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402B1 -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 Google Patents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402B1
KR102466402B1 KR1020210132434A KR20210132434A KR102466402B1 KR 102466402 B1 KR102466402 B1 KR 102466402B1 KR 1020210132434 A KR1020210132434 A KR 1020210132434A KR 20210132434 A KR20210132434 A KR 20210132434A KR 102466402 B1 KR102466402 B1 KR 102466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over
partition
hinge
comb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엽
Original Assignee
김홍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엽 filed Critical 김홍엽
Priority to KR102021013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과; 상부 및 하부 커버;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 홀더; 상기 프레임의 중간 개구부에 대한 덮개 기능 및 선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와; 적어도 두 쌍 이상의 상부 피봇 및 하부 피봇과; 상기 선반겸용 커버가 선반 기능을 수행할 때 선반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 주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중간부위에 설치된 선반겸용 커버를 이용한 파티션 자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겸용 커버의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보다 쾌적하게 정돈되고 깔끔한 오피스 환경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Partition with built-in shelf function}
본 발명은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티션의 중간부분(일명 "벨트라인"이라고도 함)에 설치되는 커버를 단순 개폐형 커버가 아닌 개폐가 가능한 선반겸용 커버로 설치하여, 파티션의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선반겸용 커버를 이용한 파티션의 활용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파티션(사무용 간이 칸막이)이라 함은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 수직으로 설치하여 해당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 공간을 외부와 간접적으로 차단하여 구성원의 업무 집중력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창조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독립공간의 확보 수단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파티션이 구비된 사무실의 테이블 상에는 컴퓨터, 프린터기, 스캐너, 전화기, 팩스 등의 각종 전자, 통신 장비들이 구비되고, 해당 장비들과 연결되는 각종 배선은 파티션의 내부공간으로 하여금 정리 정돈된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에서 업무를 보는 책상의 경우 책상에 파티션을 설치하여 업무 집중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개인의 프라이버시도 확보하고 있는데, 이러한 업무를 보는 책상의 크기는 회사의 사정에 따라 다소 증감이 있으나, 1,600㎜ 정도가 대부분이며 이런경우 파티션을 설치할 경우 800㎜ 규격의 제품을 2개를 직렬로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부분의 파티션 커버는 상단 커버, 중간 커버, 하단 커버 3종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상단 커버 및 하단 커버는 대부분 외장 패널의 형태를 갖는다.
또한, 대부분의 파티션의 경우 벨트라인 상에 설치되는 상기 중간 커버는, 배선 처리용으로 회전 커버를 부착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빈번한 오피스 레이아웃 변경 및 무선 LAN, 노트북 등 모바일 기기의 활성화로 파티션 회전 커버의 배선 기능은 무시되어 가는 실정이다.
한편, 파티션에서 중간부분인 벨트라인에는, 커버를 힌지장치에 의해 회동 개폐되도록 장착하여 이루어지는데, 벨트라인을 개폐시키는 커버 및 힌지 축에 의해 경첩 형태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와 회전부재로 제공된다. 즉 회전부재는 커버의 양측 상단부에 부착되고, 고정부재는 파티션의 프레임에 부착되어 힌지 축을 기점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파티션 내부의 공간을 개폐되게 한다.
또, 종래 기술로써 국내 실용등록공보 제20-0301149호로 파티션 상에서 도어 패널(벨트라인)을 회동하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간략히 기재하면, 양측에 세워진 수직부재와 그 상,하측에 결합되는 수평부재의 조합으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측판이 결합된다.
이때, 측판의 일정 위치에는 도어 패널이 형성되는데, 도어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측판을 개폐한다.
이러한 도어 패널은, 하측면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 결합된 패널 판부재와; 패널 판부재와 제1힌지핀에 의해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에 다수 개의 배선걸이가 형성되며 수직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배선 걸이부재와; 패널 판부재와 배선 걸이부재가 일정 각도 벌려진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패널 판부재와 배선걸이부재의 힌지 연결부에 결합된 탄성수단;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선행공보에서 탄성수단은 비틀림 스프링과; 비틀림 스프링의 코일부가 끼워지는 힌지축과; 힌지축에 끼워지며 비틀림 스프링의 제1걸이부가 체결되는 제1스프링커버와; 힌지축에 끼워지며 비틀림 스프링의 제2걸이부가 체결되는 제2스프링커버로 이루어지는바, 이때 제1스프링커버와 제2스프링커버는 비틀림 스프링의 제1걸이부 또는 제2걸이부에 걸려 비틀림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하고, 제1스프링커버와 제2스프링커버는 2절 링크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스프링커버에는 제2힌지핀이 끼워지는 구멍이 천공되고, 제2스프링커버에는 제3힌지핀이 끼워지는 구멍이 천공된다.
