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73A -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73A
KR20210000873A KR1020190076117A KR20190076117A KR20210000873A KR 20210000873 A KR20210000873 A KR 20210000873A KR 1020190076117 A KR1020190076117 A KR 1020190076117A KR 20190076117 A KR20190076117 A KR 20190076117A KR 20210000873 A KR20210000873 A KR 20210000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opening
belt line
closing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897B1 (ko
Inventor
정순태
Original Assignee
정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태 filed Critical 정순태
Priority to KR1020190076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에 설치되는 벨트라인을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벨트라인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벨트라인을 완전히 탈착할 수 있어 벨트라인 내부의 배선 작업 및 통신부품 등의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벨트라인의 탈착시 안정적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개방을 위해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쉽게 개방할 수 있는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성에 의한 결합을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안정적으로 쉽게 탈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벨트라인의 탈착시 자성 및 한 쌍의 체결부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체결부를 해제함으로써, 탈착구조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쉽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Opening and shutting device of office partition beltline}
본 발명은 파티션에 설치되는 벨트라인을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벨트라인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벨트라인을 완전히 탈착할 수 있어 벨트라인 내부의 배선 작업 및 통신부품 등의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벨트라인의 탈착시 안정적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개방을 위해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쉽게 개방할 수 있는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구획하여 사무실 분위기를 정돈하고 구성원의 업무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파티션(사무용 칸막이)이 사용되는데, 상기 파티션은 다수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연결되고 여기에 직물로 감싼 패널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파티션 중간 부위에는 컴퓨터 등 사무용 전자기기의 전선이나 통신선을 배선하거나 또는 멀티탭 콘센트 등의 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벨트라인이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벨트라인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파티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근접 설치된 책상의 상면에 이르는 위치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전선이나 통신선을 배선하거나 각종 전기전자통신부품들을 수납 후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커버는 양단에 설치된 힌지나 나사 등에 의해 파티션 프레임과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커버를 아래에서 위를 향해 들어올려 열거나 다시 아래로 내려서 닫게 되어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커버가 열림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됨에 따라 상기 벨트라인 공간부에 사무기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한손으로 커버를 잡고 다른 손으로 전선들을 잡아 인입, 인출해야 함에 따라 배선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커버가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전선의 배선작업이 편리하도록 하는 기술이 고안되었는데, 이러한 고안은 상기 커버가 상방을 향해 소정 각도 열림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한손으로 커버를 잡을 필요 없이 전선의 배선이나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편리하였으나, 상기 커버를 파티션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못하고 커버 상단이 파티션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 하단 측만을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어 개폐방식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커버가 벨트라인 공간부 상측을 가리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위에서 내려다보기가 어려워 몸을 숙여서 봐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9233호에는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수납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수납프레임의 양단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부재가 탈착 또는 열림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브래킷 상단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를 소정 각도 이내로 개방한 상태에서 위로 올려 완전히 분리하거나 소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이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단에 걸려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449233호의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구조는 커버부재 즉, 벨트라인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때, 끼움결합되는 결합구조에 의해 일정이상의 힘을 가해야 하므로, 상기 일정이상의 힘보다 약한 힘을 가하면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일정이상의 힘보다 너무 많은 힘을 가하면 끼움결합되는 결합구조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유지보수 수요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92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파티션 벨트라인의 개폐구조 또는 개폐장치는 벨트라인을 개폐시킬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결합구조가 파손되는 문제점가 발생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벨트라인을 탈착하되, 특히 벨트라인의 탈착시 안정적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개방을 위해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쉽게 개방할 수 있는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파티션에 형성된 벨트라인을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파티션의 수직프레임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면 상부에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와 벨트라인의 후방에 전방이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의 하부와 하부가 힌지결합되고, 후면 상부에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전면 하부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는 레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는 후면 하부에 하부가 힌지결합되고, 상부에 양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에 인입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2결합부는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끼움홈이 형성되고, 말단이 내측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결합부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결합돌기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하부에 구비되는 제1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하부에 