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016B1 -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016B1
KR102271016B1 KR1020200187486A KR20200187486A KR102271016B1 KR 102271016 B1 KR102271016 B1 KR 102271016B1 KR 1020200187486 A KR1020200187486 A KR 1020200187486A KR 20200187486 A KR20200187486 A KR 20200187486A KR 102271016 B1 KR102271016 B1 KR 10227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switch
cutting
fu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덕
남현수
Original Assignee
남정덕
남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덕, 남현수 filed Critical 남정덕
Priority to KR102020018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은, 상기 접속유닛(A)이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된 PCB모듈(30)과, 상기 PCB모듈(30)의 전면 중앙부에 구비된 퓨즈(41)와,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PCB모듈(30)에서 연장된 제1 배전선(42a)에 연결된 개폐기(42)와, 제2 배전선(43a)을 통해 상기 개폐기(42)에 연결되며 상기 출력전원선(5,6)이 연결되는 출력터미널(43)로 구성되어, 개폐기(42)와 퓨즈(41)를 비롯한 각 부품을 연결하는 배전선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작이 용이하며, 개폐기(42)와 퓨즈(41)를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음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junction box for solar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제작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다수개의 태양광패널모듈과, 상기 태양광패널모듈에 연결된 접속함과, 상기 접속함에 연결된 인버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속함은 상기 태양광패널모듈에서 연장된 입력전원선에 연결되고,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접속함에서 연장된 출력전원선에 연결된다.
따라서, 태양광패널모듈에서 발전된 직류전기가 상기 접속함에서 병합되어 전압과 전류가 상승되어 상기 인버터로 공급되며, 인버터는 공급된 직류전기를 일정한 전압의 교류전기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재로 구성되며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후측면에 고정된 지지패널(20)과,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된 접속유닛(A)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유닛(A)은 단자 및 퓨즈와 배전선이 구비되며, 상기 인버터의 종류에 따라 차단기나 DC개폐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와 퓨즈는 배전선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접속함은 상기 단자와 퓨즈가 배전선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단자와 퓨즈의 개수가 많아서, 접속함을 제작하거나 접속함을 유지보수할 때 시간이 많이 걸일 뿐 아니라, 접속함의 제작 및 유지보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207747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작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후측면에 고정된 지지패널(20)과,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된 접속유닛(A)을 포함하여, 상기 접속유닛(A)은 다수개의 태양광패널모듈(1)에서 연장된 입력전원선(3,4)에 연결되고 인버터(2)에 연결되는 출력전원선(5,6)이 구비되어 다수개의 태양광패널모듈(1)과 인버터(2)의 사이에 연결되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A)은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된 PCB모듈(30)과, 상기 PCB모듈(30)의 전면 중앙부에 구비된 퓨즈(41)와,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PCB모듈(30)에서 연장된 제1 배전선(42a)에 연결된 개폐기(42)와, 제2 배전선(43a)을 통해 상기 개폐기(42)에 연결되며 상기 출력전원선(5,6)이 연결되는 출력터미널(43)을 포함하며, 상기 PCB모듈(30)은 전면 중앙부에 상기 퓨즈(41)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PCB패널(31)과, 상기 PCB패널(31)의 전면에 상기 퓨즈(4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통전부재(41a)에 의해 상기 퓨즈(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단자부재(32,33)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재(32,33)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전원선(3,4)과 제1 배전선(42a)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터미널(34,35)을 포함하고, 상기 PCB패널(31)에는 상기 제1 터미널(34)과 제1 단자부재(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회로(31a)와, 상기 제2 단자부재(33)와 제2 터미널(35)을 연결하는 제2 연결회로(3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폐기(42)의 전면에는 작업자가 회전시켜 개폐기(42)를 통과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인가하도록 하는 제어스위치(42b)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측 또는 상기 인버터(2)에 구비되어 태양광 발전기용 접속함의 내부 또는 인버터(2)에 화재가 발생된 것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수단(51)과, 상기 제2 배전선(43a)에 연결되어 제2 배전선(43a)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수단(52)과,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제어스위치(42b)를 회전시켜 개폐기(42)가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개폐기구동수단(60)과,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하는 절단기(70)와,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절단기(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절단기구동수단(80)과, 