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415Y1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415Y1
KR200479415Y1 KR2020150005637U KR20150005637U KR200479415Y1 KR 200479415 Y1 KR200479415 Y1 KR 200479415Y1 KR 2020150005637 U KR2020150005637 U KR 2020150005637U KR 20150005637 U KR20150005637 U KR 20150005637U KR 200479415 Y1 KR200479415 Y1 KR 200479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amber
cylinder
cas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식
Original Assignee
김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식 filed Critical 김이식
Priority to KR2020150005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4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4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시, 작업자가 햇빛이나 빗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은 작업자가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도어(3)를 열면, 도어(3)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3)가 햇빛과 빗물을 막아주는 그늘막의 기능을 하여, 작업자가 햇빛이나 빗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전반{distribution panel}
본 고안은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시, 작업자가 햇빛이나 빗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전원을 분기하여 각 수용가 또는 각 수용가의 방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배전반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도어(3)가 구비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회로(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2)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벽면(1)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도어(3)는 좌우측 2개로 구성되어, 관리자가 상기 도어(3)를 좌우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케이스(2)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회로(4)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스바 및 개폐기로 구성되어, 과도한 전원이 인가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배전반은 장기간 사용할 시, 분기회로(4)의 부스바에 열화나 저항변화 또는 열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기 역시 장시간 사용시 고장을 일으킬 수 있음으로, 정기적으로 검사 및 유지보수를 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배전반은 실외에 구비되는 경우가 많이 있음으로, 작업자가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 보수할 때, 작업자가 햇빛이나 빗물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383834호 등록특허 10-1134933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시, 작업자가 햇빛이나 빗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전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에 도어(3)가 구비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회로(4)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도어(3)는 상단이 상기 케이스(2)에 힌지결합되어 상측으로 회동시켜 도어(3)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3)에 연결되어 도어(3)를 상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1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도어(3)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햇빛이나 빗물을 가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어(3)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가림판(2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도어(3)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연 후, 상기 가림판(20)을 하측으로 회동시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10)은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실린더(11)와, 상기 실린더(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11) 내부의 공간을 제1 및 제2 챔버(11a,11b)로 구획하는 피스톤(12)과, 상기 피스톤(12)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챔버(11a)를 통과하여 상기 실린더(11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13)와, 상기 제2 챔버(11b)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12)을 제1 챔버(11a)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4)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판(20)에 연결되어 가림판(20)이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구동수단(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30)은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31) 내부의 공간을 제3 및 제4 챔버(31a,31b)로 구획하는 피스톤(32)과, 상기 피스톤(32)의 일측에서 상기 제3 챔버(31a)를 통과하여 상기 실린더(31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33)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챔버(31a)는 제1 연결관(34)을 통해 상기 제2 챔버(11b)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챔버(31b)는 제2 연결관(35)을 통해 상기 제1 챔버(11a)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수단(10)이 신축되면 이와 연동하여 상기 회동구동수단(30)이 동시에 신축되어 상기 가림판(20)이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어(3)와 가림판(20)에는 상호 대응되는 환기공(3c) 및 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2)에 구비된 환기팬(40)과,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스(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50)과, 상기 환기공(3c)에 구비되며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환기공(3c)을 개폐하는 자동댐퍼(60)와, 상기 온도측정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환기팬(40)과 자동댐퍼(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70)에는 작업자가 상기 환기팬(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은 작업자가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도어(3)를 열면, 도어(3)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3)가 햇빛과 빗물을 막아주는 그늘막의 기능을 하여, 작업자가 햇빛이나 빗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배전반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고정수단과 회동구동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것으로, 전면에 도어(3)가 구비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회로(4)가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2)는 벽면(1)에 매입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도어(3)는 상단이 상기 케이스(2)에 힌지결합되어 상측으로 회동시켜 도어(3)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3)에 도어(3)를 상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10)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3)는 상단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힌지축(3a)이 상기 케이스(2)에 연결되어, 하단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의 외측면에는 손잡이(3b)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1)와, 상기 실린더(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11) 내부의 공간을 제1 및 제2 챔버(11a,11b)로 구획하는 피스톤(12)과, 상기 피스톤(12)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챔버(11a)를 통과하여 상기 실린더(11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13)와, 상기 제2 챔버(11b)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12)을 제1 챔버(11a)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4)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14)의 탄성에 의해 전체 길이가 신장되도록 가압된다.
이러한 고정수단(10)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어실린더(11)와 동일함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11)와 피스톤로드(13)의 단부가 각각 상기 케이스(2)와 도어(3)에 힌지결합되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를 닫으면 상기 고정수단(10)의 전체길이가 축소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를 열면 상기 고정수단(10)의 길이가 신장되면서 상기 도어(3)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은 작업자가 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도어(3)를 열면, 도어(3)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3)가 햇빛과 빗물을 막아주는 그늘막의 기능을 하여, 작업자가 햇빛이나 빗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3은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어(3)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가림판(20)과, 상기 가림판(20)에 연결되어 가림판(20)이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구동수단(30)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도어(3)를 열면 상기 가림판(20)이 상기 회동구동수단(30)에 의해 회동되어 자동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수단(10)의 실린더(11)의 내부, 즉, 상기 제1 및 제2 챔버(11a,11b)의 내부에는 유체, 바람직하게는 오일 또는 공기가 저장된다.
