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197U -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 Google Patents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197U
KR20160001197U KR2020140007185U KR20140007185U KR20160001197U KR 20160001197 U KR20160001197 U KR 20160001197U KR 2020140007185 U KR2020140007185 U KR 2020140007185U KR 20140007185 U KR20140007185 U KR 20140007185U KR 20160001197 U KR20160001197 U KR 201600011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lower frames
frame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애치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애치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애치씨랩
Priority to KR2020140007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197U/ko
Publication of KR20160001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1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2037/005Tables specially adapted for laborat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험에 필요한 기자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기자재에 공급되는 에어, 가스, 물, 전기 및 인터넷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설비 라인이 포집된 유틸리티 박스가 구비된 실험대로서, 유틸리티 박스의 전면에 탈착이 가능하고 유틸리티 밸브, 콘센트, 누전차단기 또는 랜 포트(Lan port)등이 구비된 패널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패널의 위치를 교체하여 밸브나 콘센트의 위치를 변경하여 배치할 수 있고, 유니트 패널을 교체함에 따라 밸브의 종류를 바꿀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서로 마주보게 한 쌍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실험테이블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 말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는 상, 하부프레임과, 상,하부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면프레임 및 상,하부프레임의 전방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유니트 패널로 구성되는 유틸리티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Laboratory Table for easy assembling}
본 고안은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험에 필요한 기자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기자재에 공급되는 에어, 가스, 물, 전기 및 인터넷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설비 라인이 포집된 유틸리티 박스가 구비된 실험대로서, 유틸리티 박스의 전면에 탈착이 가능하고 유틸리티 밸브, 콘센트, 누전차단기 또는 랜 포트(Lan port)등이 구비된 패널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패널의 위치를 교체할 수 있는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실험대는 작업테이블에서 실험이 이루어진다. 실험대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작업면을 구비한 실험대 본체와, 이 실험대 본체의 작업면 상에 배치되며 각종 화학 실험용 약품병들을 적어도 1단 이상의 배열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선반과, 선반의 양측으로 고정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실험에 필요한 기자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할 경우, 작업테이블의 중앙 또는 측면에 내장설치된 전기콘센트를 이용한다. 또는, 실험에 필요한 가스나 공기와 같은 기체 또는 화학성분의 액체나 물 등의 유체가 필요할 경우, 도 1과 같이 유틸리티 박스에 일체로 설치된 밸브를 통하여 유체를 공급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실험대는 유틸리티 박스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밸브나 콘센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었고 밸브의 종류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 교체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5779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5428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틸리티 박스에 탈착가능한 패널을 장착하여 사용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밸브나 콘센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마주보게 한 쌍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실험테이블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 말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는 상, 하부프레임과, 상,하부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면프레임 및 상,하부프레임의 전방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유니트 패널로 구성되는 유틸리티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니트 패널은 상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고,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돌기와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1결합돌기가 구비되어 고정돌기의 하부에서 결합홈에 끼움결합되고, 일측말단에 제2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결합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 하부프레임은 일측면 전후방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와 끼움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일측면이 마주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니트 패널은 유틸리티 밸브, 콘센트, 누전차단기 또는 랜 포트 중 하나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프레임은 상기 유니트 패널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선반 또는 상부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에 관한 것으로서, 실험에 필요한 기자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기자재에 공급되는 에어, 가스, 물, 전기 및 인터넷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설비 라인이 포집된 유틸리티 박스가 구비된 실험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패널의 위치를 변경하여 밸브나 콘센트의 위치를 변경하여 배치할 수 있고, 패널을 교체함에 따라 밸브의 종류를 바꿀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 필요한 패널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탈착이 가능하여 패널의 위치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패널은 유틸리티 박스에 고정장착되는 것이 아니므로 유틸리티 밸브, 콘센트, 누전차단기 또는 랜 포트(Lan port) 등이 구비된 상기 패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패널)의 위치를 교체하거나 종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대의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널의 위치를 교체하는 경우에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니트 패널이 탈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B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의 사시도.