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646B1 -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646B1
KR101865646B1 KR1020170023282A KR20170023282A KR101865646B1 KR 101865646 B1 KR101865646 B1 KR 101865646B1 KR 1020170023282 A KR1020170023282 A KR 1020170023282A KR 20170023282 A KR20170023282 A KR 20170023282A KR 101865646 B1 KR101865646 B1 KR 10186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door wiring
door
auxiliary
switch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구
Original Assignee
(주)한성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한성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023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은 상기 케이스(10)의 하측에는 전면이 개방된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2)에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된 수납박스(30)가 전방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박스(30)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수납박스(30)에 공구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기유닛(20)을 유지보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전원을 분기하여 각 수용가 또는 각 수용가의 방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배전반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선(1)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실내배선(2)으로 공급하는 분기유닛(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금속재의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케이스(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벽면(2)에 형성된 결합홈(4)에 매입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유닛(2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된 주차단기(22) 및 보조차단기(23)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5)로 구성된다.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는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레버(24)가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레버(24)를 회동시켜 전원을 인가하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실내배선(2)에 합선이 발생되거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상기 부스바(25)와 실내배선(2)에 과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자동으로 상기 스위치레버(24)가 도 5에 점선으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주차단기(22)에 전원선(1)을 연결하고, 상기 보조차단기(23)에 실내배선(2)에 연결하여, 상기 전원선(1)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실내배선(2)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배전반은 필요에 따라 유지보수를 하여야 하는데, 유지보수 작업중에 작업에 사용되는 공구나 부품 등을 올려놓을 곳이 마땅치 않아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배전반은 실내배선(2)에 합선이 발생되거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상기 부스바(25)와 실내배선(2)에 과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상기 주차단기(22) 또는 보조차단기(23)가 작동되어, 실내배선(2)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기 주차단기(22) 또는 보조차단기(23)가 작동되는 경우 뿐 아니라, 정전이 발생될 경우에도 실내배선(2)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내배선(2)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될 경우, 작업자는 상기 배전반의 도어(11)를 열고,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 주차단기(22)나 보조차단기(23)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었는지, 아니면, 상기 전원선(1)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가 차단된 정전이 발생된 것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즉,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차단된 경우, 정전이 발생된 것이며, 주차단기(22)나 보조차단기(23) 중에서 어느 하나가 작동되어 상기 스위치레버(24)가 회동된 경우에는 실내에서 합선 등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배선(2)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어떠한 이유로 전원이 차단되었는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배전반은 상기 도어(11)에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유지보수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도어(11)를 잠궈야 하지만, 번거로움을 이유로 작업자들이 잠금장치를 잠그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며, 이에 따라, 허가받은 작업자 이외의 사람들이 도어(11)를 열고, 주차단기(22)나 보조차단기(23)를 작동시켜 실내배선(2)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03456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선(1)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실내배선(2)으로 공급하는 분기유닛(20)을 포함하는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하측에는 전면이 개방된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수납부(12)에 전방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된 수납박스(3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납박스(30)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수납박스(30)에 공구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된 주차단기(22) 및 보조차단기(23)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5)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단기(22)는 전원선(1)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차단기(23)는 실내배선(2)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선(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전원선(1)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메인전류측정수단(41)과, 상기 실내배선(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하는 보조전류측정수단(42)과, 상기 도어(11)의 전면에 구비된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 및 정전표시램프(82)와, 상기 메인전류측정수단(41)과 보조전류측정수단(4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작동표시램프와 정전표시램프(8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전원선(1)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주차단기(22) 또는 보조차단기(23)가 작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를 on시키고, 상기 전원선(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정전표시램프(82)를 on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의 전면에는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레버(24)가 구비되어, 설정된 전류에 비해 높은 전류가 흐를 경우 자동으로 상기 스위치레버(24)가 회동되면서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11)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50)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상기 스위치레버(24)의 회동방향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진시 상기 스위치레버(24)가 전원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60)와, 상기 지지부재(60)에 연결되어 지지부재(60)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구동수단(70)과, 상기 제어수단(90)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9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개폐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11)가 개방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전진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91)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후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90)은 보조전류측정수단(4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상기 실내배선(2)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후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은 상기 케이스(10)의 하측에는 전면이 개방된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2)에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된 수납박스(30)가 전방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박스(30)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수납박스(30)에 공구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기유닛(20)을 유지보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배전반의 분기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배전반의 주차단기와 보조차단기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종래의 배전반의 배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의 분기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의 주차단기와 보조차단기를 도시한 참고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의 배선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을 