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639B1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639B1
KR101615639B1 KR1020140142417A KR20140142417A KR101615639B1 KR 101615639 B1 KR101615639 B1 KR 101615639B1 KR 1020140142417 A KR1020140142417 A KR 1020140142417A KR 20140142417 A KR20140142417 A KR 20140142417A KR 101615639 B1 KR101615639 B1 KR 101615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ylinder
piston
lower door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태
Original Assignee
김범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태 filed Critical 김범태
Priority to KR102014014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시, 점검 또는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부품이나 장비 또는 도구를 올려놓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은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된 도어(21,22)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 상부도어(21)와, 상기 케이스(10)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 하부도어(22)로 구성됨으로, 상기 배전반을 유지보수하기 위해 상기 도어(21,22)를 열 때, 상기 하부도어(22)의 상면에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보수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나 도구 또는 부품을 올려놓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보수하는 것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전반{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시, 점검 또는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부품이나 장비 또는 도구를 올려놓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전원을 분기하여 각 수용가 또는 각 수용가의 방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배전반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도어(3)가 구비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회로(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2)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수직벽면(1)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도어(3)는 좌우측 2개로 구성되어, 관리자가 상기 도어(3)를 좌우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케이스(2)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회로(4)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스바 및 개폐기로 구성되어, 과도한 전원이 인가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배전반은 장기간 사용할 시, 부스바에 열화나 저항변화 또는 열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기 역시 장시간 사용시 고장을 일으킬 수 있음으로, 정기적으로 검사 및 유지보수를 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나 테스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장비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상기 배전반이 수직벽면(1)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관계로, 이러한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보수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나 도구 또는 부품을 올려놓을 곳이 마땅치 않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383834호 등록특허 10-113493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시, 점검 또는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부품이나 장비 또는 도구를 올려놓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수직벽면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 상측에 형성되고 상부회전축(23)을 통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개방되는 상부도어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 하측에 형성되고 하부회전축을 통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개방되는 하부도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회로 및, 한쪽 선단이 상기 상부도어의 일측에 상부힌지핀을 통해 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상기 하부도어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링크바와 하부힌지핀을 통해 연결되는 실린더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실린더기구에 의해 상기 링크바가 상부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도어가 연동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개방되며, 상기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실린더기구에 의해 상기 링크바가 뒤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도어가 연동하여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핀과 하부힌지핀이 상기 상부회전축과 하부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선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핀과 하부힌지핀이 상기 연결선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도어의 전면 하측에는 하부도어가 하측으로 회동될 때 상기 수직벽면의 전면에 걸려 하부도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다르면, 상기 하부도어 내측면에 구비되며 분기회로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품을 담을 수 있도록 된 보관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기구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과, 일단은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이 실린더의 외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의 중간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피스톤이 실린더의 외측으로 밀려 나갈 때 상기 관통공의 내측단에 걸려 상기 실린더가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또는 피스톤로드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피스톤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되어,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도어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 상부도어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 하부도어로 구성됨으로, 상기 배전반을 유지보수하기 위해 상기 도어를 열 때, 상기 하부도어의 상면에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보수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나 도구 또는 부품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보수하는 것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실린더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3 실시예의 실린더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3 실시예의 실린더기구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것으로, 전면에 도어(21,22)가 구비되며 수직벽면(1)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회로(30)로 구성된 것은 종래의 배전반과 동일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21,22)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되며, 전면이 상기 수직벽면(1)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수직벽면(1)에 매입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21,22)는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상측에 형성된 상부도어(21)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하측에 형성된 하부도어(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도어(21)는 상부회전축(2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도어(22)는 하부회전축(2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도어(21)와 하부도어(22)는 상기 케이스(10)의 개구부(11)를 2:1로 나눈 크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어(21)는 상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상부회전축(23)에 의해 상기 개구부(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개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하단 전면에는 손잡이(21a)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도어(22)는 하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하부회전축(24)에 의해 상기 개구부(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개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 후측면에는 후방으로 연결된 링크바(22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는 상기 하부도어(22)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닫을 때, 상기 하부도어(22)의 