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677A -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677A
KR20200117677A KR1020190040137A KR20190040137A KR20200117677A KR 20200117677 A KR20200117677 A KR 20200117677A KR 1020190040137 A KR1020190040137 A KR 1020190040137A KR 20190040137 A KR20190040137 A KR 20190040137A KR 20200117677 A KR20200117677 A KR 20200117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opening
front plate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997B1 (ko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9004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99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4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with guide members shaped as circular ar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15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profile memb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04Q1/026Cabinets characterized by doo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900/606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함체의 전면에 부착된 문짝을 개폐하기 위한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부를 가지는 좌측판; 및 상기 좌측판과 이격져서 형성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를 가지는 우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문짝은, 상기 좌측판과 상기 우측판 사이의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판의 상기 요홈부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전면판이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 및 상기 전면판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의 상기 걸림부에 끼워지게 될 때, 상기 함체의 전면을 패쇄하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판의 요홈부에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요홈부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본 발명은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장치나 신호장치 또는 표시장치와 같은 각종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함체의 문짝을 간편하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문짝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장치나 신호장치 또는 표시장치와 같은 각종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함체는 내부의 수용된 각종 기기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체의 전면에 수용공간을 패쇄하도록 하는 문짝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함체의 전면에 문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함체의 일측에 문짝을 힌지결합되도록 하고, 함체의 타측에 문짝을 패쇄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별도로 설치함에 의해서 함체의 내부를 문짝에 의해서 개방되거나 패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문짝은 문짝을 함체에 설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문짝의 일측에는 힌지를 설치하고, 또 함체에는 문짝에 설치된 힌지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회동부를 설치하여야 하고, 또 문짝을 패쇄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문짝을 함체에 패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또한, 문짝과 함체에 각각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라 문짝을 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각종 제조비용과 설치비용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위와 같은 형태로 제조되는 문짝의 개폐장치는 문짝의 힌지부와 잠금장치가 외부에서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문짝이 함체에 부착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문짝의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 또한 발생하게 된다.
KR 10-090639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통신장치나 신호장치 또는 표시장치와 같은 각종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함체의 문짝을 간편하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문짝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함체의 일측에 문짝의 회동부를 설치하고, 함체의 타측에 함체를 패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폐쇄장치를 설치하더라도 회동부와 패쇄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아니하여 문짝의 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문짝을 함체에 설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구성을 간략화하여 부품에 대한 고장의 우려가 없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함체의 전면에 부착된 문짝을 개폐하기 위한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부를 가지는 좌측판; 및 상기 좌측판과 이격져서 형성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를 가지는 우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문짝은, 상기 좌측판과 상기 우측판 사이의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판의 상기 요홈부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전면판이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 및 상기 전면판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의 상기 걸림부에 끼워지게 될 때, 상기 함체의 전면을 패쇄하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판의 요홈부에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요홈부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요홈부 내에 상기 회동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부의 개방단부에는 상기 회동부가 끼워졌을 때, 상기 회동부가 상기 요홈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짝의 전면판 내측에는 상기 요홈부의 외측과 접촉되어 상기 전면판이 상기 걸림돌기 쪽을 향하여 가압될 때, 상기 전면판이 가압되면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안내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는 통신장치나 신호장치 또는 표시장치와 같은 각종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함체의 문짝을 간편하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문짝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함체의 일측에 문짝의 회동부를 설치하고, 함체의 타측에 함체를 패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폐쇄장치를 설치하더라도 회동부와 패쇄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아니하여 문짝의 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문짝의 일측에 회동부를 설치하고, 문짝의 타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함에 의해서 회동부와 걸림돌기가 함체에 각각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문짝을 개폐하는데 따른 부품이 고장나거나 분실될 우려가 없으므로 개폐장치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에서 문짝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에서 문짝이 열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에서 문짝이 열린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의 전면에 부착된 문짝(30)을 개폐하기 위한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와, 문짝(30)과, 탄성수단이 구비된다.
함체(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판(11)과, 우측판(21)을 구비하며, 좌측판(11)과 우측판(21) 사이에 수용공간(17)이 형성된다.
