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233B1 -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 - Google Patents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233B1
KR101865233B1 KR1020127025290A KR20127025290A KR101865233B1 KR 101865233 B1 KR101865233 B1 KR 101865233B1 KR 1020127025290 A KR1020127025290 A KR 1020127025290A KR 20127025290 A KR20127025290 A KR 20127025290A KR 101865233 B1 KR101865233 B1 KR 101865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hollow glass
glass beads
thermoplastic composition
weight per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568A (ko
Inventor
로샨 쿠마르 자
라다 카말라카란
사티쉬쿠마르 에이치. 마한스
얀 마티이센
사티야 나라얀
Original Assignee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3006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8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5Sectional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 E06B2003/26359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making flush mounting with neighbouring metal section members pos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79Specific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disposition between the metal section members
    • E06B2003/26383Specific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disposition between the metal section members with two similar parallel strips, one shifted to on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87Performing extra functions
    • E06B2003/26389Holding sealing strips or forming sealing abu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E06B2003/621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with specific fixing means
    • E06B2003/6223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with specific fixing means with protruding parts anchored in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E06B2003/621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with specific fixing means
    • E06B2003/6229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with specific fixing means with grooves anchoring the cleat on a ri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with thin strips, e.g. defining a hollow space between the metal section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2Glass or ceramic [i.e., fired or glazed clay, cement, etc.] [porcelain, quartz,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 또는 윈도우용 단열 구조 부재는 금속 프레임 및 플라스틱 절연 바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 절연 바는 약 55 내지 약 95 중량%의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중공 유리 비드는 약 20 내지 약 6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평균 직경, 약 0.3 내지 약 0.5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 및 약 30 내지 약 60 메가파스칼의 이소스태틱 파쇄강도를 갖는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5 중량% 미만의 섬유 보강재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 구조 부재는 유리섬유-보강된 플라스틱 절연 바를 이용하는 구조 부재에 비하여 개선된 단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THERMALLY INSULATED STRUCTURAL MEMBERS, AND DOORS AND WINDOWS INCORPORATING THEM}
본 발명은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릴렌 에테르) 수지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블렌딩되어, 내열성, 내화학성, 충격 강도, 가수분해 안정성 및 칫수 안정성과 같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유익한 특성들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여 왔다.
유리 섬유-충진된 폴리(아릴렌 에테르)-폴리아미드 블렌드는 도어 및 윈도우 프레임에 포함되는 절연 재료들을 성형(mold)하는데 사용되어 그들의 열 전도도를 감소시키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Ensinger 등에 대한 미국 특허 5,727,356호 및 Tschech 등의 미국 특허출원공개 US 2006/0234034 A1을 참고하라. 이러한 절연 재료들은 이들이 포함되는 도어와 윈도우의 에너지 효율을 상당히 개선한다. 그러나, 도어 및 윈도우의 열 전도도를 더 감소시킬 필요가 여전히 있으며, 또한 그러한 열 전도도 감소를 감소된 양의 폴리(아릴렌 에테르) 및 폴리아미드로 달성하는 수단에 대한 요구도 여전히 남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프레임(frame);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되는 절연 바(insulation bar)로 구성되는 도어 또는 윈도우용 단열 구조 부재로서, 상기 절연 바는 약 55 내지 약 95 중량%의 상용화된(compatibilized)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hollow glass beads)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약 20 내지 약 6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평균 직경; 약 0.3 내지 약 0.5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true density); 및 약 30 내지 약 60 메가파스칼의 이소스태틱 파쇄 강도(isostatic crush strength)를 가지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5 중량% 미만의 섬유 보강재(fibrous reinforcement)로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단열 구조 부재로 구성되는 윈도우이다.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단열 구조 부재로 구성되는 도어이다.
또 다른 실시예는 도어 또는 윈도우용 단열 구조 부재의 열 전도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금속 프레임 내에 절연 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하는(enclosing) 것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절연 바는 약 55 내지 약 95 중량%의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약 20 내지 약 6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평균 직경; 약 0.3 내지 약 0.5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 및 약 30 내지 약 60 메가파스칼의 이소스태틱 파쇄강도를 가지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5 중량% 미만의 섬유 보강재로 구성된다.
이들 및 기타의 실시예는 아래에 상세히 기재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번호가 부여된다.
도 1은 단열 구조 부재의 일 부분의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단열 구조 부재로 구성되는 이중 유리 윈도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단열 구조 부재로 구성되는 도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S38HS 및 S38XHS 중공 유리 비드의 입자 크기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a) 중공 유리 비드가 없는 비교예 1, 및 (b) 공칭 20 중량%의 S38XHS 중공 유리 비드를 이용한 예 5로부터 제조된 성형된 부분들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들로 구성되며, 각 영상에서 계란 형상들은 분산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상의 입자들에 대응한다(상기 유리 비드들은 도 5(b)에서는 보이지 않는데, 이는 각각의 유리 비드가 상기 영상의 장(field) 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이다).
도 6은 550℃에서 촤(charring) 한 후 펠릿의 부분들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들로 구성되며, 샘플들은 중공 유리 비드의 유형을 달리하여, 영상 (a)는 S60HS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샘플에 해당하며, 영상 (b)는 S38XHS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샘플에 해당하며, 영상 (c)는 K25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샘플에 해당한다.
도 7은 550℃에서 촤(charring) 한 후 성형된 부분들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들로 구성되며, 샘플들은 중공 유리 비드의 유형을 달리하여, 영상 (a)는 S60HS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샘플에 해당하며, 영상 (b)는 S38XHS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샘플에 해당하며, 영상 (c)는 K25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샘플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어, 윈도우 및 기타의 건축 요소들에서 구조 부재의 열 전도도가, 상기 구조 부재의 금속 프레임에 특정의 직경, 밀도 및 파쇄 강도를 갖는 중공 유리 비드를 함유하는 폴리(아릴렌 에테르)-폴리아미드 블렌드를 갖는 절연 바를 포함시킴으로써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되는 절연 바로 구성되는 도어 또는 윈도우용 단열 구조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절연 바는 약 55 내지 약 95 중량%의 상용화된(compatibilized)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약 20 내지 약 6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평균 직경; 약 0.3 내지 약 0.5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 및 약 30 내지 약 60 메가파스칼의 이소스태틱 파쇄강도를 가지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5 중량% 미만의 섬유 보강재로 구성된다.
도 1은 프레임(2) 및 다중 절연 바(3)를 포함하는 구조 부재(1)의 일 부분의 도면이다.