상기 가림판(20)은 상기 도어(3)에 대응되는 넓이의 패널형태로 구성되며, 기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힌지축(21)이 상기 도어(3)의 선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구동수단(3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31) 내부의 공간을 제3 및 제4 챔버(31a,31b)로 구획하는 피스톤(32)과, 상기 피스톤(32)의 일측에서 상기 제3 챔버(31a)를 통과하여 상기 실린더(31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33)로 구성되며, 실린더(31)와 피스톤로드(33)의 단부가 상기 도어(3)와 상기 가림판(20)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31)의 내부에, 즉, 상기 제3 및 제4 챔버(31a,31b)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수단(10)의 실린더(11)와 동일하게 내부에 유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챔버(31a)는 제1 연결관(34)을 통해 상기 제2 챔버(11b)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챔버(31b)는 제2 연결관(35)을 통해 상기 제1 챔버(11a)와 연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도어(3)를 개폐하면, 이와 연동되어 상기 회동구동수단(30)이 신축되어 상기 가림판(20)이 회동되도록 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를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수단(10)과 상기 회동구동수단(30)이 축소되며, 상기 가림판(20)은 상기 도어(3)의 후측면에 밀착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도어(3)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열면, 상기 고정수단(10)이 신장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0)의 피스톤(12)과 피스톤로드(13)가 제1 챔버(11a)쪽으로 슬라이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챔버(11a) 내부의 유체가 상기 제2 연결관(35)을 통해 상기 제4 챔버(31b)로 공급되어, 상기 회동구동수단(30)이 신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구동수단(30)이 신장되면 상기 가림판(20)은 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도어(3)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가림판(20)은 상기 도어(3)의 선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되어 펴지게 된다.
반대로, 작업자가 수평방향으로 열린 도어(3)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닫으면, 상기 구정수단이 축소되며, 이때, 상기 고정수단(10)의 피스톤(12)과 피스톤로드(13)가 상기 제2 챔버(11b)쪽으로 슬라이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챔버(11b) 내부의 유체가 상기 제1 연결관(34)을 통해 상기 제3 챔버(31a)로 공급되어 상기 회동구동수단(30)이 축소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구동수단(30)이 축소되면 상기 가림판(20)은 상기 도어(3)에 밀착되는 쪽으로 회동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도어(3)가 완전히 닫히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림판(20)이 도어(3)에 밀착되도록 회동되어 접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림판(20)과 도어(3)에는 상호 대응되는 환기공(3c) 및 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2)에 구비된 환기팬(40)과,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스(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50)과, 상기 환기공(3c)에 구비되며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환기공(3c)을 개폐하는 자동댐퍼(60)와, 상기 온도측정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환기팬(40)과 자동댐퍼(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온도측정수단(50)은 일반적인 온도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자동댐퍼(60)는 상기 환기공(3c)의 외측에 구비된 댐퍼판(61)과, 상기 댐퍼판(61)에 연결된 구동모터(6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62)는 구동축(62a)이 상기 도어(3)를 관통하여 도어(2)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댐퍼판(61)은 상기 구동축(62a)에 결합되어 구동모터(62)를 구동시키면, 상기 댐퍼판(61)이 회동되어 환기공(3c)을 개폐한다.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온도측정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스(2)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자동댐퍼(60)를 작동시켜 상기 환기공(3c)을 개방하고, 상기 환기팬(40)을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2)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2)에 구비된 분기회로(4)를 냉각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70)에는 제어스위치(80)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환기팬(40)의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은 상기 배전반을 점검 또는 유지보수하기 위해, 도어(3)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열면, 상기 가림판(20)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가림판(20)에 의해 작업자의 등부분이 가려짐으로, 작업자가 햇빛이나 비에 노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가림판(20)에는 상기 고정수단(10)에 연결된 회동구동수단(30)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도어(3)를 개폐하면 상기 가림판(20)이 자동으로 회동되어 펴거나 접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가림판(20)을 수동으로 펴거나 접을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3)와 가림판(20)에는 상호 대응되는 환기공(3c) 및 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2)에 구비된 환기팬(40)과,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스(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50)과, 상기 환기공(3c)에 구비되며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환기공(3c)을 개폐하는 자동댐퍼(60)와, 상기 온도측정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환기팬(40)과 자동댐퍼(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70)에는 작업자가 조작하여 상기 환기팬(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제어스위치(80)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림판(20)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도어(3)를 연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80)를 조작하여 상기 환기팬(40)을 구동시키면, 환기팬(40)에 의해 작업자쪽으로 바람이 불어지게 되어, 여름에 작업자가 시원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케이스(2)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면, 상기 제어유닛(70)이 상기 자동댐퍼(60)와 환기팬(40)을 작동시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케이스(2)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2)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분기회로(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케이스 20. 가림판
