120)을 결합브라켓(110)에 고정시키는 캡(140)을 포함하고 있다.
결합브라켓(110)에는 결합홀(111)이 형성되어 플러그(13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진다. 소켓(120)에는 결합후크(122)가 형성되어 결합체(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소켓(120)은 플러그(130)를 관통하여 끼워지고 하단부가 결합브라켓(110)의 결합홀(111)에 삽입된다. 소켓(120)의 일측에 걸림턱(124)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플러그(130)의 일측에 걸림턱(124)이 끼워지는 걸림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120)이 플러그(130)에 삽입될 때 걸림턱(124)이 걸림홈(132)에 끼워짐으로써 소켓(120)이 플러그(130)에 고정결합되고, 에어백 전개시의 외력에 의해 걸림턱(124)이 걸림홈(132)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소켓(120)이 플러그(130)로부터 이동하게 된다. 소켓(120)의 하단에는 스토퍼(125)가 형성되어 소켓(120)이 소정거리만큼 이동한 후 정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테더클립 결합구조는 소켓(120)과 플러그(130)의 두 부품을 별개로 제조하여 탈부착시켜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단가도 상승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플러그(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캡(140)과 고정피스(150)를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높은 원인이 되었다.
(선행문헌)
(특허)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2526호
(특허) 한국공개특허 제2013-006853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테더클립 결합구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테더클립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테더클립 결합구조는, 차량에서 결합체를 피결합체에 결합시키는 테더클립 결합구조로서, 상기 피결합체에 고정결합되고 결합홀을 구비한 결합브라켓, 상기 결합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브라켓의 결합홀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구비한 클립몸체, 상기 클립몸체의 삽입부에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브라켓의 결합홀 내측벽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결합체로부터 상기 클립몸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클립몸체의 삽입부에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의 파단후 상기 클립몸체가 상기 결합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브라켓의 결합홀 내측벽에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부, 상기 결합브라켓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한쌍의 회전방지돌기, 그리고 상기 클립몸체의 헤드부에서 상기 제1걸림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몸체가 회전하면 한쌍의 상기 회전방지돌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걸림부가 상기 결합브라켓의 결합홀에 걸려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클립몸체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방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더클립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에 파단을 위한 노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더클립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에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관통하여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상기 결합홀의 내측벽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상기 결합홀과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더클립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의 관통홀 일측에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몸체의 헤드부와 삽입부 사이에 상기 위치결정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더클립 결합구조에 의하면,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를 통해 소켓과 플러그의 두 개 부품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테더클립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한편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캡이 없이도 테더클립이 피결합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캡을 고정시키던 고정피스도 줄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테더클립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더클립 결합구조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테더클립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더클립 결합구조의 테더클립을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테더클립의 일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더클립 결합구조의 결합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테더클립과 결합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테더클립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테더클립 결합구조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더클립 결합구조는, 피결합체(1)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브라켓(10), 결합체(2)와 결합브라켓(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테더클립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피결합체(1)는 필러트림이고 결합체(2)는 에어쿠션기구이다. 결합브라켓(10)은 필러트림과 일체로 성형되어 고정결합되고, 결합체(2)는 테더클립에 후크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브라켓(10)은 결합홀(11)을 구비하고, 결합홀(11)의 상단부에 관통홀(12)이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12)의 일측에는 테더클립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홀(13)이 형성되어 있다.
테더클립은 클립몸체(20)와, 결합브라켓(10)의 결합홀(11) 내측벽에 걸려 지지되는 제1걸림부(30), 및 제1걸림부(30)의 파단후 결합브라켓(10)의 결합홀(11) 내측벽에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부(40)를 포함하고 있다.
클립몸체(20)는 결합체(2)에 후크결합되는 헤드부(21)를 구비하고, 결합브라켓(10)의 결합홀(11)에 삽입되는 삽입부(24)를 구비하며, 헤드부(21)와 삽입부(24) 사이에 결합브라켓(10)의 위치결정홀(1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부(25)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부(21)의 외측에는 결합체(2)에 끼워져 후크결합되는 결합후크(22)가 돌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클립이 결합브라켓(10)에 결합될 때 헤드부(21)는 결합브라켓(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때 결합후크(22)와 헤드부(21)의 상단부가 결합체(2)의 상부로 돌출되며 결합후크(22)가 결합체(2)의 상부면에 걸려 지지된다. 결합후크(22)의 단부에는 후크결합을 해제하는 후크해제레버(23)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후크(22)와 후크해제레버(23)는 헤드부(21)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테더클립을 결합체(2)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후크해제레버(23)를 누르면 결합후크(22)가 움직여 후크결합이 해제된다.