일 실시예는 상기 단열 구조 부재로 구성되는 윈도우이다. 도 2는 이중 유리(double-glazed) 윈도우(4)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일부는 프레임(2), 다중 절연 바(3) 및 2개의 판유리(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상기 단열 구조 부재로 구성되는 도어이다. 도 3은 도어(6)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일부는 프레임(2), 다중 절연 바(3) 및 도어 패널(7)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 부재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적당한 금속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철, 철 합금(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철을 포함함)을 포함한다.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사용이 현재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의 부분들은 전형적으로 용융 금속의 프로필 압출(profile extrusion)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외에, 상기 구조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되는(enclosed) 절연 바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 바는 약 55 내지 약 95 중량%의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된다. 상기 약 55 내지 약 95 중량%의 범위 내에서,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의 양은 약 60 내지 약 90 중량%, 구체적으로 약 70 내지 약 85 중량%, 좀 더 구체적으로 약 75 내지 약 8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범위 내에서, 상기 중공 유리 비드의 양은 약 10 내지 약 35 중량%, 구체적으로 약 15 내지 약 25 중량%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나일론이라고도 알려진 폴리아미드는 복수의 아미드(-C(O)NH-)기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며, Gallucci에 대한 미국 특허 4,970,272호에 개시되어 있다. 적당한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4,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9, 폴리아미드-6,12, 무정형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6/6T 및 폴리아미드 6,6/6T(트리아민 함량이 0.5 중량% 미만임), 폴리아미드 9T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6,6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6 및 폴리아미드-6,6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들의 조합은 171℃ 이상의 용융점(Tm)을 갖는다. 상기 폴리아미드가 초강화(super tough) 폴리아미드, 즉 고무-강화된 폴리아미드로 구성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별도의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다수의 잘 알려진 방법, 예를 들면 Carothers에 대한 미국 특허 제2,071,250호, 2,071,251호, 2,130,523호 및 2,130,948호; Hanford에 대한 2,241,322호 및 2,312,966호; 및 Bolton 등에 대한 2,512,606호에 개시된 것들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다양한 소스(source)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ISO 307에 따라 96 중량% 황산 내 0.5 중량% 용액에서 측정했을 때, 400 밀리리터/그램(mL/g) 이하의 고유 점도, 좀 더 구체적으로 90 내지 350 mL/g의 점도, 훨씬 더 구체적으로 110 내지 240mL/g의 점도를 갖는 폴리아미드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6 이하의 상대 점도, 좀 더 구체적으로 1.89 내지 5.43의 상대 점도, 훨씬 더 구체적으로 2.16 내지 3.93의 상대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대 점도는 96 중량% 황산 내 1 중량% 용액에서 DIN 53727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HCl로 적정(titration)함으로써 결정되는, 폴리아미드 그램 당 35 마이크로당량(μeq/g) 이상의 아민 말단기 농도를 갖는 폴리아미드로 구성된다. 상기 아민 말단기 농도는 40 μeq/g 이상, 좀 더 구체적으로 45 μeq/g 이상일 수 있다. 아민 말단기 함량은 폴리아미드를 적당한 용매에, 선택적으로 가열하면서, 용해시킴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용액은 적당한 표시 방법을 이용하여 0.01 노르말(Normal) 염산(HCl) 용액으로 적정된다. 아민 말단기의 양은 샘플에 첨가된 HCl 용액의 부피, 블랭크(blank)로서 사용되는 HCl의 부피, 상기 HCl 용액의 몰농도 및 상기 폴리아미드 샘플의 중량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아래 식의 반복 구조 단위로 구성된다:
Figure 112012078405247-pct00001
상기 식에서 각 구성 단위에 대하여, 각각의 Z1 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미치환 또는 치환된 C1-C12 히드로카르빌(상기 히드로카르빌기가 3차 히드로카르빌이 아닌 경우), C1-C12 히드로카르빌티오, C1-C12 히드로카르빌옥시, 또는 C2-C12 할로히드로카르빌옥시(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는 할로겐과 산소 원자를 분리시킴)이며; 각각의 Z2 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미치환 또는 치환된 C1-C12 히드로카르빌(상기 히드로카르빌기가 3차 히드로카르빌이 아닌 경우), C1-C12 히드로카르빌티오, C1-C12 히드로카르빌옥시, 또는 C2-C12 할로히드로카르빌옥시(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는 할로겐과 산소 원자를 분리시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히드로카르빌(hydrocarbyl)"은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또는 접두어, 접미어 또는 다른 용어의 일부로서 사용되거나, 단지 탄소와 수소만을 함유하는 잔기(residue)를 말한다. 상기 잔기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직쇄, 고리형, 이중고리형(bicyclic),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된 것일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지방족, 방향족, 직쇄, 고리형, 이중고리형, 분지형, 포화 및 불포화된 탄화수소 부분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히드로카르빌 잔기가 "치환된"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그것은 상기 치환 잔기의 탄소 및 수소 구성원 위로 이종 원자(heteroatoms)를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치환된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기 히드로카르빌 잔기는 또한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복시산기, 에스테르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설포닐기, 설폭실기, 설폰아미드기(sulfonamide groups), 설파모일기(sulfamoyl groups), 히드록실기, 알콕실기 등을 함유할 수 있고, 상기 히드로카르빌 잔기의 백본(backbone) 내에 이종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보통 말단 히드록시기에 대하여 오쏘(ortho) 위치에 있는, 아미노알킬-함유 말단기(들)를 갖는 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통 테트라메틸디페노퀴논(tetramethyldiphenoquinone; TMDQ) 부산물이 존재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테트라메틸디페노퀴논 말단기가 흔히 존재한다.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오노머(ionomer); 또는 블록 공중합체; 또한 이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조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선택적으로 2,3,6-트리메틸-1,4-페닐렌 에테르 단위와 결합된, 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 단위로 구성되는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로 구성된다. 이 문맥상, "구성된다(consist of)"는 용어는 폴리(아릴렌 에테르)와 관능화제의 반응 생성물, 예를 들면 산-관능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및 무수물-관능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배제한다.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2,6-크실레놀 및/또는 2,3,6-트리메틸페놀과 같은 대응하는 모노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들)의 산화 커플링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촉매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그러한 커플링을 위해 이용된다. 이들은, 보통 2차 아민, 3차 아민, 할로겐화물(halid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과 같이 다양한 다른 물질과 결합된, 구리, 망간 또는 코발트 화합물과 같은 중금속 화합물(들)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25℃ 클로로포름에서 우베로데 점도계(Ubbelohde viscometer)로 측정했을 때 약 0.2 내지 약 1.0 데시리터/그램의 고유 점도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약 0.3 내지 약 0.6 데시리터/그램의 고유 점도를 갖는다.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가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인 경우, 약 0.3 내지 약 0.6 데시리터/그램의 상기 고유 점도 범위는 약 16,000 내지 약 25,000 원자 질량 단위의 수평균 분자량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은 폴리(아릴렌 에테르) 및 폴리아미드를 약 0.5:1 내지 약 1.2:1, 구체적으로 약 0.8:1 내지 약 1.2:1, 좀 더 구체적으로 약 1:1 내지 약 1.2:1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릴렌 에테르)의 상용화된 블렌드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상용화제(compatibilizing agent)가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상용화제"는 폴리(아릴렌 에테르),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이들 모두와 상호작용하는 다관능성(polyfunctional) 화합물을 말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화학적인(예를 들어, 그라프팅) 및/또는 물리적인(예를 들어, 분산된 상들의 표면 특징에 영향을 주는) 것일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결과 얻어지는 상용화된 블렌드는 향상된 충격 강도, 몰드 니트 라인 강도(mold knit line strength) 및/또는 인장 신율에 의해 특히 입증되는 바와 같이, 개선된 상용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되는 "상용화된 블렌드"라는 표현은 상용화제로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상용화된 조성물을 말하며, 또한 (예를 들어 폴리(아릴렌 에테르) 상에서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디부틸아미노메틸 치환체와 같은) 그러한 제제 없이 물리적으로 상용가능한 폴리(아릴렌 에테르) 및 폴리아미드의 블렌드를 말한다.
이용 가능한 상용화제의 예는 액체 디엔 폴리머, 에폭시 화합물, 산화된 폴리올레핀 왁스, 퀴논, 오르가노실란(organosilane) 화합물, 다관능성 화합물, 관능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용화제는 또한 Gallucci에 대한 미국 특허 제5,132,365호 및 Koevoets 등에 대한 미국 특허 제6,593,411호 및 7,226,963호에 더 기재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상용화제는 다관능성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용화제로서 이용가능한 다관능성 화합물은 보통 3가지 유형이다. 다관능성 화합물의 제 1 유형은 분자 내에 (a) 및 (b) 모두, 즉 (a) 탄소-탄소 이중 결합 또는 탄소-탄소 삼중 결합, 및 (b)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시산, 무수물, 아미드, 에스테르, 이미드, 아미노, 에폭시, 오쏘에스테르(orthoester) 또는 히드록시기를 갖는다. 그러한 다관능성 화합물의 예는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itaconic acid); 아코니트산(aconitic acid); 말레이미드(maleimide); 말레산 히드라지드(maleic hydrazide); 디아민과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푸마르산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반응 생성물; 디클로로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아미드; 불포화 디카르복시산(예를 들면, 아크릴산, 부텐산(butenoic acid), 메타크릴산, 에틸아크릴산, 펜텐산(pentenoic acid), 데센산(decenoic acid), 운데센산(undecenoic acid), 도데센산(dodecenoic acid), 리놀레산 등); 상기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무수물, 에스테르 또는 산 아미드; 불포화 알코올(예를 들면, 알칸올, 크로틸 알코올, 메틸 비닐 카비놀, 4-펜텐-1-올, 1,4-헥사디엔-3-올, 3-부텐-1,4-디올, 2,5-디메틸-3-헥센-2,5-디올, 및 식 CnH2n -5OH, CnH2n -7OH 및 CnH2n -9OH의 알코올(n은 30 이하의 양의 정수임)); 상기 불포화 알코올의 -OH 기(들)를 -NH2 기(들)로 치환함으로써 얻어지는 불포화 아민; 관능화된 디엔 폴리머 및 공중합체; 및 이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조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용화제는 말레산 무수물 및/또는 푸마르산으로 구성된다.