상기 화재감지수단(51)과 전류측정수단(5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개폐기구동수단(60)과 절단기구동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기구동수단(60)은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도어(11)를 닫히면 전단부가 상기 개폐기(42)의 제어스위치(42b)와 연결되는 회전블록(61)과, 상기 회전블록(61)에 연결되어 회전블록(61)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62)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기(70)는 상기 제2 배전선(43a)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 하측에 구비되며 전후면을 관통하는 절단공(71a)이 형성된 지지부재(71)와, 상기 제2 배전선(43a)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7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부재(73)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며 후측면에는 상기 절단공(71a)에 맞물려 상기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하는 절단날(72a)이 구비된 절단부재(72)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기구동수단(80)은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후측면에는 슬라이드공(81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블록(81)과, 상기 슬라이드공(81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가격핀(82)과, 상기 슬라이드공(81a)의 내부에 구비되어 폭발시 상기 가격핀(82)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폭약(83)과, 상기 폭약(83)에 연결되어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폭약(83)을 폭발시키는 점화수단(84)을 포함하고, 상기 가격핀(82)은 후단부가 상기 절단기(70)의 절단날(72a)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90)에 의해 상기 점화수단(84)에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점화수단(84)이 폭약(83)을 폭발시켜 가격핀(82)이 후방으로 밀려나도록 함으로써, 가격핀(82)에 의해 상기 절단날(72a)이 후방으로 밀려나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화재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케이스(10)의 내부 또는 상기 인버터(2)에 화재가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기구동수단(60)을 구동시켜 개폐기(42)가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전류측정수단(52)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 배전선(43a)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절단기구동수단(80)을 구동시켜 절단기(70)가 상기 제2 배전선(43a)을 절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은, 상기 접속유닛(A)이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된 PCB모듈(30)과, 상기 PCB모듈(30)의 전면 중앙부에 구비된 퓨즈(41)와,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PCB모듈(30)에서 연장된 제1 배전선(42a)에 연결된 개폐기(42)와, 제2 배전선(43a)을 통해 상기 개폐기(42)에 연결되며 상기 출력전원선(5,6)이 연결되는 출력터미널(43)로 구성되어, 개폐기(42)와 퓨즈(41)를 비롯한 각 부품을 연결하는 배전선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작이 용이하며, 개폐기(42)와 퓨즈(41)를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음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PCB모듈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2 실시예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구동수단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구동수단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와 절단기구동수단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를 확대도시한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와 절단기구동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와 절단기구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을 도시한 것으로, 금속재로 구성되며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후측면에 고정된 지지패널(20)과,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된 접속유닛(A)으로 구성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태양광패널모듈(1)과 인버터(2)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11)는 상기 개구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으로 당기면 케이스(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광패널모듈(1)에서는 직류전기가 출력되며, 입력전원선(3,4)을 통해 상기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은 출력전원선(5,6)을 통해 상기 인버터(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인버터(2)는 상기 출력전원선(5,6)을 통해 인가된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입력전원선(3,4)은 +입력전원선(3)과 -입력전원선(4)으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전원선(5,6)은 +출력전원선(5)과 -출력전원선(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속유닛(A)은 상기 접속유닛(A)은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된 PCB모듈(30)과, 상기 PCB모듈(30)의 전면 중앙부에 구비된 퓨즈(41)와,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PCB모듈(30)에서 연장된 제1 배전선(42a)에 연결된 개폐기(42)와, 제2 배전선(43a)을 통해 상기 개폐기(42)에 연결되며 상기 출력전원선(5,6)이 연결되는 출력터미널(43)로 구성된다.