전술한 구성을 비롯한 종래 파티션에서는 각종 전선을 걸어 배선할 수 있는 기능성이 보유됨은 물론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벨트라인이 여닫히는 구조 또한 제공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선행공보와 같이 해당 벨트라인이 닫히면 배선걸이부재에 형성된 암·숫후크에 의해 걸리게 되면서 개방을 차단하고, 프레임에 배선된 내부 전선을 추가 배선하거나 또는 점검하는 경우 패널 판부재의 하단을 잡고 올리는 행위에 의해 개폐 여부가 결정된다.
그러나 종래 패널 판부재와 배선 걸이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1스프링커버와 제2스프링커버,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의 양 끝단은 모두 일정 각도 이격된 상태에서 2절 링크되어 있는바, 패널 판부재가 배선 걸이부재 방향으로 하향할 경우 제1,2스프링커버패널 내부에 개재된 비틀림 스프링은 양 끝단이 억지 좁혀지다가 소정 각도 이하에서 다시 탄동되면서 원상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패널 판부재와 도어 패널이 지나치게 빨리 하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 다수의 부품으로 복잡하게 구성되므로 조립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제조단가의 상승, 유지 보수의 어려움 등 치명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도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파티션 벨트라인의 접이식 선반용 개폐유닛"이 개발되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55296호로 제시된 바 있다.
이는 파티션 벨트라인을 선반으로 전환 유도하고자 지지력이 수반되는 개폐유닛에 있어서, 파티션 패널의 양측으로 서로 대응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결부된 일단을 기점으로 회동프레임과 함께 상하 선회 움직임이 허용되는 커넥터와; 지지프레임과 회동핀에 의해 결부되고, 파티션 벨트라인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회동프레임과; 회동프레임 상에서 수평 개재되는 구속핀과; 커넥터에 대해 일정 수준의 지지력이 발휘되는 탄지대;를 포함하고, 위 커넥터는 탄지대를 수단으로 지지되면서 자체 보유한 탄성에 기인하여 상하 휨성이 유발됨에 따라 회동프레임 상에 결부된 구속핀과의 중첩 여부가 결정되어 벨트라인의 수평 전개를 유지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커넥터는, 탄지대에 중첩되면서 탄성에 의해 휨성이 야기되는 가압편과; 구속핀의 개재를 허용하는 구속홀;로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 적어도 하나 이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두께면 증대에 기여하는 보강대와; 보강대에 의해 지지되고 가압편이 위치된 주변 영역을 곡선형으로 형성하여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제공하면서 가압편과 탄지대의 상호 마찰을 유도하는 만곡부와; 만곡부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하향 연장되면서 벨트라인의 각도 전환 시 사용자에 의한 일 방향 가압 내지 조작을 허용함에 따라 구속핀으로부터 구속홀이 임의 이격되게 유도하는 가이드면;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프레임은, 지지프레임과의 결부를 위하여 수평 개재되는 회동핀과; 커넥터 타단의 출입 내지 끼움 결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천공되는 중공부와; 구속핀을 지지하기 위하여 중공부의 양측에서 서로 대응 형성되는 지지블록과; 서로 이격 위치된 지지블록 상에서 구속핀의 수평 개재를 위하여 동일선상에 구비되는 핀홀;로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 커넥터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보강대의 삽입 개재를 허용하기 위하여 탄지대의 양측으로 수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홀은 중공부와 이어질 수 있게 중공부에 이르기까지 연장 천된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파티션 벨트라인의 접이식 선반용 개폐유닛 역시 그성 부품이 많고 복잡하게 구성되므로 조립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제조단가가 많이 들고, 유지 보수에 따른 어려운 문제점 등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어 전술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 모든 기술사상에서는 상기한 문제점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사무실에서 자주 사용되는 필통, 서류, 핸드폰, 업무용 샘플 뿐만 아니라 사무용 악세사리 및 사무환경의 분위기를 고조시킬수 있는 화초 재배통(FLOWER BOX) 등과 같은 비품 또는 물건을 별도 가구나 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 사무실에 기 설치되어 있는 가구나 파티션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시켜 업무 공간인 책상 등을 보다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하여 깔끔한 오피스 환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1149호(2003년 01월 03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2050979호(2019년 11월 26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2055296호(2019년 12월 06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21-0000873호(2021년 01월 06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파티션의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중간 커버를 단순 개폐형 커버가 아닌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각종 비품이나 악세서리 및 화분 재배통(즉, 소형 화분) 등과 같은 물건 등을 진열할 수 있는 개폐가 가능한 선반겸용 커버로 설치하고, 각종 배선은 하부 커버가 구비된 파티션의 하부 공간 내로 배치시켜, 중간부위에 설치된 선반겸용 커버를 이용한 파티션 자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겸용 커버의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보다 쾌적하게 정돈되고 깔끔한 오피스 환경을 창출할 수 있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티션의 전체폭을 감안하여 1개 또는 2개 또는 3개로 분리하여 선반겸용 커버를 파티션의 중간부분에 설치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파티션의 중간부분 전면과 후면 모두 설치하고 책상이나 가구 등의 배치 형태나 사무실의 실내환경 또는 용도 등에 따라 파티션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원하는 개수만큼 선택적으로 또는 교차되게 선반겸용 커버들을 열어 놓고 원하는 물건 등을 진열할 수 있어 선반겸용 커버를 이용한 파티션 자체의 활용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으로 쾌적하고 정돈된 깔끔한 오피스 환경을 창출할 수 있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부에 높이 조절용 다리가 구비된 사각틀체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면 상,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커버과; 상기 프레임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개구부의 수직바 상단 전후면에서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 홀더와; 배면 상단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선반겸용 커버 홀더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중간 개구부에 대한 덮개 기능 및 선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수직부재들 중 서로 대향된 수직부재의 내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를 지지해 주는 적어도 두 쌍 이상의 상부 및 하부 피봇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피봇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반겸용 커버가 선반 기능을 수행할 때 선반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 주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홀더 몸체의 상단 전방부에 측단면이 "C"자 형상을 갖는 힌지 결합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 몸체의 중앙에는 스크류 통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의 홀더 몸체 일측면에는 수직부재의 내면에 걸려져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편이 일체로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겸용 커버는 배면 일부가 개구된 직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의 배면 양측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상기 