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170Y1 - 파티션용 벨트라인 - Google Patents

파티션용 벨트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170Y1
KR200372170Y1 KR20-2004-0029860U KR20040029860U KR200372170Y1 KR 200372170 Y1 KR200372170 Y1 KR 200372170Y1 KR 20040029860 U KR20040029860 U KR 20040029860U KR 200372170 Y1 KR200372170 Y1 KR 200372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horizontal frame
cover panel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타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타리
Priority to KR20-2004-0029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1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 교체 작업이나 내부의 배선 작업 등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파티션의 양면에 사무용 기기 등을 배치하여 사용할 경우 내부 배선 등이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져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파티션용 벨트라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파티션(10)의 중간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파티션(10)의 양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면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부(24)를 갖는 수평프레임(20)과, 이 수평프레임(20)의 공간부(24)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20)에 힌지결합부(45,5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패널(30)을 포함하는 파티션용 벨트라인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45,50)는 상기 수평프레임(20) 또는 커버패널(30)에 구비된 힌지축(45)과, 이 힌지축(45)과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패널(30) 또는 수평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45)이 끼움 결합되도록 된 축홀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힌지축(45)과 축홀더(50)를 원터치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커버패널(30)을 수평프레임(20)에 원터치식으로 착탈 및 회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벨트라인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파티션용 벨트라인{Belt line for a partition}
본 고안은 파티션용 벨트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배선 교체 작업이나 콘센트 교체 작업 등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파티션용 벨트라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에서는 각 부서별로 다른 업무를 행함에 따라 파티션을 설치하여 부서별로 공간을 구획한다. 이러한 파티션은 다수개의 수평바아와 수직바아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파티션의 중간 높이 부분에 컴퓨터와 같은 사무용 기기 등의 배선을 하거나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 방향으로 벨트라인을 설치한다.
이러한 벨트라인은 그 내부에 파티션의 일면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단면 채널 형태로 이루어져 그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양측 수직바아에 연결 장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이 수평프레임의 공간부를 개폐하는 커버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패널은 힌지결합부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다수개의 나사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수평프레임의 내부로 전선 등을 수용하여 배선하고, 상기 커버패널을 닫아서 파티션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패널에 콘센트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커버패널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 벨트라인 내부의 배선을 교체하거나 콘센트를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커버패널을 잡은 상태에서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의 도움이 없이 혼자서 원활한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버패널이 나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 작업자가 다수의 나사를 일일이 풀어주고, 작업 후에는 다시 나사를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비교적 더디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콘센트 교체 작업이나 내부의 배선 작업 등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파티션의 양면에 사무용 기기 등을 배치하여 사용할 경우 내부 배선 등이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져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파티션용 벨트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보여주는 파티션의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파티션 20. 수평프레임
30. 커버패널 45. 힌지축
50. 축홀더
본 고안에 따르면,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파티션(10)의 중간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파티션(10)의 양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면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부(24)를 갖는 수평프레임(20)과, 이 수평프레임(20)의 공간부(24)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20)에 힌지결합부(45,5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패널(30)을 포함하는 파티션용 벨트라인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45,50)는 상기 수평프레임(20) 또는 커버패널(30)에 구비된 힌지축(45)과, 이 힌지축(45)과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패널(30) 또는 수평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45)이 끼움 결합되도록 된 축홀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힌지축(45)과 축홀더(50)를 원터치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커버패널(30)을 수평프레임(20)에 원터치식으로 착탈 및 회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벨트라인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프레임(20)은 그 내부에 상기 파티션(10)의 양면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부(24)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패널(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결합부(45,50)를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양면에 회동 및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파티션(10)의 양면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수평프레임(30)의 공간부(24)를 각각 개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벨트라인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보여주는 파티션의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파티션(10)의 중간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파티션(10)의 적어도 일면으로 개구된 공간부(24)를 갖는 수평프레임(20)과, 이 수평프레임(20)의 공간부(24)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20)에 힌지결합부(45,50)를 통해 장착된 커버패널(30)로 이루어진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결합부(45,50)는 수평프레임(20)의 상측 내벽면에 구비된 힌지축(45)과, 이 힌지축(45)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패널(30)의 내측면에 돌출된 축홀더(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축(45)은 단면 원형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홀더(50)는 힌지축(45)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반원형 단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축(45)이 축홀더(50)에 약간 억지 끼움식으로 원터치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패널(30)이 힌지결합부(45,50)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 개폐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커버패널(30)을 파지하여 파티션(10)의 외측으로 당겨주면, 상기 축홀더(50)와 힌지축(45)이 서로 원터치식으로 분리되므로, 상기 커버패널(30)을 수평프레임(20)으로부터 원터치식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부호 6은 각각 상기 커버패널(30)의 내측면 하부에 형성된 돌기이고, 부호 7은 상기 수평프레임(20)의 내부 하측에 형성된 끼움홈으로서, 상기 돌기(6)를 끼움홈(8)에 억지 끼움함으로써, 상기 커버패널(30)이 외력에 의해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상하단 내벽면에는 별도의 볼트체결부(3)가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10)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볼트체결부(3)에 체결됨으로써, 벨트라인이 파티션(10)의 중간 부분에 견고하게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수평프레임(20)의 공간부(24)에 수용된 배선의 정리 작업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가 커버패널(30)의 하단부를 파지하여 힌지결합부(45,50)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패널(30)이 힌지결합부(45,50)를 통해 원터치식으로 수평프레임(2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패널(30)을 원터치식으로 분리하여 커버패널(30)에 장착된 콘센트(2)를 교체하거나 배선을 교체하는 작업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 의하면, 상기 수평프레임(20)은 그 내부에 상기 파티션(10)의 양면 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공간부(24)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패널(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결합부(45,50)를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양면 개구부에 회동 및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파티션(10)의 양면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수평프레임(20)의 공간부(24)를 각각 개폐하게 된다.
물론, 도 4의 수평프레임(20)도 그 상하단 내벽면에 별도의 볼트체결부(3)가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10)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가 상기 볼트체결부(3)에 체결되어 상기 파티션(10)의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은 파티션(10)의 일면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양면 모두를 사용할 때, 보다 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상기 파티션(10)의 양면에 사무용 책상 등을 설치하고, 이 책상에 사무용 기기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상기 파티션(10)의 양면 위치에서 수평프레임(20)의 각각의 공간부(24)에 사무용 기기 등의 배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을 보다 융통성 있고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벨트라인은 배선 등이 유입되는 수평프레임에 커버패널이 힌지결합부를 통해 원터치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업자가 커버패널을 잡은 상태가 아니라, 커버패널을 수평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배선 교체 작업이나 커버패널에 구비된 콘센트 교체 작업 등을 주위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패널이 원터치식으로 분리되므로, 커버패널이 나사에 의해 결합된 구조에 비하여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평프레임이 파티션의 양면 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공간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패널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결합부를 통해 수평프레임의 양면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파티션의 양면에 사무용 책상이나 사무용 기기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파티션의 양면 위치에서 수평프레임의 각각의 공간부에 사무용 기기 등의 배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을 보다 융통성 있고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파티션(10)의 중간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파티션(10)의 양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면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부(24)를 갖는 수평프레임(20)과, 이 수평프레임(20)의 공간부(24)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20)에 힌지결합부(45,5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패널(30)을 포함하는 파티션용 벨트라인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45,50)는 상기 수평프레임(20) 또는 커버패널(30)에 구비된 힌지축(45)과, 이 힌지축(45)과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패널(30) 또는 수평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45)이 끼움 결합되도록 된 축홀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힌지축(45)과 축홀더(50)를 원터치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커버패널(30)을 수평프레임(20)에 원터치식으로 착탈 및 회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벨트라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20)은 그 내부에 상기 파티션(10)의 양면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부(24)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패널(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결합부(45,50)를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양면에 회동 및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파티션(10)의 양면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수평프레임(30)의 공간부(24)를 각각 개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벨트라인.
KR20-2004-0029860U 2004-10-22 2004-10-22 파티션용 벨트라인 KR200372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860U KR200372170Y1 (ko) 2004-10-22 2004-10-22 파티션용 벨트라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860U KR200372170Y1 (ko) 2004-10-22 2004-10-22 파티션용 벨트라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170Y1 true KR200372170Y1 (ko) 2005-01-14

