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887B1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887B1
KR102405887B1 KR1020210118732A KR20210118732A KR102405887B1 KR 102405887 B1 KR102405887 B1 KR 102405887B1 KR 1020210118732 A KR1020210118732 A KR 1020210118732A KR 20210118732 A KR20210118732 A KR 20210118732A KR 102405887 B1 KR102405887 B1 KR 102405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ar
case
bar
elastic member
electrod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석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석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석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21011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부품이나 장비 또는 도구를 올려놓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은 사용자가 도어(11)를 열면, 상기 와이어에 의해 수납케이스(32)가 전방으로 당겨져 가이드케이스(3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전반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부품이나 도구를 수납케이스(32)에 수납할 수 있음으로, 배전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전반{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부품이나 장비 또는 도구를 올려놓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전원을 분기하여 각 수용가 또는 각 수용가의 방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배전반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선(26)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실내배선(25)으로 공급하는 분기유닛(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금속재의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양측 전면에 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케이스(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벽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매입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유닛(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된 주차단기(22) 및 보조차단기(23)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4)로 구성된다.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는 실내배선(25)에 합선이 발생되거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상기 부스바(24)와 실내배선(25)에 과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주차단기(22)에 전원선(26)을 연결하고, 상기 보조차단기(23)에 실내배선(25)에 연결하여, 상기 전원선(26)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실내배선(25)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배전반은 장기간 사용할 시, 부스바(24)에 열화나 저항변화 또는 열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기 역시 장시간 사용시 고장을 일으킬 수 있음으로, 정기적으로 검사 및 유지보수를 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부품이나 도구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상기 배전반이 수직벽면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관계로, 이러한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보수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이나 도구를 올려놓을 곳이 마땅치 않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383834호 등록특허 10-113493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부품이나 장비 또는 도구를 올려놓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선(26)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실내배선(25)으로 공급하는 분기유닛(20)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11)는 상기 케이스(10)의 양측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전반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전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하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케이스(31)와, 상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케이스(3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내부에 부품이나 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납케이스(32)와, 상기 수납케이스(32)에 연결되어 수납케이스(32)가 가이드케이스(31)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제1 탄성부재(33)와, 상기 수납케이스(32)의 후단부와 상기 도어(11)를 연결하여 도어(11)를 열면 상기 수납케이스(32)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연결와이어(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된 주차단기(22) 및 보조차단기(23)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4)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11)에는 표시창(12)이 형성되며, 상기 전원선(26)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선(26)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수단(4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지진발생시 상기 전원차단수단(4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과, 상기 전원차단수단(4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차단수단(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블록형태로 구성되고 전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41a)이 형성된 부도체재질의 지지블록(41)과, 상기 가이드홈(41a)의 상하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원선(26)의 중간부에 연결된 상하측 전극부재(42,43)와, 상기 가이드홈(41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지지블록(4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44a)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4a)의 상면에는 결합홈(44b)이 형성된 슬라이드바(44)와,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중간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며 상하단이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에 접촉되어 상하측 전극부재(42,4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45)와, 상기 슬라이드바(4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44)를 상기 통전부재(45)와 상하측 전극부재(42,43)가 상호 이격되도록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46)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지지판(51a)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승강판(51)과, 상기 승강판(51)의 하측을 지지하여 승강판(51)이 승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3 탄성부재(52)와, 상기 지지판(51a)의 상면에 전후 및 양측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제4 탄성부재(53a)에 의해 전후면과 양측면이 지지되며 상면에는 중앙부가 하측으로 오목한 캠홈(53b)이 형성된 캠블록(53)과, 상기 승강판(5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캠홈(53b)의 중앙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가이드공(54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지지판(54)과, 상기 가이드공(54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이 상기 캠홈(53b)에 