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863B1 - 회전형 도어구조물 - Google Patents

회전형 도어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863B1
KR102295863B1 KR1020210073460A KR20210073460A KR102295863B1 KR 102295863 B1 KR102295863 B1 KR 102295863B1 KR 1020210073460 A KR1020210073460 A KR 1020210073460A KR 20210073460 A KR20210073460 A KR 20210073460A KR 102295863 B1 KR102295863 B1 KR 102295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posed
glass
frame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인
김대환
Original Assignee
티에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에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퍼도어축 및 로어도어축을 중심을 회전되는 스윙도어(100); 상기 스윙도어(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수직프레임(210); 상기 스윙도어(10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수직프레임(220); 상기 스윙도어(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도어축과 결합되는 탑프레임(250);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2 수직프레임(220)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740);를 포함하는 회전형 도어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내부에 단열재를 배치하여 이슬 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회전형 도어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형 도어구조물{ROTATING DOOR STRUCTURE}
본 발명은 회전형 도어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회전형 도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과 같은 건축물에는 실, 내외로 근무자 또는 내, 외부인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가 설치되고, 이러한 도어는 건축물의 개구된 부분에 회전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건물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는 투명유리로 제작되고, 이 투명유리는 프레임에 의해 테두리가 감싸진 상태로 그 상, 하단이 건물의 개구된 부분의 천정과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0175호는 종래의 유리도어용 샤시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정해진 간격 이격된 유리도어용 샤시프레임과, 상기 샤시프레임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제1, 제2 세로바 단열몰딩재와, 상기 제1세로바 단열몰딩재에 끼워져 결합되는 방풍턱 및 이 방풍턱에 양단이 근접되게위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실, 내외 공간을 밀폐하거나 혹은 개방하는 유리도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도어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도어를 일방향으로 밀거나 혹은 당김으로써, 상기 도어가 수직방향의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실, 내외 공간이 개방된다.
특히, 상기 유리도어는 실, 내외 공간을 밀폐하도록 닫힌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기 방풍턱에 근접위치되고, 그 상태에서 내, 외기가 실외로 방출되거나 혹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유리도어 개방시 유리도어 양단이 방풍턱에 충돌되어 유리도어가 파손 또는 손상되고, 샤시프레임으로 전달된 내, 외기가 샤시프레임을 통해 실, 내외로 유입되 및 방출되거나 혹은 방풍턱과 유리도어 양단 사이 공간을 통해 내, 외기가 손쉽게 유입 또는 방출되고, 내, 외기의 유입또는 방출로 실내의 냉, 난방 효율이 저하되며, 실내의 공기 온도 유지를 위한 에너지 소비율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특히, 유리가 설치되는 도어의 경우,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에 의해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이슬맺힘으로 인해 내부에서 외부를 보거나 외부에서 내부를 보기 위한 유리를 사용하는 효용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슬맺힘이 발생될 경우, 맺힌 이슬에 먼지 등이 부착되어 유리표면에 얼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01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7819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79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5233호
본 발명은 이슬 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회전형 도어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내 측 유리에 맺히는 이슬맺힘 또는 실외 측 유리에 맺히는 이슬맺힘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회전형 도어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어퍼도어축 및 로어도어축을 중심을 회전되는 스윙도어(100); 상기 스윙도어(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수직프레임(210); 상기 스윙도어(10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수직프레임(220); 상기 스윙도어(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도어축과 결합되는 탑프레임(250);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2 수직프레임(220)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740);를 포함하는 회전형 도어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유리(400)는, 실내 측에 배치되는 제 1 유리(401); 상기 제 1 유리(401)와 이격되고 실외 측에 배치되는 제 2 유리(402); 상기 제 1 유리(401) 및 제 2 유리(402)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유리결합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도어(100)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의 상측을 연결하는 도어탑(130);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의 하측을 연결하는 도어바텀(140);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제 2 도어사이드(120), 도어탑(130) 및 도어바텀(140)에 둘러싸인 도어유리(400);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어퍼도어축(111);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도어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공간(621)이 형성된 이너프레임(620); 상기 이너프레임(620)에 결합되고, 실외을 향하게 배치된 제 1 아우터커버(610); 상기 이너프레임(620)에 결합되고, 실내을 향하게 배치된 제 2 아우터커버(630); 상기 제 1 