상기 제1자석과 인력이 작용되는 제2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결합부는 양측에 하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부에 제1결합부 상부의 중앙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부의 상부에 위치한 벨트라인의 전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결합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후방 말단이 상기 제1결합부의 측부에 힌지결합되는 체결몸체 및 상기 체결몸체 후방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를 관통한 후 상기 결합돌기의 하부에 말단이 위치되는 이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는 자성에 의한 결합을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안정적으로 쉽게 탈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벨트라인의 탈착시 자성 및 한 쌍의 체결부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체결부를 해제함으로써, 탈착구조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벨트라인이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벨트라인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티션과 벨트라인 및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의 개폐부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a)와 측면도(b).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의 개폐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의 개폐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의 개폐부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가 벨트라인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2결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2결합부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제1,2결합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
본 발명은 파티션에 설치되는 벨트라인(10)을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파티션에 설치되는 벨트라인(10)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성을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벨트라인(10)을 탈착할 수 있어 벨트라인(10) 내부의 배선 작업 및 통신부품 등의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벨트라인(10)의 탈착시 자성체인 제1,2자석(232)(132) 및 체결부(140)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한 쌍의 체결부(140)를 쉽게 해제함으로써, 탈착구조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파티션에 형성된 벨트라인(10)을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파티션의 수직프레임(20)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면 상부에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110)를 구비하는 고정부(100);와 벨트라인(10)의 후방에 전방이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100)의 하부와 하부가 힌지결합되고, 후면 상부에 상기 제1결합부(110)와 대응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제2결합부(210)를 구비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00)는 전면 하부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22)이 형성되는 레일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200)는 후면 하부에 하부가 힌지결합되고, 상부에 양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내홈(122)에 인입되는 돌출부(222)가 구비되는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2결합부(210)는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끼움홈(212a)이 형성되고, 말단이 내측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끼움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12a)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결합부(210)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는 상기 결합돌기(230)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230)는 하부에 구비되는 제1자석(2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130)은 하부에 상기 제1자석(232)과 인력이 작용되는 제2자석(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결합부(110)는 양측에 하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140)는 상부에 제1결합부(110) 상부의 중앙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30)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부(210)의 상부에 위치한 벨트라인(10)의 전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141);와 상기 가압부(14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결합부(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후방 말단이 상기 제1결합부(110)의 측부에 힌지결합되는 체결몸체(142); 및 상기 체결몸체(142) 후방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를 관통한 후 상기 결합돌기(230)의 하부에 말단이 위치되는 이탈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고정부(100)는
파티션의 뼈대를 이루는 수직프레임(20)의 전방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면 상부에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11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후방 즉, 후면에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티션의 수직프레임(20)의 전방에 형성되는 결합홀(미표시)에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됨으로써 결합되며, 벨트라인(10)의 안정적인 개방 및 폐쇄를 위해 한 쌍의 수직프레임(20)의 전방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을 이룬다.
아울러, 상기 제1결합부(110)는 고정부(100)의 전면 상부에 돌출형성됨으로써, 이후에 설명될 개폐부(200)에 형성된 제2결합부(210)와 결합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200)의 전방에 결합된 벨트라인(10)이 상기 개폐부(200)와 함께 탈착되어 개방 및 폐쇄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고정부(100)는 전면 하부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22)이 형성되는 레일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120)는 이후에 설명될 개폐부(200)의 연결부(22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레일부(120)를 따라 상기 연결부(220)의 상부가 이동되어 안정적으로 개폐부(200)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안내홈(122)은 상기 연결부(220)의 상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20)의 상부 즉, 돌출부(222)는 상기 장공 형태의 안내홈(122)과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정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전선 및 통신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배선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선부는 벨트라인(10) 내부의 전선들을 쉽고 안정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개폐부(200)는
벨트라인(10)의 후방에 전방이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100)의 하부와 하부가 힌지결합되고, 후면 상부에 상기 제1결합부(110)와 대응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제2결합부(21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100)의 하부와 하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개폐되고, 파티션에 설치되는 벨트라인(10)의 후방에 전방이 결합됨으로써 개폐부(200)와 함께 상기 벨트라인(10)이 개폐되며, 앞서 설명한 고정부(100)와 마찬가지로 벨트라인(10)의 후방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을 이룬다.
