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834B1 -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834B1
KR101383834B1 KR1020120121635A KR20120121635A KR101383834B1 KR 101383834 B1 KR101383834 B1 KR 101383834B1 KR 1020120121635 A KR1020120121635 A KR 1020120121635A KR 20120121635 A KR20120121635 A KR 20120121635A KR 101383834 B1 KR101383834 B1 KR 101383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late
side wall
wall portion
main body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춘만
Original Assignee
(주)한양판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양판금 filed Critical (주)한양판금
Priority to KR102012012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형 형상의 본체부(101)와, 상기 본체부(101)의 사변에 위치하며 각 변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측벽부(103)와,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끝단이 측벽부(103)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평판을 포함하는 배전반용 도어(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1)의 하부에 위치한 측벽부(103)의 변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제3수평판은 상기 본체부(101)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2수평판(106)를 수평절첩하였을 때 상기 제2수평판(106)으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수평판(106)과 제3수평판(108)의 사이에 배수홈(107)이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서,
배수공을 형성하고자 하는 별도의 펀칭작업 없이 도어의 전개도 외측의 타발만으로도 배수홈이 구비되므로서 공정순서가 단축되고 그에 따른 소요비용 및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Door For Switchboar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하부에 위치한 제3수평판의 가로변 길이를 측벽부의 가로변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별도의 펀칭 작업 없이 배수공이 형성되므로 제조시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Switchboard)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력용 설비이며, 배전 및 배전의 제어에 필요한 점검용계기, 개폐기, 안전장치 등을 수직 또는 수평반 위에 장치한 것이다.
상기 배전반에는 배전반에 설치된 전장물의 수리 및 보수가 가능하도록 배전반 본체(1)의 전면에 도어(2)를 갖추어져 있는데, 이 도어(2)는 도 1에서와 같이 본체(1)의 일측에 도어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체(1)와 도어(2)가 결합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2)의 내면 일측 상,하부에는 원통형의 제 1 핀홀더(3)가 용접되어 있으며, 본체(1)의 전방 일측단 상,하부에는 상기 제 1 핀홀더(3)와 부합되도록 제 2 핀홀더(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2 핀홀더(3, 4)는 힌지핀(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 공정 시에는 도어(2)의 내부 일측 상하부에 제 1 핀홀더(3)를 각각 용접하여 고정시킨 다음, 용접한 부위의 용접살을 제거하기 위한 다듬질 작업을 한다.
그리고 본체(1)의 전방 일측 상, 하부에 상기 제 1 핀홀더(3)와 부합되는 위치에 제 2 핀홀더(4)를 나사에 의해 체결 고정한다.
다음, 상기 제 1 핀홀더(3)와 제 2 핀홀더(4)를 길이 방향으로 일치시킨 다음, 힌지핀(5)을 제 1, 2 핀홀더(3, 4)로 관통시켜 제 1, 2 핀홀더를 연결함에 따라 본체(1)와 도어(2)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2)는 힌지핀(5)에 의해 고정된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도어(2)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21)는 단일체로 구성된 전개도가 접철되어 전면에 개구된 박스의 행태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1)의 사변에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길이에 대응되는 직사각형상의 측벽부(2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23)는 상기 본체부(21)로부터 폭방향으로 세워져 서로 이웃하는 측벽부(23)와 다른 측벽부(23)의 각 변이 맞닿아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벽부(23)는 일측으로 연장된 수평판(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25)은 본체부(21)와 평행을 이루도록 수평절첩되며, 측벽부(23)와 직교되는 양 변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모따기가 형성되여 수평판(25)이 수평 절첩되었을 때, 이웃하는 수평판(25)과 다른 수평판(25)이 서로 맞닿았을 때 대각선의 형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 뒤, 서로 맞닿은 측벽부(23)와 측벽부(23), 수평판(25)과 수평판(25)의 사이를 용접하여 용접부(29)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 접철된 수평판(25)은 상기 본제(1)와 도어(2)가 서로 결합하였을 때, 상기 본체(1)와 도어(2)의 틈새로 유입되는 빗물이 본체부(21)와 수평판(25)의 사이에 수집되므로, 도어(2)의 하부에 위치한 측벽부(23)에 배수공(27)을 형성하여 수집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공(27)은 별도의 펀칭 작업을 통해 형성하는 것으로 도어의 제조 작업시 공정이 복잡해지며, 소요되는 시간 및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62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하부에 위치한 측벽부의 끝단에서부터 제3수평판의 측변시작부까지의 길이가 도어의 양단에 위치한 제2수평판의 가로폭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더 크게 형성됨으로서 수평절첩한 제2수평판과 제3수평판의 사이에 배수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반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하부에 위치한 측벽부에 별도의 펀칭작업없이 제3수평판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내측에 홈이 형성되도록 도어의 전개부를 타발함으로서 배수홈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형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사변에 위치하며 각 변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끝단에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끝단이 측벽부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평판을 