상기 PCB모듈(30)은 전면 중앙부에 상기 퓨즈(41)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PCB패널(31)과, 상기 PCB패널(31)의 전면에 상기 퓨즈(4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통전부재(41a)에 의해 상기 퓨즈(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단자부재(32,33)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재(32,33)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전원선(3,4)과 제1 배전선(42a)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터미널(34,35)로 구성된다.
상기 PCB패널(31)은 지지부재(31c)에 의해 후측면이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고정된 것으로, 상기 제1 터미널(34)과 제1 단자부재(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회로(31a)와, 상기 제2 단자부재(33)와 제2 터미널(35)을 연결하는 제2 연결회로(31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회로(31a,31b)는 일반적으로 PCB패널(31)에 회로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재(32,33)는 전면에는 고정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퓨즈(41)에 고정된 통전부재(41a)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 단자부재(32)는 상기 퓨즈(41)의 좌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단자부재(33)는 상기 퓨즈(41)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PCB패널(31)의 전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회로(31a)와 제2 연결회로(31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34,35)은 일측에 구비된 고정레버를 이용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 간단하게 상기 입력전원선(3,4)과 제1 배전선(42a)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제1 터미널(34)은 상기 제1 단자부재(32)의 좌측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전원선(3,4)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배전선(42a)은 상기 제2 단자의 우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배전선(43a)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퓨즈(41)는 양측에 상기 통전부재(41a)가 결합된 것으로, 내부에는 규정이상의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으로 절단되어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PCB패널(31)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단자대(31d)가 구비되고, 상기 퓨즈(41)는 상기 단자대(31d)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통전부재(41a)는 저항이 낮은 금속재질의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퓨즈(41)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재(32,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퓨즈(41)는 일반적인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PCB모듈(30)은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측의 PCB모듈(30)은 +PCB모듈로 구성되고, 하측의 PCB모듈(30)은 -PCB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 PCB모듈(30)에는 제1 및 제2 단자부재(32,33)와, 제1 및 제2 터미널(34,35)이 각각 10개씩 구비되고, 각각의 PCB모듈(30)에는 10개의 퓨즈(41)가 결합되어, 10개의 태양광패널모듈(1)에서 연장된 10개의 +입력전원선(3)과 -입력전원선(4)을 +PCB모듈과 -PCB모듈(30)에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은 상기 PCB모듈(30)에 10개의 태양광패널모듈(1)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기(42)는 작업자가 회전시켜 개폐기(42)를 통과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인가하도록 하는 제어스위치(42b)가 전면에 구비된 것으로, 복수개가 상기 PCB모듈(30)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출력터미널(43)은 상기 지지패널(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배전선(43a)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출력전원선(5,6)은 상기 출력터미널(43)에 연결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44는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배전선(42a,43a)과 상기 출력전원선(56)의 중간부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하는 배선덕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은, 상기 접속유닛(A)이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된 PCB모듈(30)과, 상기 PCB모듈(30)의 전면 중앙부에 구비된 퓨즈(41)와,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PCB모듈(30)에서 연장된 제1 배전선(42a)에 연결된 개폐기(42)와, 제2 배전선(43a)을 통해 상기 개폐기(42)에 연결되며 상기 출력전원선(5,6)이 연결되는 출력터미널(43)로 구성되어, 개폐기(42)와 퓨즈(41)를 비롯한 각 부품을 연결하는 배전선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작이 용이하며, 개폐기(42)와 퓨즈(41)를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음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PCB모듈(30)에 10개의 태양광패널모듈(1)이 연결될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은 다양한 개수의 태양광패널모듈(1)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와 상기 인버터(2)에 구비되어 태양광 발전기용 접속함의 내부 또는 인버터(2)에 화재가 발생된 것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수단(51)과, 상기 제2 배전선(43a)에 연결되어 제2 배전선(43a)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수단(52)과,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제어스위치(42b)를 회전시켜 개폐기(42)가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개폐기구동수단(60)과,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하는 절단기(70)와,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절단기(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절단기구동수단(80)과, 상기 화재감지수단(51)과 전류측정수단(5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개폐기구동수단(60)과 