아우터커버(610) 및 제 2 아우터커버(630)에 결합되고, 제 2 수직프레임(220) 또는 제 1 수직프레임(210)을 향하게 배치된 개스킷(640); 상기 이너프레임(620)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유리(400)가 삽입되는 유리삽입홈(6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열전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프레임 내부에 단열재를 배치하여 이슬 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회전형 도어구조물을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은 프레임 내부에 열전모듈을 배치하고,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열전모듈을 작동시킴으로써, 실내 측 유리에 맺히는 이슬맺힘 또는 실외 측 유리에 맺히는 이슬맺힘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스윙도어를 구성하는 프레임 내부에 열전모듈을 배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과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의 이슬맺힘을 제거 또는 억제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단열재 및 열전모듈을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열전모듈의 방열판이 프레임과 직접 접촉되어 열을 전도시키기 때문에, 이슬맺힘을 보다 신속하게 제거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도어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도어구조물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도어구조물은 도어축(111)(1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윙도어(1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형 도어구조물은, 스윙도어(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수직프레임(210)과, 상기 스윙도어(10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수직프레임(220)과, 상기 스윙도어(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프레임(25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형 도어구조물은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되는 열전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인가된 전원을 통해 일측이 발열되고, 타측이 냉각됨으로써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스윙도어(100) 표면에 생성되는 이슬맺힘을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스윙도어(100)에 이슬맺힘이 발생될 경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전모듈(500)을 통해 이슬맺힘을 제거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프레임 또는 스윙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윙도어(100)의 하측에 로어프레임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스윙도어(100)의 하측에 바닥(1)이 배치되고, 상기 스윙도어(100)의 하단이 상기 바닥(1)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윙도어(100)는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또는 제 2 수직프레임(220)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도어축(111)(112)이 배치되고, 상기 도어축(101)(10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축은 상기 탑프레임(250) 및 스윙도어(10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어퍼도어축(111)과, 상기 바닥(1) 및 스윙도어(10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로어도어축(112)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도어축(112)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바닥(1)에 매립되는 로어프레임(260)이 더 배치되고, 상기 로어도어축(112)은 로어프레임(260) 및 스윙도어(1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로어프레임(260)은 바닥(1)에 매립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윙도어(100)의 가로 폭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어퍼도어축(111) 및 로어도어축(112)을 상하 방향에 대해 일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도어축(111) 및 로어도어축(112)은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 측에 배치되고, 정면에서 볼 때,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형 도어구조물은,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과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3 수직프레임(230)과,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과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4 수직프레임(240)과,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3 수직프레임(230)을 연결하고, 상기 탑프레임(250)과 일렬로 배치되는 제 1 수평프레임(310)과,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 및 제 4 수직프레임(240)을 연결하고, 상기 탑프레임(250)과 일렬로 배치되는 제 2 수평프레임(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제 2 수직프레임(220), 제 3 수직프레임(230), 제 4 수직프레임(240), 탑프레임(250), 제 1 수평프레임(310), 제 2 수평프레임(32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스테인리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제 2 수직프레임(220), 제 3 수직프레임(230), 제 4 수직프레임(240), 탑프레임(250), 제 1 수평프레임(310), 제 2 수평프레임(320)은 내부가 빈 각 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평프레임(310)은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3 수직프레임(230)을 지지한다. 상기 제 1 수평프레임(310)의 하측에 로어 제 1 수평프레임(33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제 1 수평프레임(310)의 상측에 어퍼 제 1 수평프레임(35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 2 수평프레임(320)은 제 2 수직프레임(220) 및 제 4 수직프레임(240)을 지지한다. 상기 제 2 수평프레임(320)의 하측에 로어 제 2 수평프레임(34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제 2 수평프레임(320)의 상측에 어퍼 제 2 수평프레임(36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탑프레임(250)의 상측에 어퍼 탑프레임(27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어퍼 탑프레임(270)은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2 수직프레임(220)을 연결한다.