삽입되며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연장부(44a) 상측으로 연장된 결합부(55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55a)의 선단부 하측에는 상기 결합홈(44b)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55b)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승강바(55)와, 상기 승강바(55)에 연결되어 승강바(55)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제5 탄성부재(56)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55b)는 상기 통전부재(45)와 상하측 전극부재(42,43)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홈(44b)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수단(60)은 상기 표시창(12)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표시블록(61)과, 상기 표시블록(61)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바(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은 사용자가 도어(11)를 열면, 상기 와이어에 의해 수납케이스(32)가 전방으로 당겨져 가이드케이스(3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전반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부품이나 도구를 수납케이스(32)에 수납할 수 있음으로, 배전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배전반의 분기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작용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표시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표시수단을 도시한 참고도,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것으로,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선(26)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실내배선(25)으로 공급하는 분기유닛(2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벽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매입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1)는 상기 케이스(10)의 양측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된 주차단기(22) 및 보조차단기(23)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4)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전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하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케이스(31)와, 상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케이스(3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내부에 부품이나 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납케이스(32)와, 상기 수납케이스(32)에 연결되어 수납케이스(32)가 가이드케이스(31)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제1 탄성부재(33)와, 상기 수납케이스(32)와 도어(11)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3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33)는 상기 가이드케이스(31)의 전면과, 수납케이스(32)의 후측면을 연결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연결와이어(34)는 강도가 높은 금속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하측면에 구비된 여러개의 가이드로울러(36)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상기 수납케이스(32)의 하단부 일측과 상기 수납케이스(32)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도어(11)를 열면 상기 수납케이스(32)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케이스(31)는 측방향 폭이 상기 수납케이스(32)의 측방향 폭에 비해 넓게 구성되어, 수납케이스(32)의 일측과 가이드케이스(31)의 측면의 사이에 공간부(35)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와이어(34)의 선단부는 상기 공간부(35)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납케이스(32)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11)를 열면, 상기 와이어에 의해 수납케이스(32)가 전방으로 당겨져 가이드케이스(3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전반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부품이나 도구를 수납케이스(32)에 수납할 수 있음으로, 배전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도어(11)를 닫으면, 상기 제1 탄성부재(33)가 수납케이스(32)를 후방으로 밀어 수납케이스(32)가 가이드케이스(3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납케이스(10)를 가이드케이스(31)의 내부로 밀어 넣을 필요가 없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어(11)에는 표시창(12)이 형성되며, 상기 전원선(26)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선(26)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수단(4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지진발생시 상기 전원차단수단(4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과, 상기 전원차단수단(4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표시창(12)은 도어(11)의 일측에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원차단수단(4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된 블록형태로 구성되고 전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41a)이 형성된 부도체재질의 지지블록(41)과, 상기 가이드홈(41a)의 상하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원선(26)의 중간부에 연결된 상하측 전극부재(42,43)와, 상기 가이드홈(41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지지블록(4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44a)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4a)의 상면에는 결합홈(44b)이 형성된 슬라이드바(44)와,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중간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며 상하단이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에 접촉되어 상하측 전극부재(42,4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45)와, 상기 슬라이드바(4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44)를 상기 통전부재(45)와 상하측 전극부재(42,43)가 상호 이격되도록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46)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록(41)은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홈(41a)의 상하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1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41)의 우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41a)과 연결되는 관통공(41b)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는 상기 지지블록(41)의 돌출부(41c)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의 상하단에는 상기 전원선(26)이 고정되는 고정부(42a,43a)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바(44)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44a)는 상기 관통공(41b)을 통해 지지블록(41)의 우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홈(44b)은 슬라이드바(44)의 우측단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바(44)는 전면이 상기 지지블록(41)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전부재(45)는 슬라이드바(44)가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상하단이 상하측 전극부재(42,43)에 밀착되어 상하측 전극부재(42,43)가 상호 통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이드바(44)가 좌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다.