포함하는 배전반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한 측벽부의 변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제3수평판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2수평판을 수평절첩하였을 때 상기 제2수평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수평판과 제3수평판의 사이에 배수홈이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수평판은 양단에 위치한 측변의 측변시작부에서부터부터 측벽부의 끝단까지의 길이가 제2수평판의 가로폭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수평판은 상기 측벽부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까지의 길이가 측벽부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홈은 수평 절첩된 제2수평판과 제3수평판의 사이에 형성되며, 제2수평판의 가로폭 길이가 측벽부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까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홈은 제2수평판과 제3수평판을 수평 절첩하였을 때 형성된 배수홈의 상부 틈새와 하부 틈새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배수홈의 상부 틈새가 하부 틈새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홈의 하부 틈새는 0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홈은 상기 제3수평판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용 도어는 본체부와 측벽부를 재단하는 본체부 및 측벽부 재단단계와, 상기 본체부 및 측벽부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측벽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와 수평 절첩되는 수평판을 재단하는 수평판 재단단계와, 상기 수평판 재단단계까지 재단된 도어의 외주변을 따라 타발하는 타발단계와, 상기 타발단계를 거친 도어는 본체부와 측벽부, 측벽부와 수평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계선을 따라 접철하여 육면체의 형상으로 만드는 절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판 재단단계에서 재단되는 제3수평판은 상기 측벽부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까지의 길이가 제2수평판의 가로폭 길이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측벽부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까지의 길이는 제2수평판의 가로폭 길이보다 크게 형성하여 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커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판 재단단계에서 상기 제3수평판은 상기 측벽부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까지의 길이가 측벽부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커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곡단계는 절곡된 제2수평판과 제3수평판의 사이에 배수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홈의 상부 틈새는 하부 틈새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배수홈의 상부 틈새가 하부 틈새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커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홈의 하부 틈새는 0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커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은 제3수평판의 측변이 도어의 하부에 위치한 측벽부의 양단보다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 뒤 도어의 전개도 외측을 타발함으로서 배수공을 형성하고자 하는 별도의 펀칭작업이 필요치 않으므로 공정순서 단축되어 그에 따른 소요비용 및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을 오픈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배전반용 도어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배전반용 도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5 내지 6은 도 4에서 도시한 배전반용 도어의 A"부분이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도 7에서 도시한 배전반용 도어의 A"부분이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배전반용 도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5 내지 6은 도 4에서 도시한 배전반용 도어의 A"부분이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도 7에서 도시한 배전반용 도어의 A"부분이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배전반용 도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4의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본 발명인 배전반용 도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본체부(101)와, 상기 본체부(101)의 사변에 위치하며 각 변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측벽부(103)와,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끝단이 측벽부(103)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판은 상기 본체부(101)의 상부에 위치하는 측벽부(103)의 변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단과 양변의 끝단 사이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날(105a)이 구비된 제1수평판(105)과; 상기 제1수평판(105)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101)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104)의 변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과 측변 사이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날(10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날(106a)은 상기 제1수평판(105)의 경사날(105a)과 맞닿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수평판(106)과, 상기 제1수평판(105)과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측벽부(103)의 양변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판(106)의 하단과의 사이에 배수홈(107)이 구비된 제3수평판(108)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1)는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1)의 사변에 위치하는 측벽부(103)와의 사이에 도시된 점선은 가상의 절곡선을 나타내며 상기 측벽부(103)가 본체부(101)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판은 