상기 어퍼 탑프레임(270)은 어퍼 제 1 수평프레임(350) 및 어퍼 제 2 수평프레임(360)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는 단열에 효과적인 로이유리(low-E glass)가 배치될 수 있다.
로이유리는 유리 표면에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얇게 코팅한 것으로 열의 이동을 최소화시켜주는 에너지 절약형 유리이며 저방사유리라고도 한다. 로이(Low-E:low-emissivity)는 낮은 방사율을 뜻한다. 특성상 단판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복층으로 가공하며, 코팅면이 내판 유리의 바깥쪽에 배치한다.
반사 유리나 컬러 유리 등의 표면에 은 등의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얇게 코팅한 것으로 저방사유리라고도 한다. 로이(Low-E:low-emissivity)라는 이름은 낮은 방사율, 낮은 복사능을 뜻한다. 따라서 건축물에 설치했을 경우 단열효과가 커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로이 유리는 특성상 단판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복층으로 가공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코팅면이 내판 유리의 바깥쪽으로 오도록 만든다.
로이 유리의 경우 창을 통해 들어오는 가시광선은 대부분 안으로 투과시켜 실내를 밝게 유지할 수 있다. 그에 비해 적외선 영역의 복사선은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겨울에는 안에서 발생한 난방열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여름에는 바깥의 열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므로 냉·난방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사용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단판유리와 비교해 약 50%, 일반 복층유리보다는 약 25%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장점 때문에 주택이나 일반 건축물의 창이나 채광을 위한 용도로 쓰며, 에너지 절약을 위한 용도로도 많이 쓴다. 특히 24시간 냉난방 가동 중인 호텔, 병원 등에 적합하다.
로이유리의 종류는 코팅 제조방법에 따라 파이롤리틱 공법(pyrolytic process)에 의한 하드 로이(hard low-E)와 스퍼터링 공법(sputtering process)에 의한 소프트 로이(soft low-E)로 구분한다.
하드 로이 코팅의 제조방법은 판유리 제조 공정 시 금속용액 또는 분말을 판유리 표면 위에 분사하고 열적 코팅을 시켜 생산한다. 코팅 물질은 금속산화물(SnO2) 단일물질이다. 장점은 열적 코팅으로 코팅 경도 및 내구성이 강하여 강화 가공 등의 열처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여러 금속 사용이 제한되어 색상이 단순하고, 코팅막이 탁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소프트 로이 코팅의 제조방법은 이미 생산된 판유리를 별도의 진공챔버에 넣고 은(Ag), 티타늄(Ti),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을 다층 박막 코팅시켜 생산한다. 장점은 투명도가 높고 여러가지 금속 사용으로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며, 광학 성능 및 열적 성능이 우수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하드코팅 대비 코팅 경도 및 내구성이 약하고, 복층유리 제작 시 에지 스트립핑 처리 설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상기 스윙도어(100)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과,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의 상측을 연결하는 도어탑(130)과,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의 하측을 연결하는 도어바텀(140)과,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제 2 도어사이드(120), 도어탑(130) 및 도어바텀(140)에 둘러싸인 도어유리(400)와,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도어축(111)과,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도어축(112)을 포함한다.