상기 제2 탄성부재(46)는 좌측단이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우측면에 밀착되고 우측단이 상기 가이드홈(41a)의 우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장부(44a)의 외측에 끼움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구동수단(50)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지지판(51a)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승강판(51)과, 상기 승강판(51)의 하측을 지지하여 승강판(51)이 승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3 탄성부재(52)와, 상기 지지판(51a)의 상면에 전후 및 양측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제4 탄성부재(53a)에 의해 전후면과 양측면이 지지되며 상면에는 중앙부가 하측으로 오목한 캠홈(53b)이 형성된 캠블록(53)과, 상기 승강판(5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캠홈(53b)의 중앙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가이드공(54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지지판(54)과, 상기 가이드공(54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캠홈(53b)에 삽입되는 승강바(55)와, 상기 승강바(55)에 연결되어 승강바(55)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제5 탄성부재(56)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판(51)은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21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51a)의 상면은 정밀한 평면으로 가공된다.
상기 제3 탄성부재(5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상단은 승강판(51)의 하측에 밀착되고 하측단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구비된 지지부(21b)에 밀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지진에 의해 베이스패널(21)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할 때, 상기 승강판(51)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캠블록(53)은 하측면이 정밀한 평면을 이루도록 가공된 것으로, 하측면에는 마찰계수가 낮은 합성수지로 코팅되어, 상기 지지판(51a)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기 제4 탄성부재(53a)는 인접단은 상기 캠블록(53)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측단은 상기 캠블록(53)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51a)의 상면에 구비된 4개의 지지부(51b)에 밀착되어, 캠블록(53)의 둘레부 4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지진에 의해 베이스패널(21)이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진동할 때, 캠블록(53)이 측방향이나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승강바(55)는 하단이 반구형태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캠홈(53b)의 중앙부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연장부(44a) 상측으로 연장된 결합부(55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55a)의 선단부 하측에는 상기 결합홈(44b)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55b)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55b)는 상기 슬라이드바(44)가 우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통전부재(45)의 상하단이 상하측 전극부재(42,43)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44b)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바(44)가 좌측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55)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지지판(54)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플랜지부(55c)가 구비된다.
상기 제5 탄성부재(56)는 상단이 상기 상부지지판(54)의 하측면에 밀착되고 하단이 상기 플랜지부(55c)에 밀착되도록 상기 승강바(55)의 외측에 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표시수단(60)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창(12)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표시블록(61)과, 상기 표시블록(61)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바(62)와, 상기 표시블록(61)을 우측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63)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블록(61)은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구비된 지지편(13)에 의해 상하측 둘레부가 지지되어, 도어(11)의 후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바(62)의 후단부는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좌측면에 근접되도록 위치설정된다.
이때, 상기 표시블록(61)의 전면에는 좌우측에는 on-off가 기재되어, 정상상태에는 상기 on표시가 상기 투시창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바(44)가 좌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연장바(62)와 표시블록(61)이 좌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off표시가 상기 투시창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에는 상기 전원차단수단(40)의 슬라이드바(44)가 우측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50)에 의해 위치고정되어, 상기 전원선(26)을 통해 인가된 전원이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와 통전부재(45)를 통해 주차단기(22)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진동되는 지진이 발생되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21)이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진동할 경우, 상기 제4 탄성부재(53a)의 탄성에 의해 상기 캠블록(53)이 유동되지 않게 지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승강바(55)에 대해 캠블록(53)이 상대적으로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때, 승강바(55)의 하단이 캠홈(53b)의 둘레부, 즉,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밀착되어 승강바(55)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됨으로, 상기 결합돌기(55b)와 슬라이드바(44)의 결합홈(44b)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46)에 의해 슬라이드바(44)가 좌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와 통전부재(45)의 연결이 해제된다.