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실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유니트 패널이 탈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B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실험대(100)는 실험실 내부의 구조에 따라 벽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벽면형 실험대, 벽면의 코너부분에 설치되는 코너형 실험대 및 실내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형 실험대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용도에 따라 외형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첨부된 도 2에서 나타내는 실험대(100)는 실험실내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형 실험대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험대(100)에서 실험테이블(20)은 하나로도 구성할 수 있으나, 다수의 실험기구와 초자기구를 올려놓고 여러명의 실험자가 동시에 실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하되, 서로 마주보거나 일측으로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구성요소들은 규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는, 서로 마주보게 한 쌍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실험테이블(20)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 말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상, 하부프레임(32)(33)과, 상,하부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면프레임(34) 및 상기 상,하부프레임(32)(33)의 전방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니트 패널(31)로 구성되는 유틸리티 박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험테이블(20)은 본 고안에 따른 실험대(100)에서 실험이 이루어지는 책상 형태의 구조물로서, 실험기구와 초자기구 등을 놓아두는 역할을 수행하며,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실험대의 전후면에 배치하여 적절한 개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테이블(20)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나사에 의하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하단에 이동식 바퀴 또는 고정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장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이 구비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내부에 실험시 필요한 각종 기자재에 공급되는 에어, 가스, 물, 전기 및 인터넷 등에 연결되는 에어라인, 가스라인, 수도라인, 전선 및 인터넷 선 등의 설비 라인이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프레임(10)은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비 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전후면에 다수의 실험기구나 초자기구 또는 시약병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 또는 상부장이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공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실험대는 상기 수직프레(10)임의 사이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또는 상부장을 전후면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상부의 노출부위를 마감하기 위한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0) 사이의 하부에 스커트 패널(40)이 전후면으로 구비되어 실험시 필요한 각종 기자재로 공급되는 에어라인, 가스라인, 수도라인, 전선 및 인터넷 선 등의 설비 라인이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스커트 패널(40)에는 버튼이 구비되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틸리티 박스(30)는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 말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상, 하부프레임(32)(33)과, 상기 상, 하부프레임(32)(33)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면프레임(34) 및 상기 상,하부프레임(32)(33)의 전방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유니트 패널(3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 하부프레임과 후면프레임과 수직프레임간의 결합방식은 나사에 의해 고정결합되거나 각각의 결합위치에 결합홈과 결합턱을 형성하여 결합고정시키거나 용접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34)을 대신하여 상기 유니트 패널(31)을 장착하여 전후면에서 모두 상기 유틸리티 박스(30)를 이용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틸리티 박스(3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0)에 내장된 설비 라인이 연장되어 내장되고, 상기 설비 라인이 전면에 결합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유니트 패널(31)에 구비된 유틸리티 밸브, 콘센트, 누전차단기 또는 랜 포트(Lan port)와 연결되어 실험자가 용이하게 실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틸리티 박스(3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은 상기 유틸리티 밸브, 콘센트, 누전차단기 또는 랜 포트(Lan port)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아무것도 구비되지 않은 패널이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니트 패널(31)은 상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고 결합홈(311a)이 형성된 고정돌기(31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32)에 탈착이 가능하게 하는 결합구(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구(1)는 상부에 복수개의 제1결합돌기(1a)를 구비하며 내부가 비어있는 'ㄱ' 형태를 이루는 지지몸체(11)와 상기 지지몸체(11)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되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말단에 제2결합돌기(1b)를 구비하는 결합몸체(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1)는 상기 고정돌기(311)의 하부에서 상기 제1결합돌기(1a)가 상기 결합홈(311a)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패널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32)은 일측면 전후방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20)와 끼움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320)에 상기 제2결합돌기(1b)가 걸려 안착되어 상기 유니트 패널(31)이 상기 유틸리티 박스(30)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 패널(31)은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프레임(33)에 상기 지지돌기(310)가 끼움장착되는 끼움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310)는 상기 유니트 