상기 스윙도어(100)는, 제 1 도어사이드(110), 제 2 도어사이드(120), 도어탑(130) 및 도어바텀(140)에 둘러싸인 도어유리(40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윙도어(100)는,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제 2 도어사이드(120), 도어탑(130) 및 도어바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열전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전모듈(500)은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제 2 도어사이드(120), 도어탑(130) 및 도어바텀(140)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제 1 도어사이드(110), 제 2 도어사이드(120), 도어탑(130) 및 도어바텀(14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인가된 전원을 통해 일측이 발열되고, 타측이 냉각됨으로써 스윙도어(100)의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스윙도어(100) 표면에 생성되는 이슬맺힘을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도어축(111) 및 로어도어축(112)은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도어사이드(120)에는 손잡이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의 구조가 동일하고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제 1 도어사이드(11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공간(621)이 형성된 이너프레임(620)과, 상기 이너프레임(620)에 결합되고, 정면(본 실시예에서 실외)을 향하게 배치된 제 1 아우터커버(610)와, 상기 이너프레임(620)에 결합되고, 배면(본 실시예에서 실내)을 향하게 배치된 제 2 아우터커버(630)와, 상기 제 1 아우터커버(610) 및 제 2 아우터커버(630)에 결합되고, 외측(본 실시예에서 제 2 수직프레임(220))을 향하게 배치된 개스킷(640)과, 상기 이너프레임(620)에 형성되고, 도어유리(400)가 삽입되는 유리삽입홈(65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유리(400)는, 실내 측에 배치되는 제 1 유리(401)와, 상기 제 1 유리(401)와 이격되고 실외 측에 배치되는 제 2 유리(402)와, 상기 제 1 유리(401) 및 제 2 유리(402)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유리결합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삽입홈(650)에는 상기 유리결합부재(430)를 포함한 상기 제 1 유리(401) 및 제 2 유리(402)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다.
실리콘 등의 접착부재(440)가 상기 제 1 유리(401) 및 제 1 아우터커버(610)를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제 2 유리(402) 및 제 2 아우터커버(630)를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이너프레임(620)은 지면과 수직한 단면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설치공간(621)은 이너프레임(6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프레임(620)은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일 수 있고, 압출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커버(610) 및 제 2 아우터커버(630)는 상기 이너프레임(620)의 외측면을 감싸게 배치되고,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 1 아우터커버(610) 및 제 2 아우터커버(6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아우터커버(610) 및 제 2 아우터커버(63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640)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스킷(640)은 상기 이너프레임(620)과 끼움결합된다. 상기 개스킷(640)은 상기 이너프레임(6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배치된다.
상기 개스킷(640)은 제 2 수직프레임(220) 및 이너프레임(6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에 밀착되어 실내 및 실외를 구획할 수 있으며, 상기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이너프레임(620)은, 내부에 설치공간(621)이 형성된 이너바디(660)와, 상기 이너바디(660)의 일측(제 2 도어사이드 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유리(400)가 결합되는 유리삽입홈(650)과, 상기 이너바디(660)의 타측(제 2 수직프레임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스킷(640)이 조립되는 개스킷설치부(67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공간(621)에 상기 열전모듈(500)이 배치된다.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설치공간(621)은 밀폐된 형상이다. 상기 설치공간(621)의 양단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유리삽입홈(650)은 이너바디(660)의 일측면(622a)에서 상기 설치공간(621)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660)는, 상기 유리삽입홈(650)이 형성되는 제 1 월(661)과, 상기 제 1 월(661)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월(662)과, 상기 제 1 월(661) 및 제 2 월(662)을 연결하고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3 월(663)과, 상기 제 1 월(661) 및 제 2 월(662)을 연결하고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4 월(664)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공간(621)은 제 1 월(661), 제 2 월(662), 제 3 월(663) 및 제 4 월(664)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월(661)의 일부가 상기 유리삽입홈(65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월(661)은 실내 측에 배치되는 부분과 실외 측에 배치되는 구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커버(610)는, 상기 제 3 월(663)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제 1-1 아우터커버부(611)와, 상기 제 1 월(661)의 실내측을 커버하는 제 1-2 아우터커버부(6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아우터커버부(611) 및 제 1-2 아우터커버부(612)는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아우터커버(630)는, 상기 제 4 월(664)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제 2-1 아우터커버부(631)와, 상기 제 1 월(661)의 실외측을 커버하는 제 2-2 아우터커버부(6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아우터커버부(631) 및 제 2-2 아우터커버부(632)는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2 아우터커버부(612)의 단 및 제 2-2 아우터커버부(632)의 단은 실리콘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상기 실리콘(640)이 상기 유리삽입홈(650)을 은폐한다.