도시한 것으로,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선(1)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실내배선(2)으로 공급하는 분기유닛(2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된 주차단기(22) 및 보조차단기(23)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5)로 구성되며, 상기 주차단기(22)는 전원선(1)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차단기(23)는 실내배선(2)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는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레버(24)가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레버(24)를 회동시켜 전원을 인가하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실내배선(2)에 합선이 발생되거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상기 부스바(25)와 실내배선(2)에 과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자동으로 상기 스위치레버(24)가 회동되면서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0)의 하측에는 전면이 개방된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수납부(12)에 전방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된 수납박스(30)와, 상기 전원선(1)의 중간부에 구비된 메인전류측정수단(41)과, 상기 실내배선(2)의 중간부에 구비된 보조전류측정수단(42)과, 상기 도어(11)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50)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상기 스위치레버(24)의 회동방향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재(60)와, 상기 지지부재(60)에 연결되어 지지부재(60)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구동수단(70)과, 상기 도어(11)에 구비된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 및 정전표시램프(82)와, 상기 메인전류측정수단(41)과 보조전류측정수단(42) 및 개폐감지수단(50)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와 정전표시램프(82) 및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납부(12)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하측에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납박스(3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수납부(12)에 전방으로 출납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박스(30)를 전방으로 당겨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분기유닛(20)의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공구나 부품 등을 상기 수납박스(30)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전류측정수단(41)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차단기(22)에 연결된 전원선(1)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선(1)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하여, 정전이 발생되어 전원선(1)을 통해 전기가 흐르지 않는 것이 감지될 경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전류측정수단(42)은 상기 보조차단기(23)에 연결된 실내배선(2)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차단기(23)를 통해 상기 실내배선(2)에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하여, 어떠한 이유에 의해 상기 주차단기(22)나 보조차단기(23)가 작동되어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실내배선(2)에 전기가 흐르지 않는 것이 감지될 경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원선(1)이나 실내배선(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전원선(1)이나 실내배선(2)을 통해 전기가 흐르지 않는 것을 감지하는 메인전류측정수단(41) 또는 보조전류측정수단(42)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폐감지수단(50)은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전면에는 상기 도어(11)에 의해 눌리는 푸쉬버튼(51)이 구비된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도어(11)를 닫으면 상기 푸쉬버튼(51)이 눌려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도어(11)를 열거나 닫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6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61)와, 상기 수평부(61)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1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부(6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1a)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의 양측에 상기 스위치레버(24)의 회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60)는 상기 스위치레버(24)의 후측, 즉,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가 전원을 차단할 때 상기 스위치레버(24)가 회동되는 쪽에 위치되어, 전진시 상기 스위치레버(24)의 후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스위치레버(24)가 전원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은 상기 가이드레일(21a)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중간부가 상기 지지부재(60)의 연장부(62)에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71)와, 상기 리드스크류(71)에 연결된 구동모터(72)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72)를 이용하여 상기 리드스크류(71)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리드스크류(71)의 나사작용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60)가 전후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와, 상기 정전표시램프(82)는 상기 도어(11)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9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on-off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와 정전표시램프(82)는 서로 다른 색으로 구성되어, on되었을 때, 시각적으로 구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메인전류측정수단(41) 신호를 수신하여 정전이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보조전류측정수단(4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배선(2)으로 전원이 인가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와 정전표시램프(8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원선(1)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주차단기(22) 또는 보조차단기(23)가 작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를 on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원선(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90)은 정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전표시램프(82)를 on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실내로 공급된 전원이 차단될 경우, 상기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 또는 정전표시램프(82)의 on-off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도어(11)를 열어서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지 않고도, 정전이 발생된 것인지, 아니면 실내배선(2)에 합선 등이 발생되었는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90)에는 작업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91)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11)가 개방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전진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91)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후퇴되도록 한다.
즉, 상기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수단(90)은 도 10 및 도 1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을 구동시켜 상기 지지부재(60)가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의 스위치레버(24)가 자유롭게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실내배선(2)에 합선이 발생되거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상기 부스바(25)와 실내배선(2)에 과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자동으로 상기 스위치레버(24)가 회동되면서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도어(11)를 열면,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개폐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도 10 및 도 11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60)가 상기 스위치레버(24)의 후측에 근접되도록 전진시킴으로써, 스위치레버(24)가 후측으로 회동되지 못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레버(24)를 후방, 즉, 전원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강제로 회동시키려고 할 경우, 상기 스위치레버(24)가 상기 지지부재(60)에 걸려 회동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11)가 개방되어 상기 지지부재(60)가 전진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91)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을 구동시켜 도 10 및 도 1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60)를 후퇴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스위치레버(24)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90)은 보조전류측정수단(4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상기 실내배선(2)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후퇴되도록 한다.