절단기구동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폐기(42)는 상기 제어스위치(42b)를 측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전원을 인가하고, 제어스위치(42b)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90도 회전되면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화재감지수단(5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와 상기 인버터(2)에 구비되어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전류측정수단(5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배전선(43a)의 외측에 결합되어 제2 배전선(43a)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제2 배전선(43a)을 통과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폐기구동수단(60)은 도 7 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도어(11)를 닫히면 전단부가 상기 개폐기(42)의 제어스위치(42b)와 연결되는 회전블록(61)과, 상기 회전블록(61)에 연결되어 회전블록(61)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62)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블록(61)은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된 지지브라켓(6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후측면 양측 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61a)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기(42)의 제어스위치(42b)가 on되도록 회전된 상태, 즉, 제어스위치(42b)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도어(11)가 닫히면 상기 돌출부(61a)가 제어스위치(42b)의 양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블록(61)을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61a)가 제어스위치(42b)의 측면을 밀어 제어스위치(42b)가 개폐기(42)를 off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구동수단(62)은 상기 지지브라켓(63)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블록(61)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회전블록(61)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이용한다.
상기 절단기(70)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배전선(43a)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 하측에 구비되며 전후면을 관통하는 절단공(71a)이 형성된 지지부재(71)와, 상기 제2 배전선(43a)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7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부재(73)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며 후측면에는 상기 절단공(71a)에 맞물려 상기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하는 절단날(72a)이 구비된 절단부재(7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71)는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부(71b)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부에 상기 절단공(71a)이 형성된 패널형상으로 구성되어 양단이 상기 지지부(71b)의 전단부에 고정된 수평부(71c)로 구성되며 수평부(71c) 양측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가이드봉(71d)이 구비된다.
상기 절단부재(72)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봉(71d)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73)는 상기 가이드봉(71d)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절단부재(72)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제2 배전선(43a)은, 상기 절단부재(72)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71)와 절단부재(72)의 사이로 상기 제2 배전선(43a)이 통과하도록 상기 출력터미널(43)에 연결된다.
상기 절단기구동수단(80)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후측면에는 슬라이드공(81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블록(81)과, 상기 슬라이드공(81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가격핀(82)과, 상기 슬라이드공(81a)의 내부에 구비되어 폭발시 상기 가격핀(82)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폭약(83)과, 상기 폭약(83)에 연결되어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폭약(83)을 폭발시키는 점화수단(8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록(81)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된다.
상기 가격핀(82)은 도어(11)를 닫았을 때, 후단부가 상기 절단기(70)의 절단날(72a)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점화수단(84)에 의해 폭약(83)이 폭발되면, 상기 가격핀(82)이 후방으로 강하게 밀리면서 상기 절단부재(72)에 충돌하여 절단부재(72)를 후방으로 밀어내고, 이에 따라, 상기 절단날(72a)이 절단공(71a)에 맞물리면서, 지지부재(71)와 절단부재(72)의 사이를 통과하는 제2 배전선(43a)을 잘라내어, PCB모듈(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화재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케이스(10)의 내부나 인버터(2)에 화재가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기구동수단(60)을 작동시켜 개폐기(42)의 제어스위치(42b)를 회전시킴으로써, 개폐기(42)를 통과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전류측정수단(5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배전선(43a)을 통해 전원의 전류를 감시하여, 제2 배전선(43a)로 전기가 공급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기(42)에 이상이 발생되어 전원이 차단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기구동수단(80)을 작동시켜 상기 절단기(70)가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수단(90)이 상기 절단기구동수단(80)의 점화수단(84)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여, 폭약(83)이 폭발되도록 하면, 가격핀(82)이 후방으로 밀려나가서 상기 절단기(70)의 절단부재(72)의 전면을 가격함으로써, 절단부재(72)가 후방으로 밀려나가도록 하고, 이때, 절단부재(72)에 구비된 절단날(72a)이 지지부재(71)의 절단공(71a)과 맞물림으로써, 지지부재(71)와 절단부재(72)의 사이를 통과하는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한다.