상기 본체부(101)와 수평절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본체부(101)를 중심으로 형성된 위치에 따라 제1수평판(105), 제2수평판(106) 및 제3수평판(108)로 나뉘어지며, 상기 제1 수평판(105)는 본체부(101)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평접철되는 것으로 본체부(101)의 상부에 위치한 측벽부(103)와 동일한 가로변의 길이를 가지며, 좌우양단에 위치하는 세로변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날(105a)이 구비되어 상기 제1수평판(105)을 수평 절첩하였을 때, 윗변의 길이가 아랫변의 길이보다 긴 등변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수평판(106)은 상기 본체부(101)의 좌우 양측에 위치한 측벽부(10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동일한 세로변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수평판(106)의 상부는 상기 제1수평판(105)에 구비된 경사날(105a)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날(106a)을 포함함으로서, 상기 제1수평판(105)의 경사날(105a)과 맞닿아 서로 지지하며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수평판(106)의 하단은 세로변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하여 수평절첩하였을 때, 본체부(101)의 하부에 위치하는 측벽부(103)의 가로변 일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수평판(108)은 상기 제2수평판(106)과 다른 제2수평판(106)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3수평판(108)은 본체부(101)의 하부에 위치한 측벽부(103)의 가로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수평절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평절첩된 제2수평판(106)과 제3수평판(108)의 사이에는 빗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홈(10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수평판(108)은 측벽부(103)의 일측 가로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상기 제3수평판(108)의 양단에 형성되는 측변(108a)의 상단에는 측벽부(103)의 가로변 일측으로부터 시작되는 측변시작부(108b)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측벽부(103)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측변마감부(108c)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홈(107)은 수평절첩된 제2수평판(106)과 제3수평판(108)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어(2)와 본체(1)의 틈새로부터 유입된 빗물이 고이지 않고 바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홈(107)은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가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수평판(106)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가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108c)까지의 길이(L3)가 동일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반드시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는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되어 배수홈(107)이 형성되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평판(106)과 제3수평판(108)을 수평절첩하였을 때 형성된 배수홈(107)의 하부 틈새(t1)와 상부 틈새(t2)가 동일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가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108c)까지의 길이(L3)가 보다 작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3수평판(106)의 윗변이 아랫변보다 길게 형성된 이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는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배수홈(107)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2수평판(106)과 제3수평판(108)을 수평절첩하였을 때 형성된 배수홈(107)의 상부 틈새(t2)는 하부 틈새(t1)보다 크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수평판(106)의 내측에 별도의 배수홈(107)을 형성한 것으로 이때의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는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와 동일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용 도어(1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본체부(101)와 측벽부(103)를 재단하는 본체부 및 측벽부 재단단계(S10)와, 상기 본체부 및 측벽부 재단단계(S10)에서 재단된 측벽부(103)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101)와 수평절첩되는 수평판을 재단하는 수평판 재단단계(S20)와, 상기 수평판 재단단계(S20)까지 재단된 도어(100)의 외주변을 따라 타발하는 타발단계(S30)와, 상기 타발단계(S30)를 거친 도어(100)는 본체부(101)와 측벽부(103), 측벽부(103)와 수평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계선을 따라 접철하여 육면체의 형상으로 만드는 절곡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 및 측벽부 재단단계(S10)는 본체부와 측벽부를 재단하는 단계로서, 본체부(101)는 배전반 본체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벽부(103)는 상기 본체부(101)의 사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절곡하였을 때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1)와 측벽부(103)의 사이에는 절곡선이 형성하며 도면에서는 점선으로 표현하였다.
상기 수평판 재단단계(S20)는 상기 본체부 및 측벽부 재단단계(S10)에서 재단된 측벽부(103)의 일측에 수평절곡할 수 있는 수평판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01)를 중심으로 상측에 위치한 제1수평판(105)은 본체부(101)의 가로변과 동일한 좌우폭을 구비하고, 제2수평판(106)은 본체부(101)의 세로변과 동일한 상하폭으로 구비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서로 직교하여 이웃하는 제1수평판(105)의 양단과 제2수평판(106)의 상단은 수평절첩하였을 때, 서로 겹치지 않고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동일한 사이각을 갖는 경사날(105a,106a)을 구비하며, 상기 제2수평판(106)의 하단에는 상기 제2수평판(106)을 절곡하였을 때 본체부(101)의 하부에 위치하는 측벽부(103)의 가로변 일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제2수평판(106)의 세로변과 직각으로 재단한다.