즉, 도어(11)가 닫혀서 상기 지지부재(60)가 후퇴된 상태에서, 상기 부스바(25)와 실내배선(2)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주차단기(22)나 보조차단기(23)의 스위치레버(24)가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어(11)를 열면,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을 작동시키지 않아서, 상기 지지부재(60)가 후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배선(2)에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도어(11)를 열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을 구동시켜 상기 지지부재(60)가 전진되도록 하며,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60)가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배선(2)에 합선 등이 발생되어 부스바(25)와 실내배선(2)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를 빠르게 후퇴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60)가 후퇴되면, 상기 주차단기(22)나 보조차단기(23)의 스위치레버(24)가 후방으로 회동될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상기 스위칭레버가 후퇴되어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은 상기 케이스(10)의 하측에는 전면이 개방된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2)에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된 수납박스(30)가 전방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박스(30)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수납박스(30)에 공구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기유닛(20)을 유지보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선(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전원선(1)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메인전류측정수단(41)과, 상기 실내배선(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하는 보조전류측정수단(42)과, 상기 도어(11)의 전면에 구비된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 및 정전표시램프(82)와, 상기 메인전류측정수단(41)과 보조전류측정수단(4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작동표시램프와 정전표시램프(8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전원선(1)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주차단기(22) 또는 보조차단기(23)가 작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를 on시키고, 상기 전원선(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정전표시램프(82)를 on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배선(2)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가 상기 도어(11)를 열지 않고도, 상기 실내배선(2)에 합선 등이 발생되어 상기 주차단기(22) 또는 보조차단기(23)가 작동된 것인지, 아니면 정전이 발생된 것인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50)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상기 스위치레버(24)의 회동방향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진시 상기 스위치레버(24)가 전원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60)와, 상기 지지부재(60)에 연결되어 지지부재(60)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구동수단(70)과, 상기 제어수단(90)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9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개폐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11)가 개방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전진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91)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후퇴되도록 한다.
따라서, 허가받지 않은 사람들이 임의로 상기 주자단기나 보조차단기(23)의 스위치레버(24)를 조작하여 상기 실내배선(2)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어수단(90)은 보조전류측정수단(4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상기 실내배선(2)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후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차단기(22) 또는 보조차단기(23)가 작동되어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가 개방되어 상기 지지부재(60)가 전진된 상태에서 실내배선(2)에 합선이 발생될 경우, 상기 지지부재(60)에 의해 스위치레버(24)가 후방으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케이스 20. 분기유닛
30. 수납박스 41. 메인전류측정수단
42. 보조전류측정수단 50. 개폐감지수단
60. 지지부재 70. 전후진구동수단
81. 차단기작동표시램프 82. 정전표시램프
90. 제어수단

Claims (4)

  1.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되어 전원선(1)에 연결되는 주차단기(22)와, 실내배선(2)에 연결되는 보조차단기(23)와,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전원을 인가하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면서 과전류 발생 시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레버(24) 및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5)로서 구비되어 상기 전원선(1)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를 분기하여 실내배선(2)으로 공급하는 분기유닛(20);
    상기 케이스(10)의 하측에서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12)에 전방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분기유닛(20)의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공구나 부품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납박스(30);
    상기 전원선(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전원선(1)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하는 메인전류측정수단(41);
    상기 실내배선(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하는 보조전류측정수단(42);
    상기 도어(11)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50);
    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61)와, 상기 수평부(61)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패널(21)에서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의 양측에 상기 스위치레버(24)의 회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1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부(62)로서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레버(24)의 회동방향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 시 상기 스위치레버(24)가 전원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60);
    상기 가이드레일(21a)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60)의 연장부(62)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71)와 상기 리드스크류(71)에 연결되는 구동모터(72)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구동모터(72)를 이용하여 상기 리드스크류(71)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지지부재(60)가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후진구동수단(70);
    상기 도어(11)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선(1)에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상기 실내배선(2)으로의 전원 인가 여부를 표시하는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