선반겸용 커버를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 줌은 물론 선반겸용 커버가 닫혔을 때는 닫힌 상태를 유지되게 하고, 선반겸용 커버가 열려 선반으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와 결합되어 선반 형태를 유지되게 하는 한 쌍의 힌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힌지부재는 직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힌지 몸체와; 상기 힌지 몸체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의 힌지 결합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봉과; 상기 힌지 몸체의 배면 하방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선반겸용 커버가 닫힐 때,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재에 형성된 락킹돌기 걸림공 내로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선반겸용 커버가 닫힌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탄성형 락킹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 몸체 배면 하방부 타측에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가 열려 선반으로 사용될 때,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가 끼워져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재 좌우이탈 방지돌기를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 몸체 배면에서 가로 방향으로는 소정 거리를 두고 한 쌍의 지지부재 밀착바를 더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 몸체 외측 날개부 상에는 상기 커버 본체의 배면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힌지부재가 커버 본체의 배면 양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한 쌍의 힌지부재 고정돌기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 피봇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일측면에는 프레임의 수직부재에 형성된 피봇 고정공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의 수직형 힌지봉 상단부가 끼워지는 힌지봉 결합공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 피봇은 직육면에 형상을 갖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수평부재가 끼워지는 수평부재 안착홈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의 수직형 힌지봉 하단부가 끼워지는 힌지봉 결합공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 피봇의 저면에는 지지부재 회전 방지홈을 더 형성시켜 준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는 상,하단부가 상기 상부 및 하부 피봇에 구비된 힌지 결합봉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형 힌지봉과; 자유단부가 상기 수직형 힌지봉의 상방부 외면에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갖고 상기 선반겸용 커버를 직접 받쳐주는 상부 수평 지지부와, 자유단부가 상기 수직형 힌지봉의 하방부 외면에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갖는 하부 수평 지지부 및, 상기 상,하부 수평 지지부 사이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된 경사 지지부를 구비한 커버 수평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 수평 지지봉의 상기 상부 수평 지지부는, 제 1 수평 지지부와 수직 지지부 및 제 2 수평 지지부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각종 배선이 내부 공간부를 관통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배선 설치부를 더 구비시키고, 상기 배선 설치부의 전후면에는 배선 노출 방지용 커버를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선반겸용 커버는 파티션의 전체폭에 대응하여 전,후면 중 어느 한면 또는 두면 모두에 1개 또는 2개 또는 3개를 선택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선반겸용 커버는 파티션이 설치된 주변환경에 대응하여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원하는 개수만큼 선택적으로 또는 교차되게 열어 선반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에 의하면, 파티션의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중간 커버를 단순 개폐형 커버가 아닌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각종 비품이나 악세서리 및 화분 재배통(즉, 소형 화분) 등과 같은 물건 등을 진열할 수 있는 개폐가 가능한 선반겸용 커버로 설치하고, 각종 배선은 하부 커버가 구비된 파티션의 하부 공간 내로 배치시켜 줌으로써, 중간부위에 설치된 선반겸용 커버를 이용한 파티션 자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겸용 커버의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보다 쾌적하게 정돈되고 깔끔한 오피스 환경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파티션의 전체폭을 감안하여 1개 또는 2개 또는 3개로 분리하여 선반겸용 커버를 파티션의 중간부분에 설치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파티션의 중간부분 전면과 후면 모두 설치하고 책상이나 가구 등의 배치 형태나 사무실의 실내환경 또는 용도 등에 따라 파티션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원하는 개수만큼 선택적으로 또는 교차되게 선반겸용 커버들을 열어 놓고 원하는 물건 등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반겸용 커버를 이용한 파티션 자체의 활용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으로 쾌적하고 정돈된 깔끔한 오피스 환경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에 설치된 전면부 선반겸용 커버 전체를 열어 선반 형태로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의 선반겸용 커버를 전후방향으로 하나씩 열어 선반 형태로 결합시킨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의 선반겸 커버가 닫힌 상태의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의 선반겸 커버가 선반 가능을 할 때의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 중 선반겸용 홀더의 서로 다른 예시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 중 선반겸용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8의 (a)(b)는 본 발명 중 선반겸용 커버의 힌지부재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 중 상,하부 피봇과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에 설치된 전면부 선반겸용 커버 전체를 열어 선반 형태로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의 선반겸용 커버를 전후방향으로 하나씩 열어 선반 형태로 결합시킨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의 선반겸 커버가 닫힌 상태의 일부 확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의 선반겸 커버가 선반 가능을 할 때의 일부 확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 중 선반겸용 홀더의 서로 다른 예시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 중 선반겸용 커버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a)(b)는 본 발명 중 선반겸용 커버의 힌지부재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 중 상,하부 피봇과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과 상부 커버(20), 하부 커버(30),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 홀더(4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50), 적어도 두 쌍 이상의 상부 피봇(60) 및 하부 피봇(70),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를 포함한 상태에서,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선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파티션 자체의 활용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선반겸용 커버(50)의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보다 쾌적하게 정돈되고 깔끔한 오피스 환경을 창출할 수 있게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성형한 복수의 수평부재(11) 및 수직부재(12) 등을 이용하여 사각 틀체 형상을 갖도록 조립한 것이다.