후측면에 걸려 하부도어(22)가 수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지지돌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도어(22)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도어(21)의 하단 후측면을 지지하는 돌출부(22c)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도어(22)를 먼저 닫고 상기 상부도어(21)를 닫으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개구부(11)를 밀폐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도어(21)와 하부도어(22)에 의해 상기 개구부(11)가 밀폐된 상태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도어(21)를 상측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하부도어(22)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개구부(11)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도어(22)의 전면 하측에는 하부도어(22)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개구부(11)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수직벽면(1)의 전면에 걸려 하부도어(2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어(21)와 상기 링크바(22a)에는 탄성적으로 길이가 신장되도록 구성된 실린더기구(40)의 양단이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도어(21)와 상기 링크바(22a)의 측면에는 상기 실린더기구(40)의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상부힌지핀(25)과 하부힌지핀(26)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힌지핀(25,2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 하부회전축(23,24)을 연결하는 연결선(L)의 후방에 위치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선(L)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힌지핀(25)과 하부힌지핀(26) 및 하부회전축(24)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도어(21,22)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수평을 이루게 될 때,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회전축(23)으로부터 상기 상부힌지핀(25)까지의 거리는 상기 하부회전축(24)으로부터 상기 하부힌지핀(26)까지의 거리에 비해 길게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기구(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관통공(41a)이 형성된 실린더(41)와,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42)과, 일단은 상기 피스톤(42)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관통공(41a)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43)와, 상기 피스톤(42)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42)이 실린더(41)의 외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4)와,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43)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44)에 의해 피스톤(42)이 실린더(41)의 외측으로 밀려 나갈 때 상기 관통공(41a)의 내측단에 걸려 상기 실린더(41)가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45)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로드(43)를 가압하면 상기 탄성부재(44)가 압축되면서 실린더기구(40)의 길이가 축소되며, 상기 피스톤로드(4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44)의 탄성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43)가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45)가 상기 관통공(41a)의 내측면에 걸릴 때까지 실린더기구(40)의 길이가 신장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41)와 피스톤로드(43)의 단부에는 상기 상, 하부힌지핀(25,26)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공(41b,43a)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기구(40)는 상기 스토퍼(45)가 관통공(41a)의 내측단에 걸리도록 완전히 신장되었을 때, 즉, 상기 실린더기구(40)가 완전히 신장되었을 때, 상기 결합공(41b,43a)의 간격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전방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되었을 때 상기 상, 하부힌지핀(25,26)의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도어(21)가 전방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되었을 때, 상기 상부도어(21)에 의해 실린더기구(40)에 가해지는 하중에 압축되지 않을 정도의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도어(21,22)를 닫으면, 상기 상, 하부힌지핀(25,26)이 상기 상, 하부회전축(23,24)을 연결하는 연결선(L)의 후방에 위치됨으로, 상기 실린더기구(40)가 신장되려는 힘에 의해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상부도어(21)의 손잡이(21a)를 전방으로 당겨 상기 상부도어(21)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실린더기구(40)는 이에 추종하여 신장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도어(22)는 상기 실린더기구(40)에 의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상부도어(21)만 전방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상부도어(21)를 더욱 상측으로 당겨서 상기 실린더기구(40)가 최대의 길이로 신장되면, 상기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상기 하부도어(22)의 연장부가 당겨지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도어(22)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열리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되면, 상기 지지부재(22b)가 상기 수직벽면(1)에 밀착되어 하부도어(22)가 더 이상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상기 상부도어(21)가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즉,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수평을 이루게 될 때, 상기 상부힌지핀(25)과 하부힌지핀(26) 및 하부회전축(24)이 일직선을 이루게 됨으로, 상기 상부도어(21)의 하중이 상기 실린더기구(40)를 통해 상기 하부회전축(24)에 전달되어, 상기 상부도어(21)가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도어(21,22)를 닫을 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하부도어(22)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닫고, 상기 상부도어(21)를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열리지 않도록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에서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된 도어(21,22)는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 상부도어(21)와, 상기 케이스(10)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 하부도어(22)로 구성됨으로, 상기 배전반을 유지보수하기 위해 상기 도어(21,22)를 열 때, 상기 하부도어(22)의 상면에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보수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나 도구 또는 부품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보수하는 것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22)의 하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링크바(22a)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도어(21)와 링크바(22a)에는 탄성적으로 길이가 신장되도록 구성된 실린더기구(40)가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도어(21)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상기 하부도어(22)가 상부도어(21)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열림으로, 상, 하부도어(21,22)를 별도로 각각 열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도어(21)와 하부도어(22)는 상하단에 구비된 상, 하부회전축(23,24)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기구(40)의 양단은 상기 상부도어(21)와 상기 링크바(22a)의 측면에 구비된 상부힌지핀(25)과 하부힌지핀(2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 하부힌지핀(25,26)은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 하부회전축(23,24)을 연결하는 연결선(L)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선(L)의 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 하부도어(21,22)를 닫았을 때, 상기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됨으로, 별도의 잠금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 하부도어(21,2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22)의 전면 하측에는 하부도어(22)가 하측으로 회동될 때 상기 수직벽면(1)의 전면에 걸려 하부도어(2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b)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도어(22)에 각종 도구나 부품 등을 올려놓았을 때, 도구나 부품의 무게에 의해 하부도어(22)가 하측으로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하부도어(22)의 내측면에는 분기회로(30)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품을 담을 수 있도록 된 보관함(50)이 구비된다.