회전부(25)는 헤드부(21)의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테더클립이 결합브라켓(10)에 결합될 때 위치결정홀(13)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위치결정홀(13)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회전부(25)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부(25)가 위치결정홀(13)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위치결정홀(13)은 관통홀(12)의 일측에 형성되되 관통홀(12)보다 크게 형성되어 회전부(25)가 관통홀(12)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결합브라켓(10)에서 위치결정홀(13)에 회전부(25)만 끼워질 수 있어 결합브라켓(10)에서의 테더클립의 결합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테더클립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홀(13)을 형성하고 회전부(25)를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캡(도 1 참조)이 없이도 테더클립을 결합브라켓(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클립몸체(20)의 삽입부(24)는 테더클립이 결합브라켓(10)에 결합될 때 결합브라켓(10)의 관통홀(12)을 관통하여 결합홀(11)에 삽입된다. 삽입부(24)와 관통홀(12)은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24)과 관통홀(12)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제1걸림부(30) 및 제2걸림부(40)도 삽입부(24)와 마찬가지로 관통홀(12)을 통과하여 결합홀(11)에 삽입된다.
제1걸림부(30)와 제2걸림부(40)는 삽입부(24)에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걸림부(30)와 제2걸림부(40)도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삽입부(24)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홀(12)도 삽입부(24)는 물론 제1걸림부(30)와 제2걸림부(40)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장형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걸림부(30)는 관통홀(12)을 관통하여 결합홀(11)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결합홀(11)의 내측벽에 걸려 지지된다. 즉 삽입부(24)와 제1걸림부(30) 및 제2걸림부(40)를 관통홀(12)로 통과시켜 결합홀(11)에 삽입시키게 되면 회전부(25)가 위치결정홀(13)에 안착되고, 이후 테더클립을 90도 회전시키게 되면 테더클립이 회전부(2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걸림부(30)와 제2걸림부(40)가 관통홀(12)과 90도의 각도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걸림부(30)가 결합홀(11)의 내측벽에 걸려 테더클립이 결합브라켓(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제1걸림부(30)는 결합체(2)로부터 클립몸체(2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파단된다. 제1걸림부(30)의 단부에는 파단을 위한 노치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치부(31)가 형성된 부분에서 파단이 발생하도록 유도되어 파단시 삽입부(24)도 함께 파손되지 않고 제1걸림부(30)만 부러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쿠션이 가스에 의해 팽창하면서 전개될 때 결합체(2)가 함께 이동하면서 테더클립도 결합브라켓(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걸림부(30)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제2걸림부(40)는 제1걸림부(30)의 아래쪽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결합홀(11)에서 제2걸림부(40)가 제1걸림부(30)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노치부(31)에서 파단이 일어나면 제1걸림부(30)는 부러져 낙하하게 되고,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4)가 제2걸림부(40)와 함께 이동하게 되며, 제2걸림부(40)가 결합홀(11)의 내측벽에 걸릴 때까지 테더클립이 상승하게 된다. 즉 제2걸림부(40)는 제1걸림부(30)가 파단된 후 2차적으로 결합홀(11)의 내측벽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클립몸체(20)가 결합브라켓(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테더클립은 제1걸림부(30)와 제2걸림부(40) 사이의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걸림부(30)와 제2걸림부(40)를 통해 소켓(120)과 플러그(130)의 두 개 부품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테더클립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클립몸체(20)의 헤드부(21)에 회전방지리브(51)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결합브라켓(10)의 외측에 1쌍의 회전방지돌기(52)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리브(51)는 제1걸림부(30)와 제2걸림부(40)가 결합브라켓(10)의 결합홀(11)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1쌍의 회전방지돌기(52) 사이에 안착된다. 그로 인해 회전방지리브(51)가 회전방지돌기(52)에 걸려 클립몸체(20)의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결합브라켓
11 : 결합홀
12 : 관통홀
13 : 위치결정홀
20 : 클립몸체
21 : 헤드부
22 : 결합후크
23 : 후크해제레버
24 : 삽입부
25 : 회전부
30 : 제1걸림부
31 : 노치부
40 : 제2걸림부
51 : 회전방지리브
52 : 회전방지돌기

Claims (5)

  1. 차량에서 결합체를 피결합체에 결합시키는 테더클립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결합체에 고정결합되고, 결합홀을 구비한 결합브라켓;
    상기 결합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브라켓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클립몸체;
    상기 클립몸체의 삽입부에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브라켓의 결합홀 내측벽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결합체로부터 상기 클립몸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제1걸림부;
    상기 클립몸체의 삽입부에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의 파단후 상기 클립몸체가 상기 결합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브라켓의 결합홀 내측벽에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부;
    상기 결합브라켓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한쌍의 회전방지돌기; 및
    상기 클립몸체의 헤드부에서 상기 제1걸림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몸체가 회전하면 한쌍의 상기 회전방지돌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걸림부가 상기 결합브라켓의 결합홀에 걸려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클립몸체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방지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클립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에 파단을 위한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클립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에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관통하여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상기 결합홀의 내측벽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상기 결합홀과 연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클립 결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의 관통홀 일측에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몸체의 헤드부와 삽입부 사이에 상기 위치결정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클립 결합구조.