또는,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지진이 발생되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패널(21)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경우, 상기 제3 탄성부재(52)에 의해 승강판(51)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승강바(55)에 대해 캠블록(53)이 상대적으로 승강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승강바(55)가 캠블록(53)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서, 상기 결합돌기(55b)와 슬라이드바(44)의 결합홈(44b)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46)에 의해 슬라이드바(44)가 좌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와 통전부재(45)의 연결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하방향이나 측방향의 지진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전원선(26)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가 실내배선(25)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이와 함께,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바(44)가 좌측으로 밀림에 따라, 상기 연장바(62)와 표시블록(61)이 좌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표시창(12)에 상기 표시블록(61)에 기재된 off표시가 위치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상기 표시창(12)에 나타난 off표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전원선(26)을 통해 공급된 전기가 차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 케이스 20. 분기유닛
31. 가이드케이스 32. 수납케이스
33. 제1 탄성부재 34. 연결와이어

Claims (2)

  1. 전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선(26)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분기하여 실내배선(25)으로 공급하는 분기유닛(20)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11)는 상기 케이스(10)의 양측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전반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전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하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케이스(31)와,
    상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케이스(3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내부에 부품이나 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납케이스(32)와,
    상기 수납케이스(32)에 연결되어 수납케이스(32)가 가이드케이스(31)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제1 탄성부재(33)와,
    상기 수납케이스(32)의 후단부와 상기 도어(11)를 연결하여 도어(11)를 열면 상기 수납케이스(32)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연결와이어(34)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21)과, 상기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된 주차단기(22) 및 보조차단기(23)와, 상기 주차단기(22)와 보조차단기(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스바(24)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11)에는 표시창(12)이 형성되며,
    상기 전원선(26)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선(26)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수단(4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지진발생시 지진발생에 의한 진동에 의해 상기 전원차단수단(4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과,
    상기 전원차단수단(4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차단수단(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블록형태로 구성되고 전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41a)이 형성된 부도체재질의 지지블록(41)과,
    상기 가이드홈(41a)의 상하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원선(26)의 중간부에 연결된 상하측 전극부재(42,43)와,
    상기 가이드홈(41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지지블록(4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44a)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4a)의 상면에는 결합홈(44b)이 형성된 슬라이드바(44)와,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중간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며 상하단이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에 접촉되어 상하측 전극부재(42,4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45)와,
    상기 슬라이드바(4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44)를 상기 통전부재(45)와 상하측 전극부재(42,43)가 상호 이격되도록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46)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지지판(51a)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승강판(51)과,
    상기 승강판(51)의 하측을 지지하여 승강판(51)이 승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3 탄성부재(52)와,
    상기 지지판(51a)의 상면에 전후 및 양측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제4 탄성부재(53a)에 의해 전후면과 양측면이 지지되며 상면에는 중앙부가 하측으로 오목한 캠홈(53b)이 형성된 캠블록(53)과,
    상기 승강판(5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캠홈(53b)의 중앙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가이드공(54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지지판(54)과,
    상기 가이드공(54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이 상기 캠홈(53b)에 삽입되며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연장부(44a) 상측으로 연장된 결합부(55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55a)의 선단부 하측에는 상기 결합홈(44b)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55b)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승강바(55)와,