상기 개스킷설치부(670)는 상기 제 2 월(662)에서 돌출된 제 1 개스킷월(671)과, 상기 제 2 월(662)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 1 개스킷월(671)과 이격된 제 2 개스킷월(672)과, 상기 제 1 개스킷월(671) 및 제 2 개스킷월(67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개스킷월(671)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3 개스킷월(673)과, 상기 제 2 개스킷월(672) 및 제 3 개스킷월(67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개스킷월(672)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4 개스킷월(67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개스킷월(671) 및 제 3 월(663)은 일렬로 배치되고, 실내측에 대해 연속된 평면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개스킷월(672) 및 제 4 월(664)은 일렬로 배치되고, 실외측에 대해 연속된 평면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개스킷월(671) 및 제 3 개스킷월(673) 사이에 제 1 개스킷삽입홈(675)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스킷월(672) 및 제 4 개스킷월(674) 사이에 제 2 개스킷홈(676)이 형성된다.
상기 개스킷(640)은 상기 제 1 개스킷삽입홈(675)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돌기(641)과, 상기 제 2 개스킷삽입홈(676)에 삽입되는 제 2 삽입돌기(642)과, 상기 제 1 삽입돌기(641) 및 제 2 삽입돌기(642)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 측으로 돌출된 개스킷바디(645)와, 상기 개스킷바디(645)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에 밀착되는 격벽(646)을 포함한다.
상기 개스킷바디(645)는 상기 제 1 삽입돌기(641) 측에 배치된 제 1 완충바디(645a)와, 상기 제 2 삽입돌기(642) 측에 배치된 제 2 완충바디(645b)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646)은 상기 제 1 완충바디(645a) 및 제 2 완충바디(645b)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완충바디(645a) 및 제 2 완충바디(645b)보다 외측으로 더 길게 돌출된다.
스윙도어(100)가 닫혔을 때, 상기 격벽(646)의 끝단(646a)이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에 밀착된다.
상기 제 3 개스킷월(673) 및 제 4 개스킷월(674) 사이에 끼움부재(647)가 끼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끼움부재(647)가 제 3 개스킷월(673) 및 제 4 개스킷월(674) 사이간격을 지지한다.
상기 끼움부재(647)는 제 3 개스킷월(673)가 제 4 개스킷월(674) 방향으로 휨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삽입돌기(641)가 상기 제 1 개스킷삽입홈(67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끼움부재(647)는 제 4 개스킷월(674)가 제 3 개스킷월(673) 방향으로 휨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 2 삽입돌기(642)가 상기 제 2 개스킷삽입홈(67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개스킷월(671) 및 제 3 개스킷월(673)은 상기 제 1 삽입돌기(641)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삽입돌기(641)과의 상호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개스킷월(672) 및 제 4 개스킷월(674)은 상기 제 2 삽입돌기(642)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2 삽입돌기(642)과의 상호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상기 설치공간(621)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프레임(620)과 밀착되어 열을 전도시킬 수 있으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생된 열을 통해 상기 이너프레임(620)의 실내측 및 실외측의 온도차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상기 이너프레임(620)에 형성되는 이슬맺힘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인가된 전원을 통해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550)와, 상기 열전소자(510)의 일측면에 결합된 제 1 방열판(510)과, 상기 열전소자(510)의 타측면에 결합된 제 2 방열판(520)을 포함한다.
상기 열전소자(550)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소자 양단에 직류 전압을 가하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한쪽 면에서는 흡열하고 반대 면에서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을 펠티어(Peltier)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열전소자(550)의 구성 및 작동 메터니즘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방열판(510) 또는 제 2 방열판(520) 중 어느 하나는 제 3 월(663)과 접촉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 4 월(664)과 접촉된다.