이때, 상기 절단기(70)가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한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73)에 의해 절단부재(72)가 전방으로 밀려 이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은 상기 케이스(10) 또는 인버터(2)에 화재가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개폐기구동수단(60)을 작동시켜 전원을 1차 차단하고, 개폐기(42)에 이상이 발생되어 전원이 차단되지 못한 경우, 절단기구동수단(80)을 구동시켜 절단기(70)에 의해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함으로써, 전원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개폐기구동수단(60)과 절단기구동수단(80)은 상기 도어(11)에 구비됨으로, 상기 개폐기구동수단(60)과 절단기구동수단(80)을 설치할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접속함으로 유지보수할 때, 개폐기구동수단(60)과 절단기구동수단(80)에 의해 유지보수가 번거로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케이스 20. 지지패널
A. 접속유닛 30. PC모듈
41. 퓨즈 42. 개폐기
43. 출력터미널

Claims (2)

  1. 금속재로 구성되며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후측면에 고정된 지지패널(20)과,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된 접속유닛(A)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유닛(A)은 다수개의 태양광패널모듈(1)에서 연장된 입력전원선(3,4)에 연결되고 인버터(2)에 연결되는 출력전원선(5,6)이 구비되어 다수개의 태양광패널모듈(1)과 인버터(2)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접속유닛(A)은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된 PCB모듈(30)과, 상기 PCB모듈(30)의 전면 중앙부에 구비된 퓨즈(41)와,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PCB모듈(30)에서 연장된 제1 배전선(42a)에 연결된 개폐기(42)와, 제2 배전선(43a)을 통해 상기 개폐기(42)에 연결되며 상기 출력전원선(5,6)이 연결되는 출력터미널(43)을 포함하며, 상기 PCB모듈(30)은 전면 중앙부에 상기 퓨즈(41)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PCB패널(31)과, 상기 PCB패널(31)의 전면에 상기 퓨즈(4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통전부재(41a)에 의해 상기 퓨즈(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단자부재(32,33)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재(32,33)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전원선(3,4)과 제1 배전선(42a)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터미널(34,35)을 포함하고, 상기 PCB패널(31)에는 상기 제1 터미널(34)과 제1 단자부재(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회로(31a)와, 상기 제2 단자부재(33)와 제2 터미널(35)을 연결하는 제2 연결회로(31b)가 형성된,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42)의 전면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기(42)를 통과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인가하도록 하는 제어스위치(42b)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측 및 상기 인버터(2)에 구비되어 태양광 발전기용 접속함의 내부 및 인버터(2)에 화재가 발생된 것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수단(51)과,
    상기 제2 배전선(43a)에 연결되어 제2 배전선(43a)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수단(52)과,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제어스위치(42b)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기(42)가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개폐기구동수단(60)과,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하는 절단기(70)와,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절단기(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절단기구동수단(80)과,
    상기 화재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나 상기 인버터(2)에 화재가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기구동수단(60)을 작동시켜 상기 제어스위치(42b)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개폐기(42)를 통과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전류측정수단(5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배전선(43a)을 통해 전원의 전류를 감시하여, 상기 제2 배전선(43a)으로 전기가 공급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기(42)에 이상이 발생되어 전원이 차단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절단기구동수단(80)을 작동시켜 상기 절단기(70)가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하도록 하도록 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기구동수단(60)은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된 지지브라켓(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의 돌출부(61a)를 포함하고, 한 쌍의 돌출부(61a) 각각은 상기 도어(11)가 닫히면 상기 제어스위치(42b)의 양측에 위치하는, 회전블록(61)과,