아울러, 상기 제2결합부(210)는 개폐부(20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어 앞서 설명된 고정부(100)의 제1결합부(110)와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상기 개폐부(200)가 상기 고정부(100)와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상기 개폐부(200)의 전방에 결합된 벨트라인(10)이 개폐부(200)와 함께 탈착되어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개폐부(200)는 후면 하부에 하부가 힌지결합되고, 상부에 양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내홈(122)에 인입되는 돌출부(222)가 구비되는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220)는 상부에 구비되는 돌출부(222)가 고정부(100)에 구비된 레일부(120)를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개폐부(200)의 후면 하부와 하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개폐부(200)가 개방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일실시예로써, 상기 제2결합부(210)는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끼움홈(212a)이 형성되고, 말단이 내측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끼움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12a)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고정부(100)와 개폐부(200)의 결합은 사용자가 벨트라인(10)을 파티션의 내측방향으로 밀면 상기 개폐부(200)의 끼움돌기(112)가 상기 고정부(100)의 끼움부(212)의 말단이 벌어지며 끼움홈(212a)에 내입되고, 다시 상기 끼움부(212)의 말단이 오므라들어 결합되며, 이로써, 벨트라인(10)이 안정적으로 폐쇄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부(100)와 개폐부(200)의 분리는 사용자가 벨트라인(10)을 파티션의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개폐부(200)의 끼움돌기(112)가 상기 끼움부(212)의 말단이 벌어지며 끼움홈(212a)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로써, 벨트라인(10)이 안정적으로 폐쇄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제2결합부(210)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는 상기 결합돌기(230)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개폐부(200)는 상기 제2결합부(210)의 결합돌기(230)가 상기 고정부(100)의 제1결합부(110)의 결합홈(130)에 내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100)의 제1결합부(110)의 결합홈(130)으로부터 상기 제2결합부(210)가 이탈되면서 분리됨으로써, 벨트라인(10)이 개방 및 폐쇄된다.
이때, 본 발명의 개폐부(200)와 고정부(100)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위해 상기 개폐부(200)의 결합돌기(230)는 하부에 구비되는 제1자석(2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00)의 결합홈(130)은 하부에 상기 결합돌기(2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자석(232)과 인력이 작용되는 제2자석(132)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자석(232)과 제2자석(132)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벨트라인(10)을 개방할 때에는 상기 벨트라인(10)을 파티션의 외측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자석(232)과 제2자석(132)이 분리되며 상기 벨트라인(10)이 개방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고정부(100)와 개폐부(200)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위해 상기 제1결합부(110)는 양측에 하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200)의 결합돌기(230)가 상기 고정부(100)의 결합홈(230)에 내입되어 제1,2자석(232)(132)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체결부(140)가 상기 제2결합부(210)의 상부 즉, 개폐부(200)의 전면을 가압 및 고정함으로써, 고정부(100)와 개폐부(200)는 더욱더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개폐부(200)는 상기 제2결합부(210)가 제1결합부(11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체결부(140)가 전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결합부(210)의 양측에 상기 체결부(140)의 상부가 인입될 수 있는 제1관통홀(20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개폐부(200)는 제2결합부(210)의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제1관통홀(20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201)은 상기 제2결합부(210)의 결합돌기(230)가 상기 고정부(100)의 결합홈(130)에 내입될 때, 상기 개폐부(200)의 전면을 내측방향 즉, 후방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외측방향 즉,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140)가 상기 제2결합부(210)의 상부 즉, 개폐부(200)의 전면을 가압 및 고정하기 위한 상기 체결부(140)는 상부에 제1결합부(110) 상부의 중앙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30)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부(210)의 상부 즉, 개폐부(200)의 전면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가압부(141)와, 상기 가압부(14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결합부(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후방 말단이 상기 제1결합부(110)의 측부에 힌지결합되는 체결몸체(142) 및 상기 체결몸체(142) 후방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를 관통한 후 상기 결합돌기(230)의 하부에 말단이 위치되는 이탈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체결부(140)는 개폐부(200)의 제2결합부(210)의 결합돌기(230)가 상기 제1결합부(110)의 결함홈(130)에 내입되면, 상기 결합돌기(230)의 하부가 상기 이탈부(143)를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몸체(142)는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가압부(141)가 제1결합부(110)의 중앙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2결합부(210)의 상부 즉, 개폐부(200)의 전면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200)가 결함홈(1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이탈부(143)는 제1결합부(110)의 측면을 관통한 후 상기 결합돌기(230)의 하부에 말단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230)의 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체결몸체(142)가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되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부(110)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111)에 상기 이탈부(143)가 내입되는 한편, 상기 이탈부(143)의 말단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돌기(230)의 하부 즉, 후방 말단에 위치된다.