다관능성 상용화제의 제 2 유형은 (a) 및 (b) 모두, 즉 (a) 식 (OR)로 표시되는 기(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또는 알킬, 아릴, 아실 또는 카르보닐 디옥시(carbonyl dioxy) 기임) 및 (b) 각각이 카르복시산, 산 할로겐화물, 무수물, 산 할로겐화물 무수물, 에스테르, 오쏘에스테르, 아미드, 이미도, 아미노 및 이들의 다양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기를 갖는다. 이러한 군에 속하는 전형적 상용화제는 지방족 폴리카르복시산, 산 에스테르, 및 아래 식으로 표시되는 산 아미드이다:
Figure 112012078405247-pct00002
상기 식에서 R'는 2 내지 20, 좀 더 구체적으로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쇄,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이며; RI은 수소, 또는 1 내지 10, 구체적으로 1 내지 6, 좀 더 구체적으로 1 내지 4개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아릴, 아실 또는 카르보닐 디옥시기이며; 각 RII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20, 더 구체적으로 1 내지 10개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아릴기이며; RIII 및 RIV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10, 구체적으로 1 내지 6, 좀 더 구체적으로 1 내지 4개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아릴기이며; m은 1과 동일하고, (n + s)는 2 이상, 좀 더 구체적으로 2 또는 3과 동일하며, n과 s는 각각 0 이상이며, (ORI)은 카르보닐기에 대하여 알파 또는 베타이며, 적어도 2개의 카르보닐기는 2 내지 6개 탄소 원자에 의해 분리된다. 명백히, RI, RII, RIII 및 RIV 은 각각의 치환체가 6개 미만의 탄소 원자를 가질 경우 아릴이 될 수 없다.
적당한 폴리카르복시산은 예를 들어, 시트르산, 말산, 및 아가릭산(agaricic acid)(예를 들어 무수 및 수화된 산과 같이, 이들의 다양한 상업적 형태를 포함함); 및 이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조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용화제는 시트르산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용한 에스테르의 예는 예를 들어, 아세틸 시트레이트, 모노스테아릴 및/또는 디스테아릴 시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용한 적당한 아미드는 예를 들어, N,N'-디에틸 시트르산 아미드; N-페닐 시트르산 아미드; N-도데실 시트르산 아미드; N,N'-디도데실 시트르산 아미드; 및 N-도데실 말산을 포함한다. 유도체는 이들의 염을 포함하며, 이는 아민과의 염 및 알칼리 및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한다. 적당한 염의 예는 말산 칼슘, 시트르산 칼슘, 말산 칼륨 및 시트르산 칼륨을 포함한다.
다관능성 상용화제의 제 3 유형은 분자 내에 (a) 및 (b) 모두, 즉 (a) 산 할로겐화물 기 및 (b)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시산, 무수물, 에스테르, 에폭시, 오쏘에스테르, 또는 아미드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산 또는 무수물기를 갖는다. 이러한 군에 속하는 상용화제의 예는 무수 트리멜리트산 염화물(trimellitic anhydride acid chloride), 클로로포르밀 숙신산 무수물(chloroformyl succinic anhydride), 클로로포르밀 숙신산, 클로로포르밀 글루타르산 무수물, 클로로포르밀 글루타르산, 클로로아세틸 숙신산 무수물, 클로로아세틸 숙신산, 트리멜리트산 염화물, 및 클로로아세틸 글루타르산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용화제는 무수 트리멜리트산 염화물로 구성된다.
상기 상용화제는 용융 블렌드에 직접 첨가되거나, 또는 상기 조성물의 제조시 채용된 다른 수지 물질은 물론, 폴리(아릴렌 에테르) 및 폴리아미드 중 하나 또는 모두와 예비-반응될(pre-reacted)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상용화제, 특히 다관능성 화합물을 이용하면, 상기 상용화제의 적어도 일부가 적당한 용매의 용액 또는 용융물에서,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의 일부 또는 전부와 예비 반응된 경우, 상용성에 있어 훨씬 더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밝혀진다. 그러한 예비 반응은 상기 상용화제가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와 반응하여 결과적으로 이를 관능화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말레산 무수물과 예비 반응하여 무수물-관능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비-관능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에 비하여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을 개선한다.
상용화제가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의 제조시 사용될 경우, 사용되는 양은 선택된 특정의 상용화제 및 그것이 첨가되는 특정의 폴리머 시스템에 따라 다를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상용화제의 양은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 중량%, 구체적으로 약 0.2 내지 약 0.8 중량%, 좀 더 구체적으로 약 0.3 내지 약 0.6 중량%이다.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외에,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5 내지 약 3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로 구성된다. 상기 약 5 내지 약 35 중량%의 범위 내에서, 유리 중공 비드의 양은 약 10 내지 약 30 중량%, 구체적으로 약 15 내지 약 25 중량%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비교적 좁은 범위의 직경, 밀도 및 파쇄 강도 특성을 갖는 중공 유리 비드만이 상기 절연 바의 열전도도의 원하는 감소를 일으킴을 밝혀냈다.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약 20 내지 약 60 마이크로미터, 구체적으로 약 25 내지 약 55 마이크로미터, 좀 더 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약 50 마이크로미터, 훨씬 더 구체적으로 약 35 내지 약 45 마이크로미터의 부피-평균 직경을 갖는다. 부피-평균 직경은 현미경 검사를 포함하여 종래의 입자 크기 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S38HS 및 S38XHS 중공 유리 비드의 입자 크기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3M에 의해 공급되는 중공 유리 비드의 공칭 평균 직경은 3M QCM 193.0 시험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약 0.3 내지 약 0.5 그램/밀리리터, 구체적으로 약 0.35 내지 약 0.45 그램/밀리리터, 좀 더 구체적으로 약 0.35 내지 약 0.4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를 갖는다. "진밀도(true density)"라는 용어는 단일 유리 비드의 밀도에 상당하며, 패킹(packing)에 따라 다른, 유리 비드의 벌크 밀도와 대조되는 것이다. 3M에 의해 공급되는 중공 유리 비드의 공칭 진밀도는 3M QCM 14.24.1 시험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약 30 내지 약 60 메가파스칼, 구체적으로 약 35 내지 약 55 메가파스칼, 더 구체적으로 약 35 내지 약 50 메가파스칼, 좀 더 구체적으로 약 35 내지 약 45 메가파스칼, 훨씬 더 구체적으로 약 35 내지 약 40 메가파스칼의 이소스태틱 파쇄강도를 갖는다. 이소스태틱 파쇄강도는 ASTM D 3102-78(1982), "중공 유리 미소구체(microspheres)의 이소스태틱 붕괴 강도(collapse strength)의 결정 실습"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3M에 의해 공급되는 중공 유리 비드의 공칭 이소스태틱 파쇄 강도는 3M QCM 14.1.8 시험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 이르게 된 연구 이전에, 중공 유리 비드의 이소스태틱 파쇄 강도가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열 전도도를 예측하게 할 것인지가 분명치 않았던 적어도 두 가지의 이유가 있다. 첫째,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제조 및 처리는 상기 중공 유리 비드를, 이소스태틱 파쇄 강도 결정을 위한 시험 조건에 있는 것들과 다른 온도, 압력 및 전단 응력에 놓이게 한다. 둘째, 어떠한 공정 조건이 중공 유리 비드의 무결성(integrity)에 가장 해로운지가 명확치 않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용융 블렌딩하는 과정 동안 겪게 되는 전단력인가, 상기 용융 블렌딩 단계의 출구(예를 들어, 압출기의 다이 면(die face))에서의 고압인가,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이 상기 용융 블렌딩 장치를 나와서 공기 또는 물과 같은 냉각 매체를 만날 때 그것의 신속한 수축인가, 사출 성형 단계 동안의 고압인가, 아니면 다른 공정 조건인가? 그 답은 고도의 열가소성 기술자에게 명확하지 않았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여기 기재된 모든 특성 값은 25℃에서 측정된다.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선택적으로, 폴리아미드-함유 매트릭스와의 상용성 개선을 위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적당한 표면 처리제는 예를 들어 아미노실란, 에폭시실란 등을 포함한다.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면 처리제는 보통 약 0.5 내지 약 20 단층(monolayers)의 표면적 범위에서 사용된다.