다만, 제3수평판(108)은 본체부(10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2수평판(106)의 하단이 세로변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측벽부(103)의 가로변 일부와 맞닿게 되므로 측벽부(103)의 하부와 겹쳐져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벽부(103)의 가로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3수평판(108)은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가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108c)까지의 길이(L3)는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보다 크게 형성하여 재단한다.
상기 타발단계(S30)는 상기 본체부 및 측벽부 재단단계(S10)와 수평판 재단단계(S20)를 통해 재단된 도어(100)의 외주변을 따라 타발하는 것으로, 타발하는 방법은 레이져를 이용하거나 금형으로 가압하여 절삭하는 방법 등을 사용한다.
상기 절곡단계(S40)는 상기 타발단계(S30)를 거친 도어(100)의 전개도를 이용하여 직육면체의 형상이 되도록 절곡하는 단계로서, 먼저 측벽부(103)를 본체부(101)로부터 수직으로 절곡한 다음, 상기 측벽부(103)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판을 절곡한다.
절곡된 측벽부(103)와 다른 측벽부(103)는 서로 맞닿은 변을 서로 지지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제2수평판(106)의 상단은 경사날(106a)과 제1수평판(105)의 경사날(105a)이 맞닿아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제2수평판(106)의 하단은 본체부(101)의 하부에 위치한 측벽부(103)의 가로변 일부와 맞닿아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용접에 의한 접합을 할 경우에는 용접살이 형성되므로 다듬질 작업을 하여 이를 제거한다.
이때, 상기 제3수평판(108)은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가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108c)까지의 길이(L3)는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서, 수평절첩된 제3수평판(108)은 제2수평판(106)과의 사이에 배수홈(107)이 형성되며, 형성된 배수홈(107)의 상부 틈새(t2)는 하부 틈새(t1)보다 크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와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108c)까지의 길이(L3)가 동일하고,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가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보다 크게 형성되면, 배수홈(107)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틈새(t2)는 하부 틈새(t1)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108c)까지의 길이(L3)가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가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와 동일하게 형성되면, 배수홈(10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틈새(t2)의 길이는 0이 되고 하부 틈새(t1)의 길이는 0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108c)까지의 길이(L3)가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가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보다 크게 형성되면, 배수홈(10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틈새(t2)와 하부 틈새(t1)의 길이는 0보다 크게 형성되고, 하부 틈새(t1)의 길이는 상부 틈새(t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배전반용 도어 101 : 본체부
103 : 측벽부 105 : 제1수평판
106 : 제2수평판 107 : 배수홈
108 : 제3수평판

Claims (8)

  1. 사각형 형상의 본체부(101)와, 상기 본체부(101)의 사변에 위치하며 각 변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측벽부(103)와,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끝단이 측벽부(103)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평판을 포함하는 배전반용 도어(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1)의 하부에 위치한 측벽부(103)의 변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제3수평판은 상기 본체부(101)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2수평판(106)를 수평절첩하였을 때 상기 제2수평판(106)으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수평판(106)과 제3수평판(108)의 사이에 배수홈(107)이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평판(108)은 양단에 위치한 측변(108a)의 측변시작부(108b)에서부터부터 측벽부(103)의 끝단까지의 길이(L2)가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평판(108)은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가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108c)까지의 길이(L3)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107)은 수평절첩된 제2수평판(106)과 제3수평판(108)의 사이에 형성되며,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가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107)은 제2수평판(106)과 제3수평판(108)을 수평절첩하였을 때 형성된 배수홈(107)의 상부 틈새(t2)와 하부 틈새(t1)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배수홈(107)의 상부 틈새(t2)가 하부 틈새(t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
  6. 배전반용 도어(100)는 본체부(101)와 측벽부(103)를 재단하는 본체부 및 측벽부 재단단계(S10)와, 상기 본체부 및 측벽부 재단단계(S10)에서 재단된 측벽부(103)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101)와 수평절첩되는 수평판을 재단하는 수평판 재단단계(S20)와, 상기 수평판 재단단계(S20)까지 재단된 도어(100)의 외주변을 따라 타발하는 타발단계(S30)와, 상기 타발단계(S30)를 거친 도어(100)는 본체부(101)와 측벽부(103), 측벽부(103)와 수평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계선을 따라 접철하여 육면체의 형상으로 만드는 절곡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판 재단단계(S20)에서 재단되는 제3수평판(108)은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가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108c)까지의 길이(L3)는 제2수평판(106)의 가로폭 길이(L1)보다 크게 형성하여 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커버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 재단단계(S20)에서 상기 제3수평판(108)은 상기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시작부(108b)까지의 길이(L2)가 측벽부(103)의 끝단에서부터 측변마감부(108c)까지의 길이(L3)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커버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단계(S40)는 절곡된 제2수평판(106)과 제3수평판(108)의 사이에 배수홈(107)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홈(107)의 상부 틈새(t2)는 하부 틈새(t1)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배수홈(107)의 상부 틈새(t2)가 하부 틈새(t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커버의 제조방법.