이와 같은 프레임(10)의 저부에는 높이 조절용 다리(13)를 구비시켜 줌으로써 파티션을 도시 생략한 복수의 기둥을 이용하여 1방향 또는 2방향 또는 3방향 또는 4방향 등으로 상호 결합하여 배치시킬 때 각각의 파티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상부 커버(20) 및 하부 커버(3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면 상,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티션 내부로 배치될 수 있는 배선 등의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파티션 자체의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시켜 주는 외장 패널의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면에 상기 상부 커버(20) 및 하부 커버(30)들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후에는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프레임(10)의 상면과 측면 노출부 등에는 탑 커버와 마감 커버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파티션 자체의 미려함을 더욱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40)는 파티션의 프레임 폭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선반겸용 커버(50)의 설치 개수에 부응하여 적어도 한 쌍 이상이 설치(즉, 선반겸용 커버(50) 1개당 한 쌍씩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개구부의 수직부재(12) 상단 전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선반겸용 커버(50)들이 상하부로 회전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힌지 본체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40)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된 홀더 몸체(41)의 상단 전방부에 측단면이 "C"자 형상을 갖는 힌지 결합 홀더(4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홀더 몸체(41)의 중앙에는 스크류 통과공(43)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40)를 단순히 힌지 결합 홀더(42) 및 스크류 통과공(43)이 구비된 사각 판체 형태로 성형하고 하나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각각을 상기 프레임(10)의 개구부에 설치된 수직부재(12)의 상단 전후면에 각각 고정할 경우, 고정력이 약해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40)가 수직부재(12)의 전후면에서 회동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1개의 선반겸용 커버(50)에서 필요로 하는 한 쌍의 선반겸용 커버 홀더(40)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겸용 커버 홀더(40) 홀더 몸체(41) 일측면에서 도 6의 (a)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회전 방지편(44)을 일체로 더 구비시켜 주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홀더 몸체(41)의 일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 방지편(44)이 일체로 더 구비된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40)를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0)의 개구부에 설치된 수직부재(12)의 전면 또는 후면 상단에 각각 고정시켰을 경우, 상기 회전 방지편(44)이 수직부재(12)의 내면에 걸려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되므로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40) 자체에 어떠한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회전 방지편(44)의 걸림작용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한 쌍의 선반겸용 커버 홀더(40)에 결합되어 상하부로 회전 개폐되는 선반겸용 커버(50)가 어느 일측으로도 쏠리지 않고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닫혀진 상태 또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는 도 7 및 도 8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본체(51)와 한 쌍의 힌지부재(52)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배면 상단 양단부가 상기 힌지부재(52)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선반겸용 커버 홀더(4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선반겸용 커버(50)는 파티션의 프레임(10) 중간 개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형태를 갖고, 도 1 및 도 4와 같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개구부에 대한 덮개 기능을 수행하고, 도 2와 도3 및 도 5와 같이 열려진 후 선반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각종 물품 및 물체를 올려 놓고 사용 또는 보관하거나, 디스플레이 및 진열 등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는 파티션의 전체폭에 대응하여 전,후면 중 어느 한면 또는 두면 모두에 1개 또는 2개 또는 3개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파티션의 폭이 비교적 좁은 폭일 경우에는 1개의 선반겸용 커버(50)를 설치하며, 파티션의 폭이 중간 폭일 경우에는 2개의 선반겸용 커버(50)를 설치하고, 파티션의 폭이 비교적 광폭일 경우에는 1개의 선반겸용 커버(50)를 설치하면 된다.