    상기 돌출부(61a)가 상기 제어스위치(42b)의 측면을 밀어 상기 제어스위치(42b)를 상기 개폐기(42)를 오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블록(6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블록(61)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62)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기(70)는,
    상기 제2 배전선(43a)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 하측에 구비되며 전후면을 관통하는 절단공(71a)이 형성된 지지부재(71)와,
    상기 제2 배전선(43a)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7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부재(73)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며 후측면에는 상기 절단공(71a)에 맞물려 상기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하는 절단날(72a)이 구비된 절단부재(72)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기구동수단(80)은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후측면에는 슬라이드공(81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블록(81)과,
    상기 슬라이드공(81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가격핀(82)과,
    상기 슬라이드공(81a)의 내부에 구비되어 폭발시 상기 가격핀(82)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폭약(83)과,
    상기 폭약(83)에 연결되어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폭약(83)을 폭발시키는 점화수단(84)을 포함하고,
    상기 가격핀(82)은 후단부가 상기 절단기(70)의 절단날(72a)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90)에 의해 상기 점화수단(84)에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점화수단(84)이 폭약(83)을 폭발시켜 가격핀(82)이 후방으로 밀려나도록 함으로써, 가격핀(82)에 의해 상기 절단날(72a)이 후방으로 밀려나 제2 배전선(43a)을 절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2. 삭제
KR1020200187486A 2020-12-30 2020-12-30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KR10227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486A KR102271016B1 (ko) 2020-12-30 2020-12-30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486A KR102271016B1 (ko) 2020-12-30 2020-12-30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016B1 true KR102271016B1 (ko) 2021-06-29

Family

ID=7662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486A KR102271016B1 (ko) 2020-12-30 2020-12-30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0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56B1 (ko) * 2017-02-22 2018-05-03 (주)한성기술단 배전반
KR20180090021A (ko) * 2017-02-02 2018-08-10 인버터기술(주) 태양광 설비 접속반용 모듈
KR102077473B1 (ko) 2019-08-28 2020-02-14 원리솔루션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KR102092037B1 (ko) * 2018-12-14 2020-04-20 (주)현명이앤씨 안전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분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021A (ko) * 2017-02-02 2018-08-10 인버터기술(주) 태양광 설비 접속반용 모듈
KR101854556B1 (ko) * 2017-02-22 2018-05-03 (주)한성기술단 배전반
KR102092037B1 (ko) * 2018-12-14 2020-04-20 (주)현명이앤씨 안전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분전반
KR102077473B1 (ko) 2019-08-28 2020-02-14 원리솔루션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26447A1 (ja) 太陽光発電用集電箱
KR101854556B1 (ko) 배전반
CN102770223B (zh) 移动式钻床
KR101874884B1 (ko) 수납박스가 구비된 배전반
CA2450321A1 (en) Arc fault tester
JPH09327178A (ja)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KR102271016B1 (ko)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CN106771758A (zh) 电气开关柜控制回路中故障的定位装置及方法
KR102271017B1 (ko)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JP5082961B2 (ja) 配電盤の交流電圧回路試験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2120048B1 (ko) 다중 입력 개폐가 가능한 고장 차단 스위치를 적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CN105375229A (zh) 配线管道连接装置
CN206281921U (zh) 电气开关柜控制回路中故障的定位装置
KR102506153B1 (ko) 태양광발전시스템용 접속반 및 이의 제어방법
JPH07274594A (ja) 発電装置の出力電圧切替機構の安全装置
CA2122384A1 (en) Fault tolerant programmable controller
CN110401131B (zh) 一种小容量变电站用高压隔离柜
KR101874885B1 (ko) 고정부재가 구비된 배전반
CN218481546U (zh) 便于接线的高安全性元件测试装置
JP3031684B2 (ja) 分電盤
KR102590036B1 (ko) 화재진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CN111937255A (zh) 插座系统
EP4109745A2 (en) Failure or grounding detection equipment in electr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ith photovoltaic modules
CN113327807B (zh) 高压隔离开关
CN203882499U (zh) 一种电工培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