중공 유리 비드의 제조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Bingham에 대한 미국 특허 제3,700,478호, Howell에 대한 4,391,646호, Tanaka 등에 대한 6,531,222호, 및 Anderson에 대한 6,914,024호에 기재되어 있다. 적당한 중공 유리 비드는 또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모두 3M의 Glass Bubbles K46, Glass Bubbles S38XHS 및 Glass Bubbles S38HS 이다. 상기 중공 유리 비드의 표면-처리된 것들, 예를 들어 아미노실란-처리된 것이 또한 이용가능하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미만의 섬유 보강재, 예를 들어 유리섬유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섬유 보강재의 양은 2 중량% 미만, 구체적으로 1 중량% 미만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섬유 보강재를 배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또한 약 0.5 내지 약 2 중량%, 구체적으로 약 0.8 내지 약 1.5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또한 약 0.02 내지 약 0.1 중량%, 구체적으로 약 0.03 내지 약 0.08 중량%의 불화비닐리덴(vinylidene fluoride)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로 더 구성된다. 불화비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는 상기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5 내지 약 75 중량%, 구체적으로 약 60 내지 약 70 중량%의 불소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불화비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는 불화비닐리덴으로부터 유도된 잔기 50 내지 70 중량%,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잔기 30 내지 50 중량%로 구성된다. 그러한 불소화된 공중합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불소 함량 65.9±0.3% 및 무니(Mooney) 점도 33±5를 갖는 폴리(불화비닐리덴-코(co)-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88-92 중량%, 탈크 4-9 중량%, 합성 무정형 실리카 1-4 중량% 및 탄산칼슘 < 5%로 구성되는 Dyneon의 DYNAMAR FX 9613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불화비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는 상기 불화비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약 2 내지 약 10 중량%,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약 90 내지 약 98 중량%로 구성되는 마스터배치(masterbatch)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중량%는 상기 마스터배치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2 중량%, 구체적으로 약 0.8 내지 약 1.5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약 0.02 내지 약 0.1 중량%, 구체적으로 약 0.03 내지 약 0.08 중량%의 불화비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로 구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또한 선택적으로, 약 2 내지 약 30 중량%의 고무-개질된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더 구성될 수 있다. 약 2 내지 약 3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상기 양은 약 4 내지 약 25 중량%, 구체적으로 약 8 내지 약 20 중량%, 좀 더 구체적으로 약 8 내지 약 15 중량%일 수 있다. 고무-개질된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그들의 제조방법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들 물질은 또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적당한 고무-개질된 폴리스티렌은 Supreme Petrochem Ltd.의 HIPS로서 이용가능한 고충격 폴리스티렌을 포함한다. 적당한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약 31 내지 33 중량%의 폴리스티렌 함량을 갖는, KRATON Polymers의 KRATON G1651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필요하거나 선택적인 것으로 여기 기재된 것들을 제외한 폴리머를 1 중량% 이하로 포함하거나 전적으로 배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호모폴리스티렌, 알케닐 방향족 모노머 및 공액 디엔의 비수소화된 블록 공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및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하나 이상을 1 중량% 이하로 포함하거나 전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안정화제, 이형제(mold release agents), 가공 보조제, 폴리아미드 유동 촉진제(예를 들어, 에폭기 관능성을 갖거나 갖지 않는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저분자량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및 액체 폴리올레핀 고무), 폴리(아릴렌 에테르) 유동 촉진제(예를 들어, 저분자량 호모폴리스티렌, 및 저분자량 고무-개질된 폴리스티렌), 난연제, 드립 지연제, 핵형성제(nucleating agent), 자외선 차단제, 염료, 안료, 항산화제, 대전 방지제, 발포제(blowing agents), 광유, 금속 불활성화제, 블로킹 방지제, 나노클레이, 전기전도성 제제(electrically conductive agents),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첨가제로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기포제(foaming agents) 및/또는 그들의 잔기를 배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난연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전적으로 배제한다. 난연제는 예를 들어, 브롬화된 폴리머(예를 들어 브롬화된 폴리스티렌), 금속 디알킬 포스피네이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트리스(디에틸포스피네이트)), 금속 수산화물(예를 들어 수산화마그네슘), 및 방향족 인산염 에스테르(예를 들어 레조시놀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및 비스페놀 A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제제는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카본 블랙, 카본 나노튜브, 탄소 섬유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카본 블랙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고 다양한 상표명 하에 판매되며, 이들은 S.C.F. (Super Conductive Furnace), E.C.F. (Electric Conductive Furnace), KETJENBLACK EC (Akzo Co., Ltd.로부터 이용가능), PRINTEX XE2B (Degussa로부터 이용가능), ENSACO 350G (Timcal로부터 이용가능), 또는 아세틸렌 블랙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전도성 카본 블랙은 200 나노미터(nm) 이하, 구체적으로 100 nm 이하, 좀 더 구체적으로 50 nm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상기 전기 전도성 카본 블랙은 또한 BET 분석에 의해 결정될 때, 그램당 200 제곱미터(㎡/g) 보다 큰, 구체적으로 400 ㎡/g 보다 큰, 좀 더 구체적으로 900 ㎡/g 보다 큰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 전도성 카본 블랙은 디부틸 프탈레이트 흡수에 의해 결정될 때, 100 그램당 40 세제곱센티미터(㎤/100g) 이상, 구체적으로 100 ㎤/100g 이상, 좀 더 구체적으로 150 ㎤/100g 이상의 공극 부피(pore volume)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렌 에테르), 중공 유리 비드 및 임의의 선택 성분들을 용융 블렌딩함으로써 제조된다. 중공 유리 비드의 파쇄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들은 상기 조성물 내에 균일한 분포를 보장하면서 혼합(compounding) 과정에서 가능한 늦게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공 유리 비드를 제외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제 1 혼합 단계에서 혼합 및 펠릿화되며, 결과 얻어진 (채워지지 않은) 조성물은 이어서 제 2 혼합 단계에서 중공 유리 비드와 혼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체 열가소성 조성물이 혼합 및 펠릿화되며, 펠릿은 이후의 프로필 압출 공정에 사용되어 절연 바를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혼합되어 즉시 펠릿화되지 않고, 바로 프로필 압출에 적용된다. 상세한 혼합 조건들은 아래의 실행 예에 개시된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중요한 특성은 낮은 열전도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40 밀리미터 직경 및 3.4 밀리미터 두께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50℃에서 ASTM E 1530-06에 따라 측정할 때, 0.24 와트/미터-캘빈(watts per meter-Kelvin)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다.
상기 열전도도는 0.22 와트/미터-캘빈 미만, 0.2 와트/미터-캘빈 미만, 또는 0.19 와트/미터-캘빈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0.16 내지 약 0.24 와트/미터-캘빈의 열전도도를 갖는다. 이 범위 내에서, 상기 열 전도도는 약 0.17 내지 약 0.22 와트/미터-캘빈, 구체적으로 약 0.18 내지 약 0.2 와트/미터-캘빈, 좀 더 구체적으로 약 0.185 내지 약 0.19 와트/미터-캘빈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또 다른 중요한 특성은 비교적 낮은 밀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25℃에서 1 그램/밀리리터 이하의 밀도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밀도는 0.95 그램/밀리리터 미만, 0.9 그램/밀리리터 미만, 또는 0.85 그램/밀리리터 미만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0.8 내지 약 1 그램/밀리리터의 밀도를 갖는다. 이 범위 내에서, 상기 밀도는 약 0.82 내지 약 0.9 그램/밀리리터, 구체적으로 약 0.83 내지 약 0.85 그램/밀리리터일 수 있다.
프로필 압출은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절연 바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바는 약 0.2 내지 약 4 밀리미터의 벽 두께를 갖는 속이 빈 것일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상기 벽 두께는 약 0.3 내지 약 2 밀리미터, 구체적으로 약 0.4 내지 약 1 밀리미터, 좀 더 구체적으로 약 0.4 내지 약 0.8 밀리미터일 수 있다.