물론, 상기 선반겸용 커버(50)의 설치 개수는 한정할 수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그 이상도 설치할 수 있고, 또 선반겸용 커버(50)들의 길이를 달리하여 복합적으로 혼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에 더하여 파티션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다른 개수 및 서로 다른 위치에 교차로 설치할 수 있는 등 상기 선반겸용 커버(50)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파티션이 설치된 주변환경에 대응하여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원하는 개수만큼 선택적으로 또는 교차되게 열고, 후술하는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들을 이용하여 선반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이용한 파티션 자체의 활용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으로 쾌적하고 정돈된 깔끔한 오피스 환경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겸용 커버(50)의 구성요소 중 상기 커버 본체(51)는 도 7과 같이, 휨 강도가 강한 철판이나 스테인레스스틸판 및 알루미늄판 등을 이용하여 배면 일부가 개구된 직사각 함체 형상을 갖게 성형한 것으로, 개구부에 대한 덮개 기능 및 선반 기능을 갖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50)의 메인 판재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커버 본체(51)의 배면에는 후술하는 힌지부재(52)의 결합을 원활히 하기 위해 최소한 힌지부재(52)의 가로 폭에 대응하는 힌지부재 삽입홈(도면부호 기입 생략함)과, 힌지부재(52)에 구비되는 한 쌍의 힌지부재 고정돌기(525)가 각각 끼워져 걸려질 수 있는 고정돌기 걸림공(511)들을 배면 양측에 각각 한 쌍씩 형성시켜 준 것을 포함한다.
또,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52)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특정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한 것으로, 상기 커버 본체(51)의 배면 양측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힌지부재(52)들은 상기 선반겸용 커버(50) 자체를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 기능을 수행하게 됨은 물론, 상기 선반겸용 커버(50)가 닫혔을 때는 닫힌 상태를 유지되게 하고, 선반겸용 커버가 열려 선반으로 사용될 때에는 후술하는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와 결합되어 선반 형태를 유지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힌지부재(52)는 도 도 7 및 도 8의 (a)(b)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힌지 몸체(521)와 힌지봉(522) 및 탄성형 락킹돌기(523)를 구비하고, 이에 더하여 지지부재 좌우이탈 방지돌기(524)와 한 쌍의 힌지부재 고정돌기(525)가 선택적 또는 동시에 더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힌지 몸체(521)는 상기 커버 본체(51)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직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다.
또, 상기 힌지봉(522)은 상기 힌지 몸체(521)의 상면 중앙에서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40)의 힌지 결합 홀더(42) 내에 착탈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재(52)를 포함하여 이들이 결합된 커버 본체(51) 즉, 선반겸용 커버(50) 자체가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40)의 힌지 결합 홀더(42)를 기점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축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탄성형 락킹돌기(523)는 상기 힌지 몸체(521)의 배면 하방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선반겸용 커버(50)가 닫힐 때, 상기 프레임(10)의 수직부재(12) 전면에 형성시켜 놓은 락킹돌기 걸림공(121) 내로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선반겸용 커버(50) 자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탄성형 락킹돌기(523)는 두개의 탄성편이 측면에서 볼 때 "ㅕ" 형상을 가짐은 물론 상기 탄성편의 단부 외측에는 쇄기 형상의 걸림돌기가 구비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상기 선반겸용 커버(5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쇄기 형상의 걸림작동에 의해 상기 탄성형 락킹돌기(523)가 상기 수직부재(12)의 락킹돌기 걸림공(121)에 걸려진 형태를 유지하나, 외부에서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탄성형 락킹돌기(523)의 두 탄성편 사이 공간부가 장김력 및 쇄기 형상의 걸림돌기 경사면 형상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좁아지며, 쇄기 형상의 걸림돌기가 락킹돌기 걸림공(121) 내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상기 선반겸용 커버(50)가 열려지게 된다.
또, 상기 지지부재 좌우이탈 방지돌기(524)는 자유단부에 평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 안착홈(도면 부호 기입 생략함)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재(52)의 힌지 몸체(521) 배면 중 하방부 타측에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 좌우이탈 방지돌기(524)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상방향으로 90도 열고, 후술하는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를 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다음,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를 이용하여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파티션에 구비된 선반 형태로 결합시킬 때,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의 상부 수평 지지부(821)가 상기 지지부재 좌우이탈 방지돌기(524)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U"자 형상의 지지부재 안착홈 내에 끼워져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 자체가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 고정돌기(525)는 상기 힌지부재(52)의 힌지 몸체(521) 외측 날개부 상에는 상,하부로 일정거리를 일체로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커버 본체(51)의 배면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 걸림공(511)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힌지부재(52)가 커버 본체(51)의 배면 양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밖에도, 상기 힌지부재(52)의 힌지 몸체(521) 배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한 쌍의 지지부재 밀착바(526)를 더 돌출 형성시켜 줄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밀착바(526)는 상기 힌지부재 고정돌기(525)와 가로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지지부재 밀착바(526)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상방향으로 90도 열고, 후술하는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를 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다음,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를 이용하여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파티션에 구비된 선반 형태로 결합시킬 때, 상기한 지지부재 좌우이탈 방지돌기(524)와 별개로 후술하는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수평 지지부(821)의 전후방부 상면에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밀착바(526) 저면이 도 5의 확대도와 같이 밀착되는 형태로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겸용 커버(50)의 저면은 상기한 지지부재 좌우이탈 방지돌기(524)와 한 쌍의 지지부재 밀착바(526)를 통해 후술하는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수평 지지부(821)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받쳐지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한 쌍의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에 의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선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피봇(60) 및 하부 피봇(70)은 하나의 선반겸용 커버(50) 당 적어도 두 쌍(즉, 상부 피봇(60) 2개, 하부 피봇(70) 두개)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수직부재(12)들 중 서로 대향된 수직부재(12)의 내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고,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가 파티션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최소 90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상부 피봇(60) 및 하부 피봇(70) 중 상기 상부 피봇(60)은 도 9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등을 이용하여 성형하되, 일측면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수직부재(12)에 형성된 피봇 고정공(도면 부호 기입 생략함)에 끼워지는 고정돌기(61)가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의 수직형 힌지봉(81)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봉 결합공(62)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상부 피봇(60)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 회전 방지홈(63)을 더 형성시켜 준 것을 포함한다.