패널(31)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니트 패널(31)은 전면에 유틸리티 밸브, 콘센트, 누전차단기 또는 랜 포트(Lan port) 중 하나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실험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유틸리티 박스(3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틸리티 박스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은 상기 유틸리티 밸브, 소켓, 누전차단기 또는 랜 포트(Lan port)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니트 패널(31)의 탈착방식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지지돌기(310)가 상기 끼움홈(330)에 끼움장착된 후, 상기 결합구(1)를 하부로 힘을 가해 누르며 상기 유니트 패널(31)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결합구(1)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돌기(1b)가 상기 걸림돌기(320)에 걸려 안착되며 상기 유틸리티 박스(30)에 상기 유니트 패널(31)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 패널(31)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돌기(1b)가 상기 걸림돌기(320)에 걸려 안착된 결합부에 도구를 삽입하여 하부로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전면을 향해 밀어내면 상기 유니트 패널(31)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도구는 직사각형 형태의 금속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된 바(bar) 형태이며, 상기 결합구(1)가 상기 상부프레임(32)에 안착된 연결부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니트 패널(31)은 상기 유틸리티 박스(30)에 고정장착되는 것이 아니므로 유틸리티 밸브, 콘센트, 누전차단기 또는 랜 포트(Lan port) 등이 구비된 상기 유니트 패널(31)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유니트 패널(31)의 위치를 교체하거나 종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실험대
10 : 수직프레임 20 : 실험테이블
30 : 유틸리티 박스 31 : 유니트 패널
310 : 지지돌기
311 : 고정돌기 311a : 결합홈
32 : 상부프레임 320 : 걸림돌기
33 : 하부프레임 330 : 끼움홈
34 : 후면프레임 1 : 결합구
11 : 지지몸체 12 : 결합몸체
1a : 제1결합돌기 1b : 제2결합돌기

Claims (5)

  1. 서로 마주보게 한 쌍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실험테이블(20);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 말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는 상, 하부프레임(32)(33);과, 상기 상,하부프레임(32)(33)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면프레임(34); 및 상기 상,하부프레임(32)(33)의 전방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유니트 패널(31);로 구성되는 유틸리티 박스(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패널(31)은,
    상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고, 결합홈(311a)이 형성된 고정돌기(311)와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310)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1결합돌기(1a)가 구비되는 지지몸체(11)와,
    상기 지지몸체(11)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되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말단에 제2결합돌기(1b)를 구비하는 결합몸체(12)를 포함하는 결합구(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 하부프레임은,
    일측면 전후방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20)와 끼움홈(330)이 형성되고, 각각의 일측면이 마주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패널(31)은 유틸리티 밸브, 콘센트, 누전차단기 또는 랜 포트 중 하나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은 상기 유니트 패널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선반 또는 상부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KR2020140007185U 2014-10-02 2014-10-02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KR201600011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185U KR20160001197U (ko) 2014-10-02 2014-10-02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185U KR20160001197U (ko) 2014-10-02 2014-10-02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97U true KR20160001197U (ko) 2016-04-12

Family

ID=5579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185U KR20160001197U (ko) 2014-10-02 2014-10-02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19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8758A (zh) * 2016-06-28 2016-10-12 昆明理工大学 一种塑性混凝土试验平台装置
KR102116328B1 (ko) * 2019-09-26 2020-05-28 주식회사 코아스 유틸리티박스를 갖는 실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8758A (zh) * 2016-06-28 2016-10-12 昆明理工大学 一种塑性混凝土试验平台装置
KR102116328B1 (ko) * 2019-09-26 2020-05-28 주식회사 코아스 유틸리티박스를 갖는 실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847B1 (en) Laboratory workstation utility management configuration
KR101614825B1 (ko) 파티션의 높이 연장장치
KR20160001197U (ko) 변경조립이 용이한 실험대
JP6328544B2 (ja) 実験用什器の配線構造
CN101206927B (zh) 平板显示装置
CN107560139B (zh) 侧板安装结构及具有其的室内机
US20090121091A1 (en) Device for Guiding Cables or Wires
JP6562538B2 (ja) デスク装置
KR100657796B1 (ko) 실험실용 작업대
KR102116328B1 (ko) 유틸리티박스를 갖는 실험대
JP2015085025A (ja) 仕切りパネル
EP1953299A1 (de) Armatureneinheit, umfassend mindestens einen Armaturenauslaufkörper, der durch eine Thermostatarmatur mit elektrischer Steuerung mit den entsprechenden Wasserzuläufen verbunden ist
CN201975087U (zh) 一种斜面操作台
US9999851B2 (en) Filter mounting structure
CN104242091A (zh) 一种便于检修的配电柜
KR20160001196U (ko) 용도에 따라 교체가능한 패널이 장착된 유틸리티 서비스 장치
CN210930481U (zh) 便于安装的卡接组件及沙发座椅
IT201900003257A1 (it) Gruppo soffione per doccia a soffitto
CN203829826U (zh) 室内空气净化器
EP1808230A1 (en) Equipped cabinet bench, for laboratories, provided with cantilevered service-holder channel, fixable in different positions
CN104589274B (zh) 螺丝锁固工具
JP6134684B2 (ja) 実験台
KR20160147664A (ko) 산업 로봇의 제어를 위한 스테이션의 모듈을 독립적인 제어 유닛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
WO2015135396A1 (zh) 室外机
JP5272490B2 (ja) 間仕切り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