KR1020120121635A 2012-10-30 2012-10-30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83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35A KR101383834B1 (ko) 2012-10-30 2012-10-30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35A KR101383834B1 (ko) 2012-10-30 2012-10-30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834B1 true KR101383834B1 (ko) 2014-04-10

Family

ID=5065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635A KR101383834B1 (ko) 2012-10-30 2012-10-30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8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036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화신 양문 개방형 전기외함
KR102192743B1 (ko) 2019-08-20 2020-12-17 신일전기 주식회사 원자력 배전함 자동 용접기
KR102405898B1 (ko)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KR102405899B1 (ko)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KR102405887B1 (ko) 2021-09-07 2022-06-08 주식회사 주석산업개발 배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525Y1 (ko) 2000-08-10 2001-01-15 서한전기주식회사 배전반 개폐문의 잠금장치
KR200408966Y1 (ko) 2005-11-28 2006-02-15 주식회사 아이파워 에어벤트가 마련된 분전반
KR20090004077A (ko) * 2007-07-06 2009-01-12 전선규 분전반 케이스용 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도어
KR20100061404A (ko) * 2008-11-28 2010-06-07 이재용 수배전기기 케이스 커버 및 수배전 설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525Y1 (ko) 2000-08-10 2001-01-15 서한전기주식회사 배전반 개폐문의 잠금장치
KR200408966Y1 (ko) 2005-11-28 2006-02-15 주식회사 아이파워 에어벤트가 마련된 분전반
KR20090004077A (ko) * 2007-07-06 2009-01-12 전선규 분전반 케이스용 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도어
KR20100061404A (ko) * 2008-11-28 2010-06-07 이재용 수배전기기 케이스 커버 및 수배전 설비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036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화신 양문 개방형 전기외함
KR102126344B1 (ko) * 2018-08-16 2020-06-24 주식회사 화신 양문 개방형 전기외함
KR102192743B1 (ko) 2019-08-20 2020-12-17 신일전기 주식회사 원자력 배전함 자동 용접기
KR102405898B1 (ko)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KR102405899B1 (ko)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KR102405887B1 (ko) 2021-09-07 2022-06-08 주식회사 주석산업개발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834B1 (ko) 배전반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5078047A1 (zh) 太阳能模块
JP2018087032A (ja) 組立式包装箱
JP2013138536A (ja) 電気機器収納用箱
KR100819185B1 (ko) 배전반 프레임 제조방법
CN205747230U (zh) 空调室外机外壳
RU159537U1 (ru) Корпус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и электрон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JP2018174052A (ja) 配線モジュール
CN105744820A (zh) 一种电路板及显示装置
CN204014330U (zh) 电控盒组件和具有其的除湿机
CN205258896U (zh) 洗衣机、洗衣机控板及其卡扣结构
JP201414556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0537226B1 (ko) 철책
CN207622165U (zh) 一种室外机面板和室外机
CN109306606B (zh) 用于洗衣机的箱体面板及洗衣机
CN205509834U (zh) 可降低安装高度的音圈马达
CN216023114U (zh) 一种加装有加强条的铝塑板
CN207542831U (zh) 充电设备背壳及充电设备
JP4892266B2 (ja) 主幹ブレーカと分岐ブレーカとの接続構造
JP4079103B2 (ja) 収納型電気設備
KR20160000364U (ko) 거푸집 시공 공정 중의 배선함과 철근간의 고정 구조
CN205347788U (zh) 洗衣机的箱体组件和具有其的波轮洗衣机
CN105666452B (zh) 一种随车工具盒
JP5587073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
JP6680913B2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