상기 단열 구조 부재는 상기 절연 바(들)를 상기 프레임 내로 미끄러뜨림(sliding)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구조 부재의 매우 특정한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 바는 약 0.2 내지 약 4 밀리미터 두께를 갖는 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은 25℃ 클로로포름에서 측정되었을 때 약 0.3 내지 약 0.6 데시리터/그램의 고유 점도를 갖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로 구성되는 폴리(아릴렌 에테르) 약 32 내지 약 45 중량%, 폴리아미드-6,6로 구성되는 폴리아미드 약 32 내지 약 45 중량%, 상기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 및 상기 폴리아미드-6,6에 대한 상용화제 약 0.15 내지 약 2 중량%, 및 중공 유리 비드 약 15 내지 약 25 중량%로 구성되는 성분들의 용융 블렌딩 생성물이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40 밀리미터 직경 및 3.4 밀리미터 두께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50℃에서 ASTM E 1530-06에 따라 측정할 때, 0.2 와트/미터-캘빈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0.16 내지 0.2 와트/미터-캘빈의 열전도도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용융 블렌딩된 성분들은 또한 약 3 내지 약 13 중량%의 고무-개질된 폴리스티렌으로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용융 블렌딩된 성분들은 또한 약 0.5 내지 약 2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약 0.02 내지 약 0.1 중량%의 불화 비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로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약 55 내지 약 95 중량%의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이며,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약 20 내지 약 6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평균 직경; 약 0.3 내지 약 0.5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 및 약 30 내지 약 60 메가파스칼의 이소스태틱 파쇄강도를 가지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5 중량% 미만의 섬유 보강재로 구성된다. 매우 특정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은 25℃ 클로로포름에서 측정되었을 때 약 0.3 내지 약 0.6 데시리터/그램의 고유 점도를 갖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로 구성되는 약 32 내지 약 45 중량%의 폴리(아릴렌 에테르), 폴리아미드-6,6로 구성되는 약 32 내지 약 45 중량%의 폴리아미드, 상기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 및 상기 폴리아미드-6,6에 대한 상용화제 약 0.15 내지 약 2 중량%, 및 약 15 내지 약 2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로 구성되는 성분들의 용융 블렌딩 생성물이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40 밀리미터 직경 및 3.4 밀리미터 두께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50℃에서 ASTM E 1530에 따라 측정할 때, 0.2 와트/미터-캘빈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은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및 압출된 물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어 또는 윈도우용 단열 구조 부재의 열전도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는 약 55 내지 약 95 중량%의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되는 절연 바를 금속 프레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enclosing)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약 0.3 내지 약 0.5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 및 약 30 내지 약 60 메가파스칼의 이소스태틱 파쇄강도를 가지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5 중량% 미만의 섬유 보강재로 구성된다. 상기 구조 부재에 관한 문맥에서 앞서 기재된 모든 변수들은 열전도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방법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아래의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1: 금속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되는 절연 바로 구성되는 도어 또는 윈도우용 단열 구조 부재로서, 상기 절연 바는 약 55 내지 약 95 중량%의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약 20 내지 약 6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평균 직경; 약 0.3 내지 약 0.5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 및 약 30 내지 약 60 메가파스칼의 이소스태틱 파쇄강도를 가지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5 중량% 미만의 섬유 보강재로 구성되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2: 실시예 1의 단열 구조 부재로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40 밀리미터 직경 및 3.4 밀리미터 두께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50℃에서 ASTM E 1530에 따라 측정할 때, 0.24 와트/미터-캘빈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3: 실시예 1 또는 2의 단열 구조 부재로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40 밀리미터 직경 및 3.4 밀리미터 두께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50℃에서 ASTM E 1530에 따라 측정할 때, 약 0.16 내지 약 0.24 와트/미터-캘빈의 열전도도를 갖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4: 실시예 1 내지 3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25℃에서 1 그램/밀리리터 이하의 밀도를 갖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5: 실시예 1 내지 4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25℃에서 약 0.8 내지 약 1 그램/밀리리터의 밀도를 갖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6: 실시예 1 내지 5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는 25℃ 클로로포름에서 측정했을 때 약 0.3 내지 약 0.6 데시리터/그램의 고유 점도를 갖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7: 실시예 1 내지 6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은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 및 상기 폴리아미드를 약 0.5:1 내지 약 1.2: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8: 실시예 1 내지 7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0.5 내지 약 2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더 구성되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9: 실시예 1 내지 8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0.02 내지 약 0.1 중량%의 불화비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로 더 구성되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10: 실시예 1 내지 9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0.5 내지 약 2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약 0.02 내지 약 0.1 중량%의 불화비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로 더 구성되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11: 실시예 1 내지 10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2 내지 약 30 중량%의 고무-개질된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더 구성되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12: 실시예 1 내지 11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아미노실란으로 구성되는 표면 코팅을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13: 실시예 1 내지 12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바는 약 0.2 내지 약 4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 벽으로 구성되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14: 실시예 1의 단열 구조 부재로서, 상기 절연 바는 약 0.2 내지 약 4 밀리미터 두께를 갖는 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은 25℃ 클로로포름에서 측정되었을 때 약 0.3 내지 약 0.6 데시리터/그램의 고유 점도를 갖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로 구성되는 약 32 내지 약 45 중량%의 폴리(아릴렌 에테르), 폴리아미드-6,6로 구성되는 약 32 내지 약 45 중량%의 폴리아미드, 약 0.15 내지 약 2 중량%의 상기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 및 상기 폴리아미드-6,6에 대한 상용화제, 및 약 15 내지 약 2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로 구성되는 성분들의 용융 블렌딩 생성물이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40 밀리미터 직경 및 3.4 밀리미터 두께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50℃에서 ASTM E 1530에 따라 측정할 때, 0.2 와트/미터-캘빈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15: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0.16 내지 0.2 와트/미터-캘빈의 열전도도를 갖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16: 실시예 14 또는 15에 있어서, 상기 용융 블렌딩된 성분들은 약 3 내지 약 13 중량%의 고무-개질된 폴리스티렌으로 더 구성되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17: 실시예 14 내지 16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상기 용융 블렌딩된 성분들은 약 0.5 내지 약 2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약 0.02 내지 약 0.1 중량%의 불화 비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로 더 구성되는, 단열 구조 부재.
실시예 18: 실시예 1의 단열 구조 부재로 구성되는 윈도우.
실시예 19: 실시예 1의 단열 구조 부재로 구성되는 도어.
실시예 20: 도어 또는 윈도우용 단열 구조 부재의 열 전도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금속 프레임 내에 절연 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절연 바는 약 55 내지 약 95 중량%의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약 20 내지 약 6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평균 직경, 약 0.3 내지 약 0.5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 및 약 30 내지 약 60 메가파스칼의 이소스태틱 파쇄강도를 가지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5 중량% 미만의 섬유 보강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아래의 비제한적 예에 의해 더 설명된다.
예 1-6, 비교예 1-7
이들 예는 밀도, 파쇄 강도 및 입자 크기를 포함하는, 중공 유리 비드의 특성들이 최종 조성물에 미치는 영향을 예시한다.
조성물들은 표 1에 기재된 성분들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Figure 112012078405247-pct00003
Figure 112012078405247-pct00004

상기 블렌드의 혼합은 2단계로 실행되었다. 첫째 단계에서는, Krupp Werner & Pfleiderer로부터의 23-밀리미터, 3-로브(lobe), 동시 회전 이축 압출기에서 폴리(아릴렌 에테르)-폴리아미드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압출기의 공급 목구멍부(feedthroat)에 폴리(아릴렌 에테르), 안정화제, 카본블랙, LDPE/Dynamar 및 시트르산을 첨가하였다. 폴리아미드는 다운스트림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압출기는 150 내지 300℃의 배럴(barrel) 온도를 이용하였다. 처리량(throughput)은 분당 400회 회전 속도로 나사 회전되고 100 내지 500 밀리바(millibars)의 진공이 상기 압출기의 마지막 배럴의 용융물에 적용되도록 하면서, 시간당 약 15 내지 20 킬로그램이었다. 토크는 약 60 내지 65%로 유지하였다.
둘째 단계에서는, 상기 첫째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블렌드를 주요 목구멍부에 첨가하고 상기 중공 유리 비드를 다운스트림으로 첨가하였다. 이러한 혼합은 Krupp Werner & Pfleiderer로부터의 25-밀리미터, 2-로브(lobe), 동시 회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실행하였다. 상기 압출기는 150 내지 300℃의 배럴 온도를 이용하였다. 처리량은 분당 150 내지 300회 회전수(rpm)로 나사 회전되고 100 내지 500 밀리바의 진공이 상기 압출기의 끝에서 두번째 배럴의 용융물에 적용되도록 하면서, 시간당 8 내지 10 킬로그램이었다. 토크는 약 40 내지 50%로 유지하였다. 상기 압출물을 펠릿화하였다.
그 다음 펠릿을 강제 공기순환 오븐에서 120℃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고 시험 바(bars) 내로 성형하였다. 시험 바는 40 내지 300℃로 설정된 배럴과 100℃로 설정된 성형 온도에서 사출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성형되었다.