또, 상기 하부 피봇(70)은 도 9와 같이, 직육면에 형상을 갖도록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등을 이용하여 성형하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수평부재(11)가 끼워지는 수평부재 안착홈(71)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의 수직형 힌지봉(81)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봉 결합공(72)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 밖에도 비록 도면 부호 기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상부 피봇(60) 및 하부 피봇(70)에는 각각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수직부재(1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스크류 결합공 또는 스크류 통과공이 더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는 하나의 선반겸용 커버(50) 당 적어도 한 쌍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피봇(60) 및 상기 하부 피봇(7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겸용 커버(50)가 파티션의 프레임(10) 중간 개구부에서 덮개 기능이 아닌 선반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선반겸용 커버(50)의 저면 양측을 견고하게 받쳐주어 상기 선반겸용 커버(50) 자체가 선반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50)가 파티션의 프레임(10) 중간 개구부에서 덮개 형태로 닫혀 있을 때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중간 개구부에 형성된 공간부 내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상방향으로 90도 열고 선반 형태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겸용 커버(50)의 저면 양측을 견고하게 받쳐주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굵은 와이어로 이루어진 수직형 힌지봉(81)과 커버 수평 지지봉(82)을 일체로 결합시킨 형태를 갖는다.
상기한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의 구성요소 중 상기 수직형 힌지봉(81)의 상,하단부는 각각 상호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상부 피봇(60) 및 상기 하부 피봇(70)에 각각 형성된 힌지 결합봉(62)(7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 자체가 상기 상부 피봇(60) 및 상기 하부 피봇(70)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더불어 회전축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커버 수평 지지봉(82)은 상부 수평 지지부(821)와 하부 수평 지지부(822) 및 경사 지지부(823)가 일체로 연이어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커버 수평 지지봉(82)의 구성요소 중 상기 상부 수평 지지부(821)는, 자유단부가 상기 수직형 힌지봉(81)의 상방부 외면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갖고, 상기 선반겸용 커버(50)가 선반 형태로 사용되고자 할 때, 상기 선반겸용 커버(50)의 저면을 직접적으로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하부 수평 지지부(822)는, 자유단부가 상기 수직형 힌지봉(81)의 하방부 외면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경사 지지부(823)를 통해 상기 상부 수평 지지부(821)가 수형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지속적으로 받쳐주게 지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경사 지지부(823)는 상기 상부 수평 지지부(821) 및 상기 하부 수평 지지부(822) 사이에서 정해진 각도를 갖고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하부 수평 지지부(822)와 함께 상기 상부 수평 지지부(821)를 지지해 주어, 선반으로 사용되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직접적으로 받쳐 주고 있는 상기 상부 수평 지지부(821)가 지속적으로 수형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받쳐주게 지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커버 수평 지지봉(82)의 상기 상부 수평 지지부(821)는, 제 1 수평 지지부(821a)와 수직 지지부(821b) 및 제 2 수평 지지부(821c)를 일체로 절곡 형성한 형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수평 지지부(821a)는 제일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겸용 커버(50)가 선반 형태로 사용되고자 할 때, 상기 선반겸용 커버(50)의 저면을 직접적으로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수직 지지부(821b)는 상기 제 1 수평 지지부(821a)와 제 2 수평 지지부(821c)가 상호 단차진 형태에서 일체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 2 수평 지지부(821c)는 상기 제 1 수평 지지부(821a)보다 상기 수지 지지부(821b)의 높이 만큼 낮은 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자유단부가 상기 수직형 힌지봉(81)의 상방부 외면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갖고,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가 도 4와 같이 프레임(10)의 중간 개구부 내측으로 회전되었을 때(즉, 선반용 커버(50)가 닫혀 있을 때), 상기 상부 피봇(6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부재 회전 방지홈(63) 내에 안착되어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 자체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는 파티션이 설치된 주변환경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원하는 개수만큼 선택적으로 또는 교차되게 설치하고, 선반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파티션 전면 또는 후면의 선반겸용 커버(50)를 열고,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들을 열려진 선반겸용 커버(50) 측으로 90도 회전(즉, 파티션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다음 열려진 선반겸용 커버(50)을 받쳐 주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 피봇(60)과 상기 하부 피봇(70) 및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들을 