좌측판(11)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부(12)를 가지며, 요홈부(12)에는 후술하는 문짝(30)의 회동부(32)가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게 되고, 요홈부(12)의 개방단부에는 회동부(32)가 끼워졌을 때, 회동부(32)가 요홈부(12)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돌기부(15)가 형성된다.
우측판(21)은 좌측판(11)과 이격져서 형성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22)를 구비한다. 걸림부(22)에는 문짝(30)의 걸림돌기(33)가 끼워져서 함체(10)의 내부 수용공간(17)을 패쇄하게 된다.
문짝(3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의 좌측판(11)과 우측판(21) 사이의 수용공간(17)을 개방하거나 패쇄하도록 하며, 전면판(31)과, 회동부(32)와, 걸림돌기(33)를 구비한다.
전면판(31)은 좌측판(11)과 우측판(21) 사이의 수용공간(17)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함체(10)의 전면에 형성된다. 전면판(31)의 내측 일측에는 요홈부(12)의 외측 부분과 접촉되어 전면판(31)이 걸림돌기(33) 쪽을 향하여 가압될 때, 전면판(31)이 가압되면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안내돌기(35)가 형성된다.
회동부(32)는 전면판(3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함체(10) 좌측판(11)의 요홈부(12)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서 전면판(31)이 함체(10)의 전면에 여닫이 식으로 함체(10)를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패쇄되도록 한다.
걸림돌기(33)는 전면판(31)의 타측에 형성되며, 걸림돌기(33)가 전면판(31)의 걸림부(22)에 끼워지게 되면, 함체(10)의 전면이 패쇄되게 된다.
탄성수단은 문짝(30)이 함체(10)의 전면에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좌측판(11)의 요홈부(12)에는 회동부(32)가 요홈부(12)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이 설치되며, 탄성수단은 회동부(32)가 요홈부(12)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요홈부(12) 내에 회동부(32)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40)이 이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함체(10)는 함체(10)의 전면에 문짝(30)이 닫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 3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짝(30)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문짝(30)의 전면판(31)에서 좌측 부분을 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즉, 우측 방향으로 가압을 하게 되면, 전면판(31)의 가압안내돌기(35)가 요홈부(12)의 외측을 따라 안내되면서 화살표 B와 같이 우측으로 약간 이동을 하게 되고, 전면판(31)이 우측으로 약간 이동을 하게 되면, 그에 따라 전면판(31)의 좌측 단부에 설치된 회동부(32)도 요홈부(12) 내에서 약간 이동을 하게 되면서 요홈부(12) 내에 설치된 판스프링(40)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40)이 가압되면, 회동부(32)가 요홈부(12) 내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면판(31)의 우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3)가 C로 표시된 원부분과 같이 우측판(21)의 일측에 형성한 걸림부(22)에서 빠져나오면서 전면판(31)이 우측판(21)으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되고, 따라서 전면판(31)의 우측부분을 사용자 쪽으로 잡아당기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30)이 함체(10)로부터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는 문짝(30)이 함체(10)의 내부 공간을 패쇄상태로 하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문짝의 일부분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위와 같은 잠금장치를 제조하는데 따른 제조 비용과, 잠금장치를 문짝과 함체에 각각 설치하도록 하는 설치 비용 등을 모두 제거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생산비용과 설치비용을 모두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문짝(30)의 일측에 잠금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문짝(30)의 외관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는 문짝(30)의 일측에 회동부(32)를 설치하고, 문짝(30)의 타측에 걸림돌기(33)를 형성함에 의해서 회동부(32)와 걸림돌기(33)가 함체(10)에 각각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문짝(30)을 개폐하는데 따른 부품이 고장나거나 분실될 우려가 없으므로 개폐장치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함체 11 : 좌측판
12 : 요홈부 17 : 수용공간
21 : 우측판 22 : 걸림부
30 : 문짝 31 : 전면판
32 : 회동부 33 : 걸림돌기
40 : 판스프링

Claims (4)

  1. 함체(10)의 전면에 부착된 문짝(30)을 개폐하기 위한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체(10)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부(12)를 가지는 좌측판(11); 및
    상기 좌측판(11)과 이격져서 형성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22)를 가지는 우측판(21);을 구비하고,