미터당 켈빈당 와트 단위(W/mK)로 표현되는 열전도도 값은 NETZSCH, USA로부터 입수된 TCA 446/3 장치를 이용하여 ASTM E1530-06에 기재된 열유속법(guarded heat flow method)에 따라 측정하였다. 40 mm 직경 및 3.4 mm 두께의 디스크를 열전도도 측정용 샘플로서 이용하였다. 상기 샘플은 폴리에틸렌 지퍼락 백(zip lock bag)에 보관하여 23℃, 50%의 상대 습도 상태에서 48시간 동안 있었다. 하나의 샘플과 열유속 변환기(HFT; heat flux transducer)를 서로 다른 온도로 조절된 두 개의 평평한 판 사이에 샌드위치시켜서, 상기 샘플을 가로지르는 온도차가 약 20℃가 되어, 상기 샘플을 통해 열 흐름(heat flow)이 생성되도록 하였다. 재생가능한 로드(제곱인치당 30 파운드; 207 킬로파스칼)을 공압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해 상기 샘플에 적용하여, 상기 견본과 판 표면들 사이에 재생가능한 접촉 저항이 있도록 하였다. 가드(guard)는 시험 스택(stack)을 둘러싸고 일정한 평균 온도(약 50-54℃)로 유지되어, 상기 스택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측면 열흐름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상기 샘플의 평균 온도는 약 50℃이다. 정상 상태(steady state)에서, 상기 견본에 접하는 표면들 사이의 온도 차이는 상기 표면에 내장된 온도 센서로, 상기 HFT의 전기 출력과 함께 측정한다. 이러한 출력(전압)은 상기 견본, 상기 HFT 및 상기 견본과 상기 장치 사이의 계면을 통과하는 열 흐름에 비례한다. 상기 비례성(proportionality)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측정되는 기준 견본(Vespel.은 50℃에서 약 0.38 W/mK의 알려진 열전도도를 갖는 DuPont(Wilmington, DE)의 제품이자 상표이다)을 갖는 시스템의 사전 교정(prior calibration)을 통해 얻어지므로, 상기 표면에서의 접촉 저항은 재생가능해 진다.
밀도(그램/밀리리터 단위)는 가스 밀도측정기(gas pycnometer)에 의해 성형된 부분들 뿐만 아니라 혼합된 펠릿에서도 측정하였다. 가스 밀도측정기로 측정된 실험 밀도와 이론적 밀도의 차이인 밀도차는 중공 유리 비드의 파쇄(breakage)에 비례한다. 밀도차는 압출된 조성물의 펠릿 및 성형된 부분들 모두에 대하여 결정하였다. 이론 밀도는 아래 식에 따라 혼합법칙에 의해 계산된다:
ρ복합체 = VHMC x ρHMC + V매트릭스 x ρ매트릭스
상기 식에서 ρ복합체는 복합체의 밀도이고, VHMC는 중공 유리 비드의 부피 분획이며, ρHMC는 중공 유리 비드의 밀도이고, V매트릭스는 폴리머 매트릭스의 부피 분획이며, ρ매트릭스는 폴리머 매트릭스의 밀도이다. 펠릿은 노(furnace)에서 12시간 동안 550℃에서 촤(charred)되어, 혼합하는 동안 상기 압출기 내로 공급된 중공 유리 비드의 실제 양을 알게 되었다.
도메인 입자 크기는 120 킬로볼트에서 작동되는 Philips CM12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투과전자 현미경 관찰(TEM)에 의해 분석하였다. 전형적인 미세구조의 현미경 사진은 9700X의 배율에서 촬영하였다. TEM 조사를 요하는 100 나노미터 두께의 부분들은 실온에서 초미세절단법(ultramicrotomy)에 의해 준비하였다. 이들 부분을 3 밀리미터, 400 메쉬 구리 TEM 그리드 상에 수거하였다. 분산상(disperse phase)을 연구하는데 사용되는 TEM 부분들은 사산화루테늄(RuO4) 용액으로 30초간 증기 착색(vapor stained)시켰다.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에서, 사산화루테늄은 우선적으로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착색시킨다.
잔류 회분 샘플을 취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SEM) 스터브(stub)에서 분산시켜 중공 유리 비드의 형태를 연구하였다. SEM 스터브와 함께 상기 분산된 잔류 샘플들을 금으로 코팅하여 전기 전도성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코팅된 샘플들은 SEM(FEI quanta 400)에 삽입하고 후방 산란 모드에서 상이한 배율로 영상화하였다(imaged). 상이한 샘플로부터 기록된 SEM 영상들은 영상을 시각 검사한 후에, 파쇄 정도가 증가/감소하는데 있어서 샘플들을 서열화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조성물 및 특성은 표 2-4에 요약된다. 각 성분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로 표현된다. 메가파스칼(MPa) 단위로 표현되는 중공 유리 비드 파쇄 강도는 제조업자에 의해 보고되는 이소스태틱 파쇄 강도이며, 상기 중공 유리 비드의 적어도 80%가 온전하게 남고(survive) 상기 중공 유리 비드의 약 90%가 보통 살아남는 압력에 대응한다. 세제곱 센티미터당 그램 단위(g/cc)로 표현되는 중공 유리 비드 진밀도는 제조업자에 의해 보고되는 바와 같다. 중량%로 표현되는 촤 값(char value)은 상기 펠릿 내에 존재하는 중공 유리 비드의 실제 양을 나타낸다. 상기 펠릿은 550℃ 노에서 12시간 동안 태워서 폴리머 또는 임의의 기타 유기 물질을 제거하였다. 열 전도도, 펠릿 밀도, 펠릿 밀도차 및 성형된 부분의 밀도차의 결정은 앞서 기재되었다.
표 2에서, 비교예 1-7 및 예 1-6은 열 전도도 및 펠릿의 최종 밀도에 대한 입자 크기 분포, 중공 유리 비드의 밀도 및 파쇄 강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비교예 1은 중공 유리 비드가 없는 조성물이다. 중공 유리 비드가 없는 비교예 1과 중공 유리 비드가 있는 예 1-6을 비교하면, 중공 유리 비드의 첨가가 열 전도도 및 밀도에서 원하는 감소를 동반함을 보여준다. 38 내지 41 메가파스칼의 파쇄 강도 및 0.38 내지 0.46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를 갖는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예 1-3을, 4 내지 27 메가파스칼의 파쇄 강도 및 0.25 내지 0.8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를 갖는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비교예 4 및 5와 비교하면, 예 1-3이 바람직하게 더 낮은 밀도 및 열 전도도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예 1-3에서 더 조밀한 중공 유리 비드를 사용하여 덜 조밀한 최종 조성물이 얻어졌음을 관찰한 것은 중공 유리 비드의 파쇄가 감소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믿어진다. 주목할 것은 펠릿의 실제 밀도와 이론 밀도 사이의 차이가 ≤0.005로부터 0.184 그램/밀리리터까지의 범위이며, 더 큰 값은 중공 유리 비드의 더 큰 파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또한 주목할 것은 성형된 디스크의 실제 밀도와 이론 밀도 사이의 차이가 ≤0.005로부터 0.239 그램/밀리리터까지의 범위이며, 더 큰 값은 중공 유리 비드의 더 큰 파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성형 부분들에 대한 밀도차가 펠릿에 대한 밀도차 보다 크다는 사실은, 중공 유리 비드의 일부 파쇄가 상기 혼합 및 펠릿화 단계에서 발생하고, 중공 유리 비드의 추가 파쇄는 상기 사출 성형 단계에서 발생함을 제안한다.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부분들의 경우, 중공 유리 비드의 파쇄 정도는 관찰되는 것 보다 더 밀접하게 펠릿에서 관찰되는 것을 닮게 될 가능성이 있다.
예 4-6과 비교예 6의 비교는 파쇄 강도 외에도 중공 유리 비드의 밀도의 중요성을 또한 예시한다. 비록 비교예 6의 S60HS 중공 유리 비드가 예 4-6의 S38XHS, S38HS 및 K46 중공 유리 비드 보다 더 높은 파쇄 강도를 갖지만, 그들은 더 열전도성인(덜 바람직한) 최종 조성물을 생성한다.
Figure 112012078405247-pct00005
Figure 112012078405247-pct00006
Figure 112012078405247-pct00007

도 5는 (a) 비교예 1 및 (b) 예 5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들이다. 연속적인 밝은 회색 상은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는 연속상에 대응하며, 불연속 어두운 상은 폴리(아릴렌 에테르)로 구성되는 분산상에 대응한다. 상기 현미경 사진은 중공 유리 비드의 첨가에 대한 분산상의 안정도를 보여준다. 각 영상에서 계란 형상들은 상기 분산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상의 입자들에 대응한다 (상기 유리 비드들은 도 5(b)에서는 보이지 않는데, 각각의 유리 비드가 상기 영상의 장(field) 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이다).
도 6은 550℃에서 촤(charring)된 펠릿의 부분들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들을 보여주며, (a)는 10 중량% S60HS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비교예 3, (b)는 10 중량% S38XHS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예 2, (c)는 10 중량% K25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비교예 4에 해당한다. 영상들은 S60HS 및 S38XHS에 비하여 K25의 심한 파쇄를 보여준다.