  5. 삭제
KR1020160097582A 2016-07-29 2016-07-29 테더클립 결합구조 KR101866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582A KR101866302B1 (ko) 2016-07-29 2016-07-29 테더클립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582A KR101866302B1 (ko) 2016-07-29 2016-07-29 테더클립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626A KR20180013626A (ko) 2018-02-07
KR101866302B1 true KR101866302B1 (ko) 2018-06-12

Family

ID=6120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582A KR101866302B1 (ko) 2016-07-29 2016-07-29 테더클립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3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578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테더 클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9622Y2 (ja) * 1993-09-20 1999-09-13 河西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取付座
JP2001323906A (ja) * 2000-05-18 2001-11-22 Nifco Inc 部材取付具
JP2005350009A (ja) * 2004-06-14 2005-12-22 Piolax Inc 切り込み可能な軟質材の固定構造
JP2009274578A (ja) * 2008-05-14 2009-11-26 Toyoda Gosei Co Ltd ガーニッシ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9622Y2 (ja) * 1993-09-20 1999-09-13 河西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取付座
JP2001323906A (ja) * 2000-05-18 2001-11-22 Nifco Inc 部材取付具
JP2005350009A (ja) * 2004-06-14 2005-12-22 Piolax Inc 切り込み可能な軟質材の固定構造
JP2009274578A (ja) * 2008-05-14 2009-11-26 Toyoda Gosei Co Ltd ガーニッシュ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2599622호(1999.07.16.)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578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테더 클립
KR102138322B1 (ko) * 2018-10-25 2020-07-27 주식회사 서연이화 테더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626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2862B2 (ja) エアーバッグつなぎ留め解放アッセンブリ
JP5414052B2 (ja) エアバッグ用クリップ
JP4756219B2 (ja) カーテンサイドエアバッグ用トリムのためのトリムクリップ
US9132789B2 (en) Clip
KR200469406Y1 (ko) 패스너 클립, 및 패스너 클립의 제조 방법
JP5432011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部構造
JP3031306U (ja) エアバッグ展開ドア用の破壊分離型固定装置
JP5212771B2 (ja) カーテンサイドエアバッグ用トリムのトリムクリップ
JP5888346B2 (ja) クリップおよび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KR20130040171A (ko) 에어백 장치
KR101628499B1 (ko)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이 방지되는 구조 및 그 방법
JP5967114B2 (ja) テザークリップおよび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JPH07201392A (ja) イグニッション・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装置コネクタ
JP2006007932A (ja) カーテンシールドエアバッグのガーニッシュ用クリップ
JP2010038185A (ja) 被固定部材の固定構造およびクリップ
JP5227200B2 (ja) エアバッグ用クリップの取付構造
KR101866302B1 (ko) 테더클립 결합구조
JP6217500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KR101751688B1 (ko) 커튼 에어백 전개시 프론트 필러와 테더 클립 간의 이탈 방지 구조
JP2009029328A (ja) カーテンサイドエアバッグ用トリムに適したトリムクリップ
JP2013224057A (ja) ピラートリムの取付構造
KR101693979B1 (ko) 차량의 필라 어셈블리
WO2009150860A1 (ja) 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1714236B1 (ko) 시트벨트의 로어앵커 커버
KR101685491B1 (ko) 차량용 테더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