상기 보관함(50)은 합성수지재의 통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덮개(51)가 힌지결합되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도어(22)를 연 상태에서, 상기 덮개(51)를 열어서, 보관함(50)에 보관된 부품을 꺼내거나, 보관함(50)에 부품을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관함(50)은 상기 하부도어(22)의 내측면에 보관함(50)이 구비되어, 분기회로(30)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품을 미리 담아놓을 수 있음으로, 배전반의 유지보수를 할 때마다 별도로 부품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토퍼(45)는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43)의 중간부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45)는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 실린더(4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45)의 일측에는 돌출부(45a)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는 상기 돌출부(45a)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홈(41c)이 실린더(4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실린더(41) 또는 피스톤로드(43)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스토퍼(45)가 상기 피스톤로드(43)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되어, 상기 피스톤로드(43)가 상기 실린더(41)의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길이, 즉, 상기 실린더기구(40)가 최대로 신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은 작업자가 상기 실린더(41) 또는 피스톤로드(43)를 회전시키면, 상기 피스톤로드(43)가 상기 실린더(41)의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길이, 즉, 상기 실린더기구(40)가 최대로 신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상기 상, 하부도어(21,22)를 열었을 때, 상기 상부도어(21)가 상측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실린더기구(40)는 상기 스토퍼(45)가 관통공(41a)의 내측단에 걸리도록 완전히 신장되었을 때 상기 결합공(41b,43a)의 간격이, 상기 상, 하부도어(21,22)가 전방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되었을 때 상기 상, 하부힌지핀(25,26)의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 하부도어(21,22)를 열면, 상기 상부도어(21)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실린더기구(40)가 최대로 신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기구(40)가 최대로 신장되는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 하부도어(21,22)를 열었을 때, 상기 상부도어(21)가 수평방향에서 상측으로 더 많이 회동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실린더(41) 또는 피스톤로드(43)를 회전시켜 상기 실린더기구(40)가 최대로 신장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도어(21)가 점선 또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이 작업하기 편리한 각도로 열리도록 조절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10. 케이스 21,22. 상, 하부도어
30. 분기회로 40. 실린더기구
50. 보관함

Claims (6)

  1. 수직벽면(1)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상측에 형성되고 상부회전축(23)을 통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개방되는 상부도어(21)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하측에 형성되고 하부회전축(24)을 통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개방되는 하부도어(22)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회로(30) 및,
    한쪽 선단이 상기 상부도어(21)의 일측에 상부힌지핀(25)을 통해 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상기 하부도어(22)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링크바(22a)와 하부힌지핀(26)을 통해 연결되는 실린더기구(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도어(21)와 하부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21)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상기 링크바(22a)가 상부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도어(22)가 연동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개방되며,
    상기 상부도어(21)와 하부도어(22)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21)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실린더기구(40)에 의해 상기 링크바(22a)가 뒤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도어(22)가 연동하여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21)와 하부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핀(25)과 하부힌지핀(26)이 상기 상부회전축(23)과 하부회전축(24)을 연결하는 연결선(L)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도어(21)와 하부도어(22)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핀(25)과 하부힌지핀(26)이 상기 연결선(L)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도어(22)의 전면 하측에는 하부도어(22)가 하측으로 회동될 때 상기 수직벽면(1)의 전면에 걸려 하부도어(2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도어(22) 내측면에 구비되며 분기회로(30)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품을 담을 수 있도록 된 보관함(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기구(4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관통공(41a)이 형성된 실린더(41)와,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42)과,