파티션 프레임(10)의 중간 개구부이 구획된 각각의 공간부 내의 수직부재(12)에 각각 한 쌍씩만 설치하지 않고, 상기 수직부재(12) 내측면 전,후방향으로 각각 두 쌍씩 설치하여 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에서 각각 전,후방에 설치된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들을 파티션의 전,후방향으로 동시에 모두 또는 특정 구간에서만 동시에 열고, 이렇게 전,후방향으로 동시에 열려진 각각의 선반겸용 커버(50)들을 프레임(10)의 중간 개구부에 각각 두 쌍씩 설치된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80)들을 각각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다음, 이를 이용하여 전,후방향으로 열려진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들을 동시에 선반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각종 배선이 내부 공간부를 관통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배선 설치부(14)를 더 구비시키고, 상기 배선 설치부(14)의 전후면에는 배선 노출 방지용 커버(9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배선 설치부(14)를 더 구비시켜 주고, 상기 배선 설치부(14)의 전후면에 배선 노출 방지용 커버(90)를 착탈 가능 더 설치해 주게 되면, 종래 프레임(10)의 중간 개구부에 배치되던 배선들을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된 배선 설치부(14)에 배치하고 전후면을 상기 배선 노출 방지용 커버(90)로 막어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파티션의 상기 프레임(10) 중간부에 설치한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선반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선반겸용 커버(50)를 선반으로 사용할 때, 개구된 중간 부분에 종래와 같이 배선 등이 전혀 배치되지 않고 속이 텅빈 상태를 갖게 되므로 파티션 자체의 외관상 미려함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프레임 11 : 수평부재
12 : 수직부재 121 : 락킹돌기 걸림공
13 : 높이 조절용 다리 14 : 배선 설치부
20 : 상부 커버
30 : 하부 커버
40 : 선반겸용 커버 홀더
41 : 홀더 몸체 42 : 힌지 결합 홀더
43 : 스크류 통과공 44 : 회전 방지편
50 : 선반겸용 커버
51 : 커버 본체 511 : 고정돌기 걸림공
52 : 힌지부재 521 : 힌지 몸체
522 : 힌지봉 523 : 탄성형 락킹돌기
524 : 지지부재 좌우이탈 방지돌기
525 : 힌지부재 고정돌기 526 : 지지부재 밀착바
60 : 상부 피봇 61 : 고정돌기
62 : 힌지봉 결합공 63 : 지지부재 회전 방지홈
70 : 하부 피봇
71 : 수평부재 안착홈 72 : 힌지봉 결합공
80 :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
81 : 수직형 힌지봉 82 : 커버 수평 지지봉
821 : 상부 수평 지지부 821a : 제 1 수평 지지부
821b : 수직 지지부 821c : 제 2 수평 지지부
822 : 하부 수평 지지부 823 : 경사 지지부
90 : 배선 노출 방지용 커버

Claims (12)

  1. 저부에 높이 조절용 다리가 구비된 사각틀체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면 상,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커버과;
    상기 프레임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개구부의 수직바 상단 전후면에서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 홀더와;
    배면 상단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선반겸용 커버 홀더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중간 개구부에 대한 덮개 기능 및 선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수직부재들 중 서로 대향된 수직부재의 내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를 지지해 주는 적어도 두 쌍 이상의 상부 피봇 및 하부 피봇;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피봇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반겸용 커버가 선반 기능을 수행할 때 선반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 주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겸용 커버는,
    배면 일부가 개구된 직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배면 양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겸용 커버를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 줌은 물론 상기 선반겸용 커버가 닫혔을 때는 닫힌 상태를 유지시켜 주고, 상기 선반겸용 커버가 열려 선반으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선반겸용 커버가 선반 형태를 유지되게 하는 한 쌍의 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재는,
    직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힌지 몸체와;
    상기 힌지 몸체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의 힌지 결합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봉; 및
    상기 힌지 몸체의 배면 하방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선반겸용 커버가 닫힐 때,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재에 형성된 락킹돌기 걸림공 내로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선반겸용 커버가 닫힌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탄성형 락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겸용 커버 홀더는,
    홀더 몸체의 상단 전방부에 힌지 결합 홀더가 구비된 구성을 갖되,
    상기 홀더 몸체 일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는 회전 방지편이 선택적으로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의 배면 하방부 타측에는 지지부재 좌우이탈 방지돌기가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의 배면에서 가로 방향으로는 소정 거리를 두고 한 쌍의 지지부재 밀착바를 더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의 외측 날개부 상에는 상기 커버 본체의 배면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힌지부재가 커버 본체의 배면 양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한 쌍의 힌지부재 고정돌기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피봇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일측면에는 프레임의 수직부재에 형성된 피봇 고정공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의 수직형 힌지봉 상단부가 끼워지는 힌지봉 결합공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 피봇은,