상기 열전소자(550)의 발열 또는 흡열은 상기 제 3 월(663) 또는 제 4 월(664)로 전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 측의 온도가 높고, 실내 측의 온도가 낮을 경우, 상기 열전모듈(500)은 실내 측의 제 3 월(663)로 열을 전도시켜 상기 제 3 월(663)의 이슬맺힘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 실내에서 냉방기를 작동시키는 경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스윙도어(100) 주변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실외 측의 온도가 낮고, 실내 측의 온도가 높을 경우(, 상기 열전모듈(500)은 실외 측의 제 4 월(664)로 열을 전도시켜 상기 제 4 월(664)의 이슬맺힘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 실내에서 난방기를 작동시키는 경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스윙도어(100) 주변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스윙도어(100)는 상기 실내 및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센서(101) 및 제 2 온도센서(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온도센서(101)는 상기 제 3 월(663)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월(663)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제 2 온도센서(102)는 상기 제 4 월(664)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월(664)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 1 온도센서(101) 및 제 2 온도센서(102)에서 감지된 온도차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온도가 낮은 쪽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이슬점은 공기가 포화되어 수증기가 응결할 때의 온도를 말하거나, 불포화 상태의 공기가 냉각될 때 포화되어 응결이 시작되는 온도이다.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수시로 접촉되는 스윙도어(100) 주변은 온도차가 크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스윙도어(100)의 표면에서 이슬맺힘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열판(510)은 상기 열전소자(55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 1-1 방열부(511)와, 상기 제 1-1 방열부(511)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3 월(663)에 접촉되는 제 1-2 방열부(5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방열부(511) 및 제 1-2 방열부(512)는 교차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1 방열부(511)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2 방열부(512)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1 방열부(511) 및 제 1-2 방열부(512)는 직교된다.
상기 제 1-2 방열부(512)는 상기 제 3 월(663)의 내측면에 넓게 접촉되고, 접촉면을 통해 상기 제 3 월(663)에 열을 전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방열판(520)은 상기 열전소자(550)의 타측면에 접촉되는 제 2-1 방열부(521)와, 상기 제 2-1 방열부(521)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4 월(664)에 접촉되는 제 2-2 방열부(5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방열부(521) 및 제 2-2 방열부(522)는 교차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1 방열부(521)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2 방열부(522)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2-1 방열부(521) 및 제 2-2 방열부(522)는 직교된다.
상기 제 2-2 방열부(522)는 상기 제 4 월(664)의 내측면에 넓게 접촉되고, 접촉면을 통해 상기 제 4 월(664)에 열을 전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방열판(510) 및 제 2 방열판(520)은 이너프레임(620)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 열을 직접 전도시키기 때문에, 열전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슬맺힘을 보다 신속하게 제거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열전모듈(500)은, 상기 제 1-1 방열부(511) 및 제 2-2 방열부(5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1 방열부(511) 및 제 2-2 방열부(522)를 지지하는 제 1 서포터(560)와, 상기 제 2-1 방열부(521) 및 제 1-2 방열부(51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2-1 방열부(521) 및 제 1-2 방열부(512)를 지지하는 제 2 서포터(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560) 및 제 2 서포터(570)는 탄성을 갖는 전열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서포터(560)의 후방 측이 상기 제 1-1 방열부(511)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 1 서포터(560)의 전방 측이 상기 제 2-2 방열부(522)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제 2 서포터(570)의 후방 측이 상기 제 1-2 방열부(512)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 2 서포터(570)의 전방 측이 상기 제 2-1 방열부(521)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제 1 서포터(560)는 요(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1 방열부(511)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터(570)는 요(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1 방열부(511)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560) 및 제 2 서포터(570)는 상기 이너프레임(62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 1 방열판(510) 및 제 2 방열판(520)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열전모듈(50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서포터(560) 및 제 2 서포터(570)는 제 1 방열판(510) 및 제 2 방열판(520)을 이너프레임(620) 측으로 밀착시켜 열전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2 수직프레임(220), 제 3 수직프레임(230), 제 4 수직프레임(240), 탑프레임(250), 제 1 수평프레임(310), 제 2 수평프레임(320), 로어 제 1 수평프레임(330), 로어 제 2 수평프레임(340), 어퍼 제 1 수평프레임(350), 어퍼 제 2 수평프레임(360)의 내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은 내부에 단열공간(70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코어프레임(750)과, 상기 코어프레임(750)에 결합되고, 실내 측에 배치되는 제 1 커버프레임(710)과, 상기 코어프레임(750)에 결합되고, 실외 측에 배치되는 제 2 커버프레임(720)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프레임(750)은 우물 정(井)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프레임(750)의 단열공간(701)에 단열재(740)가 충진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재(740)는 친환영 난연 우레탄 재질일 수 있다.