    상기 승강바(55)에 연결되어 승강바(55)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제5 탄성부재(56)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55b)는 상기 통전부재(45)와 상하측 전극부재(42,43)가 상호 접촉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바(44)된 상태에서 결합홈(44b)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수단(60)은
    상기 표시창(12)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어(11)의 후측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표시블록(61)과,
    상기 표시블록(61)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바(44)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바(62)를 포함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슬라이드바(44)가 상기 구동수단(50)에 의해 위치고정되어, 상기 전원선(26)을 통해 인가된 전원이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와 통전부재(45)를 통해 상기 주차단기(22)로 공급되고,
    지진에 의해 상기 베이스패널(21)이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진동할 경우, 상기 제4 탄성부재(53a)의 탄성에 의해 상기 캠블록(53)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승강바(55)의 하단이 상기 캠홈(53b)의 둘레부에 밀착되도록 위치하게 되어, 상기 승강바(55)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고, 상기 승강바(55)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짐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55b)와 슬라이드바(44)의 결합홈(44b)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46)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바(44)가 밀리면서,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와 통전부재(45)의 연결이 해제되며,
    지진에 의해 상기 베이스패널(21)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경우, 상기 제3 탄성부재(52)에 의해 상기 승강판(51)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승강바(55)가 상기 캠블록(53)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서, 상기 결합돌기(55b)와 상기 슬라이드바(44)의 결합홈(44b)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46)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바(44)가 밀리면서, 상기 상하측 전극부재(42,43)와 통전부재(45)의 연결이 해제되며,
    상기 슬라이드바(44)가 밀림에 따라, 상기 연장바(62)와 상기 표시블록(61)이 밀리면서, 상기 표시창(12)에 상기 표시블록(61)에 기재된 off표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삭제
KR1020210118732A 2021-09-07 2021-09-07 배전반 KR102405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732A KR102405887B1 (ko) 2021-09-07 2021-09-07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732A KR102405887B1 (ko) 2021-09-07 2021-09-07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887B1 true KR102405887B1 (ko) 2022-06-08

Family

ID=8198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732A KR102405887B1 (ko) 2021-09-07 2021-09-07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985B1 (ko) * 2023-03-22 2023-12-08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내진기능이 있는 배전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933B1 (ko) 2011-02-25 2012-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KR101383834B1 (ko) 2012-10-30 2014-04-10 (주)한양판금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65646B1 (ko) * 2017-02-22 2018-07-13 (주)한성기술단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KR101980052B1 (ko) * 2018-10-19 2019-05-17 장기헌 내진기능이 구비된 배전반
KR20210020277A (ko) * 2019-08-14 2021-02-24 대한이씨엠주식회사 비상전원차단이 가능한 전기 소방 통신 장비용 분배전함
KR102298930B1 (ko) * 2020-06-17 2021-09-07 (주)케이제이종합감리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배전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933B1 (ko) 2011-02-25 2012-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KR101383834B1 (ko) 2012-10-30 2014-04-10 (주)한양판금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65646B1 (ko) * 2017-02-22 2018-07-13 (주)한성기술단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KR101980052B1 (ko) * 2018-10-19 2019-05-17 장기헌 내진기능이 구비된 배전반
KR20210020277A (ko) * 2019-08-14 2021-02-24 대한이씨엠주식회사 비상전원차단이 가능한 전기 소방 통신 장비용 분배전함
KR102298930B1 (ko) * 2020-06-17 2021-09-07 (주)케이제이종합감리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985B1 (ko) * 2023-03-22 2023-12-08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내진기능이 있는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898B1 (ko) 배전반
KR102405887B1 (ko) 배전반
KR100973944B1 (ko) 분전반용 플러그
CN104835700A (zh) 控制与保护开关
KR102405899B1 (ko) 배전반
EP2926356A1 (en) Switching device with several regions of connection
US2448650A (en) Electric control switch
KR101044288B1 (ko)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US3480892A (en) Electromagnetic relay for switching an electric circuit
KR102299285B1 (ko) 배전반
KR20150137339A (ko) 배전반
KR100759526B1 (ko) 전동기 제어반
KR100934276B1 (ko) 전력장치 배전반용 배전함
KR101135150B1 (ko)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CN101552148B (zh) 防短路多联开关
KR102100201B1 (ko) 수배전반 결선용 전선 세팅 장치
KR101931786B1 (ko) 배전반 및 그 조립 방법
CN206040494U (zh) 一种适用于刀开关的绝缘底板
KR20090003405U (ko) 단자대
KR200214270Y1 (ko) 배전반
KR102621370B1 (ko) 배전선로용 접지 커넥터 장치
CN214589465U (zh) 一种自然灾害条件下用应急电源快速接入装置
KR101180492B1 (ko) 배전반용 안전유리도어
KR102269302B1 (ko)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
CN214479818U (zh) 一种便于安装的一体式中压自动转换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