    직육면에 형상을 갖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수평부재가 끼워지는 수평부재 안착홈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의 수직형 힌지봉 하단부가 끼워지는 힌지봉 결합공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겸용 커버 지지부재는,
    상,하단부가 상기 상부 및 하부 피봇에 구비된 힌지 결합봉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형 힌지봉과;
    자유단부가 상기 수직형 힌지봉의 상방부 외면에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갖고 상기 선반겸용 커버를 직접 받쳐주는 상부 수평 지지부와, 자유단부가 상기 수직형 힌지봉의 하방부 외면에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갖는 하부 수평 지지부 및, 상기 상,하부 수평 지지부 사이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된 경사 지지부를 구비한 커버 수평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배선 설치부를 더 구비시키고, 상기 배선 설치부의 전후면에는 배선 노출 방지용 커버를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겸용 커버는,
    파티션의 전체폭에 대응하여 전,후면 중 어느 한 면 또는 두 면 모두에 1개 또는 2개 또는 3개를 선택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겸용 커버는,
    파티션이 설치된 주변환경에 대응하여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원하는 개수만큼 선택적으로 또는 교차되게 열어 선반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KR1020210132434A 2021-10-06 2021-10-06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KR102466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434A KR102466402B1 (ko) 2021-10-06 2021-10-06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434A KR102466402B1 (ko) 2021-10-06 2021-10-06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402B1 true KR102466402B1 (ko) 2022-11-10

Family

ID=8404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434A KR102466402B1 (ko) 2021-10-06 2021-10-06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40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721A (ja) * 2001-01-12 2002-07-23 Jamco Corp サービスワゴン
KR200301149Y1 (ko) 2002-10-04 2003-01-15 주식회사 퍼시스 도어 패널을 구비한 칸막이
KR101370380B1 (ko) * 2013-07-29 2014-03-05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기능성 파티션
KR101852552B1 (ko) * 2017-06-29 2018-04-27 뷰로맥스 주식회사 자석부재를 이용한 하부커버 부착형 슬라이딩 연결 장치를 갖는 파티션
KR102050979B1 (ko) 2019-03-21 2019-12-02 (주)선명테크 펼침 각 전환이 자유로운 원터치 조립형 파티션 벨트라인 힌지장치
KR102055296B1 (ko) 2018-12-21 2019-12-12 뷰로맥스 주식회사 파티션 벨트라인의 접이식 선반용 개폐유닛
KR20210000873A (ko) 2019-06-26 2021-01-06 정순태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721A (ja) * 2001-01-12 2002-07-23 Jamco Corp サービスワゴン
KR200301149Y1 (ko) 2002-10-04 2003-01-15 주식회사 퍼시스 도어 패널을 구비한 칸막이
KR101370380B1 (ko) * 2013-07-29 2014-03-05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기능성 파티션
KR101852552B1 (ko) * 2017-06-29 2018-04-27 뷰로맥스 주식회사 자석부재를 이용한 하부커버 부착형 슬라이딩 연결 장치를 갖는 파티션
KR102055296B1 (ko) 2018-12-21 2019-12-12 뷰로맥스 주식회사 파티션 벨트라인의 접이식 선반용 개폐유닛
KR102050979B1 (ko) 2019-03-21 2019-12-02 (주)선명테크 펼침 각 전환이 자유로운 원터치 조립형 파티션 벨트라인 힌지장치
KR20210000873A (ko) 2019-06-26 2021-01-06 정순태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1731B1 (en) Folding table
MXPA97008824A (en) Table fold
US8033038B2 (en) Ironing station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KR102466402B1 (ko)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US5685600A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US7234603B1 (en) Swing-arm rack with drop-arm locking mechanism
KR20220132138A (ko) 벨트라인 상에 개폐식 선반 기능을 구비한 파티션
KR102482909B1 (ko) 중간부위에 조립식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KR20200001450U (ko) 수납장치
KR101932430B1 (ko)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KR101761519B1 (ko) 밀고 당기는 건조대
KR20140001103U (ko) 접이식 선반
KR200358037Y1 (ko) 파티션의 도어 패널 회동구조
KR101777081B1 (ko) 요통 예방 건조대
KR20140000226U (ko) 가구 구조
KR20170000391U (ko) 접이식 이동선반
KR101045319B1 (ko) 의자용 착탈식 수납함
JP2017217332A (ja) ベンチ兼用介護ベッド
JP7323118B2 (ja) 宅配ボックス
KR101318943B1 (ko) 배선덕트 일체형 책상프레임
JP2020120946A (ja) 鏡装置
KR102514782B1 (ko) 폴딩 테이블
KR20190126226A (ko)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CN217039378U (zh) 浴室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