제 1 커버프레임(710) 및 제 2 커버프레임(72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버프레임(710)은 상기 코어프레임(750)의 실내측을 감싸게 형성되고, 내부에 제 1 커버공간(711)이 형성된다.
및 제 2 커버프레임(720)은 상기 코어프레임(750)을 실외측을 감싸게 형성되고, 내부에 제 2 커버공간(721)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프레임(750)은 상기 개스킷(740)과 마주하는 면으로 돌출된 제 1 코어돌출월(751) 및 제 2 코어돌출월(7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코어돌출월(751) 및 제 2 코어돌출월(752) 사이에 끼움부재(747)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747)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합성수지 일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747)는 제 1 코어돌출월(751) 및 제 2 코어돌출월(752)의 휨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커버프레임(710) 및 제 2 커버프레임(720)의 끼움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도어(100)가 닫혔을 때, 상기 격벽(646)의 끝단(646a)이 상기 끼움부재(747)와 접촉되고,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윙도어 110 : 제 1 도어사이드
111 : 어퍼도어축 112 : 로어도어축
120 : 제 2 도어사이드 130 : 도어탑
140 : 도어바텀 210 : 제 1 수직프레임
220 : 제 2 수직프레임 230 : 제 3 수직프레임
240 : 제 4 수직프레임 250 : 탑프레임
260 : 로어프레임 270 : 어퍼 탑프레임
310 : 제 1 수평프레임 320 : 제 2 수평프레임
330 : 로어 제 1 수평프레임 340 : 로어 제 2 수평프레임
350 : 어퍼 제 1 수평프레임 360 : 어퍼 제 2 수평프레임
400 : 도어유리 401 : 제 1 유리
402 : 제 2 유리 500 : 열전모듈
510 : 제 1 방열판 511 : 제 1-1 방열부
512 : 제 1-2 방열부 520 : 제 2 방열판
521 : 제 2-1 방열부 522 : 제 2-2 방열부
610 : 제 1 아우터커버 620 : 제 2 아우터커버
640 : 개스킷 650 : 유리삽입홈
660 : 이너바디 670 : 개스킷설치부
710 : 제 1 커버프레임 720 : 제 2 커버프레임
740 : 단열재 750 : 코어프레임

Claims (5)

  1. 어퍼도어축 및 로어도어축을 중심을 회전되는 스윙도어(100);
    상기 스윙도어(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수직프레임(210);
    상기 스윙도어(10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수직프레임(220);
    상기 스윙도어(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도어축과 결합되는 탑프레임(250); 및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2 수직프레임(220)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740);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도어(100)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의 상측을 연결하는 도어탑(130);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의 하측을 연결하는 도어바텀(140);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제 2 도어사이드(120), 도어탑(130) 및 도어바텀(140)에 둘러싸인 도어유리(400);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어퍼도어축(111);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도어축(112); 및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열전모듈(5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도어사이드(110) 및 제 2 도어사이드(120)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공간(621)이 형성된 이너프레임(620);
    상기 이너프레임(620)에 결합되고, 실내를 향하게 배치된 제 1 아우터커버(610);
    상기 이너프레임(620)에 결합되고, 실외를 향하게 배치된 제 2 아우터커버(630);
    상기 제 1 아우터커버(610) 및 제 2 아우터커버(630)에 결합되고, 제 2 수직프레임(220) 또는 제 1 수직프레임(210)을 향하게 배치된 개스킷(640);
    상기 이너프레임(620)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유리(400)가 삽입되는 유리삽입홈(650);
    상기 이너프레임(620)을 구성하는 월들 중에서 상기 제1 아우터커버(610) 측에 인접한 월에 배치된 제1 온도 센서(101); 및
    상기 이너프레임(620)을 구성하는 월들 중에서 상기 제2 아우터커버(630) 측에 인접한 월에 배치된 제2 온도 센서(102);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모듈(50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550);
    상기 열전소자(550)의 일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이너프레임(620)을 구성하는 월들 중에서 상기 제1 아우터커버(610) 측에 인접한 월에 접촉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1 방열판(510); 및