Family

ID=4944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860U KR200372170Y1 (ko) 2004-10-22 2004-10-22 파티션용 벨트라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1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09Y1 (ko) 2014-10-02 2016-04-25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용도에 따라 교체가능한 패널이 장착된 유틸리티 서비스 장치
KR20200117677A (ko) * 2019-04-05 2020-10-14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09Y1 (ko) 2014-10-02 2016-04-25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용도에 따라 교체가능한 패널이 장착된 유틸리티 서비스 장치
KR20200117677A (ko) * 2019-04-05 2020-10-14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KR102243997B1 (ko) * 2019-04-05 2021-04-23 (주)티아이에스 정보통신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9747A (en) Conduit connecting mechanism for a screen panel
KR101116862B1 (ko) 양방향 회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US4932177A (en) Room divider
JP2007201332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ケーブル保持部材
KR200372170Y1 (ko) 파티션용 벨트라인
KR102271897B1 (ko)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US4683695A (en) Channelled base member for divider panels
JPH08172709A (ja) 端子盤
JP5524712B2 (ja) 電子機器収納箱
JP2010239107A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JP2009240124A (ja) 制御盤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2007287492A (ja) 埋込型電気配線接続装置
JP2004039820A (ja) 機器収納ボックス
KR100419526B1 (ko) 간이착탈형 2축경첩구조
KR20160001197U (ko)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JP3911383B2 (ja) 自動製氷機等の貯氷庫扉組立体
JP3096632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用キャビネット
CN210840328U (zh) 一种上盖可旋转的面板
KR200480209Y1 (ko) 용도에 따라 교체가능한 패널이 장착된 유틸리티 서비스 장치
CN221103775U (zh) 一种安装结构
JP2011139961A (ja)
KR200423636Y1 (ko) 파티션 덮개의 개폐장치
AU2018100283A4 (en) An enclosure for a switchboard
KR200164856Y1 (ko) 컴퓨터본체 구조
KR200384804Y1 (ko) 파티션용 벨트라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