    일단은 상기 피스톤(42)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관통공(41a)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43)와,
    상기 피스톤(42)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42)이 실린더(41)의 외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4)와,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43)의 중간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44)에 의해 피스톤(42)이 실린더(41)의 외측으로 밀려 나갈 때 상기 관통공(41a)의 내측단에 걸려 상기 실린더(41)가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45)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45)는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 실린더(4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41) 또는 피스톤로드(43)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스토퍼(45)가 상기 피스톤로드(43)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되어,
    상기 피스톤로드(43)가 상기 실린더(41)의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KR1020140142417A 2014-10-21 2014-10-21 배전반 KR10161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17A KR101615639B1 (ko) 2014-10-21 2014-10-21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17A KR101615639B1 (ko) 2014-10-21 2014-10-21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639B1 true KR101615639B1 (ko) 2016-04-26

Family

ID=5591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417A KR101615639B1 (ko) 2014-10-21 2014-10-21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6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235B1 (ko) * 2020-04-28 2020-09-16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 개폐도어
KR20210020270A (ko) * 2019-08-14 2021-02-24 대한이씨엠주식회사 전기 소방 통신 장비의 전원공급용 분배전함
KR102299285B1 (ko) * 2020-09-04 2021-09-08 (주)씨케이에스감리단 배전반
KR102405898B1 (ko) *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128Y1 (ko) 2001-12-27 2002-03-18 삼성하이텍핸들(주) 배전반용 도어의 핸들 구조
KR200348963Y1 (ko) 2004-01-20 2004-04-3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의 도어구조
KR100933896B1 (ko) 2009-07-16 2009-12-28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 하이 디럭스 분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128Y1 (ko) 2001-12-27 2002-03-18 삼성하이텍핸들(주) 배전반용 도어의 핸들 구조
KR200348963Y1 (ko) 2004-01-20 2004-04-3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의 도어구조
KR100933896B1 (ko) 2009-07-16 2009-12-28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 하이 디럭스 분전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270A (ko) * 2019-08-14 2021-02-24 대한이씨엠주식회사 전기 소방 통신 장비의 전원공급용 분배전함
KR102290126B1 (ko) 2019-08-14 2021-08-19 대한이씨엠주식회사 전기 소방 통신 장비의 전원공급용 분배전함
KR102156235B1 (ko) * 2020-04-28 2020-09-16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 개폐도어
KR102299285B1 (ko) * 2020-09-04 2021-09-08 (주)씨케이에스감리단 배전반
KR102405898B1 (ko) *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639B1 (ko) 배전반
KR101854556B1 (ko) 배전반
CN107017559A (zh) 一种便于维修的配电柜
CN206820272U (zh) 一种便于维修的配电柜
CN206323054U (zh) 中置柜活门机构
KR20210000873A (ko)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CN107579451B (zh) 一种便于清理内部灰尘的配电箱
CN204090341U (zh) 一种冷压焊复合触头自动机的控制柜
CN116131121A (zh) 一种配电开关控制设备
CN212695552U (zh) 一种建筑电气配电系统用配电柜
CN211151186U (zh) 一种便于内部器件维修的电力控制柜
JP2008208637A (ja) 建具及びその建具の配線方法
CN208548919U (zh) 一种易拆卸的壁挂式路由器
CN203707596U (zh) 一种配网自动化柜
CN203722931U (zh) 一种fpc张紧装夹的装置
CN214204439U (zh) 一种配电箱快速检修设备
CN201556858U (zh) 一种电气开关柜柜门的开启固定装置
CN211046491U (zh) 一种无功补偿装置
CN219901976U (zh) 煤机摇臂线接拆装置
CN106535523A (zh) 一种机箱用前开门铰链
DE602007000592D1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Metallschränke
CN209471871U (zh) 一种便于安装的水电安装用开关盒
CN204349248U (zh) 一种用于开关柜门上的置物盒
CN210824959U (zh) 一种可旋转的壁挂式电梯操纵盘
CN204958014U (zh) 接地线绕放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