도 7은 550℃에서 촤(charring)된 성형된 부분들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들을 보여주며, (a)는 10 중량% S60HS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비교예 3, (b)는 10 중량% S38XHS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예 2, (c)는 10 중량% K25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비교예 4에 해당한다. 영상들은 S60HS 및 S38XHS에 비하여 K25의 심한 파쇄를 보여준다.
예 7-12
표 3에 보여지는 비교예 1 및 예 7-12는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에 대한 중공 유리 비드의 효과 및 기계적 특성에 대한 표면 처리의 잇점을 보여준다.
표 3에서, "성형된 부분의 밀도차(예상치-계산치)"의 값은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되었다. 기가파스칼 단위(GPa)로 표현되는 인장 탄성율(tensile modulus), 메가파스칼 단위(MPa)로 표현되는 인장강도, 및 % 단위로 표현되는 파단 인장 변형(tensile strain at break)의 값은 ISO 527에 따라 23℃에서 측정하였다.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 강도(notched Izod impact strength)의 값은 ISO 180/1A에 따라 23℃에서 측정하였다. 열저항(℃)(Vicat B)은 ISO 306에 따라 측정하였다.
비교예 1(중공 유리 비드가 없음)을 예 7-12(현재 요구되는 특성을 갖는 중공 유리 비드가 있음)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이 증가된 인장 탄성율과 감소된 열팽창 계수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예 7(처리되지 않은 K46 중공 유리 비드를 가짐)와 예 8(처리된 K46 중공 유리 비드를 가짐)을 비교하고, 예 9(처리되지 않은 S38XHS 중공 유리 비드를 가짐)와 예 10(처리된 S38XHS 중공 유리 비드를 가짐)을 비교하고, 예 11(처리되지 않은 S38HS 중공 유리 비드를 가짐)과 예 12(처리된 S38HS 중공 유리 비드를 가짐)를 비교하면, 표면 처리된 중공 유리 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표면 처리되지 않은 중공 유리 비드를 사용한 대응하는 조성물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보다 더 높은 인장강도 및 더 높은 파단 인장신율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Figure 112012078405247-pct00008
Figure 112012078405247-pct00009

비교예 8, 예 13-20
비교예 8(중공 유리 비드가 없음)과 예 13-20(현재 요구되는 특성을 갖는 중공 유리 비드가 있음)의 비교는, 중공 유리 비드와 수지 첨가물(SEBS 및 HIPS)의 결합된 효과를 보여준다. 비교예 8에 비하여 예 13-20은 열 전도도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된다. 예 13-20은 모두 0.2 와트/켈빈-미터 이하의 열 전도도 값을 나타냈으며, 상기 8개 예 중 6개는 0.19 와트/켈빈-미터 이하의 열 전도도 값을 나타냈다.
Figure 112012078405247-pct00010
Figure 112012078405247-pct00011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는 최선의 양식을 포함하여 발명을 개시하고 당업자가 발명을 실시 및 이용할 수 있도록 예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특허가능한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되며, 당업자에게 일어나는 다른 예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예들은 그들이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다르지 않은 구성 요소를 갖는다면, 또는 그들이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비실질적 차이를 갖는 균등한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면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모든 인용된 특허, 특허출원 및 기타의 문헌들은 여기에 참고로 전체로서 통합된다. 그러나, 본 특허출원의 용어가 상기 통합된 문헌에서의 용어와 모순되거나 충돌한다면, 본 출원에서의 용어가 상기 통합된 문헌의 충돌되는 용어보다 우선한다.
여기 개시된 모든 범위는 끝점을 포함하며, 상기 끝점은 독립적으로 서로 결합가능하다.
관사 "a", "an" 및 정관사 "the", 및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상(특히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문맥상) 유사한 지시체의 사용은 여기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상 명확히 부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여기서의 "제 1", "제 2" 등과 같은 용어는 어떠한 순서, 양 또는 중요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다만 하나의 요소를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임을 또한 주의하여야 한다. 양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수식어 "약"은 언급된 값을 포함하며 문맥상 결정되는 의미를 갖는다(예를 들면, 그것은 특정한 양의 측정치와 관련된 오차 정도를 포함한다).
1: 구조 부재
2: 프레임
3: 절연 바
4: 이중 유리 윈도우
5: 판유리
6: 도어
7: 도어 패널

Claims (20)

  1. 금속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되는 절연 바
    를 포함하는 도어 또는 윈도우용 단열 구조 부재로서,
    상기 절연 바는
    55 내지 95 중량%의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5 내지 4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
    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20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평균 직경,
    0.3 내지 0.5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true density), 및
    30 내지 60 메가파스칼의 이소스태틱 파쇄강도를 가지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0 중량% 이상 5 중량% 미만의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25℃에서 0.8 내지 1 그램/밀리리터의 밀도를 갖는, 단열 구조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은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 및 상기 폴리아미드를 0.5:1 내지 1.2: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55 내지 94.48 중량%의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5 내지 44.48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0.5 내지 2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0.02 내지 0.1 중량%의 불화비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55 내지 93 중량%의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5 내지 43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2 내지 30 중량%의 고무-개질된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바는 0.2 내지 4 밀리미터 두께를 갖는 벽을 포함하며;
    상기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은,
    25℃ 클로로포름에서 측정되었을 때 0.3 내지 0.6 데시리터/그램의 고유 점도를 갖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를 포함하는, 32 내지 45 중량%의 폴리(아릴렌 에테르),
    폴리아미드-6,6를 포함하는, 32 내지 45 중량%의 폴리아미드,
    0.15 내지 2 중량%의 상기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 및 상기 폴리아미드-6,6에 대한 상용화제, 및
    15 내지 2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
    를 포함하는 성분들의 용융 블렌딩 생성물이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40 밀리미터 직경 및 3.4 밀리미터 두께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50℃에서 ASTM E 1530에 따라 측정할 때, 0.2 와트/미터-캘빈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 단열 구조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블렌딩된 성분들은 3 내지 13 중량%의 고무-개질된 폴리스티렌을 더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블렌딩된 성분들은 0.5 내지 2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0.02 내지 0.1 중량%의 불화 비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
  9. 제1항, 제2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단열 구조 부재를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상기 물품은 윈도우 또는 도어로부터 선택되는, 물품.