    상기 문짝(30)은,
    상기 좌측판(11)과 상기 우측판(21) 사이의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판(31);
    상기 전면판(3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판(11)의 상기 요홈부(12)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전면판(31)이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32); 및
    상기 전면판(3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31)의 상기 걸림부(22)에 끼워지게 될 때, 상기 함체(10)의 전면을 패쇄하도록 하는 걸림돌기(33);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판(11)의 요홈부(12)에는 상기 회동부(32)가 상기 요홈부(12)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요홈부(12) 내에 상기 회동부(32)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2)의 개방단부에는 상기 회동부(32)가 끼워졌을 때, 상기 회동부(32)가 상기 요홈부(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돌기부(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짝(30)의 전면판(31) 내측에는 상기 요홈부(12)의 외측과 접촉되어 상기 전면판(31)이 상기 걸림돌기(33) 쪽을 향하여 가압될 때, 상기 전면판(31)이 가압되면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안내돌기(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KR1020190040137A 2019-04-05 2019-04-05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KR102243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137A KR102243997B1 (ko) 2019-04-05 2019-04-05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137A KR102243997B1 (ko) 2019-04-05 2019-04-05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677A true KR20200117677A (ko) 2020-10-14
KR102243997B1 KR102243997B1 (ko) 2021-04-23

Family

ID=7284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137A KR102243997B1 (ko) 2019-04-05 2019-04-05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158A (ko) * 2022-02-17 2023-08-25 영풍전자(주) 투 스텝 원터치 도어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191U (ko) * 1998-08-08 1998-11-25 노재근 사무용 칸막이의 개폐판 개폐장치
KR200372170Y1 (ko) * 2004-10-22 2005-01-14 주식회사 울타리 파티션용 벨트라인
JP3912741B2 (ja) * 2002-05-23 2007-05-09 日東工業株式会社 扉付き箱における扉のばね保持機構
KR100906396B1 (ko) 2007-07-31 2009-07-07 (주)경도시스템 도어의 양측 선택 개폐 및 탈착 가능한 구조의통신장비 함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191U (ko) * 1998-08-08 1998-11-25 노재근 사무용 칸막이의 개폐판 개폐장치
JP3912741B2 (ja) * 2002-05-23 2007-05-09 日東工業株式会社 扉付き箱における扉のばね保持機構
KR200372170Y1 (ko) * 2004-10-22 2005-01-14 주식회사 울타리 파티션용 벨트라인
KR100906396B1 (ko) 2007-07-31 2009-07-07 (주)경도시스템 도어의 양측 선택 개폐 및 탈착 가능한 구조의통신장비 함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158A (ko) * 2022-02-17 2023-08-25 영풍전자(주) 투 스텝 원터치 도어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997B1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4439A1 (en) Anti-trap safety hinge for hinged door
US4395608A (en) Safety switch assemblies
KR200141099Y1 (ko) 휴대용 전화기의 버튼커버 개페장치
WO2019206093A1 (zh) 闭门器及具有该闭门器的冰箱
KR101472994B1 (ko) 경첩용 안전커버 장치
KR102243997B1 (ko)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JP5173222B2 (ja) 引戸用クローザ装置
KR100600614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KR10070746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101510007B1 (ko) 커버 개폐장치
KR20030065739A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US10252553B2 (en) Printer
KR101943765B1 (ko) 좌우 겸용 도어 로킹장치
KR200345029Y1 (ko) 안전도어 개폐장치
KR100748969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JP2020139295A (ja) 補助ドアクローザおよび開き戸構造体
KR102293311B1 (ko) 샤워부스 도어용 힌지
KR200379502Y1 (ko) 시스템창
KR20070009188A (ko) 컴퓨터의 도어
KR200345030Y1 (ko) 안전도어 개폐장치
JP7049947B2 (ja) 分電盤ハウジング
KR970004507Y1 (ko)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940004280Y1 (ko)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950007506Y1 (ko)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