    상기 열전소자(550)의 타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이너프레임(620)을 구성하는 월들 중에서 상기 제2 아우터커버(630) 측에 인접한 월에 접촉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2 방열판(520)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모듈(500)은, 상기 제1 온도센서(101)와 상기 제2 온도센서(102)에서 감지된 온도들 사이의 차이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방열판(510)과 상기 제2 방열판(520) 중 하나로 열을 전도시키는 회전형 도어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리(400)는,
    실내 측에 배치되는 제 1 유리(401);
    상기 제 1 유리(401)와 이격되고 실외 측에 배치되는 제 2 유리(402); 및
    상기 제 1 유리(401) 및 제 2 유리(402)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유리결합부재(430);를 포함하는 회전형 도어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73460A 2021-06-07 2021-06-07 회전형 도어구조물 KR102295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460A KR102295863B1 (ko) 2021-06-07 2021-06-07 회전형 도어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460A KR102295863B1 (ko) 2021-06-07 2021-06-07 회전형 도어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863B1 true KR102295863B1 (ko) 2021-08-31

Family

ID=7748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460A KR102295863B1 (ko) 2021-06-07 2021-06-07 회전형 도어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8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75Y1 (ko) 2011-12-07 2013-12-02 변창성 유리도어용 샤시 프레임
KR101547911B1 (ko) 2015-01-15 2015-09-04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스테인리스 단열 도어프레임
KR101631226B1 (ko) * 2015-08-03 2016-06-24 주식회사 중일 단열재가 내장된 강화유리문 조립체
KR101669409B1 (ko) * 2015-04-27 2016-10-26 주식회사 중일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865233B1 (ko) 2010-04-28 2018-06-07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
KR101878190B1 (ko) 2017-03-14 2018-07-13 김순석 스윙도어 상부문틀과 상롯드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33B1 (ko) 2010-04-28 2018-06-07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
KR200470175Y1 (ko) 2011-12-07 2013-12-02 변창성 유리도어용 샤시 프레임
KR101547911B1 (ko) 2015-01-15 2015-09-04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스테인리스 단열 도어프레임
KR101669409B1 (ko) * 2015-04-27 2016-10-26 주식회사 중일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631226B1 (ko) * 2015-08-03 2016-06-24 주식회사 중일 단열재가 내장된 강화유리문 조립체
KR101878190B1 (ko) 2017-03-14 2018-07-13 김순석 스윙도어 상부문틀과 상롯드의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6700A (en) Multi-pane window structure
US6830791B1 (en) Glass panel
KR100828201B1 (ko) 삼중 복층유리
JP2008513632A (ja) 窓と窓枠
JP2006336233A (ja)
NO810996L (no) Infraroedtreflekterende, lysgjennomtrengelig vindu
KR102295863B1 (ko) 회전형 도어구조물
JP2007092405A (ja) 二重窓の防露構造
JP2000008719A (ja) 複層ガラス
US20200271349A1 (en) Heat exchange type ventilation device
KR20180003095A (ko) 결로방지용 진공유리 창호
JPH10120447A (ja) 複層ガラス
KR101237435B1 (ko) 듀얼밸류 단열 복합 문테 없는 창호 프레임 구조
Salleh et al.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of double panel glass windows
KR20110090557A (ko) 창틀이 없는 삼중 창호의 구조
BR112018068377B1 (pt) Vidraça isolante, porta, peça de móvel controlada por clima, utilização na construção e processo de fabricação de vidraça isolante
JP6388224B1 (ja) 断熱パネル
WO2018102820A1 (en) Heating glass structure
KR200455056Y1 (ko) 다중유리
WO2021111949A1 (ja) 複合材料
JP4023981B2 (ja) 窓構造
JPH11154590A (ja) 暖房用発熱体
JP2516455B2 (ja)
JP3687821B2 (ja) 断熱ドア
JP5435690B2 (ja) 複合断熱窓ガラ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