    상기 전원선(1)에서의 전원 인가 여부를 표시하는 정전표시램프(82);
    상기 메인전류측정수단(41)과 보조전류측정수단(42) 및 개폐감지수단(50)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단기작동표시램프(81)와 정전표시램프(82) 및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도어(11)가 개방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전진하도록 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입력수단(91)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후퇴하도록 하는 제어수단(90);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90)은 보조전류측정수단(4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배선(2)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상기 실내배선(2)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60)가 후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KR1020170023282A 2017-02-22 2017-02-22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KR10186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82A KR101865646B1 (ko) 2017-02-22 2017-02-22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82A KR101865646B1 (ko) 2017-02-22 2017-02-22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646B1 true KR101865646B1 (ko) 2018-07-13

Family

ID=6291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282A KR101865646B1 (ko) 2017-02-22 2017-02-22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64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562B1 (ko) * 2020-05-26 2020-11-11 윤은수 설비 이상 경보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의 변전설비
KR102298930B1 (ko) * 2020-06-17 2021-09-07 (주)케이제이종합감리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배전반
KR102314491B1 (ko) * 2020-06-17 2021-10-2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수납박스가 구비된 공동주택용 배전반
KR102314490B1 (ko) * 2020-06-17 2021-10-2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조명램프가 구비된 공동주택용 배전반
KR102405899B1 (ko) *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KR102405898B1 (ko) *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KR102405887B1 (ko) * 2021-09-07 2022-06-08 주식회사 주석산업개발 배전반
KR20220002790U (ko) 2021-05-17 2022-11-24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 도어의 물품 보관 구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6851A (ja) * 1998-06-09 1999-12-21 Sekisui Chem Co Ltd 収納庫と建物ユニット
JP2002328777A (ja) * 2001-04-27 2002-11-15 Maazu Kk パソコン筐体構造
KR101052117B1 (ko) * 2009-06-17 2011-07-26 정성수 사용 편리 및 멀티 정보 제공을 위한 일체형 통합 세대 분전반
KR101081018B1 (ko) * 2011-07-06 2011-11-09 (주)도명디앤이 공동주택의 전력 분배용 분전반
KR20120058953A (ko) * 2010-11-30 2012-06-08 주식회사 케이엔티 수배전반의 안전관리장치
KR20160005480A (ko) * 2014-07-07 2016-01-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의 도어 개폐장치
KR200479415Y1 (ko) * 2015-08-24 2016-01-26 김이식 배전반
KR20170016651A (ko) * 2015-08-04 2017-02-14 (주)메티스 패드락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6851A (ja) * 1998-06-09 1999-12-21 Sekisui Chem Co Ltd 収納庫と建物ユニット
JP2002328777A (ja) * 2001-04-27 2002-11-15 Maazu Kk パソコン筐体構造
KR101052117B1 (ko) * 2009-06-17 2011-07-26 정성수 사용 편리 및 멀티 정보 제공을 위한 일체형 통합 세대 분전반
KR20120058953A (ko) * 2010-11-30 2012-06-08 주식회사 케이엔티 수배전반의 안전관리장치
KR101081018B1 (ko) * 2011-07-06 2011-11-09 (주)도명디앤이 공동주택의 전력 분배용 분전반
KR20160005480A (ko) * 2014-07-07 2016-01-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의 도어 개폐장치
KR20170016651A (ko) * 2015-08-04 2017-02-14 (주)메티스 패드락 장치
KR200479415Y1 (ko) * 2015-08-24 2016-01-26 김이식 배전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562B1 (ko) * 2020-05-26 2020-11-11 윤은수 설비 이상 경보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의 변전설비
KR102298930B1 (ko) * 2020-06-17 2021-09-07 (주)케이제이종합감리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배전반
KR102314491B1 (ko) * 2020-06-17 2021-10-2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수납박스가 구비된 공동주택용 배전반
KR102314490B1 (ko) * 2020-06-17 2021-10-2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조명램프가 구비된 공동주택용 배전반
KR20220002790U (ko) 2021-05-17 2022-11-24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 도어의 물품 보관 구조
KR102405899B1 (ko) *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KR102405898B1 (ko) *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KR102405887B1 (ko) * 2021-09-07 2022-06-08 주식회사 주석산업개발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646B1 (ko)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KR101854556B1 (ko) 배전반
KR101874884B1 (ko) 수납박스가 구비된 배전반
US6778080B2 (en) Modular safety switching device system
US20200251297A1 (en) Bus plug including remotely operated circuit breaker and electrical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994743B2 (en) Device for moving a first furniture part relative to a second furniture part, and a piece of furniture
KR101489079B1 (ko) 전동 액추에이터
US20110216508A1 (en) System, network protector enclosure, and automatic racking system
KR101874885B1 (ko) 고정부재가 구비된 배전반
KR20120015393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스탠드
JP2014231129A (ja) バッテリ式穿孔機
KR102035529B1 (ko) 배전선로의 고장감시장치
JP6601750B2 (ja) 配線ダクト接続装置
KR101786716B1 (ko) 패드락 장치
KR101615639B1 (ko) 배전반
KR101536943B1 (ko) 안전경보장치를 구비한 고압 개폐기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CN103107037A (zh) 环网柜的闭锁机构及环网柜
KR200470025Y1 (ko)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WO2013135708A1 (en) Draw-out switching device
JP4548538B2 (ja) 安全確保装置
KR100459229B1 (ko) 차단기의 위치 표시장치
KR102104544B1 (ko) 공동주택용 배전반 도어의 접지장치
KR101251604B1 (ko)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2271016B1 (ko)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KR102374353B1 (ko) 진공차단기 원격 인출입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