  10. 금속 프레임 내에 절연 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어 또는 윈도우용 단열 구조 부재의 열 전도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절연 바는
    55 내지 95 중량%의 상용화된 폴리아미드-폴리(아릴렌 에테르) 조성물, 및
    5 내지 45 중량%의 중공 유리 비드
    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 유리 비드는
    20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평균 직경,
    0.3 내지 0.5 그램/밀리리터의 진밀도, 및
    30 내지 60 메가파스칼의 이소스태틱 파쇄강도를 가지며,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0 중량% 이상 5 중량% 미만의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는, 도어 또는 윈도우용 단열 구조 부재의 열 전도도 감소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7025290A 2010-04-28 2011-04-14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 KR101865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68,989 US8617702B2 (en) 2010-04-28 2010-04-28 Thermally insulated structural members, and doors and windows incorporating them
US12/768,989 2010-04-28
PCT/IB2011/051630 WO2011135480A1 (en) 2010-04-28 2011-04-14 Thermally insulated structural members, and doors and windows incorporating th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568A KR20130066568A (ko) 2013-06-20
KR101865233B1 true KR101865233B1 (ko) 2018-06-07

Family

ID=4424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290A KR101865233B1 (ko) 2010-04-28 2011-04-14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17702B2 (ko)
EP (1) EP2563855B1 (ko)
JP (1) JP5613824B2 (ko)
KR (1) KR101865233B1 (ko)
CN (1) CN102869713B (ko)
WO (1) WO201113548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863B1 (ko) 2021-06-07 2021-08-31 티에스산업 주식회사 회전형 도어구조물
KR102420060B1 (ko) 2022-01-25 2022-07-13 주식회사 유건알미늄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KR102517956B1 (ko) 2022-07-11 2023-04-06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527054B1 (ko) 2023-01-05 2023-05-03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538021B1 (ko) 2022-06-22 2023-05-31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46113A1 (en) 2011-12-21 2014-11-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iosepa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KR20150099780A (ko) 2012-12-20 2015-09-0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입자,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물품
US9447627B2 (en) 2014-05-27 2016-09-20 Guardian Industries Corp. Window frame system for vacuum insulated glass unit
US9845635B2 (en) 2014-05-27 2017-12-19 Guardian Glass, Llc. Window frame system for vacuum insulated glass unit
WO2016114837A2 (en) 2014-10-23 2016-07-21 South Dakota Board Of Regents Micro-channeled and nano-channeled polymer for structural and thermal insulation composites
CN105909919A (zh) * 2016-06-23 2016-08-31 南京惠科盛德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绝热板用芯材
RU2644899C1 (ru) * 2017-01-31 2018-02-1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е-Гран" Дверь
CA3057928C (en) * 2018-10-08 2023-10-03 Marvin Lumber And Cedar Company, D/B/A Marvin Windows And Doors Fenestration assemblies including composite insulating frame cores and methods for same
US10920032B2 (en) 2018-11-29 2021-02-16 Eastman Kodak Company Light-blocking articles with spacer functional composition
US11377567B2 (en) 2018-11-29 2022-07-05 Eastman Kodak Company Aqueous functional composition for articles
US11807731B2 (en) 2018-11-29 2023-11-0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making light-blocking articles
KR102559592B1 (ko) 2020-04-30 2023-07-25 에스에이치피피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물품,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CN115753778B (zh) * 2023-01-10 2023-07-07 泉州海关综合技术服务中心 一种茶叶灰分测定方法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2871A (ja) 2003-08-16 2007-02-15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ポリアミド組成物
JP2007119669A (ja) 2005-10-31 2007-05-17 Ube Ind Ltd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CN101629466A (zh) 2009-07-30 2010-01-20 金祥龙 穿条式铝合金保温节能窗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1250A (en) 1931-07-03 1937-02-16 Du Pont Linear condensation polymers
US2071251A (en) 1931-07-03 1937-02-16 Du Pont Fiber and method of producing it
US2130523A (en) 1935-01-02 1938-09-20 Du Pont Linear polyamides and their production
US2130948A (en) 1937-04-09 1938-09-20 Du Pont Synthetic fiber
US2241322A (en) 1938-09-30 1941-05-06 Du Pont Process for preparing polyamides from cyclic amides
US2312966A (en) 1940-04-01 1943-03-02 Du Pont Polymeric material
US2512606A (en) 1945-09-12 1950-06-27 Du Pont Polyamides and method for obtaining same
US3524794A (en) 1966-08-04 1970-08-18 Minnesota Mining & Mfg Fluid sealing gasket
US3707414A (en) 1968-01-08 1972-12-26 Ppg Industries Inc Novel composite structure from resole resins and inorganic nodules
US3608010A (en) 1968-01-24 1971-09-21 Federal Huber Co Method of forming a lightweight structural assembly by joining acrylic resin balls with a polyester or epoxy resin matrix
US3700478A (en) 1970-11-09 1972-10-24 Minnesota Mining & Mfg Microspheres having an antireflection coating and their use
US3832426A (en) 1972-12-19 1974-08-27 Atomic Energy Commission Syntactic carbon foam
US3917547A (en) 1974-01-14 1975-11-04 Phoenix Corp Organic-inorganic foamed foam
DE2552700C2 (de) 1975-11-25 1980-06-19 Otto Fuchs Kg, 5882 Meinerzhagen Verbundprofil, insbesondere fur Fenster, Türen und Fassaden
US4391646A (en) 1982-02-25 1983-07-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lass bubbles of increased collapse strength
JPS61236859A (ja) 1985-04-12 1986-10-22 Polyplastics Co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4970272A (en) 1986-01-06 1990-11-13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phenylene ether-polyamide compositions
US5132365A (en) 1986-01-06 1992-07-21 General Electric Co. Polyphenylene ether polyamide blends
ATE47193T1 (de) 1986-02-25 1989-10-15 Geilinger Ag Waermedaemmendes verbundprofil.
DE3801564A1 (de) * 1988-01-20 1989-08-03 Wilfried Ensinger Isoliersteg aus kunststoff
US5098781A (en) 1990-12-28 1992-03-24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plastic film, reinforced hollow glass microsphere reinforced laminates for thin low dielectric constant substrates
JPH05171032A (ja) * 1991-12-25 1993-07-09 Mitsubishi Petrochem Co Ltd 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DE4427682C2 (de) 1994-08-04 1996-12-12 Ensinger Gmbh & Co Verbundprofil für Rahmen von Fenstern, Türen, Fassadenelementen u. dgl.
US6357197B1 (en) 1997-02-05 2002-03-19 Andersen Corporation Polymer covered advanced polymer/wood composite structural member
JPH1130075A (ja) * 1997-07-10 1999-02-02 Otsuka Chem Co Ltd 窓 枠
US6047514A (en) * 1998-09-04 2000-04-11 Quanex Corporation Window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EP1172341A4 (en) 1999-06-30 2003-06-04 Asahi Glass Co Ltd FINE HOLLOW GLASS SPHER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6469093B1 (en) 1999-11-12 2002-10-22 General Electric Company Conductive polyphenylene ether-polyamide blend
DE10145096A1 (de) * 2001-09-13 2003-04-03 Bayer Ag Extrusionsprofi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7341783B2 (en) 2001-09-20 2008-03-11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Functionalized polyphenylene ether
US6800574B2 (en) 2001-10-24 2004-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lass beads and uses thereof
AU2002353050A1 (en) 2001-12-05 2003-06-17 Shell Oil Company Syntactic foam
US7183350B2 (en) * 2003-02-28 2007-02-27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arylene ether) blends having low melt viscosity in the absence of plasticizer
JP2007517127A (ja) 2003-12-30 2007-06-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ポリアミド合成発泡体
WO2005073264A1 (ja) 2004-01-30 2005-08-11 Nippon Steel Chemical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
CN1934176A (zh) 2004-03-22 2007-03-21 3M创新有限公司 填充纤维增强的热塑性复合材料
EP1760244A1 (en) 2005-09-02 2007-03-07 Südtirol Fenster S.r.l. Frame for windows
US7435780B2 (en) * 2005-11-29 2008-10-14 Sabic Innovavtive Plastics Ip B.V.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80071034A1 (en) 2006-09-15 2008-03-20 Christina Louise Braidwood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2871A (ja) 2003-08-16 2007-02-15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ポリアミド組成物
JP2007119669A (ja) 2005-10-31 2007-05-17 Ube Ind Ltd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CN101629466A (zh) 2009-07-30 2010-01-20 金祥龙 穿条式铝合金保温节能窗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863B1 (ko) 2021-06-07 2021-08-31 티에스산업 주식회사 회전형 도어구조물
KR102420060B1 (ko) 2022-01-25 2022-07-13 주식회사 유건알미늄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KR20220101054A (ko) 2022-01-25 2022-07-19 주식회사 유건알미늄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KR20220101053A (ko) 2022-01-25 2022-07-19 주식회사 유건알미늄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KR20220104111A (ko) 2022-01-25 2022-07-26 주식회사 유건알미늄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제어방법
KR102538021B1 (ko) 2022-06-22 2023-05-31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KR20240000370A (ko) 2022-06-22 2024-01-02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배터리가 배치된 미서기창
KR20240000371A (ko) 2022-06-22 2024-01-02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제어방법
KR102517956B1 (ko) 2022-07-11 2023-04-06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20230052261A (ko) 2022-07-11 2023-04-19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20230052262A (ko) 2022-07-11 2023-04-19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527054B1 (ko) 2023-01-05 2023-05-03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69713A (zh) 2013-01-09
JP2013525644A (ja) 2013-06-20
US20110265408A1 (en) 2011-11-03
EP2563855B1 (en) 2018-11-28
WO2011135480A1 (en) 2011-11-03
EP2563855A1 (en) 2013-03-06
JP5613824B2 (ja) 2014-10-29
US8617702B2 (en) 2013-12-31
KR20130066568A (ko) 2013-06-20
CN102869713B (zh)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233B1 (ko)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
KR101757688B1 (ko) 프로파일 압출 방법, 물품, 및 조성물
EP2688941B1 (en) Carbon nanotube masterbatch, preparation thereof, and use in forming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ion
US7608651B2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article
US20060167143A1 (en) Flame Retardant Poly(Arylene Ether)/Polyamide Composition
KR101942881B1 (ko) 융화된 바이오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렌 에테르) 열가소성 수지
KR20120115235A (ko) 난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방법 및 물품
EP2303545B1 (en) Profile extrusion method with reduced die build-up and extruded article prepared thereby
JP2009533523A (ja) 難燃性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ポリアミド組成物
EP2566913B1 (en) Method of incorporating an additive into a polyamide-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composition prepared thereby, and article comprising the composition
EP3017006B1 (en) Conductive polyamide composition and article
EP2724057B1 (en) Piston guide ring comprising polyamide-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