덧붙여, 상기 제1결합부(110)의 결합홈(230)은 상기 체결부(140)의 이탈부(143)의 가압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내부에 가압판(23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압판(231)은 상기 결합돌기(230)의 말단이 면접되어 한 쌍의 체결부(140)의 이탈부(143)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압함으로써, 한 쌍의 체결부(140)가 동시에 회동되도록 하여 가압부(141)가 개폐부(200)의 전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 및 고정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다른 실시예의 제1,2결합부(110)(210)를 이용하여 벨트라인(10)을 개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체결부(140)의 가압부(141)를 외측방향으로 강제 회동시키면 상기 이탈부(143)가 상기 가압판(231)을 전방 즉, 결합돌기(23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2자석(232)(132)를 분리시켜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210)를 분리시킴으로써, 개폐부(200)의 하부 힌지결합으로 인해 회동되어 상단이 고정부(100)로부터 분리되어 벨트라인(10)이 개방된다.
반대로, 상기 다른 실시예의 제1,2결합부(110)(210)를 이용하여 벨트라인(10)을 폐쇄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벨트라인(10)을 파티션의 내측방향 즉, 후방으로 가압하면, 개폐부(200)는 하부의 힌지결합으로 인해 회동되어 상단이 고정부(100)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결합부(210)의 결합돌기(230)가 제1결합부(110)의 결합홈(130)에 내입되면 제1,2자석(232)(132)의 인력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230) 즉, 개폐부(200)의 상단이 후방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고, 이때, 이동되는 결합돌기(230)의 말단에 의해 가압판(231)이 결합홈(230)의 하부 즉, 후방으로 가압되면 상기 가압판(231)에 의해 체결부(140)의 이탈부(143)가 눌리게 됨과 동시에 체결몸체(142)가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되어 가압부(141)가 제1결합부(110) 상부의 중앙(결합홈(230)의 중심방향도 같은 방향이다.)으로 이동되어 제2결합부(210)의 상부 즉, 개폐부(200)의 전면(이하에서 설명되는 벨트라인(10)의 전면에 해당된다.)을 가압 및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개폐부(200)가 고정부(100)에 결합되어 벨트라인(10)이 폐쇄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200)는 벨트라인(10)의 후방에 결합되기 때문에,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40)의 가압부(141)가 벨트라인(10)의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부(140)의 가압부(141)는 실제로 제2결합부(210)의 상부 즉, 개폐부(200)의 전면이 아닌 벨트라인(10)의 전면 상부를 가압 및 고정시킴으로써, 벨트라인(10)이 폐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벨트라인(10)은 상기 개폐부(200)의 제1관통홀(201)과 연통되는 제3관통홀(1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관통홀(12)을 통해 체결부(140)의 가압부(141)가 벨트라인(10)의 전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벤트라인(10)의 전면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덧붙여, 상기 제2자석(132)은 결합홈(230)의 내측 하부면 즉, 내측면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140)의 이탈부(143)가 회전되는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1,2자석(232)(132) 및 체결부(140)를 이용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벨트라인(10)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폐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40)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벨트라인(10)을 쉽고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고정부 110 : 제1결합부
112 : 끼움돌기 120 : 레일부
122 : 안내홈 130 : 결합홈
132 : 제2자석 140 : 체결부
141: 가압부 142 : 체결몸체
143 : 이탈부 200 : 개폐부
210 : 제2결합부 212 : 끼움부
212a : 끼움홈 220 : 연결부
222 : 돌출부 230 : 결합돌기
232: 제1자석

Claims (3)

  1. 파티션에 형성된 벨트라인(10)을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파티션의 수직프레임(20)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면 상부에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110)를 구비하는 고정부(100);와
    벨트라인(10)의 후방에 전방이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100)의 하부와 하부가 힌지결합되고, 후면 상부에 상기 제1결합부(110)와 대응되어 결합 및 분리되는 제2결합부(210)를 구비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00)는