30. 회동구동수단 40. 환기팬
50. 온도측정수단 60. 자동댐퍼
70. 제어유닛

Claims (4)

  1. 전면에 도어(3)가 구비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분기회로(4)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도어(3)는 상단이 상기 케이스(2)에 힌지결합되어 상측으로 회동시켜 도어(3)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3)에 연결되어 도어(3)를 상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1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도어(3)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햇빛이나 빗물을 가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도어(3)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가림판(2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도어(3)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연 후, 상기 가림판(20)을 하측으로 회동시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수단(10)은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실린더(11)와,
    상기 실린더(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11) 내부의 공간을 제1 및 제2 챔버(11a,11b)로 구획하는 피스톤(12)과,
    상기 피스톤(12)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챔버(11a)를 통과하여 상기 실린더(11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13)와,
    상기 제2 챔버(11b)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12)을 제1 챔버(11a)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4)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판(20)에 연결되어 가림판(20)이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구동수단(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30)은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31) 내부의 공간을 제3 및 제4 챔버(31a,31b)로 구획하는 피스톤(32)과,
    상기 피스톤(32)의 일측에서 상기 제3 챔버(31a)를 통과하여 상기 실린더(31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33)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챔버(31a)는 제1 연결관(34)을 통해 상기 제2 챔버(11b)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챔버(31b)는 제2 연결관(35)을 통해 상기 제1 챔버(11a)와 연결되어, 상
    기 고정수단(10)이 신축되면 이와 연동하여 상기 회동구동수단(30)이 동시에 신축되어 상기 가림판(20)이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3)와 가림판(20)에는 상호 대응되는 환기공(3c) 및 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2)에 구비된 환기팬(40)과,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스(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50)과,
    상기 환기공(3c)에 구비되며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환기공(3c)을 개폐하는 자동댐퍼(60)와,
    상기 온도측정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환기팬(40)과 자동댐퍼(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70)에는 작업자가 상기 환기팬(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KR2020150005637U 2015-08-24 2015-08-24 배전반 KR200479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37U KR200479415Y1 (ko) 2015-08-24 2015-08-24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37U KR200479415Y1 (ko) 2015-08-24 2015-08-24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415Y1 true KR200479415Y1 (ko) 2016-01-26

Family

ID=5531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637U KR200479415Y1 (ko) 2015-08-24 2015-08-24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4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46B1 (ko) * 2017-02-22 2018-07-13 (주)한성기술단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KR102311202B1 (ko) *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KR102405899B1 (ko) *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149Y1 (ko) 2007-05-11 2007-11-08 주식회사 삼광산전 가로등분전반
KR101167671B1 (ko) 2011-09-30 2012-07-24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3차원 공기조화장치 내장형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149Y1 (ko) 2007-05-11 2007-11-08 주식회사 삼광산전 가로등분전반
KR101167671B1 (ko) 2011-09-30 2012-07-24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3차원 공기조화장치 내장형 수배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46B1 (ko) * 2017-02-22 2018-07-13 (주)한성기술단 공구의 수납이 가능한 배전반
KR102311202B1 (ko) *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KR102405899B1 (ko) * 2021-09-07 2022-06-03 정태용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415Y1 (ko) 배전반
KR102061020B1 (ko) 시스템루버 구동 장치
KR20140011457A (ko) 선박의 외기 유입 개폐장치
KR101693796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20170046117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20160142605A (ko) 창문에 설치되는 실내공기 환풍장치
CN210379950U (zh) 一种防涝散热配电柜
JPH02183042A (ja) 天窓および大部屋用窓設備
CN104896707A (zh) 风管机出风口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US2011419A (en) Ventilator structure
KR101286992B1 (ko) 지붕의 개폐장치
KR101671930B1 (ko) 기능성 창문시스템
CN203704284U (zh) 一种空调出风口
KR100873902B1 (ko) 공기조화기
KR101521196B1 (ko) 건축물의 송풍 시스템
KR200477999Y1 (ko) 역류방지 댐퍼
KR102154175B1 (ko) 에어콘용 실외기의 루버 자동 개폐장치
US1936875A (en) Ventilating and heating apparatus
CN203797901U (zh) 风管机出风口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KR20230000199A (ko)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KR20170051117A (ko) 환기구
KR100665112B1 (ko) 중장비 운전실의 난방장치
KR102056712B1 (ko) 우수유입 방지가 가능한 배전 및 제어반 외함
KR20040095066A (ko) 공장용 환기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US5123876A (en) Attic fan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