    전면 하부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22)이 형성되는 레일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200)는
    후면 하부에 하부가 힌지결합되고, 상부에 양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내홈(122)에 인입되는 돌출부(222)가 구비되는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210)는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끼움홈(212a)이 형성되고, 말단이 내측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끼움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12a)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210)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는
    상기 결합돌기(230)가 내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KR1020190076117A 2019-06-26 2019-06-26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KR102271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117A KR102271897B1 (ko) 2019-06-26 2019-06-26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117A KR102271897B1 (ko) 2019-06-26 2019-06-26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73A true KR20210000873A (ko) 2021-01-06
KR102271897B1 KR102271897B1 (ko) 2021-07-01

Family

ID=7412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117A KR102271897B1 (ko) 2019-06-26 2019-06-26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138A (ko) 2021-03-23 2022-09-30 김홍엽 벨트라인 상에 개폐식 선반 기능을 구비한 파티션
KR102466402B1 (ko) 2021-10-06 2022-11-10 김홍엽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KR102482909B1 (ko) 2021-12-17 2022-12-28 김홍엽 중간부위에 조립식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33Y1 (ko) 2008-02-27 2010-06-24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구조
KR20100089593A (ko) * 2009-02-04 2010-08-12 (주)선명테크 파티션 벨트라인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33Y1 (ko) 2008-02-27 2010-06-24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구조
KR20100089593A (ko) * 2009-02-04 2010-08-12 (주)선명테크 파티션 벨트라인 힌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138A (ko) 2021-03-23 2022-09-30 김홍엽 벨트라인 상에 개폐식 선반 기능을 구비한 파티션
KR102466402B1 (ko) 2021-10-06 2022-11-10 김홍엽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KR102482909B1 (ko) 2021-12-17 2022-12-28 김홍엽 중간부위에 조립식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897B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0873A (ko)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US5479747A (en) Conduit connecting mechanism for a screen panel
US20100072198A1 (en) Floor-mount service container and lid
JP2015527715A (ja) 天井埋込み型ラインタイプの照明装置
US5940937A (en) Dual directional hinged wallmount bracket assembly
CN110323679B (zh) 一种开关柜
KR102262934B1 (ko) 건축물 공동주택의 전선 케이블트레이
CN216905154U (zh) 一种网络设备安装定位装置
KR200449233Y1 (ko)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구조
JP2008208637A (ja) 建具及びその建具の配線方法
DE4408295C2 (de) Vorrichtung zur funktionellen Zusammenfassung von elektrischen und/oder elektronischen Geräten
CN207038862U (zh) 一种设有固定结构的移动电源插座
KR101218201B1 (ko) 광분배반
RU54266U1 (ru) Лючок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м лоток
JP2014199860A (ja) 盤ボックス
CN210693300U (zh) 一种理线器
KR101945936B1 (ko) 공동주택용 전력케이블 트레이
US20080303394A1 (en) Article of furniture with tambour modesty panel
KR200364249Y1 (ko) 통신장비 보관용 랙의 프레임 구조
CN209948648U (zh) 一种便于固定的电缆分支箱
CN220173528U (zh) 一种翻盖式医用箱体显示器
CN208890110U (zh) 一种配电柜的静电传导装置
CN213501435U (zh) 便于维修的打印设备
CN210200263U (zh) 一种便于更换广告布的广告牌
KR200372170